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양수업 수강생의 자기탐색행동과 삶의 만족에 대한 예측요인 탐색: 기대-가치 이론을 중심으로

        정윤경 ( Chung Yoonkyung ),정연재 ( Jeong Yeonja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적응적인 삶의 지표라 할 수 있는 자기탐색행동과 삶의 만족에 대한 예측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양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기대, 가치, 비용인식과 노력지속 및 자기탐색행동, 삶의 만족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학생들의 기대, 가치, 비용인식이 수업에서의 노력을 통해 자기탐색행동 및 삶의 만족을 예측하는지 여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대학생 492명을 대상으로 학기 초에 교양수업에 대한 기대, 가치, 비용인식을 측정하고 학기 말에 나머지 변인들을 측정한 결과, 교양수업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학생들의 기대는 자기탐색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수업에서 배우는 내용에 대한 가치인식은 노력지속을 통해 삶의 만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수업에 대한 비용인식은 결과변인을 모두 예측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자기탐색행동과 삶의 만족 향상에 있어서 교양교과가 지니는 함축적 의미를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factor of undergraduates’ self-exploration and life satisfaction, which represent their adaptive lives.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ncy, value, cost perception, effort regulation, self-explora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s who take liberal arts course. In particular, mediating effects of effort regulation were tested between expectancy-value-cost perception and self-exploration, and life satisfac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his end, we measured undergraduates’ expectancy-value-cost perceptions of liberal arts course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measured the remaining variables at the end of the semester. When we analyzed the responses of 492 undergraduates, their expectancy for success in a liberal arts course in the early semester positively predicted self-exploration. Unlike expectancy, undergraduates’ value perception in the liberal arts course positively predicted life satisfaction only via effort regulation. Meanwhile, cost perception did not predict any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liberal arts courses for undergraduates’ self-exploration and life satisfac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친 사회적 거짓말에 대한 아동의 도덕적 평가와 정서 추론과의 관계

        이재화(Jaehwa Lee),정윤경(Yoonkyung Jeong)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6, 7세 아동의 도덕적 평가와 정서 추론을 중심으로 친사회적 거짓말에 대한 이해의 발달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6세, 7세 총 65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거짓말 상황이 포함된 담화를 들려주고, 주인공의 행동을 도덕적으로 평가해보게 하거나 기분을 추론해보도록 한 후, 그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은 연령과 상관없이 규범 위반적 거짓말 상황에서는 도덕적 평가에 어려움을 보이지 않았으나 친 사회적 거짓말 상황에서는 주인공이 거짓말을 하였을 때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 높아져 6, 7세 아동 모두 친 사회적 거짓말에 대한 도덕적 평가 능력이 발달적으로 미숙함을 보였다. 또한 친 사회적인 거짓말 상황에서 도덕적 평가보다 정서 추론을 더 잘 한 것으로 나타나, 도덕적 평가 능력보다 기분을 추론하는 능력이 먼저 발달함을 보여주었다. 한편 정서 추론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아동과 그렇지 않았던 아동들의 도덕적 평가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높은 정서 추론 점수를 얻은 아동이 도덕적 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어 정서 추론과 도덕적 평가 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 연구들에서 일관되지 않았던 아동의 친 사회적 거짓말 이해의 발달적 차이를 다시 한 번 검토해보는 동시에, 도덕적인 평가 능력의 발달이 타인의 정서를 추론하는 능력의 발달과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velopmental differences of understanding prosocial lies focused on moral judgement and emotional understanding among 6 and 7-year-old children. The study was conducted on 65 pre-school children (aged between 6 to 7), who attended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do. The participants were shown an illustrated story having six situations; the preschoolers had to comment on the story. They were asked to make moral judgements and emotional reasoning in antisocial and prosocial situations. The study also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of two factors. Firs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hildren could determine the “wrongs” in an antisocial lie situation; however, they also made similar judgements in a prosocial lie situation. This demonstrates that aged between 6 to 7 children, are too immature to make moral judgements in a prosocial lie situation. Second, six and seven year old children, had a better emotional reasoning than moral evaluation in prosocial lie situations. This means that the development of empathetic skills precede the development of moral values. Moreover, as children grow, their reasoning ability improves; a case in point would be, a seven-year-old girl who predicted emotions in a prosocial lie situation much better than younger children did. Finally, the children who scored the highest in emotional reasoning also displayed good moral judgement. This implies that as the prediction ability of emotional reaction develops, the child acquires ability to discern right from wrong in a prosocial lie situation.

      • KCI등재

        공대 여학생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의 탐색

        김지현(Ji Hyeon Kim),정윤경(Yoonkyung Jeong),오명숙(Myongsook Oh)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4

        국내 공과대학 여자 졸업생의 전공분야 진출이 낮은 원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공과대학 여학생의 전공 진로 장벽과 관련된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남학생과 비교하였다. 전국 8개 대학 1,968명의 남․ 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공에 대한 가치와 기대, 열망, 만족도 및 자기 효능감을 조사하였고 이러한 심리적 특성들이 대학 경험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학년에 따라그 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공에 대한 가치에 대해서는 남․여 학생간의 뚜렷한 성차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기대, 열망, 만족도 및 자기 효능감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학 생들의 경우 전공에 대한 기대, 열망, 만족도, 자기 효능감 등이 공과대학 경험과 교육을 통해, 학년이 증가 할수록 일관되게 증가하는 반면 여학생들의 경우 거의 변화하지 않거나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공대 여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환경 개선 노력이 제안 되었다.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psychological correlates of career barrier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engineering fields by investigat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students and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male students. For these ends 1,968 female and male students in 8 universities nation-wide completed the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the measures for self career aspiration, self-efficacy,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in engineering career. The results of our study revealed fe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male students in all of these variables. In addition,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female and male students differ significantly; Male students aspiration, self-efficacy,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increased with the school experience whereas those of female students did not show any change or decrease. The results call for the intervention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vulnerability of female students in engineering field.

      • KCI등재

        어머니 스마트폰중독경향성이 유아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놀이참여도의 매개효과

        마은실(Eunsil Ma),정윤경(Yoonkyung Jeong) 한국발달지원학회 2020 발달지원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경향성과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및 키즈카페를 방문하여 만2세-만5세 263명의 유아 어머니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은 어머니의 매체이용 빈도, 자녀의 디지털매체 이용 제한방법, 자녀와 디지털 매체 이용 시 어머니와 같이 이용하는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병적몰입이 높을수록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 수준이 높아지며,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가 부분매개 하였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을 낮추는 것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을 낮출 수 있다는 대안을 제시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 인해 향후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교육에 대한 의식 전환 교육에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 s smartphone addiction, Maternal play Particiation, Children s overindulgence tendency. Participants were 263 mothers with children between 2 and 5.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ow frequently mother uses smart media, how mother restricts children s use of digital media and whether mother and children use digital media together or not. Second, the total score of mother 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one sub component, morbid immersion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 s overindulgence tendency in smart devices, mother s play participation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 s overindulgence tendency in smart devices and mother 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negatively related to mother s play participation. And lastly, mother s play particip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children s overindulgence tendency in smart devices.

      • KCI등재

        정서이야기와 수혜자 경험이 유아의 자원분배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지희(Jihee Jung),정윤경(Yoonkyung Jeong)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 자원분배행동에서 정서이야기와 수혜자로서의 직접 경험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만 3-5세 유아 15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조건에 따라 유아가 수혜자에게 나누어준 사탕의 개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모든 유아를 대상으로 정서이야기(n = 76)와 상황이야기(n = 78) 집단에 무선 할당하여 개입별로 유아가 타인에게 나누어주는 사탕 개수의 사전, 사후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이야기개입 이후에도 공평한 자원분배(5개)가 어려운 유아를 대상으로 수혜자경험(n = 61)을 했을 때 자원분배행동에서 변화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원분배행동이 증가했고 공평한 자원분배(5개)와 근접한 경향을 보였다. 1단계 개입에서는 정서이야기를 한 집단에서 상황이야기를 한 집단보다 자원분배행동의 증가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2단계 개입에서는 직접 수혜자 경험을 했을 때 사전보다 사후에 사탕 분배 개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즉, 유아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정서를 인식하고 직접적인 경험을 할수록 친사회적인 행동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변인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정서이야기와 수혜자에 대한 직접경험이 유아의 자원분배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 인식과 관련된 경험이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적 관련 변인으로 제안되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emotional stories and direct beneficiary experience on prosocial behavior through evaluating early childhood resource distribution behavior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54 infants aged 3 to 5 years, and data were collected included the number of candies distributed by infants to the beneficiari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First, we compared the dictionary and post-mortem of the number of candies distributed by infants to others following intervention between all infan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motional story (n=76) and contextual story (n=78) groups. Following the story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resource distribution behavior when the beneficiary experience (n=61) was given to infants with difficulty in equitable resource distribution (five resources). Results: With in crease in age, infants’ resource distribution behavior increased, and resource distribution tended to become more equitable (five resources). In the first stage of intervention, the increase in resource distribution behavi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motional stories group than that in the other group. In the second stage of intervention, the number of candy division after death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child observed direct beneficiary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 more the infant recognized their own and others’ emotions and directly experienced theses, the more characteristics of pro-social behavior they displayed Conclusions: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prosocial behavior of infants. Emotional stor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direct experience with beneficiaries have been shown to affect the infants’ resource distribution behavior, suggesting that emotional recognition-related experiences are developmentally related variables.

      • KCI등재

        아동기 반추에 대한 탐색: 부부갈등, 양육방식, 사회불안을 중심으로

        김수정(Kim Sucheung),정윤경(Jeong Yoonkyung) 한국인간발달학회 2019 人間發達硏究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후기 반추적 사고에 대한 예언 변인들을 알아보고 예언 변인들 간 연계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4학년 아동 267명이다. 부모갈등 지각, 양육지각, 사회불안 그리고 반추가 설문지를 통해 아동 보고로 측정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부모갈등 지각은 거부․제재 양육지각, 사회불안 그리고 반추와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거부․제재 양육지각은 사회불안 및 반추와 높게 정적으로 상관되었으며, 사회불안은 반추와 높게 상관되었다. 각 변인들이 반추에 주는 직․간접적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갈등지각은 거부․제재 양육지각과 사회불안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반추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거부․제재 양육지각과 사회불안은 반추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갈등지각은 거부․제재적 양육지각과 사회불안에 영향을 줌으로써 간접적으로 반추 발달에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 연구 결과를 통해 부정적인 양육지각과 사회불안이 반추 발달에 직접적으로 관여되는 변인으로 제안해 볼 수 있으며, 부모 갈등지각은 거부․제재적 양육과 사회불안을 통해 반추에 간접적으로 관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related to rumination in late childhood and to explore direct and the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67 children who are fourth year in elementary school. Each child completed questionnaires containing items on perceptions of parental conflicts, perceptions of parenting style, social anxiety and rumination. The results of a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perceptions of parental conflict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yle high in rejection and control as well as with social anxiety. In addition, perceptions of parental conflicts were closely related to rumination. A parenting style high in rejection and control was also related to social anxiety and rumination. Social anxie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umination.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devised for this study showed that children s perceptions of parental conflicts significantly influenced a parenting style high in rejection and control as well as social anxiety, whereas this variable did not influence rumination. Both a parenting style high in rejection and control and social anxie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rumination. The results here suggest that perceptions of parental conflicts influence rumination in children and that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both social anxiety and parenting style.

      • KCI등재

        아동의 양육지각, 반추, 그리고 학교적응 간 관련성에 대한 단기․종단적 접근: 초등학교 4학년과 5학년 시기를 중심으로

        김수정(Kim, Sucheung),정윤경(Jeong, Yoonkyung)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고학년 시기 양육에 대한 아동지각, 반추, 그리고 학교적응 간 관련성을 단기․종단 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 245명과 아동의 담임교사들이다. 양육지각, 아동반추는 아동 보고로, 그리고 학교적응은 아동의 각 담임교사의 보고로 초등 4학년 때와 5학년 때 1년 간격으로 설문지를 통해 측정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4학년 거부․제재양육지각은 4학년 반추 및 5학년 반추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4, 5학년 학교적응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간 직․간접적인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한 결과, 4학년 시기, 거부․제재양육지각은 학교적응과 직접적인 부적 관련을 그리고 아동반추와는 정적 관련을 보였으며, 5학년 거부․제재양육지각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5학년 시기, 거부제재․양육지각은 학교적응과는 직접적인 관련을 보이지 않았으나, 아동반추를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관련을 보였다. 4학년 거부제재․양육지각은 4학년 학교적응과 반추를 매개로, 그리고 5학년 거부제재양육지각을 매개로 5학년 학교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 4학년 양육지각이 5학년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임이 제안되었다. This present investigates the longitudinal relations among children’s perception of rejection and control in parenting, rumination and school adjustment in late childhood. 245 students and their school teacher comple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se variables when they are fourth and fifth graders.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children’s perception of rejection and control in parenting at the 4th year i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rumination both at the 4th and 5th year and negatively related to their school adjustment. The path analysi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 in parenting at the 4th year has a direct effect on their rumination and school adjustment at the 4th year and is related to their perception in parenting at the 5th year.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 the 5th year has an effect on their school adjustment being mediated by their rumination but has no direct effect on their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he perception in parenting at the 4th year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ir school adjustment at the 5th year by being mediated by school adjustment at the 4th year, rumination at the 4th and 5th year, and the perception in parenting at the 5th year.

      • Chat GPT vs Human: Chat GPT 의 창작 주체 가능성

        최이정(Ihjeong Choi),윤지호(Jiho Yun),정윤경(Yoonkyung Jeong)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예술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가능성과 도전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hat GPT 가 예술 창작의 주체로 여겨질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연구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간과 Chat GPT 가 창작한 시를 각각 제시하면서 창작 주체를 진실 또는 거짓으로 제안하여 창의성, 즐거움, 추천가능성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실제 창작 주체가 누구인지는 창의성과 즐거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추천 가능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공지능이 쓴 시에 대해서는 창작자가 인간이라고 했을 때 창의성에 대해서는 조금 더 높게 지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지능과 인간 창작물이 공존 가능성을 시사하고, 창작 주체 정보가 예술 작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데 기여한다. 더불어 Chat GPT 의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의 창작 가능성에 대한 미래적 탐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