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증권집단소송법과 회계개혁법안의 도입이 이익조정수준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권혜진 韓國公認會計士會 2010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2 No.-
Enron과 Worldcom의 분식회계의 파급효과로 인해 회계와 경영활동에 대한 보다 높은 수준의 투명성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미국에서는 Sarbanes-Oxley Act(SOX)가 제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관련하여 2003년 12월에 증권집단소송법과 일련의 회계개혁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 법안들의 도입 이후의 이익조정수준 및 행태의 변화를 회계 선택을 이용한 이익조정 활동과 기업의 실제 경영활동을 이용한 이익조정 활동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회계 선택을 이용한 이익조정의 측정치로 재량적 발생액을, 실제 영업활동을 이용한 이익조정의 측정치로 Roychowdhury(2006)의 실제 이익 조정치를 사용하여 확인해 보았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의 총 2,498개의 기업_연도 표본에 대하여 수정된 Jones 모형에 의하여 추정된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과 실제 활동을 이용한 이익조정치를 사용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과 실제 활동을 이용한 이익조정이 보고이익의 조정을 위하여 동시에 이용되고 있으며, 동 법안의 도입 이후에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수준은 감소했지만, 이와는 달리 실제 영업활동을 이용한 이익조정수준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적인 이익조정수준의 감소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확정적인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관련 법안의 도입 이후의 이익조정수준과 행태의 변화를 재량적 발생액과 실제 활동을 이용한 이익조정치를 사용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해 보고, 관련 법안의 도입과 이익조정 행태의 변화에 대한 관련성을 깊이 있게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규제 당국과 연구자,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accrual-based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after the adoption of various accounting reform acts, such as Korean Class-Action Securities Litigation Act and Korean version of Sarbanes-Oxley Act (K-SOX) which became effective from the year 2004. Before the related regulations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at the end of the year 2003, it had been recognized that earnings management was prevalent in most Korean firms. Due to the crisis from Enron and Worldcom in the year 2000, the needs of the strict regulation and accounting standards are increased world-widely. Therefore, during December 2003, Korean Class-Action Securities Litigation Act was enacted and K-SOX passed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and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operating activities. To measure the level of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performance-matched discretionary accrual from modified Jones Model(1995) i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changes in real earnings management, I follow the methodology suggested by Roychowdhury(2006) and Cohen et al.(2008). According to the Roychowdhury(2006), real operational activities are classified to sales, production and spending discretionary expense activity. Real earnings management metrics such as abnormal cash flow from operation, abnormal production costs and abnormal sales and administrative expenses in those activities are measured and used in the analysis. Empirical results using 2,498 firm-year observations collected during the periods from the year 2000 to the year 2006 reveal that the level of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has decreased but income-increasing real earnings management in operating activiti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alyzing the changes in earnings management in two aspects after the adoption of accounting reform acts shows that the decrease in the level of accrual-based earning management and the increase in income-increasing real earnings management are associated each other closely.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income-increasing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nsequently, it's not clear if overall the level of earnings management decreased after the passage of the Acts. These findings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implication to regulators, academics and investors. The results clearly reveal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the Acts, i.e.,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real earnings management.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could have more serious consequence than accrual-based manipulation. Therefore the regulators should be careful in adopting new rules, considering these elusive responses of firms in order to manage earnings consistently.
권혜진,임희경 대한중재학회 2025 중재학회지 Vol.2 No.1
멜라닌은 다양한 생명체에서 생성되는 고분자 생물색소로, 주로 자외선 차단, 항산화, 세포 보호 등의 중요한 기 능을 수행한다. 멜라닌의 주요 유형으로는 유멜라닌, 페오멜라닌, 알로멜라닌, 뉴로멜라닌 등이 있으며, 각 유형은 고유한 합성 경로와 화학적 특성을 지닌다. 최근 연구에서는 멜라닌이 다른 물질과 결합하여 형성되는 멜라닌 복합체의 화학적 구조, 생성 과정 및 생리학적 효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멜라닌과 멜라닌 복합체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종합하고, 이들이 피부 보호, 자외선 차단, 면역 반응 및 항산화 작용 등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였다. 또한, 멜라닌 복합체가 멜라닌의 기능적 특성을 증대시키는 기전과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고, 향후 연구 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Melanin is a polymeric biopigment produced in various organisms, primarily performing essential functions such as UV protec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cellular protection. The main types of melanin include eumelanin, pheomelanin, alomelanin, and neuromelanin, each having distinct synthesis pathways and chemical properties. Recent studies have increased interest in the chemical structure, formation processes,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melanin complexe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melanin with other substances. This paper reviews existing research on melanin and melanin complexes, analyzing their impact on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such as skin protection, UV shielding, immune response, and antioxidant activity. Furthermore, it examines studies on how melanin complexes enhanc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melanin and discusses potenti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권혜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12
본 연구는 유아주도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탐색해 봄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중심 교육과정을 내실화하고 유아주도 놀이를 활성화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3월 3주부터 6월 4주에 걸쳐 6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1인당 1~4회의 총 15회를 실시하였고 회당 면담시간은 50분~90분 소요되었다. 면담 내용은 녹음되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주도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유아주도와 교사의 방임의 경계, 자유놀이 속에서의 즐거움과 불안, 놀이를 대하는 교사의 조급함과 불안의 범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유아주도 놀이 실천을 위한 교사 역할을 논의하였다.
S.Freud 꿈분석에 관한 연구동향 -국내학술지 중심-
권혜진,신동열 산업진흥원 2023 산업진흥연구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꿈분석에 관련한 연구가 얼마나 이루어졌는가를 알아보기 위함이고 꿈의 연구의 필요성과 꿈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프로이드의 꿈분석에 관한 연구 2019년부터 현재 2023년까지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도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키워드 분류절차를 거쳐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분류범주는 정신분석, 국내학술지, 꿈분석, 꿈해석, 꿈분석 연구동향, 꿈 연구동향 등으로 검색하였고 그 중에서도 특히, 정신분석, 꿈분석, 국내학술지,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결론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국내학술지 내 꿈분석에 관한 연구동향 연구들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았다. 둘째, 꿈분석 키워드 중심 연구동향도 그 비율이 현저하게 낮았다. 셋째, 꿈분석의 활용과 빈도도 적었다. 넷째, 꿈분석을 토대로 한 한국형 검사도구들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dream analysis based on S.Freud’s psychoanalytic theory,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dream research and follow-up research on dream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analysis of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9 to 2023, a study on S. Freud’s dream analysis. Among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and organized through a keyword classification process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nd the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 (KCI). The classification categories were psychoanalysis, domestic academic journals, dream analysis, dream interpretation, dream analysis research trends, and dream research trends. In particular, psychoanalysis, dream analysis,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research trends were searched. The conclusion was drawn as follows. First, studies on research trends on dream analysi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did not occupy a large proportion. Second, the ratio of research trends centered on dream analysis keywords was also significantly low. Third, the use and frequency of dream analysis was low. Fourth, research on Korean testing tools based on dream analysis is needed.
아동의 정서문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권혜진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14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problems (attention problems, aggression, somatic symptoms,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motivation regulation and action regulation)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cademic activity, school rules,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For this purpose, data of 2,212 sixth graders collected from the third-round Korean Child-Adolescent Panel Survey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Student's t-test, Pearson’s partial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software (version 18.0).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level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as relatively high on average. While a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children's emotional problems. Regression analyses foun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significantly influence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lso, children's emotional problem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Particularly, depression and attention problems were found to negatively influence various dimensions of child school adjustment. Finally, the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 problems on their school adjustment were partially mediated by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These findings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problems and school adjustment may be mediated by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