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밀레니얼세대의 코스튬 주얼리 디자인속성 및 소비자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이형규,장현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1

        오늘날 전 세계는 역사상 규모가 크고 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밀레니얼 소비 세대에게 주목하고 있다. 현재 소비시장은 소비의 주체였던 베이비부머(Babyboomer)세대를 지나 밀레니얼세대(Millennial Generation)를 주목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은 밀레니얼세대를 겨냥하여 주얼리 제품을 제작하고, 마케팅을 하고 있다. 특히, 패션으로 개성을 강조하여 자기표현을 보여주고 싶어 하는 20~30대인 밀레니얼세대는 값싼 모조석이나 준보석인 다양하고 트렌디한 코스튬 주얼리에 대한 소비 관심을 집중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밀레니얼세대를 이해하고 공략하는 것이관련 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중요한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밀레니얼세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밀레니얼세대가 지니고 있는코스튬 주얼리(Costum Jewelry) 디자인 속성과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분석하여 디자인개발과 업계의 마케팅 전략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두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 첫째, 밀레니얼세대와 코스튬 주얼리의 개념과 특성 및 디자인 속성을 학위논문과 인터넷기사, 전문 도서 등을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둘째, 소비자 구매 행동을 기초 통계적 분석을 위해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여러 선행 연구 자료들을 통해 2018년도 기준으로 밀레니얼세대를 1984년~ 2000년 사이에 출생한 만 18세~만34세로 정의하고, 이에 해당되는 남녀 18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범위는 현재 침체 되어 있는주얼리 시장의 대안이자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디자인으로 만족감을 느낄 수 있으며, 급격하게 발전하고있는 코스튬 주얼리와 이미 최대 고객층으로 등장해모든 산업과 기업의 마케팅과 제품생산 등을 변화시키고 있는 소비가 강한 세대인 밀레니얼세대로 국내지역의 거주자로 한정하였다. 밀레니얼세대의 코스튬주얼리 디자인 속성 및 소비자 구매행동에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인구 통계학적 특성의 빈도 분석은 코스튬 주얼리 구매 경험이 있는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남성에 비하여 여성의 코스튬 주얼리 구매율이 훨씬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코스튬 주얼리 디자인 속성 중 밀레니얼세대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심미적 속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는 그중 형태에 가장 많은 관심을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재보다는 형태와 색상의디자인적 요소에 중요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기능적 속성 중 착용감이 가장 중요하며, 상징적 속성에서는 소유로 인한 이미지 상승의 중요성이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처럼 기업이 밀레니얼세대를 타깃으로 마케팅 전략과 디자인을 구성할때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코스튬 주얼리가 밀레니얼세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고가의 브랜드 선호보다는 착용감과 자신을 중심으로 한 중저가 가격대를 선호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밀레니얼세대가 코스튬 주얼리를 착용하는목적으로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구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타인의 의견보다는 자신의 만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장기에 디지털과함께 자라난 밀레니얼세대는 정보 탐색시 온라인에서정보 탐색을 하고 오프라인 로드숍 매장에서 구입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다양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코스튬 주얼리산업은 주 소비층인 ... Today, the whole world is paying attention to the millennial generation that has a large and strong influence in history. The current consumer market is looking at the millennial generation through the consumer baby boomers, and many companies are making and marketing jewelry products aimed at the millennial generation. In particular, the millennial generation, who are in their 20s and 30s who want to express their identity by emphasizing individuality as a fashion, focuses attention on the consumption of diverse and trendy costume jewelry, which is cheap modest stone and semi-precious stones. Understanding and pursuing the millennial generation is therefore an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related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to help the design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y of the jewelry industry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attributes of the costume jewelry design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its effect o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As research methods, firstly,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design attribute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costume jewelry were studied through theses, internet articles, and professional books. Secondly, onlin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proceed basic statistical analysis 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In the study, respondents of the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ere 184 men and women who were born between 1984 and 2000 at the age of 18 to 34 years as of 2018. The research range was first, costume jewelry which i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ly stagnant jewelry market, and gives satisfion to customers with its low price and various designs. Second is millenial generation of domestic market that rapidly developing and has already become the largest customer base, changing marketing and production of all industries and compani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costume jewelry design attributes and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First,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women’s costume jewelry purchasing rate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men. Second, the influence of the costume jewelry design attributes on purchase behavior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was the highest in aesthetic attribute. Respondents showed the most interest in of costume jewelry, and design and color was important than material. The most important functional attribute is comfort, and image enhancement due to the jewelry ownership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among symbolic attributes. In this way, it is considered that companies will consider these factors when designing marketing strategy and design targeting the millennial generation. Third, at the effect of costume jewelry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the mid and low-priced brands centered on themselves were more preferred than high-priced brands. For the purpose of wearing costume jewelry, the millennial generation showed the highest purchase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howed importance of their own satisfaction rather than the opinions of others. Lastly, the millennial generation, which grew up with digital in their growth phase, were once searching for information, searching for information online, and purchasing costume jewelry at an offline road shop.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various and rapidly changing costume jewelry industry will help the jewelry industry to grow in the future if it develops jewelry design centering on the study on the aesthetic properties and consumption propensity of the main consumer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 뉴 실버세대를 위한 장신구시장의 발전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형규,신정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4 No.-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잠재적 소비자로서 뉴 실버세대의 신체적⋅사회적⋅경제적 특성을 분석하여 장신구시장의 발전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그들은 심리적 상실감과 고독감을 느끼면서도 잃어버린 자아를 찾고 인정받고 싶은 심리가 내재되어 있으며 그로인해 적극적으로 사회 활동에 참여하고자 한다. 또한 외모에 대한 관심과 구매력이 높으며 젊음을 추구한다.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주역들인 뉴 실버세대는 기존의 실버세대들과는 확연히 다른 사회적⋅경제적⋅가치관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생체나이보다 건강하고 젊게 보이는 것에 관심이 많은 뉴 실버세대들은 자신을 아름답고 품위 있게 가꾸는 활동에 적극적인 소비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력과 꾸준한 소비성향을 가진 뉴 실버세대가 사회 활동의 주축이 되면서 장신구산업의 시장규모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분명한 일이다. 앞으로 고급화 된 장신구 제품에서부터 유행을 반영한 장신구까지 다양한 제품군이 형성되어야 한다. 소비의 주체 세력으로 등장하게 될 뉴 실버세대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장신구시장의 다양화와 전문화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 3D CAD/CAM 방식을 활용한 주얼리 디자인에 관한연구-CNC 및 RP 장비 활용을 중심으로-

        이형규,윤지영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1 No.-

        주얼리 산업분야에서 3D CAD/CAM 시스템의 활용은 1990년 대 후반 Jewel CAD 와 JCAD CAD PRO의 도입으로 시작되었다. 현재 RHION 3D, MATRIX 3D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CNC 및 RP장비의 보급으로 주얼리 산업분야에서의 3D CAD/CAM의 활용은 안정화 단계에 있다. 반면 학계에서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학술적 연구나 교육에 있어서 활용하고 있으나 고가의 장비 보유가 어려워 장비의 활용 및 연구가 다소 미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얼리 디자인에 있어서 3D CAD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CAM장비의 활용성 부분에서 CNC 및 RP장비의 이해와 각 장비의 특징과 활용, 주얼리 업계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장비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CNC 및 RP장비를 활용한 작품을 살펴보고 작품 설명을 통하여 연구의 이해를 높였다. 이에 현재 3D CAD/CAM 시스템의 발전과 향후 3D 프린팅의 대중화로 인한 주얼리 업계의 산업 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동반된 부정적 측면, 나아가 주얼리 업계가 해결해 나가야하는 문제점의 해결 방안을 제시해본다. 또한 향후 장비 기술의 발전이 주얼리 업계에 미칠 영향력과 발전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 SCOPUSKCI등재

        $BaTiO_3$계 SBLC의 표면 재산화 형성 기구 및 전기적 성질

        이형규,김호기 한국세라믹학회 1986 한국세라믹학회지 Vol.23 No.5

        A mechanism for formation of surface reoxidation layer in Surface Boundary Layer Capacitor (SBLC) has been studied. SBLC were prepared by reduction of $BaTiO_3$ doped with $Bi_2O_3$ and electrode firing of silver paste containing $Bi_2O_3$ The apparent dielectric constant was in the order of $10^5$ and the insulation resistance larger than $10^6$$\Omega$ It can be expected that $Bi_2O_3$ dopant in $BaTiO_3$ plays the role of inhibition of grain growth and decreasing the resistivity of $BaTiO_3$. In order to confirm the process of surface reoxidation layer effects of atmosphere and annealing time in electrode sintering were investigated.

      • A Study of the Catholicity and Connotations of Geometry

        이형규,김진주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5 No.-

        This is experimental research concerned with simple geometric shapes and abstract geometry such as circle, square, triangle. This research is about complex simplicity which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apparently contradictory themes. In this study, it is supposed that simple shapes can have their origins in more complex shapes. When selecting only a particular part of a shape, the implication might be that it is a simple shape. There are some artists who have grasped this concept and developed it in their own way.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case of those involved in abstract in art, which well explains the expressions of 'implication' and 'connotation'. The geometry shape on this study is more close to poetic geometry rather than mathematical geometry. For this research, some artists have been selected whose work deals with the implied shapes or simplified patterns already mentioned. They include such as, an old drawing by Leonardo da Vinch, illustrating the general concept of simple geometrical relationships. Poetic geometry through in this research by the korean traditional craft work 'Jogakbo' and illustrator Molly Bang. The work of Pieter Cornelis Mondrian and Roy Lichtenstein are demonstrated how figures are implied in abstract art. Geometry has been chosen for this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wide scope permitted in the transformation of complex forms, shapes or patterns, into simplified, yet meaningful images of great beauty and meaning.

      • A Study of Jewellery with the Concept of ‘Retro’ in Oriental Thought Processes

        이형규,김진주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4 No.-

        This is experimental research relates to the concept of the past existing in the present. It will provide another explanation of the concept of what may be termed, a cycle of taste. Many thing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ast, such as architecture, design, film and fashion, aspects of which surround and influence us. Trends keep repeating themselves. It is a matter of conjecture how many designs have absorbed aspects from the past and is it possible to accurately state that anything is entirely new?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question of what brings the past to the present and intends to find the answer from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 especially that concerned with oriental thought processes. Spiritual retro, in particular, is the key to this research and this spiritual retro is considered from three Korean aesthetical aspects, these being 'Mun-in Hwa', line and Void space. This research is, therefore, a study of retro, is not concerned with external appearance, it rather being focused on an inward view, with a Korean aesthetic influence. Furthermore, all of this study’s findings will be expressed by the outcome of specific jewellery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