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학교 과학교과에서의 과학기술 윤리교육 현황

        이향연(Hyang-yon Rhee),박선자(Sun-ja Park),유정숙(Jung Sook Yoo),이신영(Shin Young Lee),장지영(Jiyoung Jang)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9 생명윤리정책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examine the present status of ethics educ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therefore, attempted to investigate 1)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2) teacher’s perceptions of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3) contents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in 7th and 8th grade science textbooks. 296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12 science teachers a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for students consisted of 20 items over three sub-categories: the nature of science, the ethical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perience on ethical problems in the classroom.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also consisted of three sub-categories: percep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perception in middle school ethics edu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opinions of that. In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28.3% of students learned about ethical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the school, 69.4% of students had experiences on internet-copied homework and 26.4% of them had falsified experimental data. STS topics were contained in 7 of 12 units of a 7th grade science textbook but they were not relate to ethical issues. Neither ethical issue nor STS topic was not found in 8th grade science textbook. All participated science teachers were positively perceived the neces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but they reported some barriers such as lack of learn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and their less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Some of them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후보

        모리츠 슐릭이 구상하는 윤리학에서 윤리학의 과업-『윤리학의 제 문제』에 관한 비판적 해석-

        조관성 ( Cho Kwan-su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인문학연구 Vol.0 No.32

        삼분법에 따르는 윤리학 구상에서 출발하는 슐릭은, 칸트 윤리학이 대표하는바 일차 질서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는 전통적 규범 윤리학과 이것의 과업과 역할을 부정하여 해체한다. 더 나아가 슐릭은, 무어가 대표하는바 이차 질서 연구 방법으로 일어나는 현대적 규범 윤리학 (곧 도덕 언어의 분석과 해명에 치중하는 규범 과학으로서의 윤리학)과 이것의 과업과 역할을 자기가 지향하는 새로운 윤리학을 위한 예비적 수단으로 도구화 한다. 슐릭은 자기가 주장하는 새로운 윤리학을 곧 경험 과학으로서의 심리학이나 사회학이나 인류학 등으로 환원될 수 있는 사실 과학으로서의 윤리학을 그리고 이것의 과업과 역할을 부각하여 설정한다. 슐릭의 이러한 윤리학 구상은,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그리고 인류학 등과 같은 경험 과학들을 규범 과학으로서의 윤리학을 단지 보조하는 도구적 사실 과학들로 인정하여 도입하는 전통 윤리학의 확고한 시각을 뒤집어보는 사유의 실험으로 해석될 수 있다. 비엔나 학단의 과학주의가 스며있는 그의 윤리학 구상은, 철학사 안에서 완전히 새로운 것이 아니며, 반형이상학과 반사변철학과 철저한 경험주의를 따르는 흄이 보여준 철학적 사유와 도덕적 사고의 윤곽 안에서 움직이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슐릭은 칸트식 이성주의 윤리학을 거부하며 대신에 흄처럼 인간의 심리적 감정에 기초한 자연주의 윤리학을 표방한다. 도덕과 윤리학을 정초하고 정당화하는 토대로서의 도덕적 가치 또는 이를 대표하는 도덕의 최고 가치인 선에 관한 한, 도덕적 가치를 비자연적 가치 성질로 인정하며 가치 실재주의를 따르는 무어와 다른 길을 가는 슐릭은, 흄처럼 가치 실재주의를 부정하면서 도덕적 가치를 주관적인 심리적 감정으로 환원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슐릭은,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가치 성질로서의 도덕적 가치를 부정하고 무화하여 거부하는 가치 주관주의로서의 가치 심리주의의 길로 또는 쾌락주의로 정향한 사회적 관습주의로서의 공리주의로 연속 할 수 있는 주관적 심리주의의 길로 빠져들어 간다. This paper is an interpretative and critical study of the first chapter of Moritz Schlicks ethical work Fragen der Ethik. It deals with the following sub-themes: the Good as the thematic object of ethics, the definition of the Good as the highest concept of morality, the formal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Good, the meaning of the Good and moral norms and moral laws, ethics as normative science, ethics as factual science, ethics as a kind of empirical psychology. On the one hand this paper purports to illuminate Schlicks triple conceptions of ethics and their tasks which result from his experiment of ethical thinking, and which interconnected closely form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Schlick argues for the elimination or destruction of ethics as normative science in the sense of traditional normative ethics which is intent on thinking out and formulating moral laws, and which is represented clearly for example by Kants ethics as ideal science. In my view this presupposes that the so called Kants idealism-oriented and reason-based ethics revolts Schlick. For the new establishment of ethics as factual science in the form of empirical science Schlick advocates the preliminary instrumental use of ethics as normative science in the sense of modern normative ethics which employs the metaethical method of logical and conceptual analysis, and which is represented surely by Moore who can be said to have engaged himself not only in metaethical activity but also in normative ethical inquiry. Even though Schlick can be considered to have been favourable to Moores ordinary language-based metaethical scheme, he does not approve of Moores value-realism as a central normative ethical standpoint. Schlick maintains that the above characterized two types of ethics as normative ethics are to be reduced to ethics as factual science, which points to such empirical sciences as psychology, sociology, and anthropology and boils down to a kind of empirical psychology or moral psychological inquiry. Schlick stands for this type of new ethics as factual psychological science whose task consists mainly in the causal explanation and description of our practical life and conduct.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intends to bring out the history of reception that lies hidden in Schlicks final conception of ethics as factual science in the sense of a kind of empirical psychology by drawing on Hume who in his moral philosophy denies value-realism and argues for value-psychologism. Schlick who is imbued with logical scientism prevalent in his life world can be interpreted to have been influenced above all not only by Humes antimetaphysical and antispeculative philosophy but also by Humes value blind subjective psychologism which reducing the real moral values to subjective psychological emotions can lead in the long run to an enlarged ethical position called the hedonism-oriented social conventionalism appearing in the form of utilitarianism. Main scope: Philosophy, Moral Philosophy, Ethics, History of Ethics.

      • 우리나라 과학기술윤리법의 현황과 평가

        김현철(Hyeon-Cheol Kim)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1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4 No.-

        과학기술윤리는 과학기술에 관한 윤리를 말하고, 과학기술윤리법은 과학기술윤리에 대한 법적 접근 또는 법적 대응을 의미한다고 일응 정의할 수 있다. 우리나라 과학기술윤리법에 해당하는 법령에는 과학기술윤리 분야로서 생명윤리, 연구진실성, 동물실험윤리, 과학기술인의 윤리, 로봇윤리, 지능정보사회윤리 등이 주로 제도화되어 있다. 과학기술윤리법은 인간존엄과 인권이라는 가치와 공존, 관용, 소통의 가치를 추구하여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새롭게 시도되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의의를 대중들에게 알리고 사회 속에서 그 함의를 생각하게 할 수 있는 공론화 작업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과학기술윤리법은 그러한 사회적 커뮤니케이션과 공론화가 가능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refers to ethics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and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law can be defined as a legal approach or legal response to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Bioethics, research integrity, animal experiment ethics, ethics of scientists and engineers, robotics ethics, an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ethics are mainly institutionalized in the laws and regulations corresponding to the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law in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law should pursue the values of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as well as the values of coexistence, tolerance, and communication.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publicize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newly attempted science and technology to the public and make them think about its implications in society. Above all,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law should provide an institutional framework that enables such social communication and public deliberation.

      • KCI등재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students’ perception of research ethics and education

        송성수,이향연,최경희 한국교육개발원 2010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students’ experience with the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and the perception of research ethics. A total of 672 students from five region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consisted of a questionnaire on the “experience of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opinions on ethics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research eth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source of gaining ethics information was mass media (37.1%) for students in the college of science and school (35.6%) for student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p < .05). A total of 18.6% of the students had taken ethics courses and 75%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ethics education is needed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This opinion was stronger for female than male students and also for students in the college of science than for those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p < .001). Similarly,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science have higher levels of perception of research ethics than those from the college of engineering (p < .001).

      • KCI등재

        Science and Politics, Ethics of Scientist

        ( Lee Kyung-hee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3 No.1

        Today, human life depend on the great power of science. The 21st century science is characterized by advanced science, big science, and entrepreneurial scientists. The various problems of society -the environment, biotechnology, health, and medicine - are the problems of science. In addition, there i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policy and politics that supports, develops and distributes certain sciences, and political intervention in science is increasing. This paper will describ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scientists, capital and business, politics, and power today, focusing on the unfair alliance between university - business and nonprofit - profi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will discuss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science, contract science, and undone science as the new integrated perspective. In addition, it will also propose the scientific freedoms, open science, politicization of science and commercialization of science, citizenship democracy, ethics of scientist.

      • KCI등재

        과학사회학 글쓰기를 통한 이공계 학생들의 과학 윤리 교육 연구

        장서란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4

        This study aims to use the sociology of science writing to present the possibilities of the ethics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ology education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Because the sociology of science is based on the inextricable link between social and science, it serves as a premise of scientific ethics. By connecting the discussions of science sociology to examples and viewing video materials, it is possible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science and recognize the need for science and engineering writing. Furthermore, by promoting discussions and sharing of opinion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genetic manipulation,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students can form a multifaceted perspective. Based on this, creating sociology of science writing for modern scientific problems allows students to unify the ethics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ology by actively searching for topics and applying the sociology of science discussions. Writing lessons based on the sociology of science discussions are also a corporate product that helps students achieve a deeper understanding of modern science. It is also ethical to acquire this insight as a scientist, which can help raise ethical responsibility and awareness. 본고는 이공계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국어 수업에서의 과학사회학 글쓰기를 통한 과학 윤리 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과학사회학은 과학과 사회가 불가분의 관계라는 사실에 기반하므로 과학 윤리의 전제 조건으로 작동한다. 본고는 이공계 글쓰기에 과학사회학 논의와 관련된 실제 예시와 영상 자료 시청을더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하여 이해하고 이공계 글쓰기의 필요성을 자각하도록 하였다. 나아가 인공지능 개발, 유전자 조작 기술, 원자력 발전을 주제로 하여 토론을 진행하고 전체 의견을 공유함으로써 학생들이 다각적인 시선을 갖추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 과학 문제에 대한 과학사회학 글쓰기를작성함으로써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제재를 찾고 과학사회학 논의를 적용하여 과학윤리를 체화할 수 있었다. 과학 지식 또한 사회적 산물이라는 과학사회학 논의를 바탕으로 한 글쓰기 수업은학생들로 하여금 현대 과학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갖출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도로서 지녀야 할 윤리적 책임과 인식을 제고하도록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듀이 실험학교의 도덕교육적 함의: 과학과 도덕

        이승은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3 No.2

        애초에 듀이에게 ‘과학적 윤리학’이라는 표현은 그 자체로 모순을 갖는 표현이었다. 과학은 시간과 공간 속에서 발생하고 소멸하는 자연 현상을 탐구하는 활동으로서 자연적 사실을 기술하는 데에 목적이 있는 반면, 도덕은 인간의 가치와 목적을 탐색하는 활동으로서 윤리적 당위를 판단하는 데에 목적을 두기 때문에 과학적 설명과 목적론적 해석을 혼동한 과학적 윤리학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그러나 실험학교 실험을 전후하여 듀이는 과학과 도덕의 분리를 명백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종전의 견해를 조금씩 수정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듀이의 입장 변화를 가장 여실히 보여주는 장면 중에 하나는 실험학교의 교육 목적과 내용과 방법이다. 듀이가 정립하고자 했던 실험학교의 교육 목적과 내용과 방법은 과학이 사회적 성격을 갖는다는 기본 가정 위에서 성립한다. 듀이가 보기에, 이때의 과학은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음이라는 수단을 사용하는 사회적 문제해결 활동과 다른 것이 아니며, 다시 이 활동은 가치와 목적의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도덕적 성격을 갖는다고 보았다. 듀이의 시도는 ‘사회’라는 거점을 매개로 사실과 목적의 세계 간의 분리―혹은 과학과 도덕 간의 분리―문제를 극복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해법과 차별성을 갖지만, 그 해법 자체로 과학과 도덕의 관련에 관한 새로운 문제를 던져주고 있다. Dewey considered 'scientific ethics' as a paradoxical expression. For him, science meant an exploration of natural phenomena created and destructed in time and space and the purpose of science lies in the description of natural facts. Ethics, however, deals with questions about morality and values and its purpose lies in the judgment of good and evil or right and wrong. Science deals with the problem of what is, whereas, ethics concerns itself with the problem of what ought to be. Until the publication of an article about Renan's view on science, Dewey believed the question of what ought to be could not be answered through the exploration of what is. During the experiment of the Laboratory School, Dewey gradually changed his view on the rigid separation between science and ethics. Dewey's design of the Laboratory School curriculum showed a dramatic change in his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ethics. Laboratory School's educational purpose, subject-matter, and educational methods revealed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For Dewey, science was a kind of social pursuits to find an efficient way to achieve social goals through the cultivation of mind. These social goals also provide a context for moral judgment. Social goals set criteria for judging what is right or wrong. In this way, social context bridges the gap between science and ethics. Dewey's attempts to bridge science and ethics within social context seemed to succeed in some way but actually it revealed several theoretical shortcomings.

      • KCI등재

        체육학 연구에서 연구윤리 문제

        박성주,임현주 한국체육철학회 2012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0 No.4

        최근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던 체육학계의 논문표절 사건은 그동안 등한시되어 온 체육학 분야의 연구윤리 문제를 돌아보게 한 이슈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부정행위가 매체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을 때, 학계가 단순히 부정행위자를 처벌하고 비난에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연구부정행위의 발생원인과 상황을 분석하여 근원적 문제 해결책을 찾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체육학 연구에 있어서 발생하는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문제의식과 연구수행 전 과정에 대한 연구윤리의식의 중요성을 다시금 각인시키고 체육학계가 국제적인 수준의 연구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연구윤리의 확립과 실천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체육학 분야에서 연구윤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고찰하고, 둘째 연구 활동에 있어서 부정행위가 발생하는 근원적인 원인과 상황을 분석하여, 마지막으로 체육학 분야의 연구윤리 확립을 위해 요구되는 대책과 연구부정행위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윤리교육의 내실화와 연구윤리의 제도화는 건강한 체육학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과 연관되며 체육학의 학문적 발전과 연구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The recent plagiarism scandal of sport science field caused sport science researchers to reflect on research ethics which has not been paid attention. When this unpleasant research misconduct became known to the general public, we have to put forth more effort into analyzing causes and searching for solutions,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condemning and penalizing the researcher who has committed research misconduct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ethics in studying sport science and explore the implementation and establishment of research ethics, which is essential in order for the sport science field to secure research competitivenes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three objectives are addressed. The first is to examine why research ethics is needed and its importance to the field of sport science. Secondly, this study attempts to seek an underlying cause of research misconducts in the academic. Finally, the paper suggests some ways to prevent research misconducts and establish research ethics in the sport science field. The substantiality of education on research ethic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research ethics is deeply connected to a healthy basis of sport science research. It is also crucial to enhance research competitiveness of sport science.

      • KCI등재후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과학영재들의 연구윤리 위반 경험

        김연희(Kim, Yeon Hee),서혜애(Seo, Hae-Ae)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1 과학영재교육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광역시 소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과학영재들이 연구윤리를 위반한 경험과 이유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 16명, 중학생 58명의 총74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2021년 3월 연구윤리 위반 경험 설문조사에 응답하였고, 응답자료를 분석하여 학교급별, 성별 및 전공영역별 차이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들 가운데 68.9% (74명 중 51명)는 연구윤리를 위반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윤리의 10개 하위 범주별 위반 비율은 평균 19.9%로 5명 가운데 1명은 위반한 경험이 있었다. 가장 많이 위반한 범주는 자기 표절(31.1%), 데이터 변조(29.7%), 저자자격의 부당 부여(21.6%)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윤리 위반 이유는 8개 하위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항목들은 인지적, 정의적 및 사회적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인지적 항목의 4개는 1) 정답 끼워 맞추기; 2) 낮은 점수 걱정, 3) 실험 수행능력 미흡; 4) 윤리지식 부재이며, 정의적 항목의 3개는 1) 연구윤리 준수 엄격성 부족; 2) 연구윤리 준수 성실성 부족; 3) 시간관리 미흡이고, 사회적 항목 1개는 친구사이 갈등관계 회피로 조사되었다. 셋째, 연구윤리 위반 이유의 학교급별 차이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영재들은 중학교보다 정답을 끼워 맞추는 변조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과학영재들은 중학교보다 연구윤리를 잘 이해하지 못하여 더 많이 표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과학영재 대상 연구윤리 교육의 교육내용은 연구윤리를 위반하는 이유와 연결하여 교육내용을 설정하고, 변인별 특징에 따른 맞춤형 교육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experiences and reasons for the violation of research ethics by science gifted students at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in a metropolitan city. Research subjects were a total of 74 including 16 elementary and 58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on experiences of violation of research ethics in March 2021, and analyzed the response data to explore differences by school level, gender and major area. A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68.9% (51 out of 74) of research subjects had violated research ethics. The violation rate for each of the 10 subcategories of research ethics was 19.9% on average, and one in five students had an experience of violation. The most frequently violated categories were self-plagiarism (31.1%), data falsification (29.7%), and granting unfairly authorship (21.6%). Second, the reasons for the violation of research ethics were classified into 8 sub-items. These items could be classified into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categories, and four sub-items of the cognitive category were: 1) to force correct answer; 2) to concerns about low scores, 3) poor ability to perform experiments; 4) lack of ethical knowledge, and three sub-items of affective category were: 1) lack of strict adherence to research ethics; 2) lack of integrity in compliance with research ethics; 3) lack of time management skills, and one sub-item of the social category was avoidance of conflicts between friends. Third, in terms of the reasons for violation of research ethics by school level,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falsify correct answers mo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plagiarize mo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because they did not understand research ethics well. In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set the educational contents in connection with the reasons for violating research ethics, and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ariable.

      • KCI등재

        초등 및 고등학생들의 지구 환경에 대한 보살핌 윤리 지수

        신동희,이진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1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지구 환경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과학 교육에서도 지구 환경에 대한 염려와 보살핌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캐롤 길리간(Carol Gilligan)의 보살핌 윤리를 과학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시도로서 의미가 있다. 이에 국내 대도시, 중소 도시,농어산촌 등의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 학교 6학년과 고등 학교 1학년 학생들 총 458명을 대상으로 총 19개의 보살핌 윤리 지수 측정 문항을 검사했다. 학생들의 성별, 학년, 가장 오래 살았던 지역, 종교, 이전 환경 교육 경험, 보살핌 윤리 관련 활동 경험, 과학 관련 활동 경험 등의 측면에서 그들의 보살핌 윤리 지수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보살핌 윤리 지수가 높은 집단은 10학년보다는 6학년 학생들, 천주교를 믿는 학생들, 대도시나 중소 도시에 가장 오래 살았던 학생들이었다. 반면, 성별, 이전 환경 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보살핌 윤리 지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 이전 보살핌 활동 경험보다는 과학 책을 읽고 과학 기사를 읽고 과학 관련 TV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등의 과학 관련 활동이 학생들의 보살핌 윤리 의식 향상에 더 큰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는 국내 과학 교육과 환경 교육의 내용과 방법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Because of crises in the environment since the mid-20th century, science education has been concerned with protecting the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applying Carol Gilligan’s “ethics of care” into science education. Accordingly, a total of 458 sixth and tenth graders, sampled from the metropolitan and rural areas, participated in an “ethics of care” test. Students'“ethics of care” were analyzed by their grade, gender, religion, living environment, previous exposure to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ience with “ethics of care”-related activities, and experience with science-related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nth graders rather than 6th graders, believers in Catholicism rather than other religions, and students with a long residence period in metropolitan area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ethics of care” quotient than others. On the other hand, gender and previous exposure to environmental education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students' “ethics of care” for the environment. Student experience with science-related activities such as reading science books and watching science TV program seem to have had more impact on their “ethics of care” quotient than their “ethics of care”-related activities. This study hope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