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특별자치도의 재정건전성 제고방안

        윤현석(Yoon, Hyun Seok),민기(Min, Kee) 한국국제조세협회 2012 조세학술논집 Vol.28 No.1

        Special Act on the Establishmen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Creation of Free International City(hereinafter as “Special Act”) was already enacted on February 21, 2006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hereinafter as “Jeju Self-governing Province”) was established newly on July 1, 2006. In spite of the rights of Self-government to be granted to Special Province are strengthening of self-lawmaking and self-organization and management, expansion of residents participation, strengthening of financial autonomy etc., the Jeju Self-governing Province has not made satisfying results while. For this reason the Central government did revise the Special Act on May 2011. This amendment has given Jeju Self-governing Province the autonomous rights than the previous Special Act. In particular the Central government has authorized Jeju Self-governing Province the autonomous finance rights than the previous Special Act. Bout Special Province has a low standard of financial independence as compared with some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o be developed Special Province as a advanced model of decentralization of power and international city will manage systemic and independent business from autonomical finances. Because the rights of finance to be granted to Special Act are limited, this rights are not of help substantial finance expansion of Special Province. Therefore I think that Special Province is granted the rights to expand taxation autonomy as to transfer items of national tax or national tax to be collected by Special Province to Special Province to provide in Special Act §4 ③. This example i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give Jeju Self-governing Province return right of the added value tax for the tourist. This province enacts an ordinance to impose Environment Tax a portion of VAT return tax. The Financial Soundness of Jeju Self-governing Province does not get off the provision of special Act, but is transferred effective autonomous finance rights and has accompanying responsibilities for the transferred rights.

      • KCI등재

        국민건강보험공단 임․직원 특별사법경찰권 부여 법안 고찰

        임지연,김계현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31 No.4

        최근 전문성과 사안의 밀착성 등을 이유로 해당 분야 비공무원 신분인 자에 대해 특별사법경찰권을 부여하는 제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제21대 국회에서도 비공무원에게 특별사법경찰권을 인정하는 법안이 다양한 영역에서 발의되었다. 공단 임․직원에게 특별사법경찰권 부여 법안이 그 중 하나이다. 지금까지 장소적 격리성․특수성․예외성 이외의 업무적 특수성을 이유로 비공무원 신분인 자에게 특별사법경찰권을 인정한 경우는 금융감독원 직원에게 인정한 경우가 유일하다. 본 연구는 비공무원 신분인 금융감독원 직원에게 부여된 특별사법경찰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금융감독원 조직의 성격과 권한, 금융감독원 직원의 업무적 특수성과 공단 임․직원의 업무 특수성을 비교하여 건강보험공단 임․직원에 대한 특별사법경찰권 부여 법안의 합리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금융감독원과 달리 공단은 독자적 행정조사권한이 없다는 점이 금융감독원 직원의 행사 권한과의 가장 큰 차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별사법경찰제도는 사안이 시급하고 중대성이 큰 경우에 한 해 한정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므로 공무원에게만 그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타당하다. 예외적으로 인정되더라도 금융감독원 사례처럼 검사의 지휘 아래 견고한 공조체계를 유지할 정도로 사안이 중대하고 전문성이 필요한 경우로 제한해야 한다. 발의된 법안에 의하면 공단 임․직원이 검찰과 사법경찰만이 가지는 수사권을 행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발의된 법안이 시행될 경우 수사권한이 편법적으로 혼동․사용되어 공단 직원이 사법경찰권을 행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공단 임․직원의 수사권의 범위와 수사권 운영 방식을 검토한 결과 사실상 공단이 자체 급여관리시스템(Benefits Management System, BMS)으로 부당청구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의료기관에 대한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 수사권을 행사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공단의 자체 시스템에 의해 부당청구 비율이 높은 것으로 의심되는 기관이 범죄혐의를 받는 의료기관이 됨을 의미한다. 이때 공단 임․직원은 특별사법경찰로서의 권한을 행사할 것으로 의료인 및 의료기관 입장에서는 수사기관이 아닌 기관의 비공무원에 의해 압수수색 등의 수사를 겪게 될 상황이 우려된다. 이는 국민의 직접적 기본권에 영향을 미치므로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 침해에 해당한다. 행정조사 절차과정에서 권한 있는 자인 보건복지부 공무원을 배제하고 권한을 행사해 온 공단 임․직원에게 특별사법경찰권을 부여한다는 것은 그 정당성 및 타당성이 미흡하다. Recently, due to professionalism and adhesion of issues,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to non-public servants is on the rise and bills recognizing special judicial police rights to non-public servants were also proposed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The bill to grant special judicial police rights to executives and employee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HIS) is one of them. Until now, the only case in which a person who is a non-public servant has recognized the special judicial police right for work specificity has been recognized by an employee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FS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 judicial police operations granted to employees(non-public servants)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nd compared the nature and authority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organization, the work specificity of both FSS and NHIS to examine the rationality and validity of the bill granting special judicial police rights to executives and employees of the NH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huge difference between both entities on independent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right. Since the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should be used only in cases where the issue is urgent and of great importance, it is reasonable to grant the authority only to public officials. Even if it is recognized as an exception, it should be limited to cases where the issue is serious enough to maintain a solid cooperation system under the direction of the prosecutor and requires expertise, as in the case of the FSS. According to the proposed bill, it means that executives and employees of the NHIS can exercise the investigative power that only the prosecution and judicial police have. If the proposed bill is implemented, it is inevitable the confusion of investigation right and abuse of the judicial police power. After reviewing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rights of executives and employees of the NHIS and how they operate the investigation rights, it was confirmed that the NHIS may exercise its investigative power to confirm the facts of medical institutions that are judged to have a high percentage of unfair claims through its own Benefit Management System(BMS).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an institution suspected of having a high rate of unfair claims by the corporation's own system will be regarded a criminal charge. At this moment, executives and employees of the corporation will exercise their power as special judicial police, and medical personnel and medical institutions are concerned that they will experience investigations. This affects the direct basic rights of the human, so it is an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Consequently, it is not fair to exclude public official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ho are authorized in th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process, and to grant special judicial police rights to executives and employees of the NHIS.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의 인권 인식과 인권 교육에 대한 경험

        이미숙 ( Lee Misuk ),한송이 ( Han Song-y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4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이 바라보는 인권에 대한 인식과 인권 교육에 대한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 4명으로,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질적 접근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은 인권은 잘 모르겠지만 중요하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인권침해라는 개념은 곧 학교폭력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둘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은 현재 인권이 지켜지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문제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한편으로는 인권이 지켜지지 않았던 자신들의 과거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셋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은 인권침해 경험과 관련하여서는 단호한 태도로 부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누군가 자신의 인권을 침해했을 시에 부모, 교사, 경찰 등 누군가에게 알려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은 학교에서 이루어진 인권 수업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하면서, 학생들은 인권 교육과 관련하여 배려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인권에 대해 더 배우고 싶다는 의견을 드러냈다. 결론: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인권 교육에 대한 인적·물리적 지원이 필요하며, 인권침해를 예방하는 인권 교육 시스템이나 구조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and the experie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Method: Four high school students from special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which data was collected from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pproach. Results: First,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show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and the concept of human rights violations was recognized as school violence. Second,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recognized that there was no problem with/in what?, and on the other hand, they had experiences in the past when human rights were not protected. Third,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showed a strong attitude regarding human rights violations, and had the idea that if someone violated their human rights, they should inform their parents, teachers, and/or police. Fourth, although human rights classes were clearly held in the education field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students said that they did not remember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human rights classes, and students expressed their desire to create a society that is considerate in relation to human rights education and learn more about human right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human resources and physical support for specific and practical human rights education that enab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to practice their rights on their own initiative, and a preventive human rights education system and structural environment to prevent human rights violations must be established.

      • KCI등재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경험과 개선 방안

        홍정숙 ( Hong Jeongsuk ),조정민 ( Cho Jungmin ),조정현 ( Cho Junghyun ),최광현 ( Choi Kwangh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 특수교사가 경험한 교권침해 실태와 지원 요구를 질적 연구를 통해 밝히고, 이를 토대로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개선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특수학급에 근무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직·간접적인 교권침해 경험이 있으며 그 정도가 보통 이상인 특수교사 19명에게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전사 자료를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3개의 범주, 8개의 주제와 42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범주는 ‘주체별 교권침해 유형’, ‘교권침해의 원인과 영향’, ‘교권침해 대처 실태 및 개선 방안’이었다. 이에 따른 8개의 주제는 학부모의 교권침해, 관리자의 교권침해, 교직원 및 보조인력의 교권침해, 학생의 교권침해, 교권침해의 원인, 교권침해의 부정적 영향, 교권침해 발생 시 대처 방식, 교권침해의 개선 방안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를 예방하고 교권침해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 및 개선 방안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to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s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regular schools with a class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ir need for support and (b) to suggests practical methods and policy proposals to reduce the infringement of special class teachers’ right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9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a special class who experienced infringement of their teachers’ rights directly or indirectly more than once in the past three years to a moderate or more severe extent. The interview transcription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41 sub-themes, 8 themes, and 3 categories were derived. Three theme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type of infringement, cause and effect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response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improvement measure. Eight sub-themes were further identified, including parent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school manager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other teachers’ or school staff’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student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causes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negative effect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response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improvement measure. Based on the analysis, we propose methods of how to prevent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regular schools with a special education class and reduce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 KCI등재

        장애학생의 노동인권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교육 영역과 내용 탐색

        박정식 ( Park Jung-si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의 노동인권에 대한 실태와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노동인권 교육에 필요한 교육영역 및 내용이 무엇인지 밝히는데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전국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장애아동의 노동인권 교육의 내용 영역을 구성하기 위해 2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21.0 버전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델파이 분석은 타당도 및 중요도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비율(CVR) 등을 산출하였다. [결과] 장애학생의 노동인권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은 노동인권 교육의 사전교육의 필요성이 높은 반면 노동인권 교육 지원과 교육자료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노동인권 교육의 실태에서 특수학교는 노동인권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특수학교가 실시하는 학교보다 많고, 노동인권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에서는 교육자료, 교육시간, 유관기관 협력 등에서 교육지원을 하고 있고, 진로·직업교육 교사, 담임교사, 현장실습 담당교사들이 진로·직업 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진로·직업 유관기관에서 개발한 자료, 교육청 개발 자료를 활용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그리고 장애학생 노동인권 교육 영역과 내용은 5개의 영역(노동자의 권리와 인권 침해, 인권이 강화된 학습중심 현장 실습, 근로보호의 이해, 양성평등과 성희롱, 부당대우 대처)과 30개의 교육 내용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밝혀진 노동인권 교육의 인식 및 실태와 교육영역 및 내용이 노동인권 현장을 반영한 교육과정 연계 교육 자료를 공급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s of labor human rights in special school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m, and to clarify the educational areas and contents necessary for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special schools nationwide to find out teachers'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labor rights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and two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organize the content area of labor rights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analyzing the literature on labor rights and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FGI) twic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using SPSS Win 21.0 version, and the Delphi analysis calculate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for validity and importance was calculated. [Results] The perception of special teachers about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that while the need for prior education for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is high, support for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and educational materials are insufficient. And in the actual situation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there are more special schools than those provided by special schools that do not provid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and schools that provid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provide educational support through educational materials, training hours, and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homeroom teachers, and on-the-spot training teachers used materials developed by career-related institutions and materials develop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by utilizing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hours. In addition, the areas and contents of labor righ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divided into 5 areas (infringement of workers' rights and human rights, learning-centered field training with enhanced human rights, understanding of labor protection, gender equality and sexual harassment, dealing with unfair treatment) and 30 educational contents are confirmed. [Conclusion] The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as well as the educational field and content, as reveal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ful in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related to the curriculum reflecting the field of labor human rights.

      • KCI등재

        국제연합 사회권위원회와 인권이사회를 통한 주거권 보장

        여경수 대한변호사협회 201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82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the ensuring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through the UN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ESCR) and Human Rights Council.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wa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at the international level in the 1948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1966 United Nations member states adopte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 which they recognized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s the body of independent experts that monitors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by its States parties. The Committee to carry out the monitoring functions assigned to the housings rights. ESCR had considered the periodic re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housing rights. Decides that the Human Rights Council shall be responsible for promoting universal respect for the protection of all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for all. Undertake a universal periodic review, based on objective and reliable information, of the realization by each State of its housing rights obligations and commitments in a manner. Human Rights Council recommended the government had increased the number of public housing and public housing benefits to provide support to persons from vulnerable groups. and United Nations special rapporteur is titles given to individuals working on behalf of the United Nations within the scope of “special procedure” mechanisms who have a specific country or thematic mandate from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Special Rapporteur is independent experts appointed by the Human Rights Council to monitor specific rights. UN Special Rapporteur on adequate housing paid an official visit to the Republic of Korea in 2018. The Special Rapporteur’s report on the outcome of the visit and recommendations submitted to the UN Human Rights Council in 2019. 국제사회에서는 1948년 세계인권선언에서 처음으로 적절한 주거권이 권리로 인정되었다. 1966년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제11조에서는 적절한 주거권을 규정하고 있다.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위원회(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는 사회권규약을 실현하기 위한 기구이다. 사회권위원회는 주거권과 관련한 일반논평 4호(General Comment No. 4: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와 일반논평 7호(General Comment No. 7: forced evictions)를 발표했다. 사회권위원회는 지금까지 4차례에 걸쳐서 최종 권고문(Concluding Observations)에서 우리나라의 주거권 보장의 미흡사항에 관한 개선을 권고하였다. 사회권위원회는 사회권규약 선택의정서(Optional Protocol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에 따른 개인청원(Communications Procedure)을 통한 방법으로 주거권을 보장하고 있다. 국제연합 인권이사회(Human Rights Council)는 보편적 정례검토(Universal Periodic Review)와 특별보고관(Special rapporteur)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보편적 정례검토에서는 우리나라의 주거권 보장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의 공급과 주거급여의 대상을 늘려서 주거지원필요계층을 배려할 것을 권고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2018년 주거권 특별보고관(Special Rapporteur on adequate housing)이 우리나라에 방문했으며, 2019년 주거권 특별보고관은 우리나라의 주거권 실태에 관한 보고서를 인권이사회에 제출하였다. 이 글에서는 국제연합 사회권위원회와 인권이사회를 통한 주거권 보장방안을 다루고자 한다.

      • KCI등재

        EU조약상 특별주식의 취급에 대한 검토-폭스바겐 민영화법에 대한 판결을 중심으로-

        성승제 한국상사법학회 2016 商事法硏究 Vol.35 No.2

        Institution to be known as the golden share is referred to a variety of special rights that government to dominate the privatized company and to protect strategic interests of the country in the process of privstization. It is more suitable for ‘special rights’ or ‘specific share’ as that is the term to cover the various types. This special rights are roughly divided into a method of granting and exercise system the veto, the examination rights, such as the government. Such as influence the exercise of important decisions and shareholder structure of the Company management is intended to be primarily guaranteed. However, EU allow special rights only under the condition such as the following in the case of privatization of these public companies. On “the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it should be observed freedom of capital transactions and enterprise establishment, and the neutrality of ownership, etc. So are four kinds of reasons justifying the grant must not have the first discriminatory factor. Second, that the evidence must be presented for public safety. Third to be adequate to achieve the object in pursuit. Fourth, the principle of the prohibition of excessive restriction it means not to exceed the extent necessary to achieve the desired document on the principle of over-inhibition. Ruling on the golden share or special rights of the European Court since 2000 have been judged to infringe the principle that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Article 65; freedom principles of the capital transactions, Union Article 49 freedom of enterprise establishment for pre-approval, veto, in principle, power of the appointment and removal directors. In exceptional cases to meet the requirements and other requirements set forth in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Article 65 -1, it is to allow special limited rights. Do not just things, but this is exceptional. In short, these special rights are limited to the premium if the management right is reserved to the government because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free capital markets. In Korea, privatization of public companies that reserves the management rights premium would reason not be bound by EU principles, since ultimately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ny effect, it to accommodate the EU principles It may be a reasonable. EU에서 흔히 황금주로 알려져 있는 특별한 권리들 또는 특별주식들은, 사기업일 경우라면 EU법원은 회원국 정부들로 하여금 허용여부를 법률에 의하여 결정할 자유를 주고 있으며,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공기업이 민영화하는 경우에는 “유럽연합의 기능에 관한 조약” 에 의한 자본거래의 자유나 기업설립의 자유 기타 기본권과 관련하여 정당화 사유를 매우 예외적으로 좁혀서 보고 있다. 즉 공기업 민영화의 경우, 해당 회원국 정부가 그 기업에 대하여 특별한 권리를 갖는 것을 사실상 허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2013년 폭스바겐 민영화법에 대한 판결에서는 EU법원은, 폭스바겐 주식회사 정관상 80%의 특별다수결의 효력을 부인하지 아니하였다. 즉 특별한 권리에 대하여 EU조약을 위반하지 아니하였다고 판정하였다. 이는 20%를 약간 넘는 니더작센주 정부의 폭스바겐에 대한 지분을 통하여, 니더작센 주정부가 폭스바겐에 대하여 사실상 특별다수결 형태로 특별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사실상 황금주라는 형태를 조금 더 변화시킴으로써, 즉 특별다수결 제도같은 우회적 수단을 통해, 민영화한 기업이 있는 곳의 정부가 특별한 권리를 행사하는 것을 인정한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술한 측면이 갖는 중요성을 부각시켜 검토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과 경험

        홍정숙 ( Hong Jeongsu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1

        [목적]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밝히고, 그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온라인 커뮤니티에 2019년 12월 31일까지 7년 여간 게재된 글 가운데 학부모 관련 글을 수집하였고, 이 자료를 연속적 비교분석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28개의 하위 주제, 11개의 주제와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과] 2개의 범주는 ‘특수교사가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과 ‘학부모와의 관계 가운데 느끼는 특수교사로서의 보람과 성찰’이었다. 11개 주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학부모라는 존재 자체의 불편함, (2) 학부모 역할에 대한 기대와 현실 간의 간극, (3) 동반자관계 형성의 장벽: 신뢰와 존중의 결여, (4) 왜곡된 권리의식의 표출: 무리한 요구와 교권침해, (5) 힘겨운 소통, (6) 부정적 경험이 낳은 심리적 위축과 소진, (7) 학생의 학습권에 악영향을 미치는 학부모와의 부정적 관계, (8)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보람, (9) 학부모와의 연대와 배움의 필요성, (10) 학부모 마음 알아주기, (11) 특수교사의 교직 정체성과 교권 지키기. [결론] 특수교사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학부모와 겪은 부정적 경험 위주의 글을 올린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학부모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경험에 대한 분석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더라도 특수교사들은 학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대표적인 시사점 세 가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에 의한 교권침해는 특수교사의 인권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교육권 침해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시급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기간제 특수교사는 그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었다. 학교장의리더십 발휘를 통한 기간제 특수교사의 안정적인 교육 여건 조성이 필요하며, 근본적으로는 정규교사의 비율을 높이고 기간제 특수교사는 불가피한 경우에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 셋째, 예비특수교사와 특수교사들이 특수교사 양성 및 연수 과정에서 교육 체계 안과 밖의 가족 지원 제도를 배울 수 있도록 하고, 부모상담 역량 또한 키울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 밖에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들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과 경험의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leading online community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arents and their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Method] Of the posts uploaded by December 31, 2019, those relating to parents were colla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omparative sequential method. From the data analysis, 28 subthemes, 11 themes, and 2 categories were identified. [Results] The two categories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a sense of reward and self-reflection experienced as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main contents of the 11 themes were as follows: (1) inherent discomfort with parents, (2) a gap between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parents and reality, (3) barriers to the formation of partnerships―lack of trust and respect, (4) an expression of a distorted sense of entitlement―unreasonable demands and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5) difficult communication, (6) psychological withdrawal and exhaustion caused by negative experiences, (7)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at adversely affect students’ right to learn, (8) a sense of reward felt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9) the need for solidarity with parents and learning, (10) the need to empathize with parents, and (11) the need to protec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rights. [Co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nded to make posts centered around their negative experiences with parents in the online community.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ir positiv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parents was quite limited in this study. On further consideration of this poi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face various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Based on the study’s results, the following three broad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rst,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by parents leads to the violation of not on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human rights but also students’ right to education. In this sense, it seems urgent to provide proper measures. Second, nontenu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experiencing growing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This requires the creation of stable education conditions for nontenu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e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Fundamentally,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examine the measure of raising the ratio of tenured teachers and partially employing nontenu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f necessary. Third, learning family support system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education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 priority in the course of training pro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 skill improvement for incumb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ddition, their capability to counsel parents should be enhanced.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and experience with parents are discussed and suggested.

      • 주식회사에서 특별이해관계인 의결권배제제도의 평가

        김재범 ( Jae Bum Kim )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영남법학 Vol.0 No.40

        주주총회에서는 회사경영에 관한 주요안건을 논의하고 회사의사를 결정하는데, 그 과정에서 주주들이 첨예하게 대립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주주들의 의사는 다수결원칙에 의하여 하나로 모아지게 되는데, 다수결원칙은 필연적으로 소수의 승복을 요구한다. 다수결원칙은 의결권이 공정하게 행사되어 그 과정에 관하여 주주 모두에게 불만이 없어야 관철될 수 있다. 상법은 공정한 의결권의 행사를 위하여 여러 절차를 마련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특별한 이해관계인의 의결권배제제도이다. 상법 제368조의 제3항은 특별한 이해관계인의 의결권을 배제하는데, 특별한 이해관계의 의미는 특정한 주주가 주주의 입장을 떠나서 개인적으로 가지는 이해관계로 이해된다. 특별이해관계의 존부는 의결권자가 과연 누구에게 귀속될 이익을 취득할 수 있는 것인가의 여부 즉, 구체적인 이해관계의 대립관계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자기거래, 이사(감사)의 책임추궁결의와 이사보수결정등과 같이 이사와 회사 사이에 이해가 충돌하는 거래에는 회사에 귀속될 이익을 이사가 결의에 참여하여 차지하는 것인지 또는 다른 주주들에게 균등하게 귀속될 이익을 가로채려는 것인지의 여부가 특별한 이해관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사원적 이익과 개인적 이익이 병존하는 영업양도와 합병 등과 같은 구조개편에 관한 결의의 경우는 거래조건이 얼마나 회사에게 불리한지 그리고 상대적으로 관련 주주는 얼마나 이익을 얻을 것인지 여부를 비교형량하여 판단하고자 한다. 이사의 선임과 해임결의에서 주주인 관련이사는 특별이해관계인이 아니라고 봄이 일반적이지만, 해임결의의 경우에는 귀책사유가 있는 이사는 그를 해임하는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고 보아야 공정한 결의를 담보할 수 있다. 특별한 이해관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려면 결의사항의 내용으로부터 이해관계의 대립이 노정되어야 하지만, 이것이 감추어지는 경우 이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대주주가 개입하는 거래의 경우 더욱 더 이해관계가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 현행처럼 의결권행사를 사전에 억제하는 제도는 의결권행사를 사후에 심사하여 그 효력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사후에는 이해관계의 대립이 명확해지므로 주주의 이익과 회사의 손실이 명백해진다. 따라서 불공정한 결의 유무에 관한 판단이 용이해지고 그로부터 결의효력의 시정과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해진다. 상법 제368조 제3항은 폐지하고 사후적 규제로서 결의취소 소의 원인에 ‘주주가 자기 또는 제3자의 특별한 이익을 위하여 의결권을 행사하고, 이것이 회사 또는 다른 주주의 손해로 되는 경우’를 추가하여야 한다. 특별이해관계인의 의결권수는 주주총회에서 발행주식총수 또는 이사회의 재적이사의 수에 산입되어 정족수를 계산하는 것이 실무인데, 특별이해관계인의 의결권수가 다수인 경우 정족수를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관련된 상법규정은 개정되어야 한다. Majority rule could have effect when voting right can be exercised fairly and shareholders have no complaint on the voting process. To secure the fairness in the voting process, Commercial Act has the provision about the restriction of shareholder’s voting right who has special interest on the agenda(§ 368 ③). Whether a shareholder has special interest on th agenda or not can be generally decided by the theory of personal interest. According to the theory a special interest should be grasped through considering the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corporation and a shareholder or majority and minority shareholders. The interested person could be acknowledged when he or she profits at the same time corporation or other shareholders is damaged. The director who is also shareholder has special interest in the resolution for approval of director’s competitive business, the usurpation of corporate opportunity, self transaction, the exemption from responsibility, the reduction of responsibility or director compensation, etc. In the resolution of election, the candidate director who is also shareholder has no special interest, however, the director who become a target of dismissal has interest if the director has an attributable reason for dismissal such a fraudulent or illegal act. If the director exercise voting right against the dismissal agenda, the resolution would be unfair. The provision about the prohibition of special interested shareholder’s voting right should be abolished because it would be very difficult to find special interest and it would not be easily unfold. It could be more proper and effective to control the effect of the resolution in which the special interested person is related rather than the prohibition of voting right. As a legislation the following could be presented. A resolution could be revoked when a shareholder exercises voting right for himself or other to the damage of corporation or other shareholders. According to majority opinion the voting number of special interested person is not counted in the number of present voting, however, the number is counted in the total number of issued stocks. Then it would fail to meet the quorum for resolution when the voting number of special interested person is majority. To clarify to meet the quorum it need to enact new provision about it.

      • KCI등재

        한・일 양국의 회사법상 주주 의결권의 제한에 관한 비교검토

        이형규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7 No.2

        The paper examined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legislation regarding the restriction of shareholder voting rights under the Korean Commercial Act and the Japanese Companies Act, and examined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different developments by comparing the systems of both countries. The Korean Commercial Act and the Japanese Companies Act stipulate the one share - one vote principle in relation to the resolution of the shareholders’ meeting of the stock company. However, the laws of both countries provide that the one share - one vote principle can be restricted or eliminated by the provisions of the law. The restrictions of shareholders' voting rights in Korea and Japan were generally similar until 1981, except for restrictions on shareholder voting rights when electing auditors under the Korean Commercial Act. Both countries have recognized the exceptions to the one share - one vote principle, including the company's own shares and cross-held shares, and shares held by parties who have special interest in the resolution of the shareholders’ meeting. This exception was to restrict one share - one vote, as the interests of minority shareholders were infringed by the majority vote or the fairness of the resolution was likely to be undermined by the exercise of voting rights. The restriction of voting rights of major shareholders when electing auditors or audit committee members under the Korean Commercial Act is to limit the influence of major shareholders and ensure neutrality and independence of auditors or audit committee members. In addition, the Korean Commercial Act has a limit on exercising voting rights up to 3% of the total number of issued shares when a large listed company excludes the cumulative voting system by its article of incorporation or changes the excluded articles of incorporation. However, in Japan, there is no restriction on voting rights of major shareholders when electing auditors or audit committee members, and there is no restriction on voting rights of major shareholders in the case of a change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to eliminate the cumulative voting rights. In Japan, the provisions prohibiting the exercise of voting rights of special interested parties were deleted in 1981 because the concept of special interests was unclear in applying the restriction of voting rights. In addition, if a resolution was made significantly unfair as a result of the exercise of a voting right by a shareholder with a special interest, the resolution would be the cause of the revocation. However, the Korean Commercial Act keeps the provisions regarding restrictions on voting rights of special interested parties. In the early 2000s, Japan allowed shares with restricted voting rights, shares with veto rights, and class shares related to the election and dismissal of directors and auditors, and introduced a unit share system. Korea also allowed different classes of shares having no, or limited voting rights in the revision of its Commercial Act in 2011, but did not introduce the class shares with veto rights, and class shares for the election and dismissal of directors and auditors, and the unit share system. Under Japanese Companies Act, the unit shares system was originally introduced to reduce the costs of managing shareholders, but if the number of one unit of shares differs significantly from one share to another, it would have the same effect as recognizing multiple voting rights. Thus, since the early 2000s, the two countries have also seen considerable differences in restrictions on shareholder voting rights through revisions to the Commercial Act and the Companies Act. Finally,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restrictions on shareholder voting rights in both Korea and Japan, the Korean Commercial Act focuses on preventing distortions in corporate control, ensuring fairness in resolution at shareholders’ meetings and protecting the interests of minority shareholder... 이 논문은 우리 상법과 일본 회사법상 주주 의결권의 제한에 관한 입법 취지 및 내용을 살펴보고 양국의 제도를 비교하면서 상이하게 발전된 배경과 특징에 대하여도 검토한 것이다. 우리 상법과 일본 회사법은 주식회사의 주주총회 결의와 관련하여 1주 1의결권의 원칙을 명문으로 밝히고 있다. 그러나 양국의 법은 1주 1의결권의 원칙은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이를 제한하거나 배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일 양국의 주주 의결권의 제한과 관련된 규정은, 우리 상법상 감사선임 시 주주의 의결권제한을 제외하면, 1981년까지 대체로 유사하였다. 양국이 1주 1의결권의 원칙에 대한 예외로서 공통적으로 인정한 것은 자기주식과 상호보유주식 및 해당 주주총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이해관계인이 가진 주식 등이다. 이러한 예외는 자본다수결로 인하여 소수파 주주의 이익이 침해되거나 의결권행사로 인하여 결의내용의 공정성을 해칠 염려가 있기 때문에 1주 1의결권을 제한하는 것이었다. 우리 상법상 감사 또는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시 대주주의 의결권제한은 대주주의 영향력을 견제하여 감사 또는 감사위원의 중립성과 독립성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우리 상법은 대규모 상장회사에서 집중투표제를 배제하거나 그 배제된 정관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대주주의 의결권을 발행주식총수의 3%까지만 행사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감사 또는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시 대주주의 의결권제한이 없고, 집중투표의 배제를 위한 정변변경의 경우에도 대주주의 의결권제한이 없다. 일본에서는 특별이해관계인의 의결권제한과 관련하여 특별이해관계라는 개념이 불명확하여 그 적용상 문제점이 발생함에 따라 1981년 특별이해관계인의 의결권행사를 금지한 규정을 삭제하였다. 그리고 특별한 이해관계를 가진 주주가 의결권을 행사한 결과 현저히 부당한 결의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사후적으로 그 결의를 취소의 원인이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우리 상법에서는 특별이해관계인의 의결권제한에 관한 규정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00년대 초에 의결권제한주식과 거부권부주식 및 이사・감사의 선・해임에 관한 종류주식을 허용하였으며, 단원주제도를 도입하였다. 한국에서도 2011년 상법개정에서 의결권배제 및 제한주식을 허용하였으나, 거부권부주식과 이사・감사의 선・해임에 관한 종류주식 및 단원주제도 등은 도입하지 않았다. 일본 회사법상 단원주제도는 원래 주주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도입된 제도이지만, 단원주식수를 주식의 종류에 따라 현격한 차이를 두면 복수의결권을 인정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생긴다. 이와 같이 양국은 2000년대 초부터 상법 또는 회사법의 개정을 통하여 주주 의결권의 제한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끝으로 한・일 양국의 주주 의결권의 제한에 관한 특징을 요약하면, 우리 상법은 회사지배의 왜곡방지, 주주총회결의의 공정성 확보, 소수파주주의 이익보호 등에 중점을 둔 데 대하여, 일본 회사법은 종류주식 다양화 등을 통하여 자금조달의 편의와 지배관계의 안정, 적대적 M&A 방어수단 및 기업구조조정 등에 활용하는 데 역점을 둔 것으로 이해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