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학교 설치 전공과 운영에 대한 운영 담당 특수교사의 인식

        홍정숙 ( Hong Jeongsu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일반학교 전공과를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의 전공과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여 일반학교 전공과의 운영 실태를 밝히고 향후 일반학교 전공과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15년 7월 기준 전국의 전공과를 설치한 일반학교 19개교 중 7개교 10명의 전공과 담당 특수교사에게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일반학교 전공과 운영에 대한 담당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연속적 비교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744개의 의미 있는 진술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47개의 부주제와 19개의 주제로 분류하였고 다시 3개 범주로 조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일반학교 전공과 운영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I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to examine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majoring courses at general schools that they manage to investigate how the courses are operated, and to propose how to improve them in the future. To this e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managing majoring courses at seven out of 19 general schools across the country that had majoring course as of July 2015. An analysis of the interviewees` perception over management of majoring courses based on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yielded 744 significant statements. They were divided into 55 sub-themes and 22 themes, and then grouped into 3 categor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identified tasks to enhance management of majoring courses at general schools.

      • KCI등재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경험과 개선 방안

        홍정숙 ( Hong Jeongsuk ),조정민 ( Cho Jungmin ),조정현 ( Cho Junghyun ),최광현 ( Choi Kwangh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 특수교사가 경험한 교권침해 실태와 지원 요구를 질적 연구를 통해 밝히고, 이를 토대로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개선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특수학급에 근무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직·간접적인 교권침해 경험이 있으며 그 정도가 보통 이상인 특수교사 19명에게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전사 자료를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3개의 범주, 8개의 주제와 42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범주는 ‘주체별 교권침해 유형’, ‘교권침해의 원인과 영향’, ‘교권침해 대처 실태 및 개선 방안’이었다. 이에 따른 8개의 주제는 학부모의 교권침해, 관리자의 교권침해, 교직원 및 보조인력의 교권침해, 학생의 교권침해, 교권침해의 원인, 교권침해의 부정적 영향, 교권침해 발생 시 대처 방식, 교권침해의 개선 방안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를 예방하고 교권침해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 및 개선 방안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to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s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regular schools with a class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ir need for support and (b) to suggests practical methods and policy proposals to reduce the infringement of special class teachers’ right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9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a special class who experienced infringement of their teachers’ rights directly or indirectly more than once in the past three years to a moderate or more severe extent. The interview transcription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41 sub-themes, 8 themes, and 3 categories were derived. Three theme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type of infringement, cause and effect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response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improvement measure. Eight sub-themes were further identified, including parent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school manager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other teachers’ or school staff’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student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causes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negative effect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response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improvement measure. Based on the analysis, we propose methods of how to prevent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regular schools with a special education class and reduce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 KCI등재

        일본의 교육 분야 ‘합리적 배려’ 정책이 한국의 ‘정당한 편의’ 정책에 주는 시사

        홍정숙 ( Hong Jeongsuk ),김선옥 ( Kim Suno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2 지적장애연구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 교육 분야의 ‘합리적 배려’ 정책이 우리나라의 교육 분야 ‘정당한 편의’ 제공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밝히는 데 있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한국의 정당한 편의와 일본의 합리적 배려 제공 관련 법률 및 정책문서를 주요 검토자료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애인권리협약의 ‘합리적 편의’의 정의, 합리적 편의 제공 의무, 교육 관련 합리적 편의 제공 내용을 제시하였고, 둘째, 한국의 ‘정당한 편의’ 정책과 관련하여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정 및 교육 조항 조문화 과정, 동법의 교육 관련 정당한 편의 조항 검토, 국가인권위원회의 정당한 편의 가이드라인의 핵심내용을 제시하였다. 셋째, 일본의 ‘합리적 배려’ 제공 정책과 관련하여 장애인기본법과 장애를 이유로 하는 차별 해소에 관한 법률에서 교육 관련 ‘합리적 배려’의 주요 내용 등을 검토하였고, 동법 실행에 대한 내각부의 ‘기본방침’과 문부과학성의 ‘대응지침’ 등 주요 정책문서에서의 교육 관련 합리적 배려의 핵심내용을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 교육 분야의 합리적 배려 정책이 우리나라의 교육 분야 정당한 편의 제공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 분야에서 범위와 내용의 폭을 확대한 정당한 편의 제공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인지적 측면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에 대한 정당한 편의 제공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정부ㆍ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기초적 환경정비와 단위 학교 수준의 정당한 편의 제공이 요구된다. 넷째, 정당한 편의 제공 요구에 대한 협의 절차 마련 및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implications of the ‘reasonable accommodation’ policy in the education field in Japan for that policy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literature study method. Legal and policy document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 in Korea and Japan were utilized as major sources of data for re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several topics were presented and reviewed. First, the provisions of reasonable accommodation related to education in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Second, in relation to Korea's 'reasonable accommodation' policy, the core contents of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and Korea's reasonable accommodation guideline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for education were presented. Third, in relation to Japan's policy to provide 'reasonable accommodation', the main contents of 'reasonable accommodation' related to education in Japan’s laws and major policy documents were reviewed and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reasonable accommodation policy in the education field in Japan for the policy of providing reasonable accommodation in the education field in Korea are presented as follows: 1)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providing reasonable accommodations in the field of education with expanded scope and content, 2) Preparation of standards for providing reasonable accommodations for students with cognitive difficulties, 3) Basic environmental improvement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and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at the unit school level, 4) Establishment of due process for requests for reasonable accommodations and improvement of awareness.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과 경험

        홍정숙 ( Hong Jeongsu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1

        [목적]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밝히고, 그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온라인 커뮤니티에 2019년 12월 31일까지 7년 여간 게재된 글 가운데 학부모 관련 글을 수집하였고, 이 자료를 연속적 비교분석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28개의 하위 주제, 11개의 주제와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과] 2개의 범주는 ‘특수교사가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과 ‘학부모와의 관계 가운데 느끼는 특수교사로서의 보람과 성찰’이었다. 11개 주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학부모라는 존재 자체의 불편함, (2) 학부모 역할에 대한 기대와 현실 간의 간극, (3) 동반자관계 형성의 장벽: 신뢰와 존중의 결여, (4) 왜곡된 권리의식의 표출: 무리한 요구와 교권침해, (5) 힘겨운 소통, (6) 부정적 경험이 낳은 심리적 위축과 소진, (7) 학생의 학습권에 악영향을 미치는 학부모와의 부정적 관계, (8)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보람, (9) 학부모와의 연대와 배움의 필요성, (10) 학부모 마음 알아주기, (11) 특수교사의 교직 정체성과 교권 지키기. [결론] 특수교사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학부모와 겪은 부정적 경험 위주의 글을 올린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학부모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경험에 대한 분석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더라도 특수교사들은 학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대표적인 시사점 세 가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에 의한 교권침해는 특수교사의 인권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교육권 침해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시급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기간제 특수교사는 그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었다. 학교장의리더십 발휘를 통한 기간제 특수교사의 안정적인 교육 여건 조성이 필요하며, 근본적으로는 정규교사의 비율을 높이고 기간제 특수교사는 불가피한 경우에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 셋째, 예비특수교사와 특수교사들이 특수교사 양성 및 연수 과정에서 교육 체계 안과 밖의 가족 지원 제도를 배울 수 있도록 하고, 부모상담 역량 또한 키울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 밖에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들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과 경험의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leading online community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arents and their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Method] Of the posts uploaded by December 31, 2019, those relating to parents were colla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omparative sequential method. From the data analysis, 28 subthemes, 11 themes, and 2 categories were identified. [Results] The two categories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a sense of reward and self-reflection experienced as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main contents of the 11 themes were as follows: (1) inherent discomfort with parents, (2) a gap between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parents and reality, (3) barriers to the formation of partnerships―lack of trust and respect, (4) an expression of a distorted sense of entitlement―unreasonable demands and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5) difficult communication, (6) psychological withdrawal and exhaustion caused by negative experiences, (7)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at adversely affect students’ right to learn, (8) a sense of reward felt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9) the need for solidarity with parents and learning, (10) the need to empathize with parents, and (11) the need to protec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rights. [Co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nded to make posts centered around their negative experiences with parents in the online community.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ir positiv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parents was quite limited in this study. On further consideration of this poi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face various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Based on the study’s results, the following three broad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rst,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by parents leads to the violation of not on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human rights but also students’ right to education. In this sense, it seems urgent to provide proper measures. Second, nontenu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experiencing growing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This requires the creation of stable education conditions for nontenu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e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Fundamentally,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examine the measure of raising the ratio of tenured teachers and partially employing nontenu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f necessary. Third, learning family support system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education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 priority in the course of training pro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 skill improvement for incumb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ddition, their capability to counsel parents should be enhanced.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and experience with parents are discussed and suggested.

      • KCI등재

        북한 장애인의 삶과 특수교육에 대한 북한이탈학생들의 경험과 인식 연구

        안상권 ( Sangkwon An ),홍정숙 ( Jeongsuk H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북한 장애인의 삶과 특수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 장애인의 삶과 특수교육의 단면을 살펴보고, 특수교육 분야에서 통일을 준비하는 관점에서 방향성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면담을 통해 분석된 코드는 24개의 의미단위와 8 개의 하위범주, 4개의 상위범주로 분류되었다. 4개의 상위범주는 ``장애인의 실태``, ``장애 발생 원인``, ``장애인의 생활상과 지원정책``, ``북한의 특수교육``이었으며, 이 요인들이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who now live in South Korea,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lif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Moreover, the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lif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a few aspects of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providing the baseline data that explore the future directions of special education from the vantage point of unification preparation. The codes that were analyzed through the interviews were classified into 24 meaning units, 8 subcategories and 4 categories. The four categories were the ‘current conditio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auses of disabillties’, living conditions of and support polici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the present study proposed the significance of the categories and discussed their implications

      • KCI등재

        특수학급 요리활동 운영 실태와 지적장애학생 요리활동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정지윤 ( Jeong Jiyoon ),홍정숙 ( Hong Jeongsu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2 지적장애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지는 요리활동 실태와 지적장애학생 요리활동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적장애학생 요리활동 지도에 필요한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대구지역 특수학급 설치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핵심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사들은 지적장애학생 요리활동 지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실제 실행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들은 요리활동에서 학생의 안전문제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였고,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에 비해 위험 요소를 지닌 요리활동 지도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리활동 세부실태 문항 중 ‘가정과의 연계’에서 초·중·고 특수학급 교사들은 낮은 실행 정도를 보였다. 넷째, 특수학급 교사들은 요리활동 지도를 위한 인적지원 요소 중 ‘전문적인 교사 연수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며(42.5%), 대부분의 교사(89.9%)가 연수 개설 시 참여 의사가 있음을 밝혔다. 다섯째,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요리활동의 필요 이유는 자립생활 기술 향상(86%)이었으나, 실제 실시 메뉴는 진로직업교육적 성격이 강한 제과·제빵에 다소 치중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료 및 도구 준비를 위한 지원, 수업지원 자료 개발 및 보급, 실습실 확보, 가정과의 연계 강화를 위한 방안 마련, 교사 연수 확대, 학생의 수준 및 특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메뉴 실시 등이 특수학급 요리활동 운영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cooking activities performed in special classe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aching cooking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based on the results, to propose necessary support measures to help them teach cooking activiti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special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special classes in Daegu. The study’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class teachers perceived positively about teach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ut their actual levels of implementation were low. Second, the most significant difficulty in carrying out cooking activities as perceived by special class teachers was the safety of students. It was also found that special class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were significantly more passive than those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teaching cooking activities involving risk factors. Third, among the detailed actual conditions of cooking activities, teachers in special class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howed a low degree of execution in ‘connection with family’. Fourth, special class teachers perceived the need for professional teacher training on teaching cooking activities (42.5%) as a human resource factor, and most teachers indicat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se training courses if provided (89.9%). Fifth, their demand for cooking activities reflecting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line with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times was confirm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school-leve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preparing ingredients and tools for cooking activities,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cooking activity programs and class support materia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rovision of practice rooms, development of measures to strengthen connection with home,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related to cooking activities, cooking instructions on convenience food which reflect changes in dietary habits and trends were proposed as measures for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cooking activities for special classes.

      • KCI등재

        미국의 장애학생 대상 합리적 편의 제공 관련 법제 고찰

        옥민욱 ( Ok Min Wook ),홍정숙 ( Hong Jeongsuk ),표윤희 ( Pyo Yunhui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미국 교육 분야의 장애학생에 대한 합리적 편의 제공 관련 법률과 정책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교육 분야의 합리적 편의 제공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국의 합리적 편의 제공 관련 법률, 정책문서, 학술자료 등의 검토를 통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학령기 장애학생을 위한 합리적 편의 제공 의무 관련 주요 법률인 미국장애인법(ADA), 장애인교육법(IDEA), 재활법 504조를 검토하여 성격 및 목적, 보호 대상 범위, 장애학생 교육 및 합리적 편의 제공 의무 관련 주요 원칙의 핵심 내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미국의 합리적 편의 제공의 내용적 범위를 조정과 수정으로 나누어 범주와 구체적인 예시를 제공하였다. 셋째, 미국의 합리적 편의 제공 의무 절차를 IEP 및 504 계획 수립 절차와 합리적 편의 선정, 활용 및 평가로 나누어 주요 내용을 제시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 분야에서의 합리적 편의 제공 정책이 좀 더 발전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안과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몇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aws and policies relating to the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for school-ag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ducational settings in the United State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similar legislation in South Korea. [Method] To achieve thi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using law and policy documents and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lating to the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irst,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ADA),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IDEA), and Section 504 of the Rehabilitation Act are reviewed as the major American laws relating to the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for school-ag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key contents of main principles are presented, including character and purpose, scope of protection, the obligation to provide education, and reasonable accommodations. Second, categories and specific examples are established by dividing the content scope of these provisions into accommodations and modifications. Third, the procedure of selecting, providing, and evaluating accommodations when develop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and 504 plans are provid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to improve similar policies in South Korea are made alongs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 통합체육 수업의 협력교수와 교수적 수정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임동진 ( Im¸ Dong-jin ),홍정숙 ( Hong¸ Jeongsuk ),박찬웅 ( Park¸ Chan Wo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체육 수업에서 실행하고 있는 협력교수 및 교수적 수정과 관련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체육 수업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대구·경북지역 초등 일반교사 60명과 특수교사 60명, 총 12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적으로 104명의 설문지를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체육 수업에 적용하는 협력교수 유형 중 팀티칭, 평행교수, 대안교수 문항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인식 차이가 나타났고, 체육과 내용영역별로 적합한 협력교수 유형에 대해서 두 집단은 팀티칭과 교수-지원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통합체육 수업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수적 수정 중 교수집단과 교수방법 수정 문항에서 두 집단 간인식 차이가 있었고, 체육과 내용영역별로 교수적 수정이 적합한 정도에 대해서 일반교사는 건강영역과 안전영역에서 평가 방법, 도전영역에서 교수 방법, 경쟁영역과 표현영역에서 교수집단 수정을 가장 필요한 유형으로 인식하였다. 반면 특수교사는 경쟁영역에서 교수환경 수정을, 건강영역, 도전영역, 표현영역, 안전영역에서 평가 방법 수정이 가장 필요하다는 인식을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의미를 해석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통합체육 수업 개선에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ceptions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relation to cooperative teaching and instructional adaptations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of elementary school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based on thi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20 teachers, 60 general and 6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elementray schools. Finally, 10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ypes of cooperative teaching applied to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questions of team teaching, parallel teaching, and alternative teaching. Second, it was found that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eferred team teaching and ‘one teach, one assist’ type for the perception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teaching according to the part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among the instructional adaptations applied to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teaching group and the teaching method. Fourth, to the extent of the use of instructional adaptions according to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evaluation method in the health and safety area, the teaching method in the challenge area, and the teaching group modification in the competition and expression area were the most necessary type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most necessary adaption of the teaching environment in the competition domain, and the adaption of the evaluation method in the health, challenge, expression, and safety areas.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meaning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interpreted and measures to improve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the future was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중등학교 미술교사의 경험과 인식

        배현진 ( Bae Hyunjin ),홍정숙 ( Hong Jeongsuk ),이현주 ( Lee Hyunjo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이 통합된 중등학교 미술수업에 대한 미술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통합 미술수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지적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중등미술교사 8명에게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전사 자료는 연속적 비교분석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22개의 하위 주제, 5개의 주제, 2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 미술수업은 교육과 정적 통합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었으나, 미술교사는 자리배치, 심리·정서적 배려, 또래 도우미 배정 등의 교수환경 수정과 연수 참여 등 개인적인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고, 통합 미술수업을 통해 지적장애학생은 사회성 기술 향상을 비롯한 긍정적 성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편 미술교사들은 통합교육 관련 전문성 부족, 열악한 교수환경, 원활하지 않은 구성원 간 협력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이와 관련한 지원 요구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미술 교수학습방법, 평가 방법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과 교재교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 보조 인력 및 전문 인력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미술교사의 통합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연수가 제공되어야 한다. 다섯째, 미술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여섯째, 통합교육에 대한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인식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successful inclusive art education by analyzing art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and experience of art classes in inclusive secondary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secondary art teachers who had inclusive educational experienc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22 sub-themes, 5 themes and 2 categories were classified. As a result, the current art education did not reach to the curriculum inclusion, but art teachers made personal efforts such as modifying the teaching environment including seat arrangement, psychological/emotional consideration, and assigning peer assistant, and participation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positive outcomes including improved social skills through inclusive art classes. Meanwhile, art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such as lack of expertise on inclusion, poor teaching environment, and low collaboration among school staff, and requested support needs in this regard.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evaluation method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st be improv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inclusive art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ort personnel and professional personnel. Fourth, systematic teacher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expertise on inclusion.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art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ixth, it is necessary to raise positive awareness among school staff about inclusion.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어휘 중재 연구 동향 분석

        이미경 ( Lee¸ Mikyung ),홍정숙 ( Hong¸ Jeongsuk ),성욱 ( Hong¸ Seongwook ),문동오 ( Moon¸ Dongoh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여 어휘 중재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어휘 중재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한국학술지 인용색인(KCI)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어휘 중재 관련 문헌 78편을 최종적으로 수집하였다. 이후 텍스톰을 활용하여 키워드 정제를 시행한 후 키워드 빈도, 가중치(TF-IDF), 키워드의 공출현 빈도(N-gram)를 분석하였다. 1-mood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Ucinet의 Netdraw를 사용하여 핵심어 간의 중심성을 분석하고, 핵심어 연결 구조를 시각화하여 의미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어휘 중재 관련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진 연도는 2011년과 2016년으로 밝혀졌다. 어휘 중재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된 학술지는 언어치료 연구로 나타났다. 어휘 중재가 실시된 연령은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휘 중재와 관련된 키워드 주요 172개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것은 어휘력 향상과 아동이었다. 어휘 중재 키워드의 가충치 (TF-IDF) 분석 결과 아동이 제일 높았으며, 다음으로 유아의 순으로 나타났다. N-gram(공출현)의 빈도는 어휘력 향상과 아동,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어휘력 향상이 동시에 높은 순으로 출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네트워크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총 8개의 그룹군이 도출되었다. 각 그룹은 대상별로 관련 주제가 응집되어 나타났다. [결론] 어휘 중재 관련 연구의 동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는 향후 어휘 중재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f vocabulary intervention research by conducting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vocabulary intervention, 78 articles related to vocabulary intervention were collected from the databases of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the Korean Journal of Citation Index. After keyword refinement was perfomrmed using textome, the keyword frequency, weight,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and keyword co-occurrence frequency (N-gram) were analyzed. [Results] First, 2011 and 2016 were identified to be years in which vocabulary intervention was most active. The journal with the most articles related to vocabulary intervention was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Moreover, vocabulary intervention was found to be performed was found mostly with infants and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keywords “vocabulary improvement” and “childre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mong 172 major keywords related to vocabulary intervention. As a result of the TF-IDF analysis of lexical intervention keywords, “children”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number, followed by infants. As for the frequency of N-gram (co-appearance), the analysis indicated that “vocabulary improvement and children”,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and vocabulary improvement”, and “vocabulary improvement” appeared simultaneously in the highest order. Third, as a result of the network centrality analysis, a total of eight groups were derived. In each group, related keywords were aggregated by subject. [Conclusion] This study, which objectively analyzed the trends of vocabulary intervention-related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xplore the direction of vocabulary intervention-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