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 정도에 따른 지적장애아의 사회성 발달 특성

        박찬웅 ( Chan Ung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완전통합 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아들과 시간제 특수학급 그리고 전일제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아들 간에 사회성 발달 유형과 사회적 기술의 발달정도에 있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초ㆍ중등 일반학교 전일제 특수학급과 시간제 특수학급 및 완전 통합학급에 배치되어 재학 중인 생활연령 11.2~18.6인 지적장애아 66명이었다. 대상아동은 집단별로 사회관계망의 크기를 통제하여 짝짖기에 의한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아동의 사회관계망 크기를 조사한 척도는 Hough(1986)가 개발한 Social Network Interview를 번안하고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대상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측정한 도구는 Gresham과 Elliott(1990)이 개발하고 김향지(1996)가 번안한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ocial Skill Scale)이었다. 연구 결과, 사회성 발달 유형의 집단 간 차이는 통합의 정도가 높은 완전통합에 배치된 지적장애아들의 경우 획득결함보다는 수행결함이 훨씬 더 많으며, 비교적 통합의 정도가 낮은전일제 특수학급의 지적장애아들은 획득결함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기술 발달의 집단 간 차이는 전체 사회적 기술은 완전 통합된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시간제 특수학급 이었고, 전일제 특수학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 영역별로는 협력의 영역은 전일제 특수학급의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주장 영역의 경우는 시간제 특수학급이 가장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으나 두 영역 모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자아통제 영역의 경우는 완전통합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일제 특수학급 집단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통합정도에 따른 사회성 발달 유형은 통합의 정도가 높은 완전통합에 배치된 지적장애아가 획득결함보다 수행결함이 더 많으며, 통합의 정도가 낮은 전일제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아는 획득결함이 상대적으로 더 많다. 둘째, 통합정도에 따른 지적장애아의 사회적 기술 발달에 있어 전체적인 사회적 기술은 통합의 정도가 높은 완전통합에 배치된 지적장애아가 더 높으며, 통합의 정도가 낮은 전일제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아가 가장 낮다. 세부 영역별로는 협력과 자기주장 영역은 통합정도에 따른 배치환경 간에 차이가 없으나, 자아통제 영역의 경우는 통합의 정도가 높은 완전통합에 배치된 지적장애아가 더 높으며, 통합의 정도가 낮은 전일제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아가 가장 낮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sociality developmental types and social skills acquisition amo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full-inclusive class, part-time special class, and full-time special class. The participants were 66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d 11.2 to 18.6 chronological age from full-inclusive class, part-time special class, and full-time special clas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he researcher controled the social network size and grouped students by making a pair. For investigating the social network size, the Social Network Interview by Hough(1986) were translated and modified and for investigating social skills of participants, Social Skill Scale of Gresham and Elliott(1990) translated by Kim(1996)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or the difference of sociality developmental types,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full-inclusive class that have high integration degree tended to have performance deficiency rather than acquisition deficiency. Howeve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full-time special class that have low integration degree tended to have acquisition deficiency rather than performance deficiency. In addition, for the difference of social skills development, the students of full-inclusive class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of social skills and the students of full-time special class showed the lowest mean score of social skills. Specifically, students from full-time special class had the highest mean score in the cooperation domain and students from part-time special class had the highest mean score in the self-advocacy domain, without hav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However, the mean score of self-control domain was highest for the students in full-inclusive class and lowest for students in full-time special class with hav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ociality developmental type by the integration degre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full-inclusive class that have high integration degree tended to have performance deficiency rather than acquisition deficiency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full-time special class that have low integration degree tended to have acquisition deficiency rather than performance deficiency. Second, for the social skills development by the integration degree, overall social skills were highest for the students of full-inclusive class that have high integration degree and lowest for the students of full time special class that have low integration degree. Specifically,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mean score in the cooperation and self-determination domain among groups divided by the integration degree. However, for the self-control doma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full-inclusive class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and students from full time special class showed the lowest mean score.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가 사회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조가은,백용매 한국재활심리학회 2010 재활심리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elf-efficacy, perceived social support, stress level had an effect on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in patients with severe mental illnesses. The subjects consisted of 360 patients with severe mental illnesses who were attending 16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s in Korea. Data were measured by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Self-Efficacy Scal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family support, peer support, professional support questionnaire), Stress Index Scale, and analysed by the SPSS(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self-efficacy, peer support, level of stress of the mental patients had an effect on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Second, positive problem solving orientation among the sub-index for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was influenced by professional staff's support. Third, the rational problem solving skill among sub-index for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was influenced by self-efficacy of mental patients, professional staff's support, family support and peer support. Fourth, the avoidance style of the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were influenced by low self-efficacy and high tress level of mental patients.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emphasizes increas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decreasing stress in order to improve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in severe mental patients.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 고찰

        김유리 ( Yu Ri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환기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관련 국내연구들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회성 중재와 관련된 총 23편의 국내 선행연구들이 선정되었고, 이 문헌들은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교수방법, 평가방법이라는 세 가지 분석변인에 따라 분석되었다.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들은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자기표현 기술, 대인관계 기술, 이성관계 기술, 문제해결 기술, 학업-직업관련 기술에 대해 교수하고 있으나 연구들마다 두세 가지의 기술들을 단편적으로 가르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이러한 기술들은 강의, 토론, 역할놀이를 통해 주로 교수되었다. 셋째, 사회성 기술 중재의 효과는 주로 검사도구를 통해 평가되었으며 직접관찰을 통한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평가는 매우 제한적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련된 시사점이 토론되었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도 논의 되었다. Well-developed social skills can help transition-age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evelop strong and positive relations, succeed in school and work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Korean research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uch programs and research. A total of 23 studies were reviewed in terms of (a) program content, (b) instructional methods, and (c) evaluation techniques.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skills interventions included teaching about assertion skills, interpersonal skills, social-sexual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academic-work related skills. However, there appeared that social skills programs often covered teaching about two or three of the social skill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lecture, discussion, and role-play were the primary instructional strategies employed in social skills instructions. Moreover, existing studies often relied on instrument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Sugges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인지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대인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구효진,이봉건 한국임상심리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videos of social cognitions for schizophrenic in-patients would be more effective on social functioning and relationships than traditional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therapy. The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using videos of social cognitions consisted of ten participants, and the traditional behavioral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had 13.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a total of ten once-weekly sessions for ten weeks. The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videos of social cognitions program was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behavioral social skills training and training for enhancing social cognitions. The subjects’ behaviors were assessed during the pre- and post-program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ocial cognitions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Picture Arrangement of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and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R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hizophrenics who had completed the program which used videos of social cognition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respect to Picture Arrangement of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Second, they also improved with respect to total scores on the RCS and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 subscales of the RCS including satisfaction, communication, sensibility, openness, and consideration. Further, this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with respect to performance in communication and sensibility on the RCS.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예비적 개발

        김용석(Kim, Yong Se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최초의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사회복지실천기술 관련 국내외 문헌을 기본 자료로 삼아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들을 확인하고 선별하였으며 국내의 실천적 특성을 담아내기 위해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다양한 실천현장에서 근무하는 370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예비문항을 평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0개 문항이 제거되고 27개 문항으로 구성된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 척도가 개발되었다. 척도는 5개의 하위척도로 세분화된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요인구조는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준비 및 사정 기술’ 척도는 사회복지실천의 초기단계에 사용되는 기술, ‘변화촉진 기술’ 척도는 개입단계에서 사용되는 실천기술로 주로 변화에 대한 동기를 강화시켜주는 기술, ‘종결 및 평가기술’ 척도는 전문적 관계를 종결하고 개입결과를 평가하는 기술, ‘자원연계 및 활용 기술’ 척도는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 내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그리고 ‘윤리적 실천기술’ 척도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와 윤리에 부합하는 실천기술을 측정한다. 종합하면,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척도는 시작단계에서부터 종결단계에 이르기까지 일반적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필요한 실천기술, 윤리적 실천을 위해 필요한 실천기술, 환경 체계의 활용에 초점을 둔 실천기술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irst social work skills inventory in Korea. Based upon the literature review of social work skills, the examination of an existing scale, and the comments from professionals in this field, 57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Preliminary items were evaluated with a total of 370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in various fields of social work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s. A ser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al structure of the scale. After deleting 30 items with low factor loadings or being cross-loaded, the scale is composed of five facto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obtain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first factor was named preparatory and assessing skills to be mostly used in the beginning phase of th social work process, the second factor was named change facilitating skills to be used to strengthen motivation to change, third factor was named ending and evaluating skills to be used to terminate the professional relationship and evaluate the outcome of the relationship, the fourth factor was named resource linking and utilizing skills to be used to utilize resources in order to solve clients’ problems and the fifth factor was named ethical practice skills. Each component of the social work skills inventory is found to be reliable and valid. In sum, the social work skills inventory is an instrument encompassing basic skills necessary for social work process, skills for ethical social work practice, and skills necessary for utilizing environmental resource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향상과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

        정현희 한국미술치료학회 2008 美術治療硏究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skills art therapy on children's social skills and peer relationships for children in peer-malajus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th grade 4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kills art therapy had been conducted once a week from September through December, 2006. There were 16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50-60 minutes. The instruments were Gresham & Elliot's Inventory on social skills, Pettit, Dodge & Brown's Inventory on peer relationshipts, the cooperative drawing & the alternating cooperative drawing. Also the changes of social skills during the session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kills art therapy was effective intervention in enhancing social skills. There were changes of social skills during the sessions. Also there were changes in the inventory on social skills and cooperative drawing. Second, social skills art therapys was effective intervention in improving the peer relationships. There were changes in the inventory on peer relationships and alternating cooperative drawing. 본 연구는 또래관계에 부적응을 보이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술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과 또래관계 개선을 이루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 아동 4명이 대상이었다. 사회적 기술 집단미술치료 진행기간은 2006년 9월부터 12월까지였고, 주 1회 실시하였다. 50-60분씩 16회기가 실시되었다. 측정도구로는 Gresham과 Elliot의 사회적 기술 척도, Pettit, Dodge와 Brown의 또래관계 척도, 협동화, 교대로 그리기이었다. 그리고 진행과정에서 사회적 기술의 변화를 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술 집단미술치료는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술 집단미술치료 진행과정, 사회적 기술 점수, 협동화에서 사회적 기술의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기술 미술치료는 초등학생의 또래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 점수, 교대로 그리기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 KCI등재

        명화감상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김우영 ( Woo Young Kim ),김영옥 ( Young Ok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3

        유아가 사회적 관계 속에서 적절한 사회적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적용하는 것은 이후에 사회인으로서 성장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으며, 사회적 기술은 사회화를 실천하는 방법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유아들에게 의미있는 매개와 도구가 되어 준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의 감수성을 자극할 수 있는 매체로 명화감상을 활용하여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밝히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를 토대로 명화감상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그림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명화감상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그림 표현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명화감상을 활용하여 유아의 심미적 감수성을 풍부하게 향상시켜 유아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Young children`s learning and application of appropriate social knowledge and skills in social relationships may be a prime stepping stone in the growth of a society. Social skills have become an important tool for young children to actively practice soci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for developing social skills through an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which serve as a medium to stimulate children`s sensitivity to many life styles in different times and cultures and to the multiple ways of representing reality. The effects of actively learning to appreciate paintings are far reaching, extending into various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realms. After reviewing and analyzing social skills-related literature,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is social skills development through famous paintings appreciation program and tested its affects on the social ability and drawing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included in five areas such as aesthetic sensitivity, communication, self-expression, others-acceptance, and cooperation. Instruction-learning methods consisted of the stimulation of aesthetic sensitivity (motivation and introduction), connection of social skills (exploration and analysis), extension of social skills (appreciation expression and internalization), and the conclusion (arrangement and assessment). In both of these areas, the children made significant gains, clearly demonstrating the applicability of developing social skills through an art appreciation program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신경증과 부모와의 애착안정성이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 주의조절과 공감의 매개역할

        차주환,이동혁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euroticism and attachment security on social skills in a sample of adolesc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ttention control and empat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social skills, and attachment security and social skill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uthors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749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as follows. First, when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neuroticism, attachment security, attention control, empathy, and social skills, the findings showed that attachment security, attention control, empathy were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skills. Meanwhile, neuroticism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skills. Seco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mediating effects of the attention control and empat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social skills.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ttention contro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social skills. Thir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performed to test mediating effects of attention control and empat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social skills. The outcomes indicated that the attention control and empath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social skills.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ddressed. 청소년의 사회기술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신경증, 부모와의 애착안정성, 주의조절, 공감을 연구변인으로 설정하여 사회기술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청소년의 신경증과 사회기술과의 관계에서 주의조절과 공감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고, 부모와의 애착안정성과 사회기술과의 관계에서 주의조절과 공감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의 중․고등학교 6곳에 재학 중인 749명(남학생 403명, 여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청소년의 신경증이 낮을수록, 부모와의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주의조절과 공감이 높을수록 사회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신경증과 사회기술과의 관계에서 주의조절이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경증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도 주의조절과 같은 인지적 요인을 통해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이 더 중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부모와의 애착안정성과 사회기술과의 관계에서 주의조절과 공감이 모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와의 애착안정성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도 주의조절과 같은 인지적 요인 그리고 공감과 같은 정서적 요인을 통해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이 더 중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편의 표집한 일반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그 밖의 지역이나 대상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사회기술 증진을 위한 교육 및 상담 그리고 프로그램의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교육의 충분성 인식과 사회복지실천기술 수행의 관계

        김성경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0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social work practice education levels and the usage of social work practice skills.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234 social workers in 40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In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social work practice education had an effect on the usage of social work practice skills of the field worker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if social works had a higher education levels, they would develop practice skills and practice knowledg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fessional practice is learned and developed in a range of ways over time through training, practice, and reflection. It also confirms the necessity of involvement strateg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ocial work education models. 이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요구하는 실천기술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수행에 미치는 대학교육의 충분성의 영향력에 대해서 확인하는 연구로서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의 234명의 사회복지사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수행도 중 기초기술군과 개인대상 실천기술군에서 비교적 높은 수행도를 보이는 반면, 집단/가족대상 실천기술군과 지역사회서비스 실천기술군의 수행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사회복지교육의 충분도에 대해 모두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고, 그 중 실천기술 교육의 충분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교육의 충분도가 사회복지실천기술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에서는 전반적으로 사회복지교육의 충분도 인식이 높을수록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수행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실천교육 뿐 아니라 가치ㆍ윤리교육 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및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권리실제와 자아개념이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지은주(Ji, Eunju),양성은(Yang, Sungeun) 한국생활과학회 2011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0 No.5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social skills among adolescent students, by grade gender, rights practice, and self -awareness. It will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rights of adolescents and provide basic data of guaranteed rights for adolescents and social skills. Using questionnaires, a 569 adolescents, in four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s showed higher empathy skills than males did in social skills. In the case of male adolescents, self-control skills among social skills, was higher than those of females. Second, practice for rights and self-concept had positive influences on social skills. The higher the practice for rights, the higher cooperation, assertiveness, empathy, and self-control the adolescents had. The more positive self-concept of physical appearance, gymnastic ability, friends, and honesty, trust and value, indicated a higher assertiveness. The result implied that the adolescents practice for their right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nd adequate practice for their rights and positive self-concept had influences on their social skills.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for adolescents with a low level of social skills to have a satisfactory social life,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practice their own rights in the right direction and to acquire positive self-concep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