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응용행동분석의 특성과 발전배경

        홍준표 한국행동분석학회 2014 행동분석․지원연구 Vol.1 No.1

        이 연구는 응용행동분석의 철학적 기본가정과 특성을 밝혀 정의하고, 그 역사적 발전 배경을 간략히 소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먼저 과학으로서의 행동분석학은 결정론, 경험주의, 절약의 법칙, 과학적 조작, 철학적 의혹 등을 그 철학적 기본가정으로 표방한다. 그리고 행동분석 연구의 차별화된 특성으로, 응용적 연구(applied), 행동적 연구(behavioral), 분석적 연구(analytic), 기술적 진술(technological description), 개념적으로 체계적 연구(conceptually systematic), 효과적 적용(effective application), 일반화 효과(generality) 등을 제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Cooper, Heron과 Heward(1987)의 응용행동분석에 관한 정의를 소개하고, 행동분석학의 역사적 발전 배경을 Watson의 고전적 조건형성 연구와 Skinner의 작동조건형성의 연구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그리고 80년대 초반부터 활발히 연구되기 시작한 행동의 기능성 평가 연구를 전환점으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응용행동분석의 실용성은 크게 신장되었고, 국제행동분석학회(ABA International)와 미국의 행동분석전문가자격위원회(BACB)의 위상과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의 응용행동분석연구의 역사적 배경과 현황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전망과 과제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일반 초·중·고등학교에서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국내 실험 연구 분석

        최하영 한국행동분석학회 2017 행동분석․지원연구 Vol.4 No.2

        Positive Behavior Support has been emerging with concerns regarding how to addressing behavior problems in schools. This study investigated studies implemented schoolwide and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rough Korean academic databases, 9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1997 to 2017 were identified, and these were analyzed based on three analysis frameworks: general characteristics, implementation stages and utilized intervention strategies. The results showed that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were implemented in 3 studies, and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were conducted in 6 stud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lementation stage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universal level, mostly special teachers, general teachers, and researchers participated in the positive support implementation team and held teacher education and regularly held team meetings for high fidelity performance. Thirdly, intervention strategies using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include restructuring the environment, setting expected behaviors, direct teaching expected behaviors, self-monitoring and evaluating, and implementing reinforcement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were suggested. 긍정적 행동지원은 학교에서의 문제행동 관리에 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일반 초․중․고등학교에서 학교 및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한 국내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분석된 연구는 국내 전문 학술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하여 1997년부터 2017년 현재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9편의 연구를 일반적인 특성, 실행 단계 및 활용된 중재 전략이라는 세 가지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혹은 학년 전체 차원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실행된 연구는 3편, 학급차원에서 긍정적 행동적 행동지원이 실행된 연구는 6편이었다. 둘째,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단계 별로 분석한 결과 주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연구자(외부지원자)가 긍정적 행동지원 협력팀원으로 참여하였고, 충실도 높은 실행을 위해 협력팀 교육 및 정기적 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셋째, 보편적 차원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을 위한 중재 전략으로는 환경의 재구조화, 목표행동 정하기 및 사전교수, 자기점검 및 평가와 그에 따른 강화가 주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행동분석·지원연구(창간호-2019)』의 특성 및 학술적 가치 분석

        백종남(Baek, Jongnam),박계신(Park, Gye-Shin) 한국행동분석학회 2020 행동분석․지원연구 Vol.7 No.2

        본 연구는『행동분석·지원연구』2014년 창간호부터 2019년 12월호까지 학술지 발행 현황, 학술지 활용성 및 체계성, 학술지 질적 향상 노력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지 발행 편수와 게재 논문 수는 창간 이후 지속하여 증가하였고, 수록 논문의 내용과 연구 방법이 학술지 주제와 완전히 부합한다. 그러나 연구 참여 저자의 지역 분포적인 측면에서는 투고원(投稿源)을 넓히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학술지의 활용성과 체계성 측면에서 게재 논문 접근성이 높고, 학술지 인용 지수와 논문집 구성 및 체계성 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학술논문 온라인출판 표준규격(JATS) 도입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 관리 시스템 활용, 심사 절차의 엄정성, 연구윤리 강화 등 학술지의 질적 향상 노력이 활발히 수행되었으나, 향후 인간 대상 연구 활동에 대한 윤리 교육 강화와 IRB 요구 절차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행동분석·지원연구』의 전문 학술지로서 지향해야 할 활용성, 체계성, 윤리성 및 학술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향후 학술지의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publication of『Journal of Behavior Analysis and Support』from the first issue of 2014 to the December issue of 2019, the utilization and systematic nature of the journals, and th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journal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ation performance of the journal has steadily improved since its inception,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aper are completely in line with the subject matter of the journal. However, the efforts are required to expand the contribution source in the futur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ccessibility of published papers was high in terms of the usability and systemicity of the journal, and the citation index of the journal and the composition and organization of the journal were good.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introducing a standard (JATS) for online publishing of academic papers. Third,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journals have been actively made in view of the performance of online management systems, strictness of screening procedures, activities to strengthen research ethics, and holding workshops and conference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calls for strengthening ethical education and IRB approval for human research activities are needed.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effective information on the utilization, system, ethics, and academic values to be pursued as a professional journal, and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journal s development.

      • KCI등재

        응용행동분석 중재에 대한 치료지원 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이정해(Lee, Jeonghae),최진혁(Choi, Jinhyeok) 한국행동분석학회 2020 행동분석․지원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응용행동분석 중재에 대한 치료지원 전문가의 학습 경험과 인식을 확인 하였다. 응용행동분석을 중재하는 치료지원 전문가 84명을 대상으로 경험, 인식, 요구를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치료지원 전문가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행동분석에 대한 학습을 경험하였다. 둘째, 치료지원 전문가들은 중재 수행에 대한 장애물로 환경 체계의 팀 접근, 협력, 지원 부족을 인식하였다. 중재 제안에서의 어려움은 예산상의 문제와 서비스 제공기관의 부족이었다. 응용행동분석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확인되었으나, 전략 실행에 시간이 소요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치료지원 전문가들은 응용행동분석이 조기 중재 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영역에서 효과적일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중재를 위하여 관련 분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응용행동분석 중재에 대한 학습 및 지원적 요구는 환경적 체제보다 개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요구가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응용행동분석 중재에 대한 사회적 기반을 안정화하고 질적 성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의의가 있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BA therapists on intervention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A survey of 84 ABA therapists intervening applied behavior analysis was conducted on learning experience, perceptions and nee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A therapists are learning about applied behavior analysis in a variety of ways. Second, ABA therapists recognized the lack of support for team approach, cooperation and environmental system as barriers to intervention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And ABA therapists recognized the budget problems and lack of service providers as barriers to intervention proposals in applied behavior analysis. Although the attitude toward the applied behavior analysis was positive, it was recognized that it took some time to implement the strategy for applied behavior analysis. Third, ABA therapists expected that applied behavior analysis should be intervened early and that intervention would be effective in various areas. In addition, ABA therapists recognized the need for collaboration in relevant fields for effective intervention in applied behavioral analysis. The learning and support needs for intervention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were found to have greater demands for individual competence than the environmental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to stabilize the social foundation for intervention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and seek qualitative growth measures.

      • KCI등재

        언어행동분석 관련 단일대상연구 동향 분석

        김대용 한국행동분석학회 2022 행동분석․지원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single subject research related to verbal behavior analysis. For this purpose, 636 research papers were searched, and 30 papers related to verbal behavior analysis based on Skinner's Verbal Behavior were selected as analysis target papers according to the PRISMA procedure. Analysis target papers were analyzed by publication year, journal name, research participants,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research environment, and experimental desig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ies related to verbal behavior analysis, studies related to verbal behavior analysis were continuously published,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verbal operant behaviors such as mand and tact, and higher verbal operant behaviors such as naming,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act. Most of the research environment of the thesis analyzed in this study was a treatment room,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the most common type of disability among research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study of verbal behavior analysis in Korea is at a relatively early stage,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언어행동분석과 관련된 국내 단일대상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636개의 연구 논문을 검색하여, PRISMA 절차에 따라 Skinner의 Verbal Behavior를 근간으로 하는 언어행동분석(verbal behavior analysis)와 관련된 30편의 단일대상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 논문의 발행연도, 학술지명, 연구대상자, 종속변인, 독립변인, 연구 환경, 실험설계 등을 분석하였다. 언어행동분석 관련 단일대상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언어행동분석 관련 단일대상연구는 지속적으로 발간되고 있었으며, 종속변인은 맨드 및 택트 등과 같은 언어작동행동과 함께, 네이밍과 같은 고등언어작동행동이 주로 다루어지고 있었고, 독립변인은 택트를 기반으로 하는 전략이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 논문의 연구 환경은 대부분 치료실 환경이었고, 연구 참여자의 장애 유형은 자폐스펙트럼장애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국내 언어행동분석 연구는 비교적 초기 단계라고 제언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국내 특수교사 양성 대학의 행동분석 관련 과목 운영 실태: 행동분석전문가 학사학위 과정 자격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논의

        김연주,박소영,유장순,백종남 한국행동분석학회 2022 행동분석․지원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기관의 행동분석 관련 교과목을 분석하여 학사 수준 한국행동분석전문가 자격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기관인 대학 중 특수교육과 및 특수교육학부가 설치된 31개 대학교 46개 학과(전공)를 대상으로 학과 홈페이지에 탑재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행동분석원리와 임상실습 과목이 모두 개설된 대학은 31개 대학 중 23개 대학이다(74.2%). 둘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행동분석원리 관련 49과목이 개설되었고, 주로전공선택 3학점으로서, ‘행동수정’‘긍정적 행동지원’, ‘특수아행동수정’ 등의 과목명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임상실습 관련 123과목이 개설되었고, 주로 전공선택 또는 교직의 이수구분이며, 2학점 이하 또는 3학점으로서 ‘교육봉사활동’, ‘학교현장실습’, ‘특수교육현장실습’ 등의 과목명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행동분석전문가 학사학위 과정 마련을 위해서 예비 특수교사의 전문성 역량 강화를 위한 행동중재 관련 과목추가 개설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응용행동분석에 기반한 행동계약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관리 기술에 미치는 효과

        강영모(Kang, Youngmo),양문봉(Yang, Moonbong)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응용행동분석에 기반한 행동계약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관리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특수학급 2학년 학생 1명과 특수학교 전공과 1학년 학생 1명을 대상으로 행동계약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행동계약에 필요한 공통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행동계약서를 작성하였다. 자기관리 기술은 학생 개인에게 필요한 일상생활 기술 중에서도 날마다 수행할 확률이 높은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일과행동을 선정하였다. 특히 표적행동의 선정에서부터 행동계약서 작성, 행동계약 실시, 행동계약 종료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 있는 요소를 고려하였다. 학생 A와 학생 B의 실험은 각각 학교와 가정에서 진행하였으며 반전설계를 활용하여 기능적 관계를 입증하였다. 시각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 응용행동분석에 기반한 행동계약은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관리 기술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학교에서 관찰한 중재의 효과는 이후에도 유지되었으며 가정에서 관찰한 중재의 효과는 학교 환경에서도 일반화되었다. 연구 전반에 관한 논의와 제언을 서술하였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based behavioral contracts have on self-management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is study, behavioral contracts were implemented for a total of 2 students, one 2nd grade student in an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and one 1st grade student attending post-high school specialized vocational program in special school.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behavioral contracts were prepared by including the common components required for the behavioral contracts. As for the self-management skills, regular and repetitive daily behaviors with a high probability to perform everyday were selected among the daily life skills required for individual students. In particular, factors related to self-management competency were considered in the whole process starting from selecting target behavior to writing the behavioral contracts, implementing the behavioral contracts, and ending the behavioral contracts. The experiments of student A and student B were conducted at school and at home, respectively, and functional relation was demonstrated by applying a reversal design. As a result of visual analysis, the applied behavior analysis-based behavioral contract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elf-management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effects of intervention observed in school were maintained afterwards, an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at home were also generalized in the school environment.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the overall study have been described.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중재에 관한 메타분석

        최진혁,김민영 한국행동분석학회 2019 행동분석․지원연구 Vol.6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rends in single-target studies that mediate problem behavior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focus on whether to perform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s. In this study, 74 single-target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Journal from 2008 to 2018 were selected as analytical pap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journal of problem behavioral interventions i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tinued to increase. The study subjects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less of whether a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 was conducted. The research environment was most often performed in special schools in the case of papers conducting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s, and papers that did not perform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s were performed the most in treatment agency. Research design was the most common use of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that performed functional behavioral evaluations, as well as those that performed functional behavioral evaluations. Indirect assessment mainly conducted in the papers that performed functional behavioral evaluation was a literature review, MAS. Direct assessment was the most used ABC record. Independent variability in the papers conducting functional behavioral evaluations was mainly an intervention package, and studies that did not conduct functional behavioral evaluations were analyzed as being used by a variety of independent varians. Dependents were most often disturbed behavior in papers conducting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s, and the non-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of homomorphic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e discussed and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발달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문제행동을 중재한 단일대상연구의 동향을 기능적 행동평가 시행여부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008년에서 2018년 사이의 국내 특수교육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단일대상연구 논문 74편을 분석논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발달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중재 논문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자는 기능적 행동평가의 실시여부와 관계없이 초등학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환경은 기능적 행동평가를 실시한 논문의 경우 특수학교에서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기능적 행동평가를 미실시한 논문의 경우 치료기관에서 문제행동 중재가 가장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설계는 기능적 행동평가를 실시한 논문뿐만 아니라 미실시한 논문에서도 중다 기초선 설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기능적 행동평가를 시행한 논문들에서 주로 실시하는 간접평가는 문헌검토, MAS이었으며, 직접평가는 ABC 기록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기능적 행동평가를 실시한 논문들에서의 독립변인은 주로 중재패키지였으며, 기능적 행동평가를 미실시한 연구에서는 다양한 독립변인이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속변인은 기능적 행동평가를 실시한 논문들에서 방해행동이 가장 많았으며, 기능적 행동평가를 미실시한 논문에서는 상동행동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 및 제언하였다.

      • 장애 학생의 자해행동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분석

        이성용 한국행동분석학회 2015 행동분석․지원연구 Vol.2 No.1

        장애 학생의 자해행동은 사회적으로나 의학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위험한 문제행동이다.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의 자해행동을 중재한 국내 실험연구를 문헌 분석함으로써, 향후 장애 학생의 자해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교수 방법 및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장애 학생의 자해행동 중재 연구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선정기준에 따라 국내 17편의 실험논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4가지 분석영역에 따라 총 8개의 분석 변인(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표적행동, 중재유형, 연구결과, 중재효과, 질적 지표)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은 자폐성 장애 초등학생이 많았으며, 대부분 중도 장애 학생들이었다. 분석 대상 논문에서 활용된 중재(예, 긍정적 행동 지원, 의사소통 훈련, 응용행동분석 등)는 큰 효과로 나타났으며, 유지와 일반화에도 큰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8개의 분석 변인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 학생의 자해행동 연구와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종사자의 응용행동분석에 대한 인식과 요구

        방수진(Bang, Soo Jin),이성봉(Lee, Sung Bong)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1

        이 연구에서는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에서 성인 발달장애인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응용행동분석 중재에 참여한 이후 갖게 된 인식의 변화와 시설 현장에서의 응용행동분석 중재에 필요한 요구 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종사자 6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지적장애인과 자폐성장애인에게 응용행동분석을 적용했을 때의 결과가 효과적으로 나타나 응용행동분석의 필요성에 대한 종사자들의 인식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둘째,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종사자들은 시설 현장에서의 응용행동분석 중재 도입을 위해서 전문 인력과 재정 지원을 요구하였다. 응용행동분석 중재가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의 성인 발달장애인에게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에서의 응용행동분석 중재에 필요한 지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changed awareness since the social workers who directly provide services to have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with applied behavior analysis and about the requirements to be supported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applied behavior analysis in the fiel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workers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as follows: First, workers took a very positive direction that it needs to be applied for them because applied behavior analysis intervention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got the distinct result, Second, professionals and financial supports were required for the field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pplied behavior analysis intervention is the effective method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posed the demands to apply it concretely at daycare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