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 환경에서 중,고등학생의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및 수용

        권미영 ( Mi Young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1

        본 연구는 통합 환경인 일반학교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들과 함께 교육받는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의 인식 및 수용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통합교육의 현장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 A와 B, 중소도시 C의 총 9개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학생 10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변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신뢰도를 분석하여 자료를 처리하였으며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중·고등학생의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특성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일반적특성과 학업수행 특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인식하지 못하였고,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인식차이는 있었다, 둘째,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에 대한 특별한 경험은 적었으며, 일반적인 수용과 장점수용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특별한 경험에 대한 차이는 있었지만 일반적수용과 장점수용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으며 통합교육의 대상자인 일반학생과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을 위해 교육의 환경을 질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gree of perceptions andacceptances of students who study in inclusive classrooms of the middle andhigh school where students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integrated and to provid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s basic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To do thi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073 students of the nine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s in A and B Metropolitan City and C Cit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t-test, one way ANOVA,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of the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 had recognized the neurobiological characteristics for autism spectrumdisorder, but had not specifically recogni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academic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there were perceptions`` differences of the neurobiological and academic performanc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re were a little special experience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 general acceptance and the advantages accommodate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lower.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cial experience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no differences in the general acceptance and the advantages accommodate. Based on the discussions of these results, it was presented the less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general students and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KCI등재

        자폐성 장애학생 부모의 경험을 통한 초·중등전환시스템 탐색

        이원희,곽승철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fficient transition system through parent’s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 are in the transition process to middle school from elementary. To achieve this,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was conducted after implementing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targeting nine parent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s for the transition programs in the transition process to middle school from elementary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re are needs in professional transition counseling,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liaison to NEIS system, systematic diagnosis and placement, and making ITP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Secondly, as for parent-teacher partnership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student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three types such as active partnership, passive partnership, and non-partnership were appeared based on the attention and cooperative attitude about transition. Thirdly, conditional matrix at personal level, school level, and national level were suggested to demonstrate the core category, that is, the overall explanation of making the efficient transition system by the partnership of parent-teacher.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ransition programs and syste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circumstances of transition proces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본 연구는 초·중등 전환과정에 있는 자폐성 장애학생 부모의 경험을 통해 효율적인 전환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폐성 장애학생 부모 9명과 면담을 실시하여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초·중등 전환프로그램으로 ‘전문적인 전환 상담’, ‘학생, 부모, 교사를 위한 전환교육’, ‘NEIS 시스템의 연계’, ‘체계적인 진단 및 배치시스템’, ‘초등과정에서의 ITP 작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환과정에서 부모와 교사의 협력은 전환에 대한 관심과 협력적인 태도를 기준으로 ‘적극적인 협력관계’, ‘수동적인 협력 관계’, ‘비 협력관계’ 세 유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 범주인 ‘부모와 교사의 협력으로 효율적인 전환시스템 만들기’에 대한 종합적인 설명을 위해 개인 차원, 학교 차원, 국가 차원에서의 상황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장애학생의 전환프로그램과 전환시스템 개발에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자폐성장애 학생의 감정 어휘 이해 특성 - 지적장애 학생과 비교하여 -

        이종호,고은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vocabulary of th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ethod: The subjects were 10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10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with similar language levels. A total of 24 situational picture cards were developed for eight emotional words, in the first stage, the study examined emotional vocabulary comprehension skills through the open questions, and in the second stage, the selective questions that select one of four words. Results: First, the comprehension ability of emotional vocabulary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similar acceptance and expression language scores. In particular, a more distinc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question form of selecting one of the four vocabulary cards. Second, in terms of vocabulary,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negative vocabularies was higher than that of positive vocabularies. This tends to be common among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owever, in the analysis of each vocabulary, th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wed a big difference in understanding the vocabulary according to the given situation rather than the positive or negative vocabular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emotional vocabularies could be an important goal setting in the language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hould be done in a contextual contex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감정 어휘에 관한 이해 특성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비슷한 언어발달 수준을 가진 10명의 자폐성장애 학생과 10명의 지적장애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8개의 감정 어휘에 대한 총 24개의 상황 그림카드를 제작하였으며, 1단계에서는 개방형 질문을 통해 그리고 2단계에서는 4개의 어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형 질문을 통해 감정 어휘 이해 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자폐성장애 학생들의 감정 어휘의 이해 능력은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점수가 비슷한 지적장애 학생들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개의 어휘카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질문형태에서 더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둘째, 어휘에 있어서는 부정어휘에 대한 이해정도가 긍정어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적장애 학생들에게서도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경향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휘별 분석에서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경우에는 긍정 또는 부정어휘의 속성보다는 주어진 상황이 무엇인가에 따라 어휘 이해에 대한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성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언어지도에 있어서 감정 어휘는 중요한 목표 설정이 될 수 있으며, 상황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태블릿PC를 활용한 Touchmath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덧셈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유민,최진혁,신별해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학연구 Vol.5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Touchmath program using a tablet PC on the addition calcu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as an experimental design to determine the effect the Touchmath program using a tablet PC on the accuracy and fluency of addition calculation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study’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uchmath program using a tablet PC has increased the accuracy of addition calculation for all study subjects. Second, the Touchmath program using a tablet PC increased the fluency of addition calculation for all study subjects. Conclusion: Touchmath program using a tablet PC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ffective aspect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KCI등재

        자폐성 장애아의 어머니가 인식한 자녀의 초등학급생활과 수업 부적응

        하영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parents recognize as autism spectrum disorder elementary childrens' maladjustment in classroom life and lessons. The informants of the study were 6 parents having elementary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ata were collected with interviews and parents' observation notes on their child's classroom life and lessons and analyzed by an ethnographic method. A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3 domains were identified as what parents recognize as autism spectrum disorder elementary students' maladjustment to classroom life and lessons. First, as the maladjustment domain of self management, understanding concept of lesson time, control of restricted interests and environmental change, management of materials and school supplies, performance of homework and information note tasks, and control of feelings were analyzed. Second, as the maladjustment domain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following the classroom rules and teacher's directions, participation of transition activity and lessons were found. Third, as the maladjustment domain of relationships with peers, group activity and communication with mates were identified. Lastly, the study discussed the major causes related to autism spectrum disorder elementary students' maladjustment to classroom life and lessons.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에 자녀를 보내는 자폐성 장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한 초등학급생활 및 수업의 부적응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어머니 면담(interview)과 어머니의 관찰 일지에서 수집되었고, 그 자료는 문화기술적 방법(ethnographic method)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자폐성 장애아의 어머니가 인식한 초등 자폐성 장애아의 학급생활과 수업의 부적응은 3가지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자신의 관리 부적응에는 학교 시간의 이해, 수업참여태도, 자료와 학용품 관리, 숙제와 알림장 인식 및 감정의 조절 등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사 관계의 부적응에는 학급규칙 따르기, 지시 따르기, 전환 활동 및 수업참여태도 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또래 관계의 부적응에는 또래와의 집단 활동과 또래와의 의사소통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에는 자폐성 장애의 원인들에 따라 연구결과를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폐성 장애 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안제춘,최서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2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overall effects of technology- based interventions on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various factors. The meta-analysis included 19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The Tau-U index was us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using web program developed by Vannet et al. (2016) and combine the effect size using WinPepi application developed by Abramson (2012). Modera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ruskal.test function in the R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technology-based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ASD showed a medium to high effect size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munication (overall effect size Tau-U=0.92, 95%CI=[.86-.98]).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s of interventions depending on the students’ gender, severity of disability, frequency of intervention, length of session, and intervention environment. Other subgroup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or effects, but technology types had moderator effects close to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utilizing technology-based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ASD.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 학생을 위한 테크놀로지(멀티미디어, 모바일러닝, 증강현실 및 로봇, 보완대체의사소통) 활용 중재가 사회적 의사소통(의사소통 행동 및 기술, 사회적 관계 유지 및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하고 여러 변인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메타분석에는 단일대상연구 19편이 포함되었다. 효과크기 산출을 위해 Tau-U 지표를 활용하였다. Vannest 등(2016)의 웹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au-U 값을 계산하였으며, Abramson (2012)의 WinPepi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효과크기를 합산하였다. 조절효과 분석의 경우 R 프로그램 내 kruskal.test 함수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재가 자폐성 장애 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중간에서 높은 크기를 나타냈다(전체 효과크기 Tau-U=0.92, 95%CI=[.86-.98]). 둘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의 성별, 장애 정도, 중재의 주당 회기 수, 회기당 시간, 중재환경에 따라 중재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 외의 하위범주에서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테크놀로지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의 경우 유의확률이 유의수준 .05에 근접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성 장애 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증진을 향상시키기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의 중요성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심축 반응 훈련 원리를 적용한 연극놀이가 자폐 범주성 장애 중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변관석(Byeon, Gwan-seok)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3

        연구목적: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함은 자폐 범주성 장애의 주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심축 반응 훈련 원리를 적용한 연극놀이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중학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특수학교의 중학교 과정 1학년에서 3학년에 재학 중인 3개 소집단, 총 9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 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기초선 구간, 중재구간, 일반화 구간으로 구분하여 수행되었으며, 부분간격 기록법을 이용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의 발생률을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중학생들은 기초선 구간에 비하여 중재 구간 및 일반화 구간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특수교육 전문가들과 참여자의 부모들은 모두 본 중재가 적합하며 실행 가능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중심축 반응 훈련 원리를 적용한 연극놀이 중재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중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실제로 고려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Purpose: Impairment in social interaction is the main characteristic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applied pivotal response training principle implemented in a small group on social interactions of middle-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ethod: Nin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grades 1-3 of the middle-school course at a special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ingle case design research. Upon introduction of the intervention, we observed a substantial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intervals containing social interactions.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the group of the following 3 phases: baseline phase, intervention phase, and generalization phase. Results: Social interactions of middle-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ere improved more in the intervention phase and the generalization phase than in the baseline phase. Further, parents of the participants and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considered the intervention to be acceptable and feasible.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dramatic play intervention applied pivotal response training principle can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practice that focuses on the actual field of special education to improve the social interaction occurrence among middle-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KCI등재

        초등학교 장애학생들의 작업기억 특성에 관한 고찰

        강옥려 ( Kang Ock Ryeo ),이새별 ( Lee Sae Byoul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3

        본 연구는 국내 초등학교 장애학생들의 작업기억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장애영역별 작업기억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43편의 논문이 분석되었으며, 연구동향 및 작업기억 검사에 사용된 도구와 장애영역별 작업기억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기억 특성 관련 연구는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2011년을 기점으로 더욱 활발해졌으며, 장애영역별 연구현황은 학습장애 10편, 학습부진 10편, 지적장애 4편, 단순언어장애 4편, ADHD 4편, 자폐성장애 3편, 청각장애 5편, 시각장애 3편으로 다른 장애영역에 비해 학습장애와 학습부진의 연구가 2배 정도 많은 편이었다. 둘째, 작업기억 하위요소별 검사과제는 명칭과 측정영역이 연구자와 연구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하위요소별 측정과제를 살펴보면 중앙집행기 측정에 숫자폭, 읽기폭 등이 활용되었고, 음운루프 측정에 숫자폭, 비단어 따라 말하기 등이 활용되었으며, 시공간잡기장에는 사각형 매트릭스검사, Mr. Cucumber Test 등이 활용 되었다, 일화버퍼를 측정한 연구는 단 1편이었는데, 사용된 과제는 문장 따라말하기였다. 셋째, 장애영역별로 작업기억의 특성을 종합ㆍ정리해보면, 지적장애와 단순언어장애는 작업기억의 세 하위요소인 중앙집행기, 음운루프, 시공간잡기장에서 일반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고, 학습장애는 중앙집행기와 음운루프에서 일반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ADHD와 자폐성장애(고기능자폐)는 중앙집행기에서만 일반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청각장애와 시각장애는 각각의 결함과 관련된 영역, 즉 청각장애는 음운루프에서, 반면 시각장애는 시공간잡기장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다. 학습부진의 경우 연구결과가 연구마다 다르게 나온 경우가 있었지만, 전반적인 경향은 일반학생에 비해 작업기억 능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memory in each disability area by analyzing literature related to working memo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 total of 43 papers wer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tasks of work memory test,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rk memory by disability area are as follows. First, working memory research became more active in 2011, and the status of research by disability area includes learning disabilities(10), academic underachievement(10), intellectual disabilities(4),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4), ADHD(4), autism spectrum disorders(3), hearing impairment(5) and visual impairment(3). Second, the working memory test tool and measurement area used for each stud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researcher and research purpose. Thir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memory for each disability area, intellectual disability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were lower in the central executive, phonological loop, and visuospatial sketchpad than the general students. Learning disability showed lower performance in the central executive and phonological loops compared with general students. ADHD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high functioning autism)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he general student only in the central executive. Hearing impairment and visual impairment were associated with the area associated with each defect, i.e., auditory impairment in the phonological loop, while visual impairment was poor in the visuospatial sketchpad. In the case of academic underachievement, research results were different, but overall tendency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에 참여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에 대한 체험연구

        이수빈(Su-Bin, Lee),한경아(Kyeong-A, Han)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by focusing on how they experience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For this study, 8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experienced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SD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6 essential themes and 15 sub-themes were derived by applying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he essential themes derived are ‘Struggling and confused by not being able to approach the world of children’, ‘Trying various things to understand the world of each child as an individual’, ‘Finding clues to communicate with children by putting down my prejudice’, ‘Amazed and joyful by noticing changes of children and me while keeping pace with them’, and ‘Becoming a bridge to promote communication for children in a group’. The fact that I and children have met here now through art therapy comes to a meaningful way.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를 진단받은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에 집중하고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ASD를 진단받은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 8명으로부터 수집된 심층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5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본질적 주제는 ‘치료사로서 아동의 세상에 다가가지 못하고 어려움을 느낌’, ‘집단보다 먼저 아동 각 개인의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도를 해 봄’, ‘편견을 내려놓고 아동의 마음과 소통하는 실마리를 찾음’, ‘함께 발맞추어가며 느껴지는 아동과 나의 변화가 놀랍고 즐거움’, ‘집단 속 아동들의 소통을 촉진하는 다리가 되어 줌’, ‘미술치료를 통해 나와 아동이 지금 여기에서 만난 것, 그 자체가 의미로 다가옴’이다. 이처럼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ASD를 진단받은 아동을 집단미술치료에서 만나며 대상에 대한 이해와 경험에 부족함을 느끼지만, 더 깊은 공부를 하면서 아동 각 개인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집단의 촉진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깨달으며 집단의 역동을 경험하고 아동의 발전과 함께 결국 한 층 성장한 자신을 발견한다.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학교육을 위한 Touchmath 전략 고찰: 국내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이성용,강영택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research literature of touchmath strateg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8 to 2019 revealed 10 experimental studies(single-subject design) published in special education within south korea and another countries. This study analyzed the 10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7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arget skills, method of intervention, effect size(PND), quality indicato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 of studies were more ID than ASD. It was aim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ther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Most of the research setting of studies were school(classroom). Third, Most of the research design of studies were a multiple(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 Fourth, Most of the target skills of studies were addition(numbers and operations). Fifth, Most of the method of intervention of studies were was to learn the touchpoint and then solve the problems. Sixth, The results of studies indicated a large positive effects for interventions(M PND > 90%), maintenances and generalizations(M PND > 90%). Lastly, Most of the studies have met more than 80% of quality indicators.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Touchmath 전략을 적용한 국내외 단일대상연구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수학 교수를 계획하는 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Touchmath 전략 중재 관련 단일대상연구를 조사하고, 선정 기준에 따라 국내 5편, 국외 5편 총 10편의 단일대상연구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문헌 분석은 7개의 분석 변인(연구 대상, 중재 환경, 연구 설계, 목표 기술, 중재 방법, 중재 효과, 질적지표)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은 국내외 모두 자폐성장애보다 지적장애가 더 많았고, 중고등학생보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중재 환경은 국내외 모두 공교육기관에서 다수 연구되었다. 국내는 특수학교에서도 연구되었지만 국외는 특수학교에서는 연구되지 않았고, 특수학급과 일반학교의 특별실에서 다수 연구되었다. 셋째, 연구 설계는 국내외 모두 교대중재 설계보다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많이 활용하였다. 넷째, 목표 기술은 국내외 모두 덧셈을 다수 목표기술로 설정하였다. 다만, 국내에서는 곱셈도 목표 기술로 설정하였다. 다섯째, 중재 방법은 Touchpoint를 익히는 활동을 한 다음 이를 기초로 문제를 해결하게 하였다. 여섯째, 중재 효과는 국내외 모두 평균으로 보았을 때, 중재가 큰 효과 크기를 보였으며(M PND > 90%), 유지와 일반화도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M PND > 90%). 일곱째, 질적지표는 거의 모든 지표를 충족하는 것(8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향후연구에 대한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