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 부모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관한 연구

        권경희,김영아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22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warencess of smartphone, 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hundred fourty eight parents with children who were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D c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Parents' awarencess of smartphone differed according to the period and time of children's smartphone usage. It was found that parents' perception of smartphone was positive when children's smartphone usage period was 'less than three months'. It was found that parents' awarencess of smartphone was higher in the case of children who used smartphone 'everyday' and 'five to six days a week'. The rearing attitudes of parents differe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ren. In children's overindulgence on smartphon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s gender and the smartphone usage time. It was found that boys had higher levels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than girls, and children who used smartphone ‘everyday’ showed higher smartphone overindulgence level. As a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warencess of smartphone, 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is as follows: the higher rearing attitude score, the lower the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prevention programs and parent education materials on smartphone use.

      • KCI등재

        학부모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과 사용환경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양육 스트레스와 과몰입을 매개로

        최윤희(Choi Yoonh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관련된 요인들이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8년 6월 7일에서 20일 사이에 대구․경북 유아 교육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부모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환경은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을 통해 양육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스마트폰 사용환경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 로는 부모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과 사용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들을 통해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과 사용 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부모교육 및 예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rtphone-related factors on parents’ parenting efficacy.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parents who were using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between June 7th and 20th, 2018, and conducted the Amos 18.0 program to verify the hypothesis model. The results of study indicated first that parent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 s overindulgence in smartphone directly affect parents’ parenting efficacy. Also environment of using smartphone were shown to have indirect effect on parents’ parenting efficacy through parent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 s overindulgence in smartphone. Second, environment of using smartphone were shown to b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parents’ parenting stress. Parents’ recognition about smartphone and environments of using smartphone were shown to b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children s overindulgence in smartph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systematically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recognition about smartphone and environments of using smartphone.

      • KCI등재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학령전 아동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인숙(金仁淑),김도연(金到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아시아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 아동의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계 및 매개변인과의 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수도권의 어린이집과 유치원 및 개인 의원을 방문하는 학령전 아동의 어머니 543명과 그 자녀인 학령전 아동이며, 경로분석을 통해 학령전 아동의 어머니와 그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및 매개변수의 인과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즉, 독립변인으로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을, 종속 변인으로 학령전 아동의 스마트폰 과몰입으로 설정하였고,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부갈등과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모형에 대한 직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학령전 아동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부부갈등에 정적영향과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령전 아동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대해 부부갈등은 정적으로,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령전 아동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부부갈등 및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하고,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부부갈등 및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f mother, smartphone overindulgence of preschool children and mediating variables such as marital conflicts and mother-child communication. Five hundred and forty three preschooler’s mother residing in Seoul city or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city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f mother and the smartphone overindulgence of preschool children had sta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Second, on the one hand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the marital conflicts variable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on the other hand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s showed between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the mother-chil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Meanwhile, it was found that the marital conflicts and mother-child communication variable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the smartphone overindulgence of preschool children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smartphone overindulgence of preschool childr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desirable role of mother to prevent smartphone overindulgence of preschool children. Also It suggest a need for variety further research which targets preschool children and sound attitude of maternal using smartphone.

      • KCI등재

        어머니와 유아기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 관계에서 어머니의 수면 전 스마트폰 사용습관의 영향

        황신해,장소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prevent an environment indulging smartphone-usage that causes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at hom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survey was conducted on the use of smartphones for mothers with 3 to 5-year-old s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and PROCESS MACRO 3.0. ProcessR was used for control effect analysis and visualization. The adjustment effect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No. 1 model presented by Hayes(2017) and average centred was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porosity. As a resul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and their children’s dependence on smartphone. A particular focus was bestowed on the mother’s smartphone usage habits before sleeping.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as the mother used smartphone before sleep, their smartphone addiction had effected a stronger impact on children's dependence on smartphone than when they did not. Smartphones are already an essential tool in our life and it is impossible to keep children from accessing th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usage guideline for smartphone with an aim to prevent an addiction, in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을 강화하는 가정 내 스마트폰 사용 환경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이루어졌다. 연구 목적에 따라 만 3세에서 5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와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습관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와 PROCESS MACRO 3.0 그리고 조절효과 분석 및 시각화를 위해 processR을 사용했다. 조절효과는 Hayes(2017)가 제시한 Process macro 1번 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중공선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평균중심화를 사용했다. 분석 결과 어머니와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특히 가정 내 스마트폰 사용습관으로, 잠자기 전 스마트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어머니가 수면 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몰입이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강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특정 조건에서 스마트폰 과몰입의 부정적 영향이 커진다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 연구에서 가정 내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 목적, 사용 시각, 사용 상황 등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김유진 ( Youjin Kim ),조규판 ( Gyupan Cho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 및, 스마트폰 과몰입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또래관계 및 스마트폰 과몰입 간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스마트폰 과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또래관계를 부분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또래관계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대한 중재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176 high-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with PACA(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PRS(Peer Relation Scale) and Teenagers Self-Diagnosis Smart-phone Addiction Scal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 correlation analysis was undertaken.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appli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In the result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eer relationship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were negative correlation. Peer relationship operated as a factor to mediate between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This mean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mpact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on smart-phone overindulgence.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peer relationship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hat affect smart-phone overindulgence.

      • KCI등재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김동만(Kim, Dong-Man),이철현(Lee, Chul-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몰입 사용의 구체적인 경험을 사실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특정 경험을 한 초등학생들의 있는 그대로 본인들의 관점으로 현상을 확인하고자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남자 4명과 여자 4명, 총 8명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험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Giorgi의 자료 분석 과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험을 이루는 의미와 본질로 4개의 구성요소와 11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숨겨야 하는 즐거운 시간들-주위에서 스마트폰 중독자로 바라 봄, 스마트폰은 자제가 필요한 경험, 즐거운 여가활동, 스마트폰은 생활 필수품>, <인정받고자 하는 과욕 행동-우월감을 키우는 행태, 스마트폰을 잘 다루기 위한 과잉 노력>, <나와 통하는 단짝 친구 만들기-친구와 만나기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 친구 관계 유지를 위한 창, 소통을 위한 능동적 관계 맺기>, <사회적 안정감이 필요한 활동-왕따를 걱정하는 학생 문화적 행동, 부모와 자녀의 연결고 리>로 구분되는 초등학생 스마트폰 과몰입 경험이 의미하는 것은 ‘또래집단 속 인기를 탐하는 과욕 행동’이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몰입 사용의 구체적인 경험을 사실적으로 밝혀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자신(즐거움)과 주변(중독자)의 시각차가 커 스마트폰 과몰입이 심해지더라도 자신의 상태를 숨기게 되어 사회문제로 심화될 가능성이 컸다. 둘째, 초등학생은 스마트폰이 각자 원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하나의 도구나 방법으로 여기고 과몰입하지만 발전된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스마트폰 과몰입을 통해 또래집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험의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초등학 생들의 스마트폰 사용 교육을 위한 중요한 이해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ssential intentions and the results of the Overindulgent Smartphone-Experiences among Elementary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the Giorgi 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intimate interviews, participants essays and their social achievements of eight students in the 6th grade. There were 4 essential meanings and 11 submeanings for the overindulgent use of smartphone, followed by 4 essential meanings found; to indulge self-time on the screen/to self-isolate from others, to be approved by friends in many aspects, to make the best companion in school, and to continue to retain social stability. In results, participants showed three conclusions. First, participants failed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addiction and indulgence on using the smartphone resulting in possible problems in a society. Second, participants treated the smartphone as a necessity for their lives and overindulge on it, although it showed limited positive-effects on their lives. Third, it showed that participants tend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peer group activities using smartphones.

      • KCI등재

        어머니 스마트폰중독경향성이 유아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놀이참여도의 매개효과

        마은실(Eunsil Ma),정윤경(Yoonkyung Jeong) 한국발달지원학회 2020 발달지원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경향성과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및 키즈카페를 방문하여 만2세-만5세 263명의 유아 어머니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은 어머니의 매체이용 빈도, 자녀의 디지털매체 이용 제한방법, 자녀와 디지털 매체 이용 시 어머니와 같이 이용하는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병적몰입이 높을수록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 수준이 높아지며,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가 부분매개 하였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을 낮추는 것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을 낮출 수 있다는 대안을 제시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 인해 향후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교육에 대한 의식 전환 교육에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 s smartphone addiction, Maternal play Particiation, Children s overindulgence tendency. Participants were 263 mothers with children between 2 and 5.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ow frequently mother uses smart media, how mother restricts children s use of digital media and whether mother and children use digital media together or not. Second, the total score of mother 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one sub component, morbid immersion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 s overindulgence tendency in smart devices, mother s play participation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 s overindulgence tendency in smart devices and mother 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negatively related to mother s play participation. And lastly, mother s play particip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children s overindulgence tendency in smart devices.

      • KCI등재

        영유아기 스마트폰 사용 실태 관련 연구 분석

        김경중,김진숙,임경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research done on childhood smartphone usage. Target research papers were the 27 papers out of 40, excluding redundant ones, on childhood smartphone usage published on master doctorate dissertation and journals during 10 years from the year 2006 to 2016. Research topics were as follows: First, how was research conducted on childhood smartphone usage period and time, purpose and frequency? Second, how is parental correlation research regarding childhood smartphone usage? Third, how are research results on indulgence of smartphone use of infants and prevention?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ge when infants are exposed to smartphone is lowering; average usage time was 1-2 times a week, 20-30 minutes a time. Second, infants were initially exposed to smartphones through parent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ir main supporters, mothers. Third, as a result from the research on childhood smartphone indulgence and prevention, childhood indulgence effects such as impulsiveness and aggressive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ge.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on research done on childhood smartphone usage, there was concrete evidence that there is a dire need for strict prevention education in parent, educator, and national levels in order for a healthy development of infants. 본 연구는 영유아기 스마트폰 사용 실태 관련 연구문헌들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 논문은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지난 1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발표된, 영유아기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40편중에서 중복된 내용을 제외한 27편의 논문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영유아 스마트폰 사용 시기와 시간, 용도와 빈도에 관한 연구는 어떠한가? 둘째, 영유아 스마트폰 사용에 관한 부모 연관성관련 연구결과는 어떠한가? 셋째, 영유아 스마트폰 사용에 관한 과 몰입과 예방에 관한 연구결과들은 어떠한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스마트폰에 노출되는 연령은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평균사용시간은 주1~2회, 1회 20~30분이며 주로 주말에 사용하였다. 둘째, 영유아는 처음 부모를 통해 스마트폰을 접하게 되며,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았다. 셋째, 영유아 스마트폰 과 몰입과 예방에 관한 문헌연구 결과, 유아기 과 몰입 영향은 충동성과 공격성이 발현되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러한 증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영유아기 스마트폰 사용실태 관련연구 분석 결과는 영유아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서는, 부모·교사 그리고 국가 사회적 차원에서의 철저한 예방교육프로그램의 실시가 시급하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증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학대가 초등학생의 불안, 우울, 공격성, 자존감,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선아,김은실,정진섭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parental abuse affec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xiety, depression, aggression, self-esteem,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to find out what factors affect them most.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in between 4th and 6th grades throughout the Seoul, Gyeonggi,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s and used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o check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urvey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for Win.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parental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have affe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xiety, depression, aggression, self-esteem,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therefore have had enough meaningness as a prior study, on which various therapeutic and preventive programs have been develpo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results for sexual abuse, so subsequent studies have been required for the further study of children with sexual abuse.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학대가 초등학생의 불안, 우울, 공격성, 자존감, 스마트폰 과몰입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어떤 요인에 가장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남권 초등학생 4~6학년을 대상으로 자기보고 방식의 설문지를 수집하고 SPSS for Win.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통한 조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과 변인 간의 상관관계 확인을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이 초등학생의 불안, 우울, 공격성, 자존감,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근거가 될 수 있는 선행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성적학대에 대해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에서는 성적학대 아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스마트폰 의존 잠재프로파일 분류: 개인, 부모, 사회 요인의 영향력과 생활만족도 차이 검증

        이준우,안새별,홍세희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game overindulgence and smartphone dependence of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group classification.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verify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y latent profile. Data from the 5th wave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in which 318 adolescents were out of school when surveying was analyzed.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groups(common-use groups, smartphone dependence groups, over -dependence groups’) according to the game and smartphone dependence patterns. As a result, gender, parental neglect, and social stigma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ificati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common-us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martphone dependence group and the over-dependence group, but no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smartphone dependence group and the over-dependence group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institutional support and social attention are needed for out-of-school adolescents who are in the blind spot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스마트폰 사용 양상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생활만족도에 잠재프로파일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청소년패널 5차년도 조사를 사용하였으며, 총 318명의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진행하였다. 게임·스마트폰 사용 양상에 따라 세 개의 하위집단으로 분류되었고, 특성에 따라 일반사용집단, 스마트폰의존집단, 과의존집단으로 집단을 명명하였다. 해당 잠재프로파일의 예측요인 분석 결과 개인체계에서는 성별이, 가족체계에서는 부모방임이, 그리고 사회체계에서는 학력에 대한 생각과 사회적 낙인감이 계층 분류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생활만족도의 잠재프로파일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반사용집단의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나, 스마트폰의존집단과 과의존집단 사이의 생활만족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보호와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인 학교 밖 청소년을 향한 제도적 지원과 사회적 관심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