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4차산업혁명 위험관리 법제 개혁 정책성과와 전망 : 사람중심의 4차산업혁명과 지속가능발전

        김한균(Kim, Han-Kyun)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0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1 No.-

        4차산업혁명 위험관리 정책과 법제는 4차산업혁명 국가정책 방향과 구체적 연관 속에서 검토해야 할 것이다. 4차산업혁명을 혁신성장의 추진계기로 삼되, 사람중심이라는 핵심표지를 함께 설정한 정책방향은 기술이란 도구 자체보다는 인간과 기술이 서로 맺는 관계가 핵심이라는 점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이 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이다. 특히 4차산업혁명 위험관리 정책과 법제는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연계함으로써 국제적이면서 국내적인 맥락을 확보할 수 있다. 4차산업혁명 위험관리 내지 안전정책은 첫째 소관부처마다 상이하거나 중복된 법령이나 기준을 체계적으로 정비하는 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유관법령 및 기준 정비는 부처별 안전관리 기능강화에 기본일 뿐만 아니라, 정비과정에서 유관산업 발전과 국민안전 조화 방향으로 정책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4차산업혁명과 관련한 정부 규제와 감독 또한 혁신적이어야 할 것인데, 단순히 완화하거나 강화할 문제가 아님은 물론이다. 부적절한 안전관련 규제라면 폐지 또는 완화할 것이며, 효과적 처벌규정이 필요하면 신설 또는 개정해야 한다. 형식적 안전점검 및 안전관리 감독체계 부적절 문제야말로 4차산업혁명을 계기삼은 혁신이 필요한 부분이다. 셋째, 4차산업혁명 위험관리정책에서도 전략과 과학이 필요하다. 위험예방과 관리정책간 우선순위와 연계성을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하고, 정책기획과 성과평가 또한 실증적 기반 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4차산업혁명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 대한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대응을 위한 정부의 역할, 그리고 국민 안전과 국가 안보 측면에서 사이버보안 법제 개혁성과가 기대된다.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즉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등은 네트워크 기반으로 실현되기 때문이다. 현 정부가 표방하는 사람중심 4차산업혁명의 법제개혁을 대하는 정책결정자, 입법관여자, 그리고 전문연구자들은 4차산업혁명의 첨단기술이 내세우는 스마트한 외관이나 장밋빛 전망보다는 사람의 삶, 삶의 질에 대한 근본적 관심에 바탕을 두고, 4차산업혁명 과학기술과 산업실태와 법적지원 및 규제정책을 實事求是의 태도로 차분히 접근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태도를 가장 뚜렷이 요하는 부분이 바로 4차산업혁명 위험관리 및 안전법제인 것이다. This essay examines policies and legislation for risk and crime control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physical, digital, and biological worlds continue to converge, governments will increasingly face pressure to change their current approach to policymaking, as their central role of conducting policy diminishes owing to new sources of competition and decentralization of power that new technologies make possible. South Korean government proposes its own policy as people-oriented 4th industrial revolution, ‘Realization of People-Center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articipated in by All and Enjoyed by All’, which aims to promote human value while to prevent risk of technology and social problems. Also, as for the valu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aw and policy,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can be one of the blueprint to achieve a better and more sustainable future. They address global challenges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poverty, inequality,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degradation, peace and justice. So government policies are to be developed to create diverse new industries through intelligent technology innovation and strengthen major industries, to improve people’s quality of life by resolving chronic social problems, to strengthen the social security net in preparation for changes in the job market, and to develop intelligent technologies, data, and networks accessible to all. The comprehensive policies of risk control and safety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be made as follows: Firstly, each government authority may has its own law and policy on individual issues, but such laws and policies should be reformed in systematic ways for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measures. Secondly, government regulation system on newly-developed industries should be reformed. Outdated regulation should be repealed, but tightened regulation also be considered to prevent risk and to protect people from any anticipated harms and side-effects. Above all, risk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which are not working is the first target to reform. Thirdly, such law and policy needs its own strategy and tactics. Each policy should be designed in cooperative way with principles on the priority, and should be followed by policy evaluation based on positive data. Risk-control law and policy in the matter of human security and national security demands the role of government in pursuing safety both in reality and cyberspace. That is why a comprehensive national strategy of cyber-security is needed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형사법제 입법방향 : AI의 법적 지위 및 형사책임을 중심으로

        정웅석(Jeong, Oung-Seok)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0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1 No.-

        2016년 1월 다보스(Davos) 포럼에서 “기술혁명이 우리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꿔놓고 있다”며 의제로 제시한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그간의 산업혁명은 기술 및 동력원의 발전을 통해 자동화와 연결성을 발전시켜온 과정으로 축약되는 반면, 제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제3차 산업혁명의 연장선에 위치하면서도, 기존 산업혁명과 차별화를 두고 있다. 즉, 제1차, 제2차, 제3차 산업혁명은 손과 발을 기계가 대체하여 자동화를 이루고 연결성을 강화하여온 과정인 반면, 제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의 출현으로 사람의 두뇌를 대체하는 시대의 도래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즉, 종래 인간이 규칙을 만들어 컴퓨터에 입력하는 방법론인 ‘규칙기반 중심의 자동시스템 인공지능’이 아니라, 인간이 모든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대신에 대략적인 얼개만 잡아 두면 기계가 데이터를 통해 프로그램을 완성하는 ‘학습기반 중심의 자율시스템 인공지능’이 탄생한 것으로, 이런 방법론을 ‘머신러닝’이라고 한다. 결국 인공지능 시대에 융합학문으로서의 법학은 어느 때보다도 규범, 윤리, 가치판단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맥락에서 융합학문으로서 법학의 속성이 강조되고, 기초법학과 같은 법학에서의 학제 간 연구가 한층 주목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인공지능이 개입되는 산업분야마다 개별적으로 (형사책임의 구성요건을 달리하는) 특별법을 제정할 경우 수범자들에게 혼란을 끼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하여, 실체적 · 법적으로는 제4차 산업혁명의 형사책임에 관한 일반법을 제정하고, 필요에 따라 네거티브 규제방식으로 인공지능 내지 지능형 로봇이 사용되는 각 분야(자율운행자동차, 드론 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인공지능 내지 지능형 로봇과 관련된 법체계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당해 법률의 수범자들의 편의를 도모하는 한편, 소송법적으로는 사법절차에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판단에 참작할 경우, 그 인공지능이 갖추어야 할 요건, 당사자에 대한 정보제공, 당사자의 이의권과 불복권 등 당사자의 절차권이 적절하게 보장될 수 있는 방향으로 형사법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In January 2016, the discussion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was presented as an agenda item at the Davos Forum, said,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is fundamentally changing our lives,” drew global attention. While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abbreviated to the process of developing automation and connectiv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power source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locat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ut differentiates it from the existing industrial revolution. In other words,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dustrial revolutions are processes in which machines have replaced hands and feet to achieve automation and strengthen connectivity, whil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volves the advent of an era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replaces the human brain. In other words, it is not “automatic system artificial intelligence centered on rules,” which is a conventional methodology for humans to make rules and input them into computers, but “autonomous system artificial intelligence centered on learning” that completes programs through data if humans hold only a rough outline instead of performing all programs, which is called “machine learning.” In the end,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law as a convergence science is expected to increase the need for research on norms, ethics and value judgments more than ever, and in this context, the nature of law as a convergence science is emphasized,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law such as basic law is expected to draw more attention. However, if a special law is enacted individually (different components of criminal responsibility) for each industry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volved, it is highly likely to cause confusion to criminals. Therefor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General Act on Criminal Responsibilit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enacted in substance, and the Special Act on each field (autonomous vehicles, drones, etc.)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or intelligent robots are used as negative regulations as necessary to ensure the convergence of the legal system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or intelligent robots and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prisoners in the judicial process of determining the law.

      • [특별기고] 시대와 호흡을 함께하는 법학의 필요성

        김남진(Kim, Nam-Jin)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0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1 No.-

        The structure of the modern society is changing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oceeds. Through this, new social paradigms such as hyper-connected society,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risk society are emerging. With the emergence of this new social paradigm, various social axioms that have not been experienced before are being formed and increased. At the same time, however, new legal issues are also being created. However, through the hyper-connected society, as big data accumulates in almost all areas of society, and social demands for the need to actively utilize such big data accumulate, various information rights, including personality rights, are at risk. This is because the use of big data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ight to personality and information self-determination. Medical big data also can be a huge risk and challenge to our human existence. In the modern hyper-connected society, the risk that the right to safely participate in publ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as well as personal information possessed by each information subject is being infringed is increasing. Recently, the so-called Data 3 Act was enacted. Issues such as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given legal personality, what type of moral program should be entered into autonomous vehicles, and how to handle autonomous vehicle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re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After the corona crisis, the risk society is getting worse. Risk can be effectively monitored, tracked and controlled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liberated humans to a considerable extent from many risks such as natural catastrophe, illness, or food shortages that have threatened the “safety” of human life.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re are many new risks being discovered or calculated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evaluating risks and taking countermeasures against them will incur significant costs, both to the regulatory side and to the regulated company. Therefore, cost-benefit analysis has an important meaning in deciding whether or not the country will respond to risk. Eve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sufficiently supplying various benefits required by civil society. However, the failure of the government revealed that the government was unable to fulfill its responsibility to independently provide benefits. Therefore, the government has changed to a “new paradigm” to share and divide responsibilities with the private sector to provide benefits to civil society. Now,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make it easy to “secure performance” for this new paradigm.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will be said that it is an important task for the state to fulfill its responsibility for guaranteeing delegation to the professional and more technologically advanced benefit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hyper-connected society was established across the border to actively exchang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are characteristic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 think the examples that show the fate of those who “adhere to change” and “the ones who do not” give us a great lesson. In this situation where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egan in earnest, we should continue to make efforts to adapt to further changes.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현대사회의 구조가 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초연결사회, 지능정보사회, 안전사회와 같은 새로운 사회 패러다임이 등장하고 있다. 이렇게 새로운 사회 패러다임이 출현하면서, 그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다양한 사회적 공리가 형성 및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새로운 법적 문제 역시 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초연결사회를 통해 사회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빅 데이터가 축적되고, 이러한 빅 데이터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사회적 요구가 축적되면서 인격권을 필두로 하는 각종 정보적 권리가 위기를 맞고 있다. 왜냐하면, 빅 데이터 활용은 인격권, 그중에서도 정보자기결정권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의료 빅 데이터도 우리 인간존재에 커다란 위험이자 도전이 될 수 있다. 현대 초연결사회에서는 각 정보주체가 갖고 있는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공공정보 그리고 정보통신망에 안전하게 참여할 수 있는 권리가 침해될 위험성도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른바 데이터 3법이 제정되었다. 인공지능에게 법적 인격성을 부여할 수 있는지, 자율주행차에게 어떤 도덕적 프로그램을 입력해야 하는지, 자율주행차가 사고를 냈을 경우 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등의 문제 등이 앞으로 강구되어야 할 법적 문제이다. 코로나 사태 이후에는 더욱 리스크 사회가 심화되어 가고 있다. 4차산업혁명기술을 이용하여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추적하며 제어할 수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생활의 “안전”을 위협해온 천재, 병 혹은 식량난과 같은 많은 리스크로부터 상당한 정도로 인간을 해방시켰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과학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많은 새로운 리스크가 발견 혹은 산출되고 있는 것이 현황이다. 한편, 리스크를 평가하고, 그것에 대해 대책을 강구하는 것은, 규제 등을 가하는 측에서나 규제를 받는 기업측에도 상당한 비용이 들게 된다. 따라서 국가가 리스크에 대응할 것인가 아닌가, 어떠한 방법으로 대응할 것인가의 결정에는 비용편익분석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4차산업혁명시대에서도 정부는 시민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급부를 충분히 공급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정부가 독자적으로 급부를 제공할 책임을 이행할 수 없다는 것이 ‘정부의 실패’에 의하여 드러나게 되었다. 따라서 정부는 민간과 책임을 분담하고 분할하여 시민사회에 급부를 제공하도록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화해 왔다. 이제 4차산업혁명은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하여 ‘성과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다. 4차산업혁명시대에서 국가는 전문적이고 더욱 기술적으로 고도화되는 급부에 대하여 위임에 대한 보장책임을 수행해 나가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하겠다. 4차산업혁명시대에는 국경을 초월하여 초연결사회가 구축되어 활발하게 교류하게 된다. 따라서 4차산업혁명시대에는 국제화와 글로벌화가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변화에 순응하는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운명을 보여주는 사례들은 우리에게 큰 교훈을 제공해 준다고 생각된다. 4차산업혁명시대가 본격화된 이 상황에서 우리는 더욱 변화에 순응하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 나가야 할 것이다.

      • RISS 인기논문

        4차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팬데믹과 의료규제의 관계

        도규엽(Do, Gyu-Youp)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0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2 No.-

        4차산업혁명이 의료영역에 있어서 가져온 변화들 대부분이 비대면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 하에서는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모든 영역에 있어서 비대면성이 강하게 요구되므로 4차산업혁명 관련 기술은 코로나 19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팬데믹에 대한 대응으로 이루어진 의료적 조치 내지 행위는 긴급조치 내지 긴급행위로서 허용된다. 치명적 감염병 확산에 대한 고도의 임박한 위험의 존재는 이익형량 구조에서 다른 이익들을 압도하게 된다. 문제는 팬데믹 상황이 종료되었을 때 어떠한 기준으로 여러 의료적 행위를 규제할 것인지인데, 감염병 확산의 위험이 현저히 감소하여 팬데믹 상황이 종료되면, 긴급조치 내지 긴급행위로서 이루어지던 것들에 대하여 새로이 이익형량을 통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다만 코로나 19는 감염병의 대유행을 경계하며 살아가야 하는 시대, 즉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도래케 하였다고 할 수 있고, 현재의 팬데믹이 종료된다고 하더라도 미래 사회에서는 감염병 확산의 위험은 항상 고려해야 할 요소가 되었다. 즉 코로나 19를 계기로 장래에는 팬데믹 상황이 아니라 하더라도 감염병 확산 저지를 통한 국민 생명 · 신체 침해 위험의 감소라는 소극적 이익이 모든 의료 관련 정책의 수립에 필요적으로 고려할 요소가 되었다. 다만 제도의 도입 등이 초래할 수 있는 부작용을 충분히 검토하고 이를 최소화하는 안전장치 등의 마련이 반드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의료 및 헬스케어 영역에 있어서 4차산업혁명은 단순히 원격통신기술의 적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CT 기술, 로봇 기술, AI 기술, IoT 기술, 빅데이터 기술 등과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차원의 의료적 서비스인 디지털 헬스케어로 진화시켰고 이는 의료 및 헬스케어 서비스의 시간적 · 공간적 한계를 무너뜨리고 있다. 그리고 이는 의료소비자 자기주도성 및 예방적 의료의 역할이 강화되어가는 현상과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이 원격의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원격의료의 도입은 시대적으로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추세라고 생각한다. 다만 원격의료의 부작용 내지 문제점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반드시 필요한데, 특히 시행 초기에는 원격의료 대상 범위의 제한, 매개자 등 활용에 대한 규정 마련, 환자 및 가족에 대한 교육, 의료기관별 원격의료 허용 범위의 적절한 분배 등이 유효한 대책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의료정보의 활용 및 관리와 관련하여 이를 통하여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생활의 자유 및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보호 역시 소홀하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4차산업혁명 시대의 의료는 순수의학의 산물이라는 특성에서 벗어나 융합의료의 특성을 지니는 영역이 확장될 것이므로 이러한 혼합적 의료 영역에 대비한 법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고, 의료소비자의 자기주도성 및 예방적 의료의 역할 강화라는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무면허 의료행위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여 의료 면허 내지 의료 관련 자격 없이 할 수 있는 의료행위, 그리고 특정 의료행위와 관련된 비의료적 자격을 가지고 할 수 있는 의료행위의 허용범위를 넓히는 방향으로 법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about the following changes in the medical field ; overcoming the spatial limitations of medical care, the use of digital healthcare and medical information, convergence of robotics and medical care, AI medical care, strengthening self-direction of medical consumers, and strengthening the role of preventive medical care. Currently, medical care is transforming from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of disease to preventive medical care. Most of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edical field are closely related to ‘Untact.’ Under the COVID-19 pandemic, due to the fact that untact(non-face-to-face) is strongly required in all areas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infec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playing a big role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COVID-19. Medical measures or actions made in response to the pandemic are permitted as emergency measures or actions. COVID-19 can be said to have brought about the era of post-COVID-19, in other words, an era in which we must live while guarding against the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s. Even if the current pandemic is over, the risk of spreading infectious diseases has always been a factor to consider in the future society. Meanwhile, considering the fact that major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Germany, and Japan are actively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telemedicine, the introduction of telemedicine is a global trend that cannot be countered by the tim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side effects or problems of telemedicine.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can be provided through the use and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safeguards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freedom of privacy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re not neglected.

      • 독일의 ‘인더스트리 4.0(Industrie 4.0)’과 도전과제

        이원상(Lee, Won-Sang)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0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1 No.-

        3차 산업혁명 이후 독일은 산업혁명의 중심적인 위치에 서 있었다. 독일의 자동차 산업과 기계 산업은 여전히 탄탄하였고, 정보화사회에 대한 대응도 빨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독일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독일 경제가 하향곡선을 그리면서 산업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에 따라 독일은 국가차원에서 새로운 하이테크 전략을 마련하였고, 그와 함께 산업계의 변화를 꾀하게 되었다. 그러나 독일의 하드웨어는 인더스트리 4.0을 충족시키고 있지만, 국민성, 교육, 사회체계, 개인정보보호법 등 소프트웨어는 아직도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와 비교해 볼 때, 한국은 하드웨어, 국민성, 교육, 사회체계 등은 이미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진입해 있지만, 법률적 지원이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지난해 말에 통과된 데이터 3법은 여전히 미흡한 부분이 많다. 중요한 법률들은 여전히 국회에서 계류되다 폐기되고 있다. 더욱이 규제개혁을 위해 제정되는 법률들은 상대적으로 한국기업들만 통제하는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독일과 한국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고 있지만 도전과제도 생겨나고 있다. 그에 따라 독일의 도전과제를 보안문제, 디지털 기계에 의존 및 기계의 결함문제, 일자리 문제, 법적 문제로 구분해 보았다. 독일 인더스트리 4.0의 도전과제는 한국의 도전과제이기도 하다. 독일의 사례를 거울삼아 한국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Since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Germany has been at the center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Germany’s automobile and machinery industries were still solid, and the response to the information society was quick. But facing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ermany faces new challenges. Above all, as the German economy is on a downward spiral, there is a need to respon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industrial sector. As a result, Germany has come up with a new high-tech strategy at the national level, and along with that, it is seeking to change the industry. However, while German hardware meets Industry 4.0, software such as national character, education, social system and privacy law still falls short. By comparison, Korea has already entered the era of the fourth business revolution in hardware, national character, education and social system. But legal aid seems to be falling short of that. The Data 3 Act passed late last year still leaves much to be desired. Important laws are still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being scrapped. Moreover, the newly enacted laws for regulatory reform are creating an imbalance that is relatively controlled only by Korean companies. Germany and Korea are lea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challenges are also emerging. Accordingly, Germany’s challenges were divided into security issues, digital machinery dependence and machine defects, job problems and legal problems. The challenge for Germany’s Industry 4.0 is also a challenge for Korea. Korea should take the lea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analyzing Germany’s case well.

      • ‘게임이용장애’ 규정의 과잉질병화 논란에 대한 법정책적 평가 : 인공지능 역기능에 대한 형사정책적 개입판단의 시사점

        김한균(Kim, Han-Kyun)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0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2 No.-

        디지털 게임은 긍정적 측면을 개발 · 증진할 ‘4차산업혁명 기술이 집약된 융합콘텐츠’일 뿐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과몰입이나 중독 등 예상되는 부작용에 대응한 보건정책으로부터 청소년비행 · 범죄예방정책까지 포괄하는 다양한 정책검토 대상이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게임몰입을 중독이나 비행으로 규정한다면 게임산업에 대한 부정적 파급효과뿐만 아니라 과잉질병화에 따른 과잉치료, 과잉비행화와 과잉범죄화로 가중되는 연쇄현상을 불러올 수도 있다. 이는 4차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할 법정책적 고찰의 의미있는 소재이기도 하다. 형사정책적으로 볼 때도 빠르게 폭넓게 변화 · 발전하는 기술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부작용 문제를 어떻게 파악하고, 문제의 전모가 드러나지 않은 상황에서도 예방적이고 선제적으로 개입할 것인지, 신중히 자제할 것인지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인공지능의 역기능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형사정책 차원에서 해석하면 인공지능 기술을 악용한 범죄와 범죄피해 현상이라 하겠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형사정책적 개입의 적정성은 규범적으로는 형법의 보충성, 실천적으로는 효과성 두 관점에서 판단될 것이다. 인공지능 첨단기술 사회에서도 여전히 형법의 최후수단성 내지 보충성은 견지될 것이지만, 보충적이고 최종적으로 투입할지 여부를 판단한 종래의 기준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혁명적 변화현상 앞에서 예방적 선제적 투입의 필요성은 형사정책적 개입의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다. 물론 문제현상에 대한 섣부른 범죄화도 과잉범죄화이기 때문에, 여전히 형사정책적 개입은 신중해야 한다. 첨단 디지털게임이 기반한 인공지능 첨단기술이나, 그러한 게임을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의 디지털 문화를 경험하지 못한 과거 산업혁명시대의 체험수준에 머물러 있는 사람들이 규범정립자 내지 입법자가 되면 자신의 경험으로 파악하거나 장악할 수 없는 현상에 대해서는 질병이나 비행이나, 심지어 범죄로 낙인찍을 위험이 있다. 아동 청소년기를 컴퓨터와 인터넷 게임속에서 성장해 온 미래 세대들의 문화에 대한 이해 없이 게임이용장애를 도박이나 약물, 알콜중독처럼 질병화하고, 이러한 질병이 비행으로 범죄로 이어질 경우에 대비한 법과 제도를 만들려 한다면 과거의 경험으로 미래의 경험을 제한하려는 정책이 된다. ‘게임이용장애’ 규정의 과잉질병화 논란이 인공지능 역기능에 대한 형사정책적 개입판단에 주는 시사점은 기술에 대한 두려움, 무지, 오해는 4차산업혁명 위험사회와 정보기술사회의 복합적 환경에 처한 형사정책 또한 맞서야 할 문제라는 사실이다. This essay deals with the social issue of gaming disorder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policy. In Korean society, digital game is acclaimed as multi-contents made by high-developed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other hand, it is accused as addictive disorder which make children deviative. In the year of 2019, gaming disorder is defined in the 11th Revision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11) as a pattern of gaming behavior (digital-gaming) characterized by impaired control over gaming, increasing priority given to gaming over other activities to the extent that gaming takes precedence over other interests and daily activities, and continuation or escalation of gaming despite the occurrence of negative consequences. This provides some thoughts on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criminal justice intervention in the technical issu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criminal justice policy is demanded as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ome possible dysfun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National AI Strategy of 2019 and the National Guidelines on AI Ethics of 2020 by Korean government cover some policy concerns on both promotion and regulation of the application of AI technology. The new generation of digital culture experience digital technology, including digital game as critical parts of their life in the age of AI. Over-regulation or over-criminalization of such individual and social experiences of highly-developed technology comes from misunderstanding of the revolutionary chang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egal intervention or regulation without proper evaluation of social problem should be checked when deals with social issues of highly developing technology. This also should be considered for any crime prevention policy on AI.

      • 4차산업혁명시대의 근로시간과 임금체계: 근로시간단축과 유연근로시간제 : 포괄임금제를 중심으로

        유재원(Ryu, Jae-won)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0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1 No.-

        코로나19로 4차산업혁명의 시대가 빨라지고 있다. 현재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걸맞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시점이다. 재택근무가 활성화되었고 근로시간과 근로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노동환경이 조성되는 기점에 놓여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근로시간의 문제로서 유연근로시간제도가 주목받고 있고, 임금산정의 문제로서 포괄임금제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2018년 개정된 개별적 근로관계법(「근로기준법」)에 따라 2020년에 주 최대 52시간을 한도로 하는 근로시간 단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산업현장의 사업주들은 단축된 근로시간에 맞추어 근로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는 유연근무시간제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가시키는 기폭제가 되었다. 유연근로시간제는 업무량이 많은 특정 기간의 근로시간을 연장하고 비교적 한가한 기간의 근로시간을 단축시켜 일정기간 평균 근로시간을 법정근로시간 내로 맞추는 탄력근로시간제가 있다. 그 외에도 선택적 근로시간제, 간주근로시간제, 재량근로시간제, 보상휴가제로 이루어져 있다. 유연근로시간제는 노 · 사간의 합의를 바탕으로 근로시간을 신축적으로 단축하거나 연장할 수 있지만 단축된 법정근로시간을 잠탈하면서 무한정한 장기간 근로를 허용할 여지가 있다. 또한 기존에 비해 연장 · 야간 · 휴일근로 일수가 줄어들어 실질적으로 근로자들의 임금감소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4차산업혁명시대에 유연근로시간제를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하루 최대한으로 배치 가능한 근로시간을 제한해야 한다. 그리고 유연근로기간 가운데 장시간 근로가 집중된 기간은 기존보다 높은 가산수당을 지급하도록 하여 유연근로제의 도입으로 줄어든 임금의 일부를 보존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유연근로시간제가 포괄임금제가 결합될 경우, 포괄임금제라는 명목으로 유연근로시간제를 대체하거나 침해할 수 있다(대체형 또는 침해형). 또한 다른 경우로서, 외관상 유연근로시간제를 시행하면서 포괄임금계약이 병존하여 포괄임금제에 따른 임금을 지급하고 그에 따라 (무한정한) 초과근로를 실행할 수 있다(참칭형). 이러한 유연근로시간제와 포괄임금제의 제도적 결부로 인한 문제점은 유연근로시간제의 제도적 수준을 한층 끌어올리면서 포괄임금제를 흡수하거나 적어도 포괄임금제를 법 제도 내에 들여와야 한다. 이를 통하여 포괄임금제의 운용이 법정근로시간, 유연근로시간제 등에 악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여 해결할 수 있다. With Corona 19,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ccelerating. Currently, an atmosphere suitable fo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forming. It is a time when telecommuting has been activated and a working environment regardless of working hours and places of work is created. In this regard,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is drawing attention as a matter of working hours, and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or inclusive wage) is drawing attention as a matter of calculating wages. Under the Individual Labor Relations Act (the Labor Standards Act of Korea), which was revised in 2018,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which limits up to 52 hours a week, began in earnest in 2020. Business owners at industrial sites have begun to seek various ways to efficiently utilize their working hours in line with their shortened working hours, and among them, interest in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is growing even more.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has ‘a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 that extends the working hours of a certain period of high workload and reduces the working hours of relatively idle periods to meet the average working hours of a certain period within legal working hours. In addition, it consists of ‘selective working hours’, ‘deemed(considered) working hours’, ‘discretionary working hours’, and ‘compensation leave’.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can flexibly shorten or extend working hours based on an agreemen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but there is room to allow long-term work while deviating from the shortened legal working hours. Also, the number of overtime, nighttime, and holiday work days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which actually leads to a reduction in wages for workers. Therefore, even if the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 is introduc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maximum number of hours that can be deployed per day. and During the flexible working period, long-term work hours should be paid an additional allowance higher than before, so that part of the wages reduc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flexible work system can be preserved. In addition, if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is combined, it may replace or infringe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in the name of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 (alternative type or intrusive type). In other cases, the existence of a comprehensive wage contract in the implementation of a seemingly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may result in the payment of wages under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and the implementation of (unlimited) overtime work accordingly ; (tentative type). The problem with this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and comprehensive wage systems is that they should absorb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or at least bring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within the legal system while further raising the institutional level of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Through this,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can be solved by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from adversely affecting legal working hours,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etc.

      • 허위영상물 제작·반포 범죄에 관한 기술적·형사법적 연구

        이경렬(Lee, Kyung-Lyul),김재원(Kim, Jae-Won)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0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2 No.-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의 하나인 인공지능(AI)은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지만, 실제와 구분이 힘들 정도의 가짜 뉴스나 사진, 허위영상물이 딥페이크(deepfake) 기술로 제작되면서 커다란 사회적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반의 딥페이크 관련기술을 악용하는 사례가 신종 사이버 범죄로 변모하고 있다. 최근 발생한 이른바 ‘n번방 사건’은 해외 모바일 메신저인 텔레그램을 통해 미성년자를 포함한 일반여성을 성적 착취한 음란동영상을 공유 · 판매한 디지털성범죄 사건이다. 딥페이크 기술악용 문제는 해당 영상 속의 인물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쉽게 구별할 수 없게 하고, 인터넷 특성상 영구적 삭제가 어렵다는 점이다. 딥페이크는 인공지능 기술로 탄생했지만 지금까지의 활용사례를 보면 인간생활에 가져오는 이점보다는 엉뚱한 피해자를 만들고, 긍정적 측면보다는 딥페이크로 인한 사회적 문제야기 등 부정적 측면이 더 부각되고 있다. 온라인 공간에 축적되는 데이터의 질이 좋을수록 또 데이터의 양이 많을수록 허위영상의 결과물은 실제와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더욱 완벽해진다. 그리고 이들 허위영상물을 이용한 범죄피해가 발생하면 그 피해복구의 완벽도 기대하기 더욱 곤란하다. 범죄자들의 개인적 이익과 왜곡된 성적 욕구 때문에 중립적 기술인 안면인식 기술이 딥페이크 등 범죄적 기술로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류에 선용되도록 하는 법제도 및 과학기술적 대응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검토하고 최근에 자행되는 디지털성범죄, 이미지 기반의 성적 학대에 대한 몇몇 제언을 하였다. Artificial intelligence,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kes human life convenient. However, as fake news, photos, and fake videos that are hard to distinguish from the real world are produced using deep fake technology, it is also a big social problem. As such cases of ab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ep fake technology are increasing, it is transforming into a new kind of cyber crime. The recent so-called “n-room crime” is a digital sex crime case in which pornography videos are shared and sold against women including minors through Telegram, a mobile messenger. The problem of exploiting deepfake technology is that it cannot be easily distinguished whether the person in the video is real or fake, and it is difficult to delete permanently due to the nature of the Internet. Deepfake was born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ut in the use cases so far, it makes the wrong victim rather than the beneficial advantages it brings to human life, and the social problems or negative aspects caused by deepfakes are more prominent than the positive aspects. The better the quality of the data accumulated in the online space and the greater the amount of data, the more perfect the result of the false image is indistinguishable from the real one. And if crime damage occurs using these false images, it is more difficult to expect the perfection of the damage recovery. Due to the personal interests and distorted sexual desires of criminals,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which is a neutral technology, is prevented from being abused as criminal technology such as deep fakes, and reviewed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legal system a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sponse to make good use of humanity, and recently committed. Some suggestions for digital sex crimes and image-based sexual abuse.

      • 디지털 혁명 시대의 정보격차(디지털 디바이드) 현실과 해결 방안

        강민구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1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4 No.-

        21세기 디지털 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전 세계 각국이 디지털 혁신의 길로 일로매진하고 있다.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거대 IT 기업들이 80억 세계 대중을 위하여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무상으로 공급하는 대신에, 그 사용에 따라 수업료 성격으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빅데이터를 취합시켜 새로운 서비스와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는 과거 2000년대 초반에 국가 정책으로 정보화 초고속망을 깐 이후에 2009년 이후 스마트폰 시대를 맞이하여 청소년들은 디지털 네이티브로 이 세상에 왔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으나, 나이 들어 이 디지털 세계에 입문한 대부분의 세대에서 디지털 디바이드(정보격차) 현상이 많이 벌어지고 있다. 대부분 이용자는 스마트폰을 슈퍼컴퓨터로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전화 · 카톡 · 검색 · 문자 · 유튜브 재생 기계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조금만 더 깊이 탐구하면, 스마트폰을 업무 생산성 향상의 최적 도구로 이용함과 동시에, 각 사용자 개인의 여러 가지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필수 도구가 될 수 있음에도 그에 대한 탐구가 부족해서 비싼 스마트폰을 그 가치의 몇 퍼센트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작금의 한국 현실이다. 이러한 디지털 디바이드는 가장 기본적으로는 사용자 개인의 탐구심과 평생 학습 노력이 부족한 것에 기초하지만, 더 근원적인 문제는 우리 사회나 국가가 일반 대중의 디지털 활용 능력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교육의 장을 마련해 주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이다. 디지털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특히, 60대 이상의 노년세대는 어찌 보면 이 스마트폰 이용에 따르는 디지털 복지 혜택을 가장 많이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거의 디지털 문맹에 가까운 힘든 처지에 놓여 있다, 이러한 디지털 디바이드를 하루빨리 격파해야 나라가 진정한 선진국이 되고, 구성원 간의 정보 격차도 해소되며, 좌 · 우 이념 대립도 바른 정보 습독으로 인해 저절로 해결될 것이다. 이제는 국가나 사회가 앞장서서 이러한 대중들의 디지털 문맹을 타파하기 위한 현실적이고 실효적인 여러 방책을 마련해서 시행해야 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2017. 1. 이후 그동안 직접 ‘디지털 상록수’를 외치면서 경험해 본 우리 사회의 디지털 디바이드 병폐 현상을 분석하고, 그것에 대한 해결책을 필자 나름대로 제시해 보았다. 필자의 이러한 디지털 상록수로서의 꿈이 필자 개인의 노력에 머무르지 않고 사회와 국가가 같이, “국민과 함께 하는” 그와 같은 사회로 나아가기를 이 글을 적으면서 마음속에 간절히 담아 본다.

      • Level4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를 위한 2021년 독일 도로교통법 개정과 시사점

        차종진(Cha, Jong-Jin)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1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3 No.-

        제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고 있는 지금의 상황에서 자율주행자동차는 그 어느 분야보다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독일은 기술개발 뿐 아니라 자율주행자동차의 일상적 통행에 관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 왔다. 이미 2017년 도로교통법을 개정하여 3단계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하여 규율한 바 있으며, 2017년 6월 연방교통 · 디지털인프라부(Bundesministerium für Verkehr und digital Infrastruktur, BMVI)가 소집한 독립적인 전문위원회인 ‘윤리위원회 - 자동화 및 네트워크화 주행(Ethik-Kommission Automatisiertes und Vernetztes Fahren)’의 활동을 통하여 ‘자동화 및 네트워크화된 자동차교통에 대한 윤리지침(Ethische Regeln für den automatisierten und vernetzten Fahrzeugverkehr)’을 성안하였다. 이어 2021년 5월 28일에는 4단계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를 위한 도로교통법개정법률안이 연방참사원(Bundesrat)에서 승인되어 시행을 앞두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자율주행자동차를 신성장 산업으로 인식하고 꾸준한 개발 노력을 다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제도적 측면에서 소극적인 자세로 임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율주행자동차의 통행과 관련한 실체적 규정이 아직 도로교통법에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한 독일의 최근 도로교통법 개정동향을 소개하고, 단편적이나마 국내 법제도 정비상황과 짚어보고자 한다. In der aktuellen Situation, in der die 4. industrielle Revolution im Gange ist, werden autonomen Fahrzeuge mehr als in jedem anderen Bereich für ihr Potenzial anerkannt. Vor diesem Hintergrund hat Deutschland große Anstrengungen unternommen, um nicht nur die Technologie zu entwickeln, sondern auch einen institutionellen Rahmen für den täglichen Durchgang autonomer Fahrzeuge zu schaffen, und es scheint, dass einige Ergebnisse erzielt wurden. Deutschland hat bereits 2017 das Straßenverkehrsgesetz überarbeitet, um autonome Fahrzeuge der Stufe 3 zu regulieren. Darüber hinaus hat die „Ethik-Kommission Automatisiertes und Vernetztes Fahren“, die vom Bundesministerium für Verkehr und digitale Infrastruktur (BMVI) im Juni 2017 einberufenen und unabhängigen Expertengremium für automatisierten und vernetzten Fahrzeugverkehr war, „Ethische Regeln für den automatisierten und vernetzten Fahrzeugverkehr“ bekannt gegeben. Am 28. Mai 2021 wurde dann ein Gesetzentwurf zur Änderung des Straßenverkehrsgesetzes zur Kommerzialisierung autonomer Fahrzeuge der Stufe 4 vom Bundesrat anerkannt und steht kurz vor der Umsetzung. Auch Korea erkennt autonome Fahrzeuge als neue Wachstumsbranche an und bemüht sich stetig um deren Entwicklung. Dennoch können wir den Eindruck nicht auslöschen, dass wir in rechtlicher und institutioneller Hinsicht mit einer passiven Haltung arbeiten. Materielle Regelungen zur Durchfahrt autonomer Fahrzeuge sind bekanntlich noch nicht in der Straßenverkehrsordnung ausgearbeitet. Daher stellt diese Studie die jüngsten Novellierungen des Straßenverkehrsgesetzes in Bezug auf autonome Fahrzeuge in Deutschland für die Kommerzialisierung autonomer Fahrzeuge vor und vergleicht und analysiert sie, wenn auch fragmentarisch, mit dem koreanischen Rechtssystem-Erhaltungsst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