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변천 연구: 교육목표 및 구성체계를 중심으로

        백수진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educational goals and organizational systems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for disabled students who are unable to apply general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courses have been chang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revised and announced nine times from the first special school curriculum established and announced in 1974 to the present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n 2015. The study found that the basic education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was applied equally with the educational goals of general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courses as a watershed for the basic education courses of 2008 in the life and curriculum system of the contents required for real life. If the real purpose of special education is to enhance the ability of disabled students to live independently, the educational goals and organization system for them should be able to systematically teach the knowledgeand functions necessary for disabled students to live on their own in various ecological life environments now and in the future. Therefore, it was proposed that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n the future should embody the educational goals for the independent liv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clude the relevant areas in the composition system that can teach them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일반 초·중등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어려운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구성체계가 어떻게 변천 되어 왔는지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74년 처음으로 제정·고시된 특수학교 교육과정부터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까지 총 아홉 차례 개정·고시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은 실제 생활에 요구되는 내용의 생활 및 교과 영역 체계에서 2008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분기점으로 일반 초·중등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교과 체계를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었다. 특수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장애학생의 독립생활 역량 강화에 있다면,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구성체계는 장애학생이 현재와 미래의 다양한 생태학적 생활환경에서 스스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은 장애학생의 자립생활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목표와 내용을 구체화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관련 내용 영역을 구성체계에 포함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대상자 선발방식과 수행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지필 평가와 교사관찰추천제를 중심으로

        이영란,정윤희,한기순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20 특수·영재교육저널 Vol.7 No.1

        This study compares the paper and pencil based evaluation and teacher observation recommendation system, which was a conventional selection method, by using a meta-analysis method that synthesizes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the selection score and the performance score of the gifted education subj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effect size was as small as 0.244. The heterogeneity of the group was 58%, showing medium-sized heterogeneity, and a moderators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heterogeneity. As a result, the cause of heterogeneity was confirmed in the domain. In addition, in the mathematics and science domain,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the selection score and the performance score by the paper and pencil based evaluation and the teacher observation recommendation syst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종합하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기존의 선발방식이었던 지필 평가와 교사관찰추천제를 비교하고 영재교육대상자 선발방식에 따라 선발점수와 영재교육 프로그램 수행점수 간 상관에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영재교육대상자 선발과 수행 간의 상관 효과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0.244(p<.000)로 작은 효과 크기가 관찰되었다. 집단의 이질성은 I2가 58.0%로 중간 크기의 이질성을 보여주었으며 이질성의 원인을 탐색하기 위해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방법과 교육영역의 집단 간 분산을 확인한 결과 교육영역에서 이질성의 원인을 확인하였다. 이에 교육영역별 동질한 집단인 수학과 과학영역에서 지필 평가와 교사관찰추천제에 의한 선발과 수행 간 상관 효과 크기를 확인한 결과, 교사관찰추천제에 의한 선발과 수행 간의 상관 효과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교사 및 자기 평가에 의한 학령기 말더듬 아동의 의사소통 태도 연구

        박진원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communication attitude by self-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for school-age children who stutter(CWS) and normal children. For this purpose, S-24 test was performed to 10 stuttering children and 10 normal children and TASCC test was performed to the teachers of the children, and both test result & correlation was analyzed. First, the S-24 test scores of the stuttering childre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eneral children group in the communication attitude by self-evaluation. The stuttering children can be evaluated as having a negative tendency about communication attitude. Second, TASCC test score of stuttering children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eneral children group in the communication attitude by teacher evaluation. Third, the stuttering children grou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24 score as a result of analyzing group correlation between S-24 and TASCC sub-baromete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tuttering children of school age showed the negative tendency in self assessment and others' eval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both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aspects from the viewpoint of the speech therapy to help smooth communication in school environment. It is hoped that in the future, the effective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s can be devised to help the stuttering children better adjust to school life as well as the normal children. 본 연구는 학령기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 평가에 대한 의사소통 태도와 교사 평가에 의한 의사소통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말더듬 아동 10명과 일반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S-24 검사를 실시하고, 대상 아동들의 교사에게 TASCC 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 두 검사 결과와 상관을 분석하였다. 첫째, 자기 평가에 대한 의사소통 태도에서 말더듬 아동집단이 일반 아동집단보다 S-24 검사 결과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말더듬 아동들이 의사소통 태도에 대해 부정적인 성향을 지닌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둘째, 교사 평가에 의한 의사소통 태도에서 말더듬 아동집단이 일반 아동집단보다 TASCC 검사 결과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집단 간 S-24와 TASCC의 하위 척도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말더듬 아동집단은 S-24 점수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학령기 말더듬 아동들은 자기 평가와 타인 평가에서 부정적인 성향을 보였으므로 언어치료적 관점에서 행동과 심리적인 면을 함께 평가하여 학교 환경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향후 일반 아동뿐만 아니라 말더듬 아동들이 학교생활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들이 고안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저해요인 분석

        박재범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bstructive Factors of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36 students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researchers collected the report and analyzed it using docum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is negative perception and prejudice, Second, lack of support and benefits, Third, the limitation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Fourth, lack of membership and cooperation, Fifth, the heavy weight of the class and work, Sixth, lack of teaching difficulties and professional drawing, Seventh, disability area characteristics and lack of understand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olu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에 소속된 예비교사가 생각하는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저해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제공자는 학창시절의 통합교육 경험이 있고, 특수교육학개론 강의를 수강한 교육대학원생 총 36명의 예비교사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제공자에게 동의를 구하고, 회고록 형식의 보고서를 제출받았다. 최종 보고서는 A4 용지로 36편 총 121장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질적 연구방법 중 문서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저해요인으로는 첫째, 부정적 인식 및 편견, 둘째, 각종 지원 및 혜택 미흡, 셋째, 전문적 지식 및 경험의 한계, 넷째, 구성원 관계 및 협력 부재, 다섯째, 과밀한 학급 및 업무의 과중, 여섯째, 수업 어려움 및 프로그림 미흡, 일곱째, 장애영역 특성 및 이해 부족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저해요인에 대한 해결방안 논의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이 영재의 개인변인에 따라 비판적·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에 미치는 효과 : 가정환경, 학교환경을 중심으로

        주소영,이신동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1

        본 연구는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Problem-Based Learning; PBL) 프로그램이 영재의 개인변인인 가정환경, 학교환경에 따라 비판적 사고력과 성향, 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웩슬러 지능검사 IQ 125 이상 또는 레이븐 지능검사 결과 백분위 90 이상인 영재아동 25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개인변인 점수의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가정에서 심리적 지지를 잘 받은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자기신뢰성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한편 가정에서 심리적 지지를 잘 받지 못하는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개방성, 탐구성, 창의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동기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교사와 관계가 좋은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숨겨진 가정 확인하기, 비판적 성향 전체와 하위요인인 개방성, 탐구성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또래와 관계가 좋은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숨겨진 가정확인하기, 비판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개방성, 자기신뢰성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또래와 관계가 좋지 않은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신뢰로운 정보 선택하기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이 영재의 개인변인에 따라 비판적 사고력과 성향, 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is study, I intended to examine what impact it influences on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persona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personality of the gifted students in accordance with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th grade to 6th grade 25 students whose IQ of 125 or more based on Wechsler Scale of Intelligence or with 90 or more based on Raven Intelligence Test. The overall briefed contents of the result carried by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when applying the PBL program utilizing graphic organizer to the children who have received psychological support well in the family, it showed more effective result in the self-reliance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critical personality, and when applying it to the children who does not receive psychological support well in the family, it showed more effective result in the openness, exploratory property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critical personality, and in the motivation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creative personality. Secondly, when applying the PBL program utilizing the graphic organizer to children who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eachers, it showed more effective results in the identifying hidden assumption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in the sub-factors of the critical personality such as openness, exploratory property and the whole of the critical personality. And when applying the PBL program utilizing graphic organizer to the children who have good relationship with peers, it showed more effective result in the identifying hidden assumption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openness and self-reliance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critical personality. And when applying it to the children who do not have good relationship with peers, it showed more effective result in the selecting reliable information,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 KCI등재후보

        아동문학 작품 속 장애 등장인물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성희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20 특수·영재교육저널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and to find out the views on disabilities in children's literature related to disabilities. As a conclusion obtaine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a total of 16 works, first, it was described tha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children's literature related to disabilities were less than the general level. Second, the idea that the general public without a disability should help with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was dominant. Third, disability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related to disabilities often lack self-determination or are described as negative images. It is said that literature reflects the general level of consciousness of that era.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creative books, in which the reader is a child, have a great influence even if they do not have an intentional educational purpose. 이 연구는 아동문학 작품 속 장애 등장인물의 특성을 분석하여 장애 관련 아동 문학작품에 나타난 장애에 관한 견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16권의 작품을 내용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으로는 첫째, 장애관련 아동문학 작품 속의 등장하는 장애 인물의 개인적인 특징은 일반적인 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둘째, 장애가 있는 등장인물에 대해서는 장애가 없는 일반인이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생각이지배적이었다. 셋째, 장애 관련 아동문학 작품 속의 장애 등장인물은 자기 결정 능력이 없거나, 부정적인이미지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문학은 그 시대의 일반적인 의식 수준을 반영한다고 하였다. 독자가 아동인 창작 도서는 의도적으로 교육적인 목적을 두지 않더라도 그 영향력이 크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학교육을 위한 Touchmath 전략 고찰: 국내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이성용,강영택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research literature of touchmath strateg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8 to 2019 revealed 10 experimental studies(single-subject design) published in special education within south korea and another countries. This study analyzed the 10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7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arget skills, method of intervention, effect size(PND), quality indicato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 of studies were more ID than ASD. It was aim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ther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Most of the research setting of studies were school(classroom). Third, Most of the research design of studies were a multiple(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 Fourth, Most of the target skills of studies were addition(numbers and operations). Fifth, Most of the method of intervention of studies were was to learn the touchpoint and then solve the problems. Sixth, The results of studies indicated a large positive effects for interventions(M PND > 90%), maintenances and generalizations(M PND > 90%). Lastly, Most of the studies have met more than 80% of quality indicators.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Touchmath 전략을 적용한 국내외 단일대상연구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수학 교수를 계획하는 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Touchmath 전략 중재 관련 단일대상연구를 조사하고, 선정 기준에 따라 국내 5편, 국외 5편 총 10편의 단일대상연구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문헌 분석은 7개의 분석 변인(연구 대상, 중재 환경, 연구 설계, 목표 기술, 중재 방법, 중재 효과, 질적지표)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은 국내외 모두 자폐성장애보다 지적장애가 더 많았고, 중고등학생보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중재 환경은 국내외 모두 공교육기관에서 다수 연구되었다. 국내는 특수학교에서도 연구되었지만 국외는 특수학교에서는 연구되지 않았고, 특수학급과 일반학교의 특별실에서 다수 연구되었다. 셋째, 연구 설계는 국내외 모두 교대중재 설계보다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많이 활용하였다. 넷째, 목표 기술은 국내외 모두 덧셈을 다수 목표기술로 설정하였다. 다만, 국내에서는 곱셈도 목표 기술로 설정하였다. 다섯째, 중재 방법은 Touchpoint를 익히는 활동을 한 다음 이를 기초로 문제를 해결하게 하였다. 여섯째, 중재 효과는 국내외 모두 평균으로 보았을 때, 중재가 큰 효과 크기를 보였으며(M PND > 90%), 유지와 일반화도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M PND > 90%). 일곱째, 질적지표는 거의 모든 지표를 충족하는 것(8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향후연구에 대한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고등학생 대상 특허출원 활동의 교육적 의미

        지주연,문성환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experience of patent application education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ffected their patent competency and future career choic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YIP education courses conducted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y the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s and conduct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69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YIP program between 2009 and 2018. Through this study, we can see that the experience of applying for a patent while in middle and high school was effective in increas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enior school life, future career choices, and plans for continuous invention activiti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policies for edu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이 연구는 중·고등학생 시절의 특허출원 교육활동 경험이 특허 역량과 훗날 자신의 진로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허청 발명 교육 사업 가운데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YIP(Young Invertor Program) 교육 과정을 분석하고, 2009년부터 2018년 사이에 YIP에 참여했던 학생 6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고등학생 시절의 특허출원 경험이 이어지는 상급 학교생활과 미래의 진로 선택, 향후 지속적 발명 활동 계획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발명 및 지식재산 교육 정책 수립과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Fast Mapping 특성

        임태임,박현주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2

        The fast mapping skill is considered an important means of assessing and intervening children's vocabulary, but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st mapping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SLI) using a picture book. To this end, fast mapping task is conducted on 10 children with SLI of 3-5 years and 1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 matched their language age, and 1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 matched chronological age. And then we calculated the total score and the scores according to the word type (noun and verb).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examined through the nonparametric test, Kruskal-Wallis H test. As a result,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total score for the fast mapping task. Second, the scores according to the word typ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nouns. The Mann Whitney U tes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with SLI and the children who matched chronological ag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hildren with SLI have fast mapping skills that is comparable to other children with similar language ability. It is necessary to find specific ways to use picture books as the natural context of acquiring language. Fast mapping 기술은 아동의 어휘력을 평가하고 중재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수단으로 간주되고 있으나 실증적 근거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그림동화책을 활용하여 학령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fast mapping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5세 단순언어장애 아동 10명과 언어연령 및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각 10명에게 fast mapping 과제를 실시하고, 전체 정반응 점수와 품사(명사와 동사)에 따른 정반응 점수를 산출한 다음, 비모수검정인 Kruskal-Wallis H test를 통해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fast mapping 과제에 대한 전체 점수는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단어의 품사에 따른 점수는 명사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 분석으로 Mann Whitney U test를 실시한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언어능력이 유사한 일반 아동에 뒤지지 않는 fast mapping 기술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언어를 배울 수 있는 맥락으로 그림동화책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 질(Quality) 기준에 관한 국내외 현황 및 시사점 분석

        심승엽,박순흥,한기순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1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present-day state and talking points of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 based on two of the leading countries on gifted education, the US and the UK. First, the present status of the quality standards of the gifted education is derived from the changes in the overseas quality standards. We explored how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 of the US, and government-managed standards, The Institutional Quality Standards (IQS), The Classroom Quality Standards (CQS), and The Authority Quality Standards (LAQS), of the UK affected the gifted education scene of each county. In addition, quality standards of Netherland, Wales, Saudi Arabia, and New Zealand were analyzed. Second, we extracted the implications for our gifted educ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gifted education quality standards The result of analys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pplicability of gifted education on various layers based on the philosophical consensus, and appropriateness of the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 level of learner and the subject. This study suggests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positive effects of the quality standards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quality standards of gifted education abroad.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선도국가인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영재교육 질 기준에 관한 외국 현황과 시사점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질 기준의 변화에 따른 국외 영재교육 질 기준의 현황을 도출하였다. 미국의 오랜 영재교육 역사 속에서 질 기준에 입각한 핵심공통 교육과정(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도입에 따른 변화의 모습을 탐색하였고, 영국 영재교육에서는 기관 질 기준(The Institutional Quality Standards: IQS), 교실 질 기준(The Classroom Quality Standards: CQS), 교육청 질 기준(The Authority Quality Standards: LAQS) 이라는 세 가지 국가 질 관리가 있음을 파악하고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외에 네덜란드, 웨일스, 사우디아라비아, 뉴질랜드의 질 기준 현황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국외 영재교육 질 기준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영재교육 핵심 목적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철학적 합의와 다양한 계층(layer)에서의 적용성에 대한 고민, 그리고 영재교육과정이 각 과목의 특성 및 학습자에 따라 적절한 수준(levels)으로 반영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시사점을 바탕으로 개인의 역량에 한정한 평가 및 개선 도구로서의 질 기준에서 머물기보다 영재교육 시스템 맥락에서 질 기준에 대한 보다 사용자 중심의 평가모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외 영재교육의 질 기준을 통하여 국내 영재교육의 질 기준 제고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기 위한 몇 가지 현실적 제언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