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사회복지 교육제도가 한국의 사회복지교육에 주는 함의

        김보영,김성이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7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 No.2

        본 논문에서는 한국 사회복지교육 60주년을 맞아 한국 사회복지교육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 사회복지교육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그로부터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우선, 미국 사회복지교육의 구조와 그 커리큘럼을 고찰하고 미국 사회복지교육의 간략한 역사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 고등교육에 대한 미국 정부의 관여와 지역 인정당국 및 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인정과정을 통한 사회복지교육의 질 관리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미국 사회복지교육 인정에 있어서의 요구사항과 한국에서의 대학교육의 인정과정을 고찰한 후 한국 사회복지교육의 발전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에 대한 성찰과 과제

        석재은(Jaeeun Seok)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2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0 No.-

        한국의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개혁 논의는 근본적 문제의식과 달리 자격주의(credentialism), 전문가주의(professionalism) 강화로 전개되며, 사회복지교육의 정체성을 되찾는 근본적 해법과는 거리가 멀어져 왔다.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보다 근본적 논의를 위해서는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을 성찰하고, 제한적인 교과과정 내에서 핵심 교과내용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개혁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은 더 나은 삶과 더 나은 사회를 위해 사회정의 가치를 추구하는 전문적 실천을 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치, 지식, 기술의 내포적 관계를 사회복지실천의 성찰(reflection)이라는 교육방법으로 통합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사회복지교육 개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정의 가치 실천이라는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을 명확히 하고, 변용가능한(transformative) 핵심역량을 키울 수 있는 핵심 교과목 및 교과내용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교육수요로부터 핵심역량을 구성하는 교과과정을 귀납적으로 재구성하고, 기본 공통영역과 전문영역의 교과과정으로 분류하고 모듈식으로 체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자격제도와 사회복지교육의 개혁 과제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가치-지식-기술의 통합적이고 성찰적 교육을 위해 사회복지현장의 실천 사례들을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사회복지 교과서를 새롭게 개발하며, 교수자의 혁신을 위한 교수 재교육이 필요하다. Unlike the fundamental awareness of the problem, the discussion on the reform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Korea has been developed with the strengthening of credentialism and professionalism and has been far from a fundamental solution to regaining the identity of social welfare education. For a more fundamental discussion on social welfar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reflect on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seek reform directions that can be reconstructed into a core curriculum within the limited curriculum.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s to nurture professionals who can practice professionally pursuing the value of social justice for a better life and a better society.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integrate the inclusiv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knowledge, and skills into an educational method called reflection in social welfare practice. The following proposals were made to reform social welfare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which is the practice of social justice values, and to restructure core subjects and contents that can develop transformative core competenc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ductively reorganize the curriculum that composes core competencies from the educational demand i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classify it into basic common areas and specialized areas, and systematize it in a modular way. Third,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reform task of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social welfare education. Fourth, for value-knowledge-technology integrated and reflect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ccumulate practice cases in social welfare fields, develop new social welfare textbooks, and retrain professors for innovation of instructors.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 교육의 국제적 기준에 따른 한국 사회복지 교육 분석

        김도희,구차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8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 No.2

        This study has focused on analysis of social work education in korea and suggestion for indication of korea social work education, according to global standards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social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sed of social work education of Korea by nine sections from global standards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social work. As well this study had a comparison Korea, Australia and the States for analysis of social work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analyse with lack of developed document about korea social work education. However nine sections was insufficient from global standards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social work. Especially, core curricula was narrow and field education, professional staff, social work students, structure, administration governance and resource, diversity, conduct of the social work profession was not quite satisfactory according to standards. This study had several suggestions. Frist, standardizing social work education of Korea should be needed for strengthening association of Korea Association of School of Social Work. Second, developing and adapting diversity curriculum was urgent. Lastly, social work education of Korea would be correspond to global standard also developed characterized of Korean social work education situation 본 연구는 사회복지 교육 및 훈련에 대한 국제적 기준에 준해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교육과 훈련은 얼마나 우리의 특성에 맞게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한국 사회복지 교육의 기준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국제기준에서 주요 항목으로 다루고 있는 9가지의 영역에 대해 분석하고 아울러 이미 사회복지 교육에 대한 기준을 마련한 호주와 미국의 경우와 우리의 교육 현실을 국제기준에 준하여 비교하였다. 사회복지 교육과 훈련에 대한 기준 문서를 개발하지 못한 상항에서 비교 분석은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9개 항목 모두에서 국제적 기준에 준해 미흡한 면이 있었다. 특히 핵심교과 과정의 지침이 국제적 기준에 비해 편협하며 이외에도 현장실습 교육, 사회복지 교육자, 사회복지 전공 학생, 교육구조와 행정 및 자원, 다양성, 가치와 윤리에 대한 교육기준 등도 국제기준에 비해 미흡한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사회복지교육의 규준화 작업을 위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기능 강화, 교과과정 중 ‘다양성’ 교육 개발과 도입의 시급, 국제적 기준 부합과 동시에 한국의 특성에 맞는 사회복지 교육 및 훈련에 대한 기준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미래 사회변화에 대응하는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전문가 인식

        남희은(Hee Eun Nam),김남숙(Nam Sook Kim),김선희(Seon-hee Kim),임유진(Yu jin Im),이미란(Mi ran Lee),배은석(Eun suk Bae),백정원(Jeong won Baik),박해긍(Hae keung Park),손지현(Ji hyeon Son),윤기혁(Ki hyok Youn),이희윤(Hee yun Lee)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8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3 No.-

        본 연구는 한국의 예비사회복지사를 양성하고 연구하는 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와 연구원 11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미래사회 대응을 위한 사회복지교육의 인식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사회복지교육의 문제 진단과 향후 사회복지교육의 방향 탐색에 목적이 있다. 인터뷰내용을 질적연구 자료분석 도구인 Nvivo 11을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199개의 노드가 형성되었으며, 각각의 노드를 재범주화 한 결과 3개의 상위범주, 10개의 중범주, 28개의 하위범주가 생성되었다. 첫번째 상위범주인 미래사회와 사회복지는 미래사회에 대한 정의의 어려움, 미래사회에 대한 불안감, 미래에 더욱 강조될 학문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미래사회 준비에 있어 사회복지 교육의 현실에서는 현재의 다양한 문제점, 현시점이 전문성 강화의 기회이자 한국적 사회복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으로 진단되었다. 마지막으로 미래사회를 위한 사회복지교육의 대응방안으로 사회복지학문의 기초세우기, 교육자의 교육관 재정립, 융합인재 양성, 지속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사회복지교육의 미래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의의를 가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ocial welfare professors regarding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the future society in South Korea, to diagnose the problems surrounding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South Korea. To do this, interview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using the Nvivo 11 program, a qualitative research data analysis tool. As a result, 199 nodes were formed. After the secondary categorization, three upper categories, 10 middle classes, and 28 sub categories were created. The first category, Future society and social welfare,’ includes the difficulty of defining future society, anxiety about future society, and the academic discipline to be emphasized. The second category, present reality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preparation of future society, points out various current problems with South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as well as opportunities to enhance professionalism. Finally, the third category, response pla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describe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basis for social welfare studies and educators’ educational philosophies, cultivating human resources for fusion, and the need for continuous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ave meaning as basic data in the direction of future social welfare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한국사회복지교육의 현안과 미래의 쟁점- 교과목이수제의 개편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비를 중심으로 -

        남찬섭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8 No.-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re to be influenced by not onl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actices but also research on the social welfare phenomena. Based on this insight, this study discussed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from both the perspective focused o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actices(education-first approach) and the perspective centered on social welfare research(research-first approach). In Korea, certification of social workers has been based on course-completion system in which certificate of social worker can be issued if he or she completed only 14 subjects while in school. The course-completion system has exerted negative impact on the professional prestige of social workers as well a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actices in Korea. In order to solve this long-pending problem, an educational accreditation needs to be introduced but it will require much debate and time. In the short run, strengthening the field education would be both reasonable and realistic approach to improve the quality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response to changes resulted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st important research agenda are social relations and normative criteria need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social relation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radically change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social relations. To establish the identities of social welfare practices and directio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faced with these great turn, we should stand open socio-political viewpoint rather than deterministic perspectives related with technological changes or population problems or fiscal prospects. 사회복지교육은 교육제도나 교육실천 그 자체로부터도 영향을 받지만 사회복지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이 글은 이런 점에 착안하여 교육문제에 초점을 맞춘 교육우선접근에 기초한 논의와 사회복지연구에 초점을 맞춘 연구우선접근에 기초한 논의를 병행하여 사회복지교육의 문제와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 사회복지전문직의 낮은 사회적 위상이 사회복지교육에 반영된 결과로 한국 사회복지교육은 교과목이수제에 의한 사회복지사 자격취득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인증제의 도입과 학부․석사․박사과정의 역할분담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지만 여기에는 많은 시간과 준비가 필요하므로 장기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보다 단기적으로는 실습교육의 강화가 거의 유일한 대안이며 그 외에 교수요원의 자격을 강화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한편 일정한 제도적 세팅에서 사회적 관계를 대상으로 규범성과 과학성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실천적 개입을 사회복지현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런 사회복지현상이 사회복지연구의 대상이다. 그리고 여기서 가장 중요한 연구대상은 바로 사회적 관계와 규범성인데 이들에 대한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미래사회변화에도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4차 산업혁명은 사회적 관계의 근본적 변화를 초래할 것이고 따라서 그에 대한 규범적 판단을 더욱 필요로 할 것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관계의 변화에 대해 기술결정론적․인구결정론적․재정결정론적 시각이 아니라 사회․정치적 시각에서 개방적인 태도로 접근한다면 그로부터 사회복지적 실천의 정체성과 사회복지교육의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복지교육 국제기준에 비추어 본 한국의 다양성 교육

        한인영,김유정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6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 No.1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대학 교육과정에 다양성 교육이 포함되어야 함을 논하고 다양성 교육 실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성 교육은, 다양한 대상 집단과 함께 일하고,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본인의 신념, 가치, 편견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양성 교육은 두 가지 차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우선, 한국 사회 현실이 다양성 교육을 요구한다. 외국인 노동자, 국제결혼 이민자, 혼혈아동, 새터민등 사회복지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타문화권 출신의 취약인구계층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로 인한 다양한 실천적 이슈가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성 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사회복지교육 국제기준이 다양성 교육을 요구한다. 사회복지교육 국제기준의 확립 목적에도 사회복지발전과 인권실현을 위한 다양성 교육의 필요성이 주장되고 있으나 한국 사회복지 교육기관은 다양성 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소수민족 증가현황을 살펴보고 국제기준에 준하는 한국사회복지교육 준거틀 마련의 필요성을 논하며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클라이언트에게 민감한 사회복지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과 실천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미국의 사회복지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임현승,김준경,김철희,정한채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5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9 No.-

        Social work education in South Korea was influenced by American social work curriculums. This study presents the early history of social work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development of social work program,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accreditation, and social work educational policy. This study also presents educational policy for seven areas of social work subjects, such as social work practices, social work field education,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social policy and service, social work ethical principles, and social research. Th implications of educational policy for Korean social work education will b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 교육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 미국의 사회복지교육의 역사와 현재 미국 사회복지 교과과정에 대한 인증절차 및 사회복지교과과정의 내용 및 지침에 대하여 분석한 후 한국 사회복지 교육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미국 사회복지 교육협의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요 사회복지 교과목들인 사회복지 실천(실천기술론), 사회복지현장실습,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사회복지 정책과 서비스, 사회복지 조사론,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다양성의 7과목에 대한 교과목 지침 내용 및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미국사회복지 교육교과과정의 이슈를 짚어봄으로써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서의 사회복지 교과목 지침의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한국 사회복지교육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복지교육인증제의 도입방안 연구

        홍선미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0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2 No.-

        With an increasing needs for assuring the quality of social work educ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social work accreditation. It reviews the global social work educational standard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of Social Work and some accreditation standards from the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 of the US. It draws attention to some implications of the accreditation experiences of other academic fields such as engineering and business administration. In the interest of providing some guidelines on educational accreditation standards, this paper lays out five basic features of the social work education including educational goals and program objectives, curriculum, faculty, students, and educational resources/ administrative system. It is important to undertake specialized procedures and develop strategies which educational institutions accomodate various inputs for promoting academic excellence and professional competence of social work programs in Korea. 사회복지교육의 정상화와 질 관리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인력의 공급측면에서 양질의 전문 인력을 배출하기 위한 교육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과 함께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인증안의 세부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세부내용으로는 사회복지교육 및 훈련에 관한 국제기준을 비롯하여 해외의 사회복지교육제도와 인증실태에 관한 자료를 검토함으로써, 인증기준개발의 지침을 마련하고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합한 사회복지교육의 틀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 중인 타 분야의 교육인증제 운영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학문분야에 적합한 사회복지교육인증의 형식과 절차적 요소를 고려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의 현실적 욕구와 여건에 기초하여 사회복지교육인증제의 구성요소와 세부내용을 5개 영역으로 제안하고 실질적인 인증제도입의 기본 내용 및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복지환경 다변화에 따른 사회복지 교과목 개편 필요성 연구

        장현,이봉진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2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8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 환경의 다변화에 따른 복지계의 대응과 복지 수요자의 다양화된 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복지실천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인을 양성하기위한 대학 사회복지학과의 교과목 개편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복지현장의 패러다임 변화에 요구되는 교과목 개편의 의미를 점검하고 선진국의 복지교육 제도의 도입과정과 복지환경 변화에서 전문성교육의 개편 함의를 살펴보며 이를 통해 한국 사회복지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변화된 환경에서 다양한 수요에 대처하기 위한 사회복지사 양성을 위해 사회서비관리론, 요양복지론, 다문화복지론, 다문화상담론, 사회복지경영론, 사회적기업론, 복지마케팅론 등의 사회복지학과 교과목 도입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discuss the need for curriculum reform in universities' social welfare department in order to foster professionals who can deal with the diversity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fulfill the diverse needs of end users. Hence, this paper delves into the introduction of the welfare education system in developed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s social welfare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following courses are required to foster welfare professionals who can cope with various needs in a changing environment: mandatory course in social service management theory(voucher welfare business theory), care welfare theory, social welfare management theory, social enterprise theory, etc. Also to manage the younger generation's problems such as serious internet game addictions, youth welfare course necessitates revision and supplementary materials.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사회복지 교육방안

        황미경,정종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5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points for discussion and plans in applying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education to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at a college level to cope with the recently accelerated multicultural phenomenon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not only the theor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ut all so literature concerning the cases related to the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a college level and the relevant systems or legislations of South Korea were reviewed. It is needed to provide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which has been managed as a non-statutory subject in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since 2008, as a statutory optional subject, include it in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and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as well in practicing social welfare with the objective of reinforcing capacity for multicultural practice in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at a college. It is also necessary to use multicultural media to present convergence education models of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education for immigrants and foreign residents, revise relevant legislations for activa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evelop and distribute multicultural convergence education models for activating the practical area of social welfare through association with multicultural institutions. 본 연구는 최근 가속화되고 있는 한국의 다문화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다문화사회복지교육을 대학의 사회복지교육과정으로 시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교육의 이론을 고찰하고,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하여 대학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례 및 이와 관련한 우리나라의 제도와 법제를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대학의 다문화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역량강화를 위한 사회복지교육과정은 비법정 교과목으로 2008년부터 개설되어 운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사회복지교과목을 법정 전공 선택 교과목으로 개설하여 사회복지교육과정에 포함할 것과사회복지현장실습에서 다문화교육실습을 병행할 것을 제언하였으며, 미디어를 활용한다문화사회복지교육 모델을 제시하고, 다문화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관련 법률의 정비와다문화관련 기관들과의 연계를 통하여 사회복지실천영역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다문화융합교육 모델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