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부모효능감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박현희 ( Park Hyun Hee ),이경화 ( Lee Kyung-hw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부모가 지닌 부모로서의 효능감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유아부모 효능감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부모 효능감의 개념과 구성요인은 무엇인가? 유아부모 효능감 검사도구는 타당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20~50대의 부모 400명이다. 검사도구 개발 절차를 살펴보면 첫째, 1, 2차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여 유아부모효능감의 개념, 구성요인 도출 및 예비문항 개발을 하였다. 둘째, 수집된 테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로 유아부모효능감이란 유아기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적합한 부모역할을 수행하며 자녀와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부모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지각으로 정의하였다. 둘째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아부모 효능감 검사 도구는 세 가지(유아부모의 자아 효능감, 양육행동 효능감, 사회적 역할수행 효능감) 영역과 여덟 개의 측정변인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로 문항내적 일관성과 신뢰도를 분석하여 본 검사도구가 수용 가능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넷째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아부모 효능감의 측정모형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부모들의 부모효능감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세 영역과 여덟 개 측정변인의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test that can measure young children’s parents efficacy.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young children’s parents efficacy test? Second, is the young children’s parents efficacy test valid and reliable? The 400 young children’s parents with various job in Seoul and Kyungi-Do were participated for a main survey. Then two rounds of panel survey were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content validity about the deduced concept and construct and initial items. As the result of thepanel survey, three domains and eight sub-factors of young children’s parents efficacy test were ident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s parent efficacy was defined as the perception of parents' ability to effectively deal with problems with their children by performing appropriate parental rol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early childhood children. Secon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young children’s parent efficacy test consisted of three domains and eight measurement variables. The three domains were divided into self-efficacy,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role performance in terms of personal,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role performance. Third,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the items were analyzed to confirm that the test tool is acceptable. In conclusion, this study developed a tool for testing the efficacy of young children's parents, which consists of 26 questions, which are three domains and eight measurement variables, to measure the efficacy of young children's parents in a reliable and reasonable method.

      • KCI등재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김명순 ( Myoung Soon Kim ),조항린 ( Hang Rin Cho ),박영림 ( Young Lim Park ),신혜영 ( Hye Young Shi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3 열린부모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만 3-5세 유아 부모의 가정에서의 놀이참여의 실제를 알아보고, 부모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3곳에 재원 중인 유아 총 287명(남아 148명, 여아 139명)과 그 유아의 부모 287쌍으로 하였다. 부모의 유아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Fogle과 Mendez(2006)가 제작한 부모 놀이신념 척도(Parent Play Beliefs Scale)를 이한별(2008)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부모의 놀이참여 횟수 및 시간은 연구자들이 직접 고안하여 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tevenson, Leavitt, Thompson과 Roach(1988)의 놀이 유형과 이숙재(1984)의 놀이참여 단계를 참고로 원희영(1998)이 제작한 부모용 설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유아 부모의 놀이신념은 ‘놀이지지’ 신념이 ‘학습중심’ 신념보다 전 연령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은 자녀의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는 반면, ‘학습중심’ 신념은 만 3세 보다 만 4세 부모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더 많은 시간을 자녀와 더 빈번히 놀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들은 더 어린 연령 자녀와의 놀이참여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에 있어 구성놀이와 기능놀이에서는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였고, 교수놀이, 게임놀이와 역할놀이에서는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였다. 또한 구성놀이에서는 만 3세 부모가 만 5세 부모보다 놀이에 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교수놀이에서는 만 3세 아버지가 만 5세 아버지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넷째, 부모의 놀이신념 중 ‘놀이지지’의 점수가 높은 경우,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 자녀와 더 많은 시간, 높은 수준의 놀이를 자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학습중심’ 놀이신념 점수가 높은 경우에는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 자녀와 더 적은 시간, 낮은 수준의 놀이를 하고, 놀이하는 횟수 또한 적었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liefs about play and actual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play. Study subjects were fathers (N=287) and mothers (N=287) whose children were across 3 years through 5 years. The parent reports were used to investigate parents` beliefs, frequency of playtime as well as playtime with their children per week. Parent beliefs about play was evaluated using the Parent Play Beliefs Scale(Fogle & Mendez, 2006) and each parent completed the play participation questionaire devised by Stevenson and his colleages(1988). Findings from the study demonstrated as follows; (1) Both par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play support describing enjoyment of play than academic focus reflecting an emphasis on academic skills. (2) Father-child and mother-child play varied in quantity, hence each parent spent more time with younger children on play. (3) Fathers engaged in physical as well as functional play, whereas mothers took part in instructive play differed by parent gender. (4) Parent play belief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volvement in play with their children and play level of them.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resent that parents should have play belief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with their child.

      • KCI등재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아버지, 어머니의 부모 역할 인식 및 실천에 대한 비교 연구

        오한나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4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아버지,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 역할 인식 및 실천을 분석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만 2세 미만 영아기 첫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 어머니 총 4쌍, 총 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저널 기록지, 개별 혹은 집단 면담, 연구자 저널, SNS, E-mail 기록 등을 수집하여 귀납적 분석 방법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아버지, 어머니의 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은 아버지, 어머니는 부모 역할을 분담하는 역할에 대한 인식과 변화 가능한 부모 역할에 대한 현대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아버지, 어머니 모두 부모님의 영향, 직장생활의 문화, 가족형태의 특징 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경우는 문지기 역할에 따른 인식이 부모 역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부모 역할에 대한 실천은 가정 내에서 아버지, 어머니 간에 차이가 나타났지만, 실천 과정에서 경험되는 어려움과 보람에서는 유사한 점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부모 역할에 필요한 정보에 대해 아버지, 어머니 모두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 환경 속 가까운 지인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외에도 육아서적을 통해서도 부모 역할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아버지, 어머니들은 부모 역할 실천을 위한 유용한 사이트, 육아서적, SNS 등을 통한 다양한 정보원에 대한 필요를 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아버지, 어머니를 위한 부모 역할 훈련 프로그램이나 예비 부모나 초보 부모를 위한 정책적, 사회적 지원 방안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서울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김정미 ( Jeong Mi Kim ),강정원 ( Jeong Won Kang ),박선영 ( Seon Young Park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위한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고등학생들의 예비부모로서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전문가 회의를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 및 수정 보완하였다. 개발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4가지 준비로 다름을 존중하기, 대화기술 기르기, 자기관리능력 기르기, 책임과 헌신의 마음 가지기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연구대상자는 수학능력시험을 끝낸 고등학교(남녀공학) 3학년 학생 118명이었다. 실험집단에는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별다른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았다. 수정 보완된 고등학생용 예비부모교육 효과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t-검증을 통하여 실험처치의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전검사 점수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검사 결과에서는 실험집단이 올바른 부모됨에 대한 인식-부모교육의 필요성 인식, 결혼과 출산의 중요성, 긍정적 자아인식, 부모가 갖는 편견 인식, 다름에 대한 존중 인식, 민주적 대화에 대한 인식, 자기 관리에 대한 인식, 책임과 헌신에 대한 인식에서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 기술에서 반영적 경청은 실험집단에서 특히 여학생에게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난 반면, 나 전달법에서는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미래 부모로서의 다짐-다름에 대한 존중 의지, 민주적 대화에 대한 의지, 자기관리 능력 강화에의 의지, 부모로서의 책임과 헌신에 대한 의지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1) to develop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eniors and 2) to evaluate th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change as pre-parents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For this study the pre-developed pre-parents education programs are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its evaluation through the experts meeting. This developed pre-parent program includes four sub-titles to be good parents including, respecting the differences, teaching communication skills, developing self managemnet skills and taking responsibility/being devoted.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118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a coeducation school.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e-parent education program, while the comparison group did not. The result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test score, but in the post-test score, the experiment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terms of the preception of being a good parents, the pre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re-parent education pr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in the post-test score of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the score of reflective listening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between two different girl groups.

      • KCI등재

        아동권리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 변인별 참여 양상

        장혜진 ( Jang Hyejin ),이현진 ( Yi Hyun Jea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아동권리 부모교육 참여의사와 참여불가 사유를 부모 변인별로 살펴보았다. D광역시와 G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학하는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x2 와 F검증, Scheffe 사후 검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동권리 부모교육의 참여의사 측면에서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참여의사를 나타냈다. 이전의 아동권리 부모교육 참여경험 여부에 따른 향후 부모교육 참여의지를 보면 부모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의 참여의지가 더 높았다. 자녀수가 많아질수록 참여의사 수준은 낮아졌으며 전업주부의 참여의사가 생산/기능/노무직에 비해 높았다. 가정소득별로는 500만원 이상 가정이 300만원 미만인 가정보다 참여의사가 높았다. 둘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아동권리 부모교육 참여불가 사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전의 아동권리 부모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답변 비율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아동권리 부모교육에 더 많은 부모가 참여하기 위해서 부모 변인별 접근방법이 달라져야 하고 특히 부모교육 참여의사가 낮은 집단의 요구를 이해하여 이들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learn about parents’ participation for parental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and reasons parents cannot participate in parental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22 parent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rograms located in D city and G province. To analyze the data F-test, x2, and Scheffe test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he status of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for parents’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fath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arental educ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mothers. Parents with the experience of parental education before showed more becoming prospective participants. The fewer children they have, the higher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parental education. Full-time homemakers showed higher intentions to participate than production, technical workers/general laborers. Parents with the income of over five million KW suggests higher participation in parental education than ones with the income of under three million KW. Second, while fathers replied that they cannot attent the parents’ education due to the lack of time, mothers would not participate in parents’ education because parental education is not helpful. The full-time homemakers would not attend parents’ education because it is not useful. Parents with the experiences of parents’ education before answered rather not to participated in parental education, which was higher than parents with no experiences of parental education before.

      • KCI등재

        자녀 수학지도를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차현주 ( Cha Hyunjoo ),김영빈 ( Kim Youngbi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에게 가정에서의 수학지도방법을 교육함으로써, 부모가 올바른 자녀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자녀의 수학흥미를 증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총 8시간의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초등수학교과의 변화 안내 및 게임과 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부모에게 실시하고,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를 지도하는 과제를 연계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을 구분하여 초등학생 자녀(실험군 36명, 대조군 30명)의 수학흥미 및 부모(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의 부모효능감, 학습관여행동을 사전-사후에 검사로 측정하고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학습관여행동에서 유의한 향상을 발견하여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부모에게 초등학생 자녀 및 초등수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직접 자녀에게 수학을 지도하는 것에 대한 부모효능감과 학습관여행동을 증진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자녀의 수학흥미 증진 효과를 도출하지는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끝으로, 효과적인 부모교육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r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promote children’s interests in math and supporting the proper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t home. Firs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the 8 hour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is program included information of elementary math education modifications for parents and instructed math activities and playing games so that parents could use them at home. Secondl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participants (parents and their children)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r children participants (36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a control group), interests of math were tested; for parents (30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a control group),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were examined in pre and pro-tests. And data was analyzed by covariance analysis. As a result,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and it was proven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children’s math interest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rough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parents understood their children and elementary math more, and improved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However, it did not draw enhancing interests of math from the program. Lastly, I discussed ways to educate parents efficiently.

      • KCI등재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이 부모의 기관신뢰 및 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

        심수아 ( Shim Sua ),이유미 ( Lee Youm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이 부모의 기관신뢰 및 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어린이집의 학부모 284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인식한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72점으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부모의 기관신뢰와 교사신뢰 수준은 양호하나 기관신뢰보다 교사신뢰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가 인식한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 기관신뢰, 교사신뢰 수준은 자녀와의 관계, 어린이집의 유형, 열린 어린이집 운영 여부, 부모참여활동 참가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가 인식한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 수준이 기관신뢰와 교사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참여활동 중 ‘의사결정의 참여’ ‘역량 경화를 위한 교육’ ‘어린이집과 가정의 연계 활동’ 이 기관신뢰에, ‘참여 활동의 일상성’ ‘운영의 융통성’이 교사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이 부모와 어린이집, 보육교사 간 보육 파트너로서의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객관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ctivation level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parents'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For this reason,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on 284 parents of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ivation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as recognized by parents was at an average of 3.72 out of 5. Parents have good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but trust in nursery teacher is relatively higher than trust in Daycare center. Second, the level of Parents‘ participation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trust in Daycare centers, trust in nursery teach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e type of Daycare center and whether or not they had Open Daycare Center.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activation of parents' participation activities recognized by par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Particularly, the activation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education for parent's capacity development," and "family linkage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ust in Daycare center, and "everydayness of participatory activities" and "flexibility of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nursery teacher.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objectively find out that activation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uilding trust as a child care partner between parents and Daycare centers and nursery teacher.

      • KCI등재

        학령기 부모의 자기분화 수준과 심리적 통제의 관계에서 부모역량과 양육불안의 매개효과

        손서영,김영희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학령기 부모의 자기분화 수준과 심리적 통제의 관계에서 부모역량과 양육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기타지역의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령기 부모 44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Bootstrapping method)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부모의 자기분화 수준과 부모역량이 높을수록, 양육불안이 낮을수록 학령기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역량은 자기분화 수준과 심리적 통제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양육불안도 자기분화 수준과 심리적 통제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학령기 부모의 자기분화 수준이 부모역량과 양육불안을 통해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분화 수준이 낮은 학령기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감소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과 역기능적 양육행동의 조기중재와 예방을 위한 근거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현황 및 내용분석 연구

        김길숙 ( Kim Gilsook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정부의 지원금으로 개발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자녀 연령에 따른 부모기별, 가족특성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현행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향후 수정·보완되어야 할 부분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의 생애주기별 부모교육 프로그램 28종류, 가족특성별 부모교육 프로그램 17종류로 총 45종류였다. 생애주기별로 살펴보면, 예비 부모용 4종류, 영유아기 부모용 12종류, 아동기 부모용 4종류, 청소년기 부모용8종류였으며 가족특성별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가족폭력·아동학대가족 1종류, 다문화가족 1종류, 맞벌이가족 1종류, 저소득가족 3종류, 이혼가족·이혼위기가족 1종류, 입양가족 2종류, 한부모가족 1종류, 그 외 조부모교육 1종류, 아버지 교육 5종류, 온라인 부모교육 1종류였다. 본 연구는 현행 개발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자녀의 생애주기별, 가족 특성별로 나누어 개발 기관, 부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현행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추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써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larify the current parent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with the funding sup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according to child age and family characteristics and to suggest areas that need changes and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45 different kind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of which 28 were programs according to child age and 17 were programs according to family characteristics. Examining by child age, there were 4 programs for prospective parents, 12 programs for paren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4 programs for parents of children, and 8 programs for parents of adolescent children. Parent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family characteristics included a program dealing with family violence and child abuse, a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a program for dual-income families, 3 programs for low income families, a program for families that have parents who are divorced or are threatened by divorce, 2 programs for families with adopted children, a program for single parent families. In addition, there were a program for educating grandparents in the family, 5 programs for educating fathers, and an online parent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current statu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can be grasped at a glance due to having analyzed the development agencies, departments, and the nature of the programs by examining the programs according to child age and family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만 3-5세 자녀를 둔 맞벌이 저소득가정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최영미 ( Choi Youngmi ),이희영 ( Lee Heeye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5세 자녀를 둔 맞벌이 저소득가정 부모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고, 자녀양육 시 실천할 수 있는 체계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자녀를 둔 저소득가정 맞벌이 부모 18명(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1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Cronbach's α 산출, 만-위트니 유 검정(Mann-Whitney U test)과 윌콕슨 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 기술통계(평균, 표준 편차), 빈도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참여자의 인터뷰를 함께 전사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만 3-5세 자녀를 둔 저소득가정 맞벌이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 올바른 훈육방식 형성, 부모-자녀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부모-자녀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부모역할 만족도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 분야의 선행연구와 달리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저소득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dual-earner parents of low-income family with children ages 3-5 and developed systematic and specific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when raising children, and verified the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bility to control the emotions of parents by focusing on emotional support by cultivat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dual-earner parents of low-income family, and to help the parents develop friendly and intimat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dual-earner parents of low-income family with 3-5 year olds(the experiment group, n=8, and the control group, n=10).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the SPSS 23.0 Windows program, analyzed using Cronbach's α calculation,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of non-parametric statistics, Descriptive Statistics(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Also interviews of participant were recorded together.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parenting stress, parental disciplinary styl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as parent education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and intimate parent - child relationship, cultivat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low-income and dual-earner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