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침과 이완요법 병행치료에 대한 중의학 연구동향

        이승환 ( Seung-hwan Lee ),배영롱 ( Yeong-long Bae ),신아리 ( A-ri Shin ),김상호 ( Sang-ho Kim ),임정화 ( Jung-hwa Lim )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17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28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trend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on combined treatment of acupuncture and relaxation therapy. Methods: Clinical trials based on acupuncture and relaxation therapy searched and were selected from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In this study we selected clinical research articles using acupuncture and relaxation therapy as intervention. Studies were assessed by Risk of Bias (RoB) tool, and Jadad scale. Results: Eleve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combined treatment of acupuncture and relaxation therapy were selected, and these studies were published in China. Most studies have targeted psychiatric disorders such as insomnia and anxiety. Manual Acupuncture (MA) was the most used acupuncture treatment, and in five studies two or more relaxation therapies were used in parallel. Although the treatment result using acupuncture and relaxation therapy was superior, heterogeneity of the control group was high and it was difficult to estimate additional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Conclusions: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mbination of acupuncture and relax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control in most studies. However, quality of most studies was low. Therefore, higher quality clinical research on combined treatment of acupuncture and relaxation therapy is required.

      • SCOPUSKCI등재

        Reducing Irrational Beliefs and Pain Severity in Patients Suffering from Non-Cardiac Chest Pain (NCCP): A Comparison of Relaxation Training and Metaphor Therapy

        ( Mostafa Bahremand ),( Gholamreza Moradi ),( Mozhgan Saeidi ),( Samira Mohammadi ),( Saeid Komasi ) 대한통증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Pain Vol.28 No.2

        Background: Patients suffering from non-cardiac chest pain (NCCP) can interpret their chest pain wrongly despite having received a correct diagno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the relaxation method with metaphor therapy for reducing irrational beliefs and pain severity in patients with NCCP. Methods: Us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33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relaxation training group (n= 13), a metaphor therapy group (n = 10), and a control group (n = 10), and were studied for 4 weeks. The two tools used in this research were the Brief Pain Inventory (BPI) index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pain and the short version of the Jones Irrational Belief Test. Metaphor therapy and a relaxation technique based on Ost’s treatment were used as the interven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a Chi-square test, and the Bonferroni procedure of post-hoc analysis. Results: The relaxation training method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both metaphor therapy and the lack of treatment in reducing the patients’ beliefs of hopelessness in the face of changes and emotional irresponsibility, as well as the pain severity. Metaphor therapy was not effective on any of these factors. In fact, the results did not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metaphor therapy. Conclusion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elaxation method as compared with metaphor therapy and the lack of treatment in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relaxation should be paid greater attention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status of patients. In addition, more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metaphor therapy in this area. (Korean J Pain 2015; 28: 88-95)

      • KCI등재후보

        뇌파변화 분석을 통한 약손요법 복부마사지가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정희,최태부,안성관,리순화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8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6 No.4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Yak-Son Therapy' abdominal massage on the stress relaxation by analyzing changes of the brain wave. Ten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were stressful state and had not taken any medication before on the were chosen for the study. They were in a sitting position and not allowed to talk or move during the measurement the brain wave. After the massage, the stress quotient was changed statistically and this showed that stress relaxation quotient was risen by 'Yak-Son Therapy abdominal massage. Fundamental rhythmic quotient and autoregulation quotient were also changed statistically and muscle tension was diminished on the abdominal region. Attention quotient, activity quotient, emotion quotient, stress quotient, right and left brain balance quotient, and brian quotient all increased statistically. This means that stress was reduced and stress quotient was increased relatively. Taken all together, the data presented in this thesis have given an evidence that 'Yak-Son Therapy' abdominal massage has an effect on relieving stres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Yak-Son Therapy' abdominal massage might be a good method for modern people who suffered from lots of stres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Yak-Son Therapy' abdominal massage on the stress relaxation by analyzing changes of the brain wave. Ten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were stressful state and had not taken any medication before on the were chosen for the study. They were in a sitting position and not allowed to talk or move during the measurement the brain wave. After the massage, the stress quotient was changed statistically and this showed that stress relaxation quotient was risen by 'Yak-Son Therapy abdominal massage. Fundamental rhythmic quotient and autoregulation quotient were also changed statistically and muscle tension was diminished on the abdominal region. Attention quotient, activity quotient, emotion quotient, stress quotient, right and left brain balance quotient, and brian quotient all increased statistically. This means that stress was reduced and stress quotient was increased relatively. Taken all together, the data presented in this thesis have given an evidence that 'Yak-Son Therapy' abdominal massage has an effect on relieving stres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Yak-Son Therapy' abdominal massage might be a good method for modern people who suffered from lots of stress.

      • KCI등재

        근이완요법이 교통사고 환자의 스트레스와 불안에 미치는 영향

        최운주(Choi Woon Joo),은영(Eun Young)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010 근관절건강학회지 Vol.17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herapy on stress and anxiety of traffic accident patients. Metho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 hospitalized patients at orthopedic ward. An experimental group receive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herapy five times each week for four weeks beginning from the fourth day following the injury, whereas a control group received regular care. A tape of Jacobson's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herapy recorded in Korean by the Rheumatoid Health Academic Society was used for relaxation therap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3.0 for Windows. Results: Patients who receive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herapy experienced lower level of stress (t=-9.829, p<.001) and anxiety (t=-15.303, p<.001) than those who did not. Conclusion: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herapy may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levels of stress and anxiety of traffic accident patients.

      • KCI등재후보

        척추마취 수술환자의 불안감소를 위한 이완요법 적용 효과

        문현숙 ( Hyeun Sook Moon ),이향련 ( Hyang Yeon Lee ),이지아 ( Ji A L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수술을 받는 척추마취 환자에게 수술 전날과 척추마취 전 이완요법을 적용함으로써 이완요법이 척추마취 수술환자의 불안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1. 이완요법이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 척추마취 전 실험군의 상태불안은 35.00점이고 대조군의 경우 44.55점으로 나타나 Spielberger (1972)기 보고한 입원환자 의 불안정수 42.68점보다는 실험문은 낮게 니타났으며 대조군 은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국내에서 보고한 Lee (2004)의 자궁 절제술 수술환자의 수술 전 불안점수 49.42점과 Woo (2003) 의 척추수술 환자의 수술 전 불안점수 48.75접보다는 낮게 나 타났다. 이완요법이 상태불안에 미친 효과를 보면 본 연구에서는 척추마취 시술 전, 이완요법 적용 후 상태불안은 실험군의 경우 35,00점에서 2318점으로 감소하였고, 이완요법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에도 감소의 폭은 실험군에 비해 낮았으나 44.55점에서 33.64점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시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 가 있었으나(F=6.392, p=.003), 두 집단 간,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083, p=.921), 이는 Park (2005)의 연구에서 중환자 실에 입원한 관상동맥확장술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관상동맥 확장 시술 전남부터 시술 2시간 전까지 최소 5회에서 최대 9회 까지 이완요법을 시행하였으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 한 차이가 없었던 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중환자실에서 관상동맥확장술이라는 심장관련 중재술을 앞두고 환자의 불안이 더 가중 되었을 것이며 개심술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시술에서는 이완요법을 적용하여도 상태불안 감소에 영향을 마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러나 척추수술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Kim (1996)의 연구, 기관시내시경검사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Lee (2002) 의 연구,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Park (2005)의 연구 결과들은 이완요법을 받은 심혐군이 대조군보다 상태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에서 이완요법이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일치하지 않은 연구 결과는, 상태불안은 시간이 지남 에 따라 시각적인 변통이 수반되고 그 강도가 자주 변화한다는 점(Spielberger,1972)에서 실험 처지 후 즉시 조사했을 때와 시간이 경과한 후 조사한 것의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이완요법의 효고를 높이기 위해서는 Kim (1996)의 연구 결과와 같이 이완요볍을 3회 이상 반복 시행하여 수술환자에게 자연스럽게 내면화되기를 기다려야 하는데, 본 연구 대상 병원 은 수술에 필요한 보든 절차를 외래로 내원하여 시행 확인 후 수술 전남에 입원하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술 전날과 수술 당일 척추마취 시술 전에 이완요법을 시행할 수밖에 없어 수술 후 상황에 적절하지 못했거나 내재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없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이완요법의 기본 조건인 정선적 집중, 수동적 태도, 근육긴장 감소, 조용한 환경의 4가지 기본 조건,(Chun, 2004) 에서 본 연구대상의 병원 정형외과 병동은 3인설 이상의 다인 실 병동으로 수술환자에게는 보호자와 방문객이 많았고, 척추 마취 시술 전 이완요법을 시행한 통원환자 회복실에서의 환자 , 보호자 통제 시설도 미흡하여 시행 시 환경적인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 결과에서는 척추마취 수술환지에게 이완요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김소는 없었으나, 연구 진행 과정에서 시간과 공간의 확보를 위한 노력과 이완요법 적용을 위한 환경적 제약 부분 등을 보완하면, 수술과 같은 특정 상황과 관련하여, 의식이 있는 척추마취 환자가 수술 중 경험하게 되는 불안을 감소시키는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신체적 훈련을 통한 인지적 측면의 이완요법 적용과 함께 감정적, 정서적 측면의 지지를 함께 제공하여 수술환자불안 완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는 간호중재로 반복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2. 이완요법이 혈압 및 맥박에 미치는 효과 불안의 생리적 반응은 자율 신경계를 활성화시키므로 교감 신경과 시상하부가 자극을 받아 심장, 뇌조직 및 근 골격계를 제외한 모든 기관의 혈관을 수축시켜 말초 저항을 증가시킴 으로서 혈압을 상승시카고, 심근자체의 수축력을 강화시켜 심박 동수와 심박출량을 증가시킨다(Smeltzer & Bare, 1992). 특히 수술이나 심근 경색중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으로 인하여 교감 신경계가 활성화되면 혈압과 맥박이 증가되고 반대로 이완되면 부교감신경이 증진되어 혈압과 맥박이 감소된다. 이러한 기전에 의하여 혈압상승과 빈맥, 호흡증가, 피부 창백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러한 증상과 증후는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Su et .la 2004). 이완요법이 수축기 혈압에 미친 효과를 보면 본 연구에서는 척추마취 시술 전, 이완요법 적용 후 수축기 혈압은 실험군의 경우 125.55 mmHg에서 121.23 mmHg로 감소하였고, 대조 군의 경우 134.77 mmHg에서 122.64 mmHg로 실험군과 대 조군 모두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시 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6.637, p=.002), 두 집단 간,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1.242, p=.294). 이러한 결과는 기관지내시경검사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Lee (2002), Im (2003)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수축기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되지는 않았으나 인공슬관절 환자에게 이완요 법을 적용한 Kim (2005)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이완 요법으로 수축기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완기 혈압은 실험군의 경우 73.55mmHg에서 69.27mmHg 로 감소하였고, 대조군의 경우 77.45mmHg에서 69.41mmHg 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시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9.997, p=.000), 두 집단 간,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601, p=.55l). 이러 한 결과는 기관지내시경검사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Lee (2002)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이완기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지는 않았으나, 인공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에 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Kim (2005)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이완기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 타났다. 맥박은 실험군의 경우 76.36회/분에서 70.32회/분으로 감소 하였고, 대조군의 경우 78.64회/분에서 69.68회/분으로 실험 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시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8.856, p=.000), 두 집단 간,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346, p=.708). 이러한 결과는 기관지내시경검사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Lee (2002), Im (2003)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맥박이 유의 하게 감소되지는 않았으나, 인공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Kim (2005)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맥박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에서 이완요법이 혈압 및 맥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일치하지 않은 연구 결과는, 이완요법의 이완효과를 생리적으로 측정한 연구 결과들이 서로 일치되지 않으며, 그 가치 또한 제한적이고 낮은 수준의 생리적 각성상태의 변화는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견해(Sims,1987)와, 대상자에게 적용한 이완요법의 방법 및 실시된 횟수가 다양하고 이완요법에 반응하는 개개인의 생리적 다양성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정상인이 이완요법에 의해 혈압이 낮아지는 정도는Wal-lace와 Benson (1976)이 제시한 묵상에 의한 정상적 혈압 하강 과 비슷한 결과로, 수축기 혈압은 6-8mmHg 정도, 이완기 혈 압은 5 mmHg정도로 매우 적은 것이라고 보고한 Cho (1982) 와, 맥박수의 변화보다는 맥박의 variability가 긴장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타당하다는 Porges (1972)의 연구 보고도 있어, 혈 압과 맥박이 불안측정 도구로서의 유용성은 아직 논란의 여지 가있다고 보겠다. 그러나 이완반응의 생리적 지표인 혈압과 맥박을 포함한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복잡하고 많으며,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서도 다양한 변화를 보일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 결과 혈압과 맥박에서 변화가 없는 이유는 대 상자 대다수의 혈압과 맥박이 정상수준 이내에 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수술이나 검사의 중요성, 위협정도,수술시간 등에 의해 불안 정도가 변화하며 혈압과 맥박의 측정시기에 서 측정치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이완요법을 적용 받는 대상자 와 시기에 따라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 결과에서는 이완요법 적용 후 혈압과 맥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는 없었으나, 이완요법의 적용시기와 방법에 따라 측정값이 변화할 수 있고, 연구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개인차, 그리고 환 경의 내 · 외적 요인을 보다 철저하게 통제하고 적용하여 대상 자를 확대하여 반복 측정할 경우 이완반응의 생리적 지표에 효 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to reduce anxiety level among spinal anes-thesia surgery patients.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pre-and-posttest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15-min muscle relaxation therapy on the day before the surgery and an hour before the spinal anesthesia. Data were collected from 44 patients (22 in experimental and 22 in con-trol group) who were planned to have spinal anesthesia surgery from an orthopedic surgery department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January 13 to March 21, 2006.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lower level of state anxiety after the surgery (23.18 vs. 33.64) than did control group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or pulse rat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surgery. Conclusions: The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polish the muscle relaxation therapy for various types of patients and to create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setting for application of the therapy. The muscle relaxation therapy may be a convenient and useful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anxiety among spinal anesthesia surgery patients if more studies prove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Effects of using Natural and Artificial Flowers in Flower Arrangement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laxation

        양재원,이민선,정다워,박범진 인간식물환경학회 2022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5 No.1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natural and artificial flowers inflower arrangement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laxation. Methods: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natural flowers in terms of physiological relaxation during flower arrangementwork, heart rate variability (HRV) was measured while 15 people were conducting flower arrangement with natural flowersin comparison with artificial flowers.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Profile of Mood States (POMS), and semantic differential (SD) method were used during flower arrangement to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s. Results: The physiological relaxation of natural flowers shows that flower arrangement using with natural flowers duringthe first 5 minutes significantly inhibits sympathetic activity compared to artificial flowers. This result proves that flowerarrangement using natural flowers reduces the tension and improve relaxation. A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psychological effects, the STAI proves that flower arrangement using natural flowers can better reduce anxiety and relaxthe subjects than artificial flowers. The result of SCL-90-R test shows that flower arrangement using natural flowers cansignificantly reduce depression. The result of the POMS shows that flower arrangement using natural flowers cansignificantly reduce tension, anxiety and depression compared to artificial flowers. The result of the SD method shows thatthe subjects had a significantly more positive impression of flower arrangement using natural flowers than that usingartificial flowers in terms of feeling ‘pleasant’ and ‘calm’. Conclusion: The result imply that flower arrangement using natural flowers can be more effective for relaxation andrecovery from stress and can improve relaxation and calmness of human body compared to artificial flowers.

      • SUKI 대체요법이 스트레스 이완/각성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변상준(Sang joon Byun),송지수(Ji soo Song),김근조(Keun jo Kim),홍성균(Seong gyun Hong) 대체의학회 2013 대체의학회논문지 Vol.2 No.3

        스트레스는 일생동안 우리 몸에 끊임없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일종의 신체 면역 반응시스템으로 일정한 리듬을 갖고 있는 뇌파에 영향을 주게 되면 신체 다른 기관에 파급효과를 주게 된다. 즉 스트레스가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되면 우리 몸은 편안해지고, 부정적으로 작동하게 되면 육체적, 정신적으로 몸의 균형이 깨지고 지속되게 되면 여러 가지 신체장애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불안정성을 야기시키는 스트레스를 SUKI(Superficial Using Ki energy Instrument) 대체요법으로 발반사요법(Foot Reflex Therapy)의 간(liver) 반사구를 자극하여 이완/각성과 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N대학교 학생 20∼25세의 일상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대학생 20명에게 5주간 주 1회 진행하였다. 측정은 Telescan(LXE5208) 프로그램으로 SUKI 대체요법 적용 전, 후에 뇌활성 뇌파(EEG, Electroencephalogram)변화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오차를 구하였고, 측정집단간의 유의성 검증은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스트레스의 뇌파결과 2차, 3차는 높게 나타났으나 1차, 4차, 5차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이완/각성(흥분)의 뇌파결과 4차, 5차는 높게 나타났으나 1차, 2차, 3차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3. 뇌활성의 뇌파결과 2차는 높게 나타났으나 1차, 3차, 4차, 5차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본 연구에서 SUKI 대체요법에 의한 F.R.T(발반사요법) 간 반사구 자극이 특정 뇌파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는 SUKI 대체요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about SUKI which can effort to brain wave. For this study At first, stimulated of Liver reflex point of FRT and SUKI alternative therapy program through Telescan (LXE5208) Learn how to affect impact of stress relaxation / arousal brain activity stimulate changes in the electroencephalogram (EEG, Electroencephalogram) conducting research was N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stimulation of SUKI 5 times for 5 weeks, and all EEG changes after alternative therapies SUKI measuremen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brain wave with stress: It shows 2nd, 3rd times high but 1st, 4th, 5t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p<.05). 2. The results of relaxation / arousal of brain wave: It shows 4th, 5th high but 1st, 2nd, 3rd shows significant difference(p<.01). 3. The results of brain wave of brain activity: It shows 2nd high but 1st, 3rd, 4th, 5t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p<,01). And so this study could confirmed about the stimulation of the Liver reflex point of F.R.T. by SUKI alternative therapy which gives effect to a special brain wave and It can help for the reduce & solve the stress. After it try to needs the continuous and systemical research for this SUKI. In the future in korea, we hope it will develop and progressing about multi alternative therapy like SUKI alternative therapy.

      • KCI등재

        미용대체요법이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

        권혜진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female office workers in relieving their stress in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nd maintaining a healthy and beautiful life by analyzing the complex effects of alternative beauty therapy on stress relaxation targeting 50 female office workers in their 30s to 40s, usually showing a high stress index due to their work. Aroma therapy and dry relax massage were carried out for 15 minutes as a beauty therapy, and stress index of the subjects was confirmed through survey before performing the beauty therap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four weeks, and the cortisol concentration in saliva was analyzed for the outcome measurement. As a result, average stress index was 3.97 which showed a high value, and the cortisol concentration of the subjects after the experiment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nd especially subjects who were married and had caregiving responsibility showed more changes in their cortisol concentration. The above result shows that dry relax massage using aroma is highly effective for mind and body relaxation of women in their 30s to 40s who are significantly stressed. If such beauty measures are applied properly, it is judged to be helpful for managing the stress. 본 연구는 평소 자신의 업무에 대하여 지각하는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30~40대 직장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미용대체요법이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분석하여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여성 직장인들이 받는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미용요법은 향기요법과 건식 이완 마사지를 15분간 시행하였으며, 시행 전 설문을 통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주1회 4주간 시행되었고 결과 측정은 타액 내 코티졸의 농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 전 스트레스 지수 평균은 3.97로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 후 대상자들의 코티졸 농도는 유의하게(p<0.05) 낮아졌고 특히, 기혼과 부양책임을 가진 대상자들에게서 더 많은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향을 이용한 건식이완 마사지는 스트레스가 심한 30~40대 여성들의 심신 안정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미용적 방안을 잘 적용한다면 스트레스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교통사고 후 경항통 환자를 대상으로 근이완약침과 추나치료에 대한 후향적 비교효과 연구

        한국인,전용태,신선호,이정한,고연석,Han, Kuk-In,Jeon, Yong-Tae,Sin, Seon-Ho,Lee, Jung-Han,Ko, Youn-Seok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16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Vol.11 No.1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 of Muscle Relaxation Pharmacopuncture(JS5-MR) and Chuna Manual Therapy on the patients with neck pain caused by traffic accidents. Methods : We investigated 39 cases of patients with neck pain cased by traffic accidents, who had been treated from April 2014 to December 2014. We divided patients into two groups : Group A was treated with Muscle Relaxation Pharmacopuncture and Group B was treated with Chuna Manual Therapy. We measured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using Visual Analog Scale(VAS) and Neck Disability Index(NDI) score. Results : In result each group had significant decrease in VAS and NDI after treatment. Group A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s compared to Group B in NDI chan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S chang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Chuna Manual Therapy and Muscle Relaxation Pharmacopuncture are effective in reducing neck pain casued by traffic accidents. Muscle Relaxation Pharmacopuncture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NDI. Further well designed prospective study is needed.

      • KCI등재후보

        요가의 치료적 관점과 효과에 대한 고찰

        왕인순(In-soon, Wang) 한국요가학회 2010 요가학연구 Vol.3 No.1

        현대 사회에서 요가는 심신의 다양한 질병과 스트레스 관리에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보완대체의학의 5대 영역 중 심신 치료개입 영역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요가의 치료적 관점과 치료적 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전일 건강 모델로서의 요가를 조망해보았다. 판차 코샤 모델에 근거한 요가의 인간관과 전일주의 원리, 그리고 요가치료의 원리와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요가는 근골격계와 심폐 기능을 향상시키고 통증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부정 적인 정서를 완화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증진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데, 심신 의학과 통합의학에서 주목하고 있는 요가의 치료적 효과와 기전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실험 논문과 임상 결과들을 근거로 요가 자세와 호흡, 이완의 생리적・심리적 효과들을 살펴봄으로써 요가의 치료적 효과를 개괄적으로 제시하였다. 요가는 현대 의학의 통합적 접근과 현대 심리상담의 보완적 접근에 매우 유용한 분야로 평가할 수 있다. Yoga is used effectively for the management of various illness and stress in modern society and yoga is classified as mind-body intervention among 5 categorization of Alternative and Complimentary Medicine. This study researches yoga as a holistic health model by examining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yoga. This study reviews a view of human and a holistic perspective of yoga, and principles and methods of yoga therapy. Yoga is very effective on musculoskeletal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pains and fatigue, stress reduction, and emotional disorders. It presents the therapeutic mechanism of yoga that Mind-body Medicine is studying on the basis of clinical study outcomes. And it examines in a general way the therapeutic effects of yoga focusing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yoga postures, yoga breathing and yoga relaxation. It is concluded that Yoga is evaluated as a very useful method for integrative approaching of western medicine and for complimentary method of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