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서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 내용 분석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

        김미경 ( Kim Mi-keyoung ),오숙현 ( Oh Sook-hyun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도서지역이 많은 전라남도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의 내용을 특수학급현황, 시설, 인력, 프로그램, 주요메뉴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22개 시군지역 교육청에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라남도 각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 제시된 특수학급현황은 각 학교급인유치원, 초등학교, 중등학교별로 학급 수, 학생 수, 실무사 수 등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는 곡성군, 여수시, 장성군, 화순군 등 네 곳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진군, 함평군 등 두 곳은 이러한 내용이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았고 나머지16곳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부분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라남도 각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 제시된 시설현황의 경우, 관련 내용이 전혀 제시되지 않은 곳이 11곳으로 나타났다. 관련 내용이 제시된 나머지 11곳 센터의 경우 교사실 9곳, 상담실 9곳, 진단평가실 4곳, 방과후 교육실 2곳, 감각통합 치료실 7곳, 언어치료실 6곳, 제과제빵실 3곳, 샤워실 2곳, 기타 시설로는 직업전환실 2곳, 가정생활지원실 1곳, 자료실 1곳, 탕비실 1곳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설은 특수교육지원센터가 기능과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물리적 환경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전남 소재 22개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인력현황 내용이 제시되지 않은 곳은 강진군, 담양군, 목포시, 해남군, 화순군 등 5곳으로 나타났다. 인력 현황 관련내용이 나타난 17곳 센터의 경우 센터장은 16곳, 장학사는 12곳, 특수교사는 4곳, 순회 특수교사는 15곳, 순회 전담강사는 15곳, 치료사는 13곳, 기타 인력으로는 부센터장 3곳, 연수상담홍보지원 1곳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라남도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학기 중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을 제시하지 않은 곳은 8곳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4곳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경우 특기ㆍ적성교육은 9곳, 치료지원은 7곳, 성교육은 7곳, 직업ㆍ전환교육은 7곳이며 학기 중 프로그램 기타 내용으로는 일상생활체험 1곳, 장애도서대여 1곳, 가족지원 프로그램 1곳, 현장체험학습은 2곳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2곳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방학 중 프로그램이 제시되지 않은 곳은 3곳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9곳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경우에는 특기ㆍ적성교육은 19곳, 치료지원은 10곳, 직업ㆍ전환 교육은 6곳으로 나타났고 방학 중 프로그램 기타 내용으로는 생태체험은 2곳, 역사탐방은 1곳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 나타난 프로그램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 점은 향후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파악된다. 다섯째, 전라남도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 제시된 주요 메뉴 내용의 경우 센터소개의 하위메뉴인 `소개`는 20곳, `운영목적`은 15곳, `시설현황`은 7곳, `조직도`는 11곳, `오시는 길`은 11곳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활동의 하위메뉴인 `선정배치`는 10곳, `순회교육`은 4곳, `치료지원`은 5곳 제시하고 있었다. 특수학급현황은 14곳, 알림마당은 10곳, 자료마당은 15곳, 상담실은 14곳, 갤러리는 16곳, 관련 사이트는 12곳 제시하고 있으며 기타 메뉴 내용으로 특수교육관련법규 1곳, 장애이해교육 1곳, 법률정보 1곳, 학습자료 1곳, 연수자료1곳, 진학정보 1곳, 특수교육연구회 1곳, 개인정보처리방침 1곳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의 내용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난 점은 앞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홈페이지를 보다 활발히 홍보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bsites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classes, facilities, manpower, programs and main categories. The analysis was based on 22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f the Jeollanam-do Education Office.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pecial classes presented on the websites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e present number of classes, students and staffs of each school system (kindergart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needs to be presented. The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at met these requirements were Gokseong-gun, Yeosu-si, Jangseong-gun and Hwasun-gun. However, Gangjin-gun and Hampyeong-gun did not present these contents at all, and in the rest of 16 cities` websites, these contents were only presented partly. Second, in term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facilities, 11 cities did not present the relevant contents. The rest 11 cities had 9 teachers` rooms, 9 counseling centers, 4 diagnosis evaluation rooms, 2 after-school education rooms, 7 sensory integration therapy rooms, 6 language treatment rooms, 3 bakery rooms and 2 shower rooms along with 2 career transition rooms, 1 home life support room, 1 reference room and 1 tea room. Since these facilities are important information,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present them, if they wish to perform their functions and roles efficiently. Third, among 22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Jeollanam-do, the cities that did not present the current situation of manpower were Gangjin-gun, Damyang-gun, Mokpo-si and Hwasun-gun. The rest 17 cities presented that the current situation of manpower had 16 center directors, 12 school commissioners, 4 special instructors, 15 traveling special instructors, 15 traveling exclusive instructors and 13 therapists along with 3 vice center directors and 1 training counseling PR support personnel. Fourth, regarding programs thae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perated during semesters, 8 centers did not present programs. In the case of the other 14 centers, there were 9 centers that had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7 therapeutic support, 7 sex education and 7 career transition education along with 1 daily life experience, 1 book rental for the handicapped, 1 family support program and 2 field experience education. Meanwhile, there were 3 centers that did not present programs during vacations. In the case of the rest 19 centers, there were 19 centers that had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10 therapeutic support and 6 career transition education along with 2 ecological experience and 1 history exploration. The fact that the programs presented were not detailed shows that these websites need future improvement. Fifth, regarding main menus presented in the Jeollanam-do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re were 20 centers that had `Introduction`, 15 `Purpose of operation`, 7 `Current situation of facilities`, 11 `Organization map` and 11 `Directions`, which were the sub-category of center introduction. In addition, the sub-category of major activities contained 10 `Selection arrangement`, 4 `Traveling education` and 5 `therapeutic support`. There were 14 centers that had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classes, 10 notice board, 15 data section, 14 counseling section, 16 gallery and 12 related sites along with other menus including 1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s, 1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1 legal information, 1 learning material, 1 training data, 1 school admission guide, 1 special education research committee and 1 personal information handling policy. As shown above, the websites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lack sufficient contents, which implies that they should compensate the insufficient parts of websites by PR, so that the websites can be better utilized.

      • KCI등재

        다차원 모형에 입각한 한국 특수교육정책 분석

        송미진,정대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3

        This research analyses the past five years special development plan and one in progress with the focus on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Educational poli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multidimensional models, based on Cooper et al. (2004). Such dimensional models were,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tive and technical dimension, analysed in-depth, thoroughly. Multi-dimensional policy analysis models were applied on 1st to 3th five years special educational development plan sand results are shown below(Cooper et al, 2004). The normative dimensions carried by the current special educational policies includes, humanity, equality, self-real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whereas 1st and 2nd five years special educational development plans focused on educational equity, influencing on compulsory, free, integrated and work-related education. For the structural dimensions, Ministry of Education and District/Regional Education Office were considered, to see the effects on the special education policies. Particularly, in order for the special education policies to have effects on special education facilities and disabled individuals, human resources must be allocated adequately for an efficiency of governmental organization, systemic review of the policies needs to be placed methodologically and communications and cooperation are needed between governmental agencies. In terms of Constitutive dimensions, policy related surveys, based on the stakeholders, such as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needs for the special education and non-governmental special education organizations, meets education requirements of facilities and establishment of the policies, for the efficient special education facilities and effective placement of the policies, ideally helping with overall policy enactment. Technical dimension wise, limited governmental and district active policy systems affected 1st and 2nd five years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s, resulting in inconsistent outcomes depending on individual officer’s abilities. 본 연구는 한국 특수교육 발전 과정에서 수립되었던 정책 중 중장기 계획에 해당하는 제1차~제3 차 특수교육발전 종합계획에 대한 정책분석을 통해 한국 특수교육 정책의 특징을 파악하여 미래 특수교육 정책 결정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수교육 정책을 분석하기 위해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이 제시한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의 4가지 차원으로 구성된 다차원 분석 모형이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범적 차원에서의 제1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에서부터 제3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까지의 정책은 인간존중과 교육의 평등성 보장이라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비전 및 목표에 자아실현, 통합교육, 사회통합, 사회참여를 강조하고 있으며, 그 시대의 사조도 반영하고 있다.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는 특수교육정책이 특수교육현장과 수요자들에게 파급되려면 정책을 집행하는 행정조직이 업무를수행하기 원활하도록 인력이 배치되어야 한다. 셋째, 구성적 차원에서는 제1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에서는 드러나지 않지만 제2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에서부터 제3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까지특수교육 정책형성 과정에서 이해당사자의 영향은 매우 컸다. 넷째, 기술적 차원에서는 제1차와 제2차에서는 국가와 지방정부의 정책수행 시스템 부족으로 업무담당자가 중심이 되어 실행가능성과 여건을 무시한 채 이상적인 정책이 수립되거나 업무담당자의 능력과 의지에 따라 성과가 달라지기도 했다.

      • KCI등재

        Special Education as Science, Applied Behavior Analysis, and Single Subject Research

        LeePark,HyeSuk 한국행동분석학회 2014 행동분석․지원연구 Vol.1 No.1

        Currently, no one will raise questions whether special education need to be scientifically-based or evidence-based. Then what does it mean by `Being scientific?”. What are features of scientifically-based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 Research guides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 and thus current conceptualization of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ose questions. Considering that special education is a problem-solving and special educators often serve for heterogeneous populations in nonuniversal settings, research methods which address these complexities are required. Single Subject Research (SSR) is experimental and units of analyses are individual. These features of SSR allow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within contexts where the interventions are actually applied. SSR focuses on individual behavior changes within specifically manipulated conditions, which is closely tied to core dimension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ABA). This highlighted usefulness of SSR when special educators deliver scientifically-based practices within ABA approach. In the present study, features of scientifically-based practices and characteristic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are discussed in connection to special education. Next, advantageous characteristic in using SSR as a major tool for developing, evaluating, and adapting scientifically-based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 is discussed in association with understandings about features of special education and ABA.

      • KCI등재

        특수학교 설립에 대한 특수교육 관련인들의 인식 및 발전방향 탐색

        임장현,김주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pecial schools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ose involved in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role and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The research method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chool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establishment process, six education professionals and five teachers who participated as school founding member. As a result, four categories and 13 themes were identified: 1) Experience in establishing a special education school I: Barriers to establishing a special education school, 2) Experience in establishing a special education school, II: Various efforts to build a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3) Demands for change of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4) Ways to improve community-based special education 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in-win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connection with communities,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miniatur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change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hardware. 본 연구는 특수학교 설립 및 운영과 관련한 특수교육 관련인들의 경험과 인식을 토대로 특수학교 설립과 운영에서의어려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특수학교의 역할 및 개선 방향을 알아보는 것을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특수학교 설립 과정에 참여한 학교관리자 및 교육전문직 6인과 개설 요원으로 참여했던교사 5인에 대한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지속적비교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범주와1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특수학교 설립 경험Ⅰ: 특수학교 설립에 대한 장벽, 2)특수학교 설립 경험Ⅱ: 특수학교설립을 위해 쏟았던 다양한 노력들, 3) 특수학교 변화에 대한 요구, 4) 지역사회 기반의 특수학교 설립을 위한 개선방안.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지역사회주민들에 대한 장애인식개선, 지역사회와 연계 강화를 위한 상생 방안, 지자체와의협력, 특수학교의 소규모화와 특성화, 특수학교 하드웨어의 변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정과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에 따른 특수교육비 현황 및 변화 추이

        박찬웅 ( Park¸ Chan Woong ),구영주 ( Gu¸ Yeong Ju ),김현경 ( Kim¸ Hyun Kyung ),신주원 ( Shin¸ Ju Wo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3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제1차에서 제5차까지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시기별로 특수교육 예산과 그 변화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실질적으로 특수교육정책 수행을 위한 교육재정의 확보, 항목별 배분 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향후 특수교육정책의 실효성을 위한 적절한 예산 편성과 집행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DBPIA 등 검색엔진을 통해 논문을 검색하였고 교육부의 1997년부터 2020년까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와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 OECD 교육지표 > 등을 바탕으로 비교ㆍ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우리나라 특수교육대상자 1인당 특수교육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으나, 시ㆍ도별 1인당 특수교육비는 불규칙적인 증감 현황을 보이며 편차가 매우 크다. 둘째, 우리나라 GDP, 총 교육예산, 공교육비 대비 특수교육 예산은 꾸준히 증가하여 왔으며, 특히 제2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동안 총 GDP 대비 특수교육비와 1인당 GDP 대비 특수교육비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특수교육 총예산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인건비로 전체 예산의 50~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교급당 운영비, 시설비, 자산 취득비, 연수비 순이다. [결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시행되었던 제3차 계획 이후 현재까지 특수교육예산이 큰 증가 없이 평균 4%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특수교육 예산 증가는 법 제정과 관련되었다기보다는 우리나라 GDP 증가에 기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특수교육 예산에 따른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 정책의 수행 정도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화되고 전국적으로 통일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며, 국가의 특수교육 책무성과 정책의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특수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적절한 예산 편성과 집행 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education budget is secured and is distributed for the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policies in Korea by examining the special education budget and its changes in the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from the first to the fifth period. The study thus aimed to present an appropriate budget allocation and execution plan for future effective special education policies. [Method] Several papers were reviewed using the many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and Special Education Annual Report from 1997 to 2020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and the OECD Education Index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First, although the per capita special education expense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they show irregular increases and decreases by province,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budget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compared to the GDP, total education budget, and public education budget. Third,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total budget for special education consists of labor costs, as accounting for more than 50-60%. [Conclusion] To propose the policy directions according to the special education budget and to accurately evaluate the degree of policy implementation, a unified, clear, and more detailed standard is needed. Moreover, research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to compare the finances of special education in developed countries and in Korea and to understand the national responsibility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중요도-실행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박철현,이수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f secondary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5-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by using IPA and to give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this regar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much importance and performance secondary special teachers recognize about each of the five-year plans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of each of the five-yea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s recognized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IPA quadran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focusing on the 4th and 5th development plans of the 5-yea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 the mid- to long-term education policy of special education.Through paired T-test and IPA, we identified secondary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each area of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such facilities as special school and classes, teacher training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special education training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teachers’ perception of performance was the securement of legal rate of recruitment, the Human Rights Support Te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training of teachers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ll questions but three question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t the significance level p <.05. More on-site policies that reflect the needs of teachers should be created. Teachers should actively try to identify and monitor policy changes and continue to develop themselves.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IPA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실행도를 알아보고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관계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 문제는 첫째,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각 정책들에 대해 중등특수교사들은 어느 정도 중요하며 어느 정도 실행되고 있다고 평가하는가 둘째,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각 정책들의 중요도-실행도의 관계는 IPA 사분면의 어디에 해당하는가이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의 중장기 교육정책에 해당하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중 제4차 발전 계획과 제5차 발전 계획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응표본 T-test를 통하여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각 영역별로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고, IPA를 통해 사분면의 위치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여 중등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은 장애유형 및 특성에 적합한 특수학교(급) 시설ㆍ설비 등 기준 개선, 인권보호를 위한 교원 연수 실시, 일반교육교원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 실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실행도 인식은 특수교사의 법적 충원율 확보, 장애학생인권지원단의 내실 있는 운영, 인권보호를 위한 교원 연수 실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시 NEIS의 사용, 인성교육 강화 및 체육ㆍ문화예술 활동 운영, 취업률 확대를 위한 특수학교 학교기업의 운영 필요성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이 유의수준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교육정책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에서 특수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현장 적용성이 높은 정책이 보다 더 많이 생겨야하며, 특수교사는 적극적으로 정책의 변화를 파악하고 점검하며 꾸준히 스스로를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대한 초등학교교사의 인식 연구

        김재은,박주열,김원경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특수교육의 근간이 되어왔던「특수교육진흥법」이 2007년 5월에 전면 개정되어 2008년 5월부터「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란 새로운 법제명 아래 단계적으로 시행을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특수학급 다수 설치 등으로, 통합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개정된 특수교육법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내실 있고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모색함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교사의 개정법에 대한 인식의 연구를 위하여 특수학급이 있는 초등학교와 특수학급이 없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개정된 법에서 통합교육과 관련이 있는 내용을 설문하였다. 설문내용은 특수교육법의 개정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인식, 개선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초등학교 교사와 특수교육법의 관련성, 특수교육의 중요성은 많이 이해하고 있었으나 특수교육법의 개정 과정과 개정 내용에 대한 인식 수준은 낮은 편이었다. 또한 특수교육대상자의 확대 방안이 통합교육과 일반학교에 많은 영향을 끼치리란 것은 예상하였으나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편이었다. 통합교육의 발전 동향은 잘 알고 있었으나 통합교육의 내실화 방안은 부담을 느꼈으며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보조인력 지원, 특수교육운영지원센터 운영 등 국가적 책무성을 많이 기대하였다. 「Special Education Law」 was instituted in May 2007 with its new legal name 「Special Education Law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like」 and will soon go into effect in phases. This research, which of the ultimate goal is to help substantial and responsible inclusive education, investigate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the new law. Both the teachers in schools with special classrooms and the teachers in schools without special classroom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hich was about the recognition towards the law, the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and the revised inclusive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understanding on the relevancy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law and the importance of special education were satisfactory, but understanding level of the amending process and the amended content about the law was poor. Also, understanding level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was very low even though the plan to increase the recipients would greatly effect the inclusive education and regular schools. They felt the burden of the plan that makes the inclusive education substantial. And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they expected great governmental help and responsibility such as support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classroom assistants and establishing and administrating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 KCI등재

        한국의 통합교육정책 분석

        김남순 한국특수교육학회 2004 특수교육학연구 Vol.39 No.2

        The importance of special educational policy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herein have been highlighted due to the expansion of social and public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the unitary, rational aspect between politics and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build and develop the theoretical basis on special educational policy analysis. So this study were qualitative analysis of full inclusive education policy in Korea special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the full inclusive education policy is generally regarded as a part of public policy, the attributes of policy were understood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policy concept definition. 2. The full inclusive education policy content seemed to be composed of four system and eight components, such as normative system, planning(goal, means) system, behavioral system, evaluation system hierarchically interacted with each other. 3.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Regulations revised in 1994 requires education using textbooks, remedial education and occupational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education methods and media suitable for the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Part 2, Article 1) 4. An effort for inclusive education under the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is found in the conversion of educational systems. Inclusive education aims to establish systems in which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are arranged in regular classes and consider special schools and classes as institutions which are in charge of adjustment training and support for inclusive education. 5. For a successful fully inclusive education, teacher training is necessary.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basic research and planning in special education as one of the policies of special education which meets the social demands of the 21st century for national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본 연구는 한국 통합교육과 관련된 정책형성과 정책결정 그리고 정책집행과 평가과정을 정성적으로 평가한 내용이다. 특수교육에서의 통합교육은 공공성이 매우 크고, 일반 사회에 미치는 영향 또한 적지 않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정책입안으로부터 실현과 결과에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정책 실현이 되도록 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연구는 Dror 등의 이론을 최종운이 모형화한 통합적 분석모형을 기본모형으로 분석평가 하였다. 그 결과 정책 형성과 결정과정에서 사회 전반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는데 부족했고, 집행과정에서는 정책실행자들의 전문성 부족과 사회전반적인 이해부족이, 평가과정은 아예 실행되지 못한 점들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 할 때 차후 통합교육정책의 발전을 위해서는 보다 합리적인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특수아동의 선정․배치 과정에서의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존재론적 구조: 학습장애아동을 중심으로

        정용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11 발달장애연구 Vol.15 No.3

        본고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배치과정에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존재론적 구조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설문지에 나타난 교사의 반응결과를 분석한 양적 방법과, 특수교육운영위원회에 참여하여 획득한 정보를 분석한 질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및 논의를 통해 도출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배치 의뢰 전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존재론적 구조는 주로 배타적인 반면에, 부분적으로는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이 반토대주의적이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배치 과정에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존재론적 구조는 주로 배타적인 반면에, 부분적으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이 반토대주의적으로 접근한다. 도출된 결론에 기초하여 향후 특수교육학의 전개과정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배치과정에 관련된 요구되는 자료에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반토대주의를 구현할 수 있는 방식으로의 수정이 요구된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배치과정에서 일반학급, 특수학급, 상담, 사회복지 등의 간학문간 지원체제의 확장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s ontological structure in selection and assignment of children toward special education service with focus on learning disabilities. To achieve this goal, qualified methodology was selected, which consists of conference material from A provincial education service office and questionaires acquired from teachers in B cit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t interac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before referring children toward special education service to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assignment of children toward special education service. Second, there are anti-foudational paradigms on referring children toward special education service to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assignment of children toward special education service, while there was not interac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Implications are that we need to improve interactions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assignment of children toward special education service, and try to rebuild referring system in its process.

      • KCI등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제명, 목적과 법정용어에 대한 해석

        한현민,김의정 한국특수교육학회 2008 특수교육학연구 Vol.43 No.2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which was enacted in 1977, implemented in 1979 and completely revised in 1994, had been the foundation for Korean special education and its policy development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On May 26, 2007, this law was replaced by the Special Education Law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Like.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conduct a theoretical and legal analysis of some regulations of this newly enacted special education law.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d and contrasted the Special Education Law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Like with other related laws and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in terms of the title, purposes, and definitions of major legal terminologies.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validity, rationality and efficacy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Like and provided interpretations of its effects in the field of current special education.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future revisions of this newly enacted law and policy development are provided, and necessary components for further research are suggested. 본 연구는 1977년 제정과 1979년 시행 그리고 1994년 전문 개정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30개성상의 긴 세월 동안 한국 특수교육과 그 발전을 위한 정책수립의 근원이 되어왔던 「특수교육진흥법」이 2007년 5월 26일 전격 폐지되고 그 대체 신법으로 제정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일부 규정을 이론적으로 그리고 법리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 법의 제명(題名), 목적, 주요 법정용어의 정의를 중심으로 이를 관련 타법 및 「특수교육진흥법」의 규정 등과 비교·분석하여 그 타당성, 합리성, 실효성 등을 평가하고 그것이 현실특수교육에 미칠 함의를 해석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향후의 법률개정과 정책수립의 방안 내지 방향을 제시하였고, 이와 함께 후속연구가 필요한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