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림치유의 현재와 미래

        박범진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1 No.2

        1. 산림치유의 현재 1) 왜 지금 산림치유인가? 오늘날 대표적인 현대인의 질병(암, 심장병, 뇌졸증 등)은 오랜 생활습관 및 생활환경으로부터 발생한다. 이와 같이 질병의 구조가 과거와는 달리 현대의 의학만으로 모든 문제 를 해결하기에는 힘든 형태로 바뀌어 가고 있다. 더욱이 질 병에는 이르지 않았지만 항상 피곤함을 느끼는 등, 건강하 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미병(未病)상태의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대의학 의 치료방법과 더불어 다양한 대체요법을 개발해야만 하며 (渥美, 2002), 그 방법의 일환으로 산림치유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박범진, 2010). 산림치유는 우리 국토 면적의 64%를 차지하고 있는 숲 환경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물리적 환경요소(숲의 경관, 소 리, 향기 등)를 이용하여 피곤에 지친 현대인이 심신의 쾌적 함을 느끼게 하고 이를 통하여 면역기능을 향상시켜 심신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박범진, 2010). 산림치유 는 건강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사회적인 요구에 발맞춰 현 대의학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주는 자연세라피의 하나로 서 산림청의 정책 중 가장 폭넓게 국민들의 지지를 얻고 있는 자연휴양림 정책을 보다 발전시킨 형태로 볼 수 있으 며, 향후 보다 더 폭넓게 대중적인 지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박범진, 2010). 2) 숲환경이 쾌적한 이유 가. 생리적 진화이론(생리인류학(Physiologiclanthropology) 적 관점) 인간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신체기관이 진화의 과정 을 통하여 숲이라는 환경에 맞도록 만들어져 왔다는 생리인 류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숲이 쾌적한 이유를 설명하는 이론 이다. 생리인류학의 창시자인 사토우교수는 진화의 관점에 서 ‘인류의 시작을 500만년 전이라고 하면 500만년 전에 탄생한 인류는 숲 속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진화의 진 화를 거듭해 왔다. 따라서 우리 몸의 모든 기관은 숲이라는 환경에 적합하도록 만들어 졌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인간 은 오랜 시간을 자연에서 진화해 왔으나 약 200년 전부터 도시생활을 시작하여 점점 자연과 격리된 생활을 해 온 것 이다. 그렇지만 200년이라는 시간은 생물학적으로 우리 몸 이 도시생활에 적합하도록 바뀌는 데에는 너무 짧은 시간이 다. 즉, 인간은 숲 이라는 환경에 적합한 신체기관을 가지고 스트레스로 가득한 도시라는 환경 속에서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인간이 숲 속에 들어가면 우리 몸이 숲 환경과 손쉽게 교감을 이루어서 마치 오랜 여행을 마치 고 집으로 돌아온 것처럼 편안함을 느끼는 것이다. 나. 주의회복이론 Kaplan 부부가 주창한 주의회복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 ART)은 자연환경이 주는 여러 가지 혜택을 설명해 주는 대표적인 이론의 하나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을 영위하 기 위해서는 주변의 환경 변화에 대해서 주의를 집중해야 한다. 달리는 자동차 지나가는 사람들 모두가 우리에게 주 의를 요하는 환경요인이 되는 것이다. 외부의 자극에 의해 서 점점 더 주의력이 떨어지게 되며, 인간이 주의 집중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게 되면 피곤한 상태가 된다. 주의집 중 할 수 없고 피곤한 상태가 지속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고 짜증 흥분 등의 다양한 부정적 정서 가 유발된다. 또한 일을 하는 동안에 실수를 하거나 주의력 감소로 인한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렇게 피 로한 상태에서는 효과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없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건강하게 영위하기 위해서는 일정수준 이상의 주의력을 유지해야 한다. 숲 환경은 도시환경과 다르 게 외부자극이 적어서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 환경이 다. 따라서 숲 속에서 시간을 보내면 주변 환경에 의해서 긴장된 주의력이 회복되며 쾌적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에서는 외부의 많은 자극에 대한 방어기작으로 스스로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는 감각기관을 닫아버리게 된 다. 반대로 자연환경 속에서는 스스로 감각기관을 열고 자 연환경이 주는 오감의 자극을 적극적으로 느끼게 된다. 3) 산림치유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동향 국내에서는 2007년 12월에 산림치유포럼이 창립하여 숲 의 자연치유효과에 대하여 과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 또한 세계산림기구연합회(IUFRO; International Union of Forest Research Organization)에서 도 2007년에 산림치유에 관한 태스크포스 그룹(IUFRO Task Force on Forest and Human Health)을 신설하여 숲이 가지는 인간의 생리적․심리적 건강증진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활동이 세계적으로 시작되고 있다(박범진, 2007). 산림청에서는 국민건강 증진을 위하여 산음휴양림을 치 유의 숲으로 지정하였으며, 2010년 3월 17일에 개정된 산림 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상에 ‘치유의 숲’을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향기, 경관 등 산림의 다 양한 요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산림’으로 명시하여 ‘치유의 숲’ 정책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현재 산림과학원과 산림청에서는 산림치유의 의학적 효과를 검증하는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05년도에 '산림세라피연구회'를 창립하여 일본 국내의 산림을 대상으로 숲의 건강증진효과를 규명하 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07년도에는 의학의 관점에 서 숲과 인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모여서 일본위 생학회 산하 연구모임인 '산림의학연구회'를 창립하였다(박 범진, 2007). 또한 숲과 건강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산촌관광객의 증가를 통하여 산 촌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단법인 산림세라피 소사이어티(산림세라피연구회에서 명칭과 조직이 변경됨) 가 중심이 되어 ‘산림세라피기지 인증사업’을 진행하고 있 다. 2005년도부터 시작된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각 지역의 주요 산림을 대상으로 그 숲이 가지는 건강증진효과를 과학 적으로 증명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상 지역의 숲을 산림세 라피기지 및 로드로 인증하는 것이다. 2010년 4월 현재 산 림세라피기지와 로드는 일본 전국에 총 42개소(산림세라피 기지 37개소, 산림세라피로드 5개소)가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http://www.forest-therapy.jp/). 4) 산림치유의 건강증진관련 연구결과 가. 단기간(15분) 산림휴양활동의 치유효과 일본에서는 2004년도부터 숲의 건강증진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삼림세라피연구회(현재 산림세라피 소사이어티)를 만들고 여러 종류의 숲을 대상으로 숲의 건강증진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2004년도부터 시 작된 현장연구는 2010년 현재 50여개 지역의 숲을 대상으 로 숲속에서의 산보와 경관감상이 정말로 인간을 건강하게 해 주는 지를 밝히는 실험을 해 왔다. 24개 지역에서 20대 남자 대학생 288명의 피험자를 대상 으로 실시한 실험의 결과, 대표적인 스트레스 호르몬인 타 액 중 코티솔 농도의 변화는 산림욕을 한 그룹의 평균 코티 솔 농도가 도시 활동을 한 그룹과 비교하여 경관감상 후에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교감신경계의 활동 지표로서 긴장 시 그 값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맥박수, 수축기혈압, 확장기혈압은 숲 속에서 경관감상을 할때에 도시환경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부교감신경계 활동의 지표인 HF치는 숲 환경에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교감신경 계의 활동지표인 LF/HF의 값은 도시와 비교하여 숲속에서 더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단기간 산림휴양활동에 의해 스트레스 상태에서 높아지는 코티솔 농도가 낮아지며 릴렉 스 상태에서 활성화되는 부교감신경계의 활동이 높아지고, 스트레스 상태에서 활성화되는 교감신경계의 활동이 낮아 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지 15분간 자연환 경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우리 몸이 쾌적함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나. 중기간(1박 2일) 산림휴양활동의 치유효과 Li et al. (2007)의 연구결과는 도시환경에 지친 현대인들 이 2일간 숲속에서 중기간 산림휴양활동을 즐긴 후에 인체 의 면역기능이 급격히 증가하고 항암단백질의 활성이 높아 진다는 사실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증가된 면역력 등이 1개 월 동안 지속된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Li et al., 2008). 2. 산림치유의 미래 자연환경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최근 측정기술의 발전과 건강증진에 대한 국민적 요구의 증가로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자연환경의 쾌적함과 건강증진 효과를 밝히는데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일상생활에서 바로 응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소개한 연구의 결과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15분이상 도시숲 또는 도시공원을 산책하거나 숲을 바라보는 것 만으 로도 인체의 긴장이 완화되며, 2일 동안의 산림휴양활동은 스트레스 완화 뿐만 아니라 한달에 한번 이상 치유의 숲 휴양림 등의 자연환경에 몸을 담금으로서 면역기능을 높이 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용적인 연구가 더 많이 진행되어 국민 건강에 좀더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인용문헌 박범진. 2007. 유프로(IUFRO)의 숲과 건강 태스크포스 창립회의에 참가하여. 산림 11월호. 82-83. 박범진. 2010. 산림휴양활동을 이용한 숲치유의 실험적 접근 -경관 감상과 산책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1pp. 산림세라피 소사이어티 <http://www.forest-therapy.jp/> (2010년 9 월 24일) Park, B.J., T. Kasetani, Y. Tsunetsugu, T. Kagawa, Y. Miyazaki.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Shinrin-yoku (taking in the forest atmosphere or forest bathing): Evidence from field experiments in 24 forests across Japan.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15(1): 18-26. 2010. Li Q, Morimoto K, Nakadai A, Inagaki H, Katsumata M, Shimizu T, Hirata Y, Hirata K, Suzuki H, Miyazaki Y, Kagawa T, Koyama Y, Ohira T, Takayama N, Krensky A M, Kawada T. Forest bathing enhances human natural killer activity and expression of anti-cancer proteins. Inter. J. of Immunopathology and Pharmacology. 2007, 20(2):3–8. Li, Q., Morimoto, K., Kobayashi, M., Inagaki, H., Katsumata, M., Hirata, Y., Hirata, K., Suzuki, H., Li, Y., Wakayama, Y., Kawada, T., Park, B.J., Ohira, T., Matsui. N., Kagawa, T., Miyazaki, Y. and Krensky, A. M. 2008. Visiting a forest, but not a city, increases human natural killer activity and expression of anti-cancer proteins. International Journal of Immunopathology and Pharmacology, 21(1), 117-127. 渥美和彦. 2002. 自分を守る患者学. PHP親書. 東京. 192pp.

      • KCI등재

        벤처기업 유형과 대주주 지분율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박범진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회계정보연구 Vol.32 No.1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hareholder's holdings and earnings management in a venture company with relatively weak corporate governance and to verify whether this relationship varies with types of venture companies. These results are divided into three aspects as follows. First, it appears that the major shareholder's holding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arnings management. Considering most venture companies that were born by a founder being the major shareholder, this result means that the major shareholders may make the managers manage earnings upwardly for pursuing their private interests. This relation also is more magnified for venture companies compared to companies traded in KOSPI market. Second, it seems that the types of venture companie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nger's earnings management. This result shows that earnings management may be different in degree according to the types of venture companies because in order to obtain specific venture certification, companies must meet the specific financial conditions which certification bodies require. Third, the relation between the major shareholder's holdings and earnings management differs from the types of venture companies. This result means that the process of venture certification may play a role as corporate governance in which can affect the major shareholder's decision. In additional analysis, the above relation is magnified in venture companies with high growth and high profitability. Although this study provides the useful results, it has the limit point that there is still a big possibility that the measurement error of discretionary accruals leads to the misleading results. In the future, I hope that many researchers explore th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of the venture companies. 본 연구의 목적은 소유구조와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선행연구들(Berle and Means 1932 : Jensen and Meckling 1976 : Morck et al. 1988 : 김영숙과 이재춘 2000 : 박기성 2002 : 박범진 2007 등)에 근거하여 기업지배구조가 열악한 벤처기업에서 대주주 지분율과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련성은 벤처기업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증하여 벤처기업의 인증과정이 기업지배구조의 역할을 하는지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벤처기업은 대주주 지분율이 높을수록 경영자의 상향 이익조정이 발생하였다. 이는 소유자에 의해 태동된 대부분의 벤처기업 역사를 볼 때, 기업경영에서 대주주의 영향력이 매우 크며 대주주는 지분율이 높을수록 사익추구를 위해 경영자로 하여금 상향의 이익조정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유가증권 상장기업을 통제한 후에 더 강건하였다. 둘째, 벤처기업의 유형은 경영자의 이익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기업이 벤처기업으로 인증 받기 위해 확인기관이 제시하는 기준요건을 충족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기준요건이 벤처기업 유형에 따라 다르므로 이익조정도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벤처기업 유형에 따라 대주주 지분율과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벤처기업으로 인증 받는 과정이 대주주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지배구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추가로 성장성과 수익성에 따라 대주주와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성장성과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이 대주주 지분율이 높을수록 상향의 이익조정 유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이익조정의 측정과정에서 측정오차로 인한 연구결과의 왜곡가능성은 여전히 한계점으로 남아있다. 추후 벤처기업의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과 기업의 성장을 위한 유익한 연구들이 진행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신용평가와 이익조정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박범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경영교육연구 Vol.27 No.4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credit ratings and earnings management have influences respectively on analyst decision making for forecasting future earnings and interactions between credit ratings and earnings management affects that also. KIS credit score measured by Korea Information Service(KIS) is used as the proxy of credit ratings and discretionary accruals estimated by adjusted Jones Model(1991) means that of earnings management. The empirical results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rnings forecast accuracy of companies which have higher credit score and discretionary accruals tend to lower than other companies.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es, the lower credit ratings, the more future uncertainty and the more discretionary accruals, the lower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Accordingly, analyst can not forecast exactly future earning of companies under the above situation and I find that the above two determinants have the independent power of explanation on earnings forecast accuracy. Second, there is no statistical meaningful results in model to verify whether interactions between credit ratings and earnings management affects earnings forecast accuracy. It means that two variables with the same directional relation to earnings forecast accuracy have the different power of explanation on that. Additionally, I also can find the meaningful results in relation between the volatility of credit ratings and earnings forecast accuracy. In the future, I hope that many studies will clearly find not onl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redit ratings and earnings management but also the one between the volatility of credit ratings and earnings forecast accuracy. 외환위기를 겪은 이후, 우리나라는 기업의 효율적 감시를 위한 많은 경제변화들이 이어졌다. 그 중에서도 회계정보의 신뢰성 제고와 합리적인 신용평가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의 중재자인 재무분석가가 이익을 예측함에 있어서 경영자의 이익조정과 신용평가로부터 각각 영향을 받는지를 검증하여 두 결정요인들이 독립적인설명력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신용평가가 안 좋을수록 이익조정의 유인이 크기 때문에 이익조정이 이익예측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이 신용평가에 따라 달라지는지도 검증하였다. 연구기간은 2003년부터 2010년으로 이익예측치와 KIS 신용평점의 수집이 가능한 유가증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조정의 대용치(proxy)인 재량적 발생액과 KIS 신용평점은 높을수록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이 떨어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익조정의 증가가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며 신용평가가 상대적으로 하락하면 미래의 예측불확실성이 높아져 이익예측정확성도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재량적 발생액이 이익예측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은 KIS 신용평점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다. 단순히 KIS 신용평점을 투기와 투자등급으로 구분한 경우에는 이익예측정확성에 영향을 주었으나 재량적 발생액과 KIS 신용평점 간의 상호작용변수는 이익예측정확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는 경영자의 이익조정이 신용평가와 관계없이 이익예측정확성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따라서 재량적 발생액과 신용평가는 독립적으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유익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량적 발생액과 KIS 신용평점 간의 시차적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아서 동일시점의 것을 이용하였다. 재무분석가 입장에서는 두 결정요인 모두 과거의 정보일 뿐이라는 전제하에 모형을 설계하였다. 추후 재무분석가의 의사결정에 이익조정과 신용평가의 역할이 좀 더 명확하게 밝혀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경영자 초과보상이 CSR 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범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7 경영교육연구 Vol.32 No.3

        [Purpose]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managers’ overpayment supports the interest alignment hypothesis or whether they support the managerial entrenchment hypothesis. Furthermore, I tried to clarify the results by confirming that these relationships are weakened by the family businesses whose ownership and management are in agreement. [Methodology]After estimating managers’ over-compensa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I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agers’ excessive compensation on CSR performance measures, using Ordinary least and two-stages least squares. [Findings]Firs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overpayment and CSR performance measures. The results are interpreted that managers try to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when they are compensated above normal level, supporting the interest alignment hypothesis. Furthermore,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compensation and CSR performance is not moderated by family firm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overpayment and CSR performance is weakened in the family business, supporting the interest alignment hypothesis. [Implications]This study shows that managers’ overpayment ultimately serves as a catalyst to strengthen social responsibility, suggesting that the compensation system can act as a safeguard to mitigate agency problems between company and external stakeholders. [연구목적]본 연구는 경영자 초과보상이 CSR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경영자의 초과보상이 이해일치가설을 지지하는지 경영자참호가설을 지지하는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관련성은 소유와 경영이 일치된 가족기업에 의해 약화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연구결과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경영자 초과보상을 추정한 후, 경영자 초과보상이 CSR 성과측정치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회귀모형(OLS: Ordinary least square)과 2SLS(two-stage least square)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먼저, 경영자 초과보상과 CSR 성과측정치 간에는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자가 정상적인 수준이상으로 보상을 받으면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노력을 하며 이해일치가설과 일맥상통하다고 해석하였다.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위해 선형회귀분석(OLS)뿐만 아니라 2SLS 분석을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동일하였다. 더 나아가 경영자 초과보상과 CSR 성과 간의 양(+)의 관련성은 가족기업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자 초과보상과 CSR 성과 간의 양(+)의 관련성이 가족기업에서 약화되어 경영자의 초과보상은 이해일치가설을 지지함을 다시 한 번 보여주었다. [연구의 시사점]경영자의 초과보상이 궁극적으로는 사회적 책임을 강화시키는 촉매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경영자의 보상체계가 합리적으로 실행된다면 보상체계는 기업과 외부이해관계자 간에 대리인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안전장치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경영자 초과보상이 퇴직연금적립수준에 미치는 영향

        박범진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2

        Many previous studies have overlooked the fact that safeguards that reduce managerial opportunistic behaviors can increase pension funding levels. There has been no study on the effect of managers’ compensation levels on pension funding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asing of managerial opportunism raises pension funding level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s’ excess compensation and pension funding levels. The stud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s’ compensation and pension funding levels. This result indicates that managers who receive a lot of compensation are relatively active in raising pension funding level by reducing the opportunistic incentives associated with the use of cash. There is also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s’ excess compensation and compliance with the pension funding regulations. This result shows that managers, whose high compensation reduce opportunistic incentives, are more likely to comply with external regul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previous study by showing new evidence that managers’ excess compensation determines the pension funding level.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rational compensation system of managers can affect the welfare of employees. It suggests that policy makers need to provide reasonable compensation guidelines to alleviate managerial opportunism and to seek incentives to raise pension funding levels. 많은 선행연구들은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을 완화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퇴직연금적립수준을 높일 수있다는 점을 간과해 왔다. 아직 기회주의 완화 장치로서 경영자 보상수준이 퇴직연금적립수준에 미치는 영향을다룬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자 초과보상이 퇴직연금적립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경영자의 기회주의 완화가 퇴직연금적립수준을 높이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경영자 초과보상과 퇴직연금적립수준 및 퇴직연금 초과적립수준 간에 유의한 양(+)의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상을 많이 받는 경영자일수록 현금 사용에 따른 기회주의적유인이 감소하여 퇴직연금적립에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경영자 초과보상과퇴직연금적립규정 준수 간에도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보상으로 기회주의적유인이 감소한 경영자는 외부규정을 더 적극적으로 준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초과보상이 퇴직연금적립수준을 결정한다는 새로운 증거를 보여줌으로써 선행연구에공헌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경영자에 관한 합리적인 보상체계가 종업원의 복지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보여주었다. 정책입안자들에게는 경영자의 기회주의를 완화할 수 있는 합리적 보상기준 제시와퇴직연금적립수준을 높이기 위한 유인제도의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Percutaneous Intervention in Axillary Loop-Configured Arteriovenous Grafts for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박범진,김형래,정환훈,성득제,박상준,손호성,조상경,김윤환,조성범 대한영상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Radiology Vol.11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istulographic features of malfunctioning axillary loop-configured arteriovenous grafts and the efficacy of percutaneous interventions in failed axillary loop-configured arteriovenous grafts.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ith axillary loop-configured arteriovenous grafts were referred for evaluation of graft patency or upper arm swelling. Fistulography and percutaneous intervention, including thrombolysis,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and stent placement, wer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rocedure success rate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patency rates was done. Results: Four patients had graft related and subclavian venous stenosis, two patients had graft related stenosis and another four patients had subclavian venous stenosis only. Sixteen sessions of interventional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eight patients (average: 2 sessions / patient) until the end of follow-up. An interventional procedure was not done in two patients with central venous stenosis. The overall procedure success rate was 69% (11 of 16 sessions). The post-intervention primary and secondary patency rates were 50% and 63% at three months, 38% and 63% at six months and 25% and 63% at one year, respectively. Conclusion: Dysfunctional axillary loop-configured arteriovenous grafts almost always had subclavian venous and graft-related stenosis. Interventional treatments are helpful to overcome this and these treatments are expected to play a major role in restoring and maintaining the axillary loop-configured arteriovenous loop graft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istulographic features of malfunctioning axillary loop-configured arteriovenous grafts and the efficacy of percutaneous interventions in failed axillary loop-configured arteriovenous grafts.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ith axillary loop-configured arteriovenous grafts were referred for evaluation of graft patency or upper arm swelling. Fistulography and percutaneous intervention, including thrombolysis,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and stent placement, wer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rocedure success rate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patency rates was done. Results: Four patients had graft related and subclavian venous stenosis, two patients had graft related stenosis and another four patients had subclavian venous stenosis only. Sixteen sessions of interventional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eight patients (average: 2 sessions / patient) until the end of follow-up. An interventional procedure was not done in two patients with central venous stenosis. The overall procedure success rate was 69% (11 of 16 sessions). The post-intervention primary and secondary patency rates were 50% and 63% at three months, 38% and 63% at six months and 25% and 63% at one year, respectively. Conclusion: Dysfunctional axillary loop-configured arteriovenous grafts almost always had subclavian venous and graft-related stenosis. Interventional treatments are helpful to overcome this and these treatments are expected to play a major role in restoring and maintaining the axillary loop-configured arteriovenous loop graf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