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호교육 성과 측정 도구의 탐색

        이향련 ( Lee Hyang Yeon1 ),오가실 ( Oh Ka Sil2 ),안양희 ( Ahn Yang Heui3 ),이숙자 ( Lee Sook Ja4 ),김인자 ( Kim Inja5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1

        간호학과 졸업생들의 간호교육 성과 측정 도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전문직관, 지도력, 비판적 사고를 측정하는 도구들을 탐색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규명하였다.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한 지지적 의사소통 능력 측정 도구의 경우 신뢰도가 Cronbach’s=.78로 비교적 신뢰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당도에서는 수렴타당도로 본의사소통 능력과의 상관계수가 .24 (p<.001), 구성타당도로 본집단타당도에서는 다른 학년에 비하여 4학년의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의사소통을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아직 이 도구를 사용한 논문을 찾을 수 없었으나 대인관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정확하고 정직하게 의사를 전달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의사소통하는 사람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보존하는 것을 측정하는(Whetten & Cameron, (1998) 본 도구는 인간관계를 중요시하는 간호학의 전인적 간호를 증진시키는 특징이 포함되어 있어 간호학 교육 성과를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 또한 수렴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한 의사소통 측정도구보다 문항수가 적어 효율성도 높다. 지금까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을 측정한 연구들도 면접을 통한 질적인 자료로 측정하거나(LeBlanc et al., 2009), 연구자들이 개발한 도구(Rosenzweig et al., 2008; Yoo & Yoo, 2001)로 측정하고 있어 효율적이면서 객관적인 도구로써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전문직관은 신뢰도가 Cronbach’s a=.8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수렴타당도로 본 Yeun 등(2005)이 개발한 간호전문직관과의 상관계수도 .23으로 유의하였고, 구성타당도를 보기위한 집단 비교법에서는 4학년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학년은 2학년으로 나타나 간호학 교육 성과도구로 채택하는데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항목이 19개로 구성되어 있어 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Yeun 등(2005)의 도구보다 활용성이 높다. 특히 주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태도를 측정하고 있어 일반적인 간호사에 대한 의견을 묻는 Yeun등(2005)의 도구에 비하여 개인적인 전문직관을 더 민감하게 측정할 것으로 생각한다. 지도력은 신뢰도가 Cronbach’s α=.94로 가장 높았으며 수렴타당도로 본 지도력 도구와의 상관계수도 .1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성타당도로 본 집단비교에서는 4학년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학년은 2학년이었다. 문항수가 40문항으로 다소 긴 편이어서 효율성이 떨어지기는 하나 간호 실무에서 4년제 학부 학생의 지도력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라는 점에서 활용할 가치가 있다. 비판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한 Yoon (2004)의 도구는 신뢰도가 Cronbach’s α=.87로 상당히 높은 편이고, 집단비교법에서도 4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 구성타당도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그런데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 기술 도구와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아 수렴 타당도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는 몇 가지로 해석할 수 있는데 첫째는 비판적 사고 기술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Yoon (2004)의 도구는 비판적 사고 성향을 측정하는 도구이고 연구자들이 개발한 도구는 비판적 사고 기술을 측정하는 도구이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해석은 비판적 사고 기술과 사고 성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다는연구 결과가 뒷받침한다(Raymond, Rachel, & Jenny, 2002). 그러나 두 개념간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어(Profetto-Mcgrath, 2003) 이 두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 두 번째는 비판적 사고 성향을 측정하는 Yoon (2004)의 도구는 정답이 존재하지 않으나 비판적 사고 기술을 측정하는 도구는 정답이 있는 도구인데 자료를 수집할때 이를 설명하지 않고 측정하여 두 도구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성향을 측정하는 것과 달리 정답이 있다고 하는 경우는 본인의 생각과 다르더라도 비판적 사고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을 선택할 수 있으나 정답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설령 비판적 사고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이라고 판단하더라도 본인의 성향과는 다르기 때문에 다른 내용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성향과 기술이라는 특성이 다른 측면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성향은 Likert 척도로 기술은 이분법으로 측정한 것도 상관관계를 떨어뜨린 이유로 보인다. 세 번째는 Yoon (2004)의 도구는 이미 몇 연구에서 사용하여 왔으나 아직도 더 검증이 필요하고,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도구도 신뢰도가 낮아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작업이 더 필요함을 나타낸다고도 볼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구인 Facione과 Facione (1994)이 개발한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CCTDI)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75문항으로 긴 편이어서 효율성이 떨어지고 사용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측면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규명한 네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 간호교육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비판적 사고 측정 도구는 수렴 타당도가 낮게 나와 비판적 기술과 성향을 구분하여 측정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evaluate outcome measurement scales of nursing education such as communication, professionalism, leadership, and critical thinking. Methods: A methodological study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s. Survey was done to the students (n=407) enrolled in baccalaureate nursing schools.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e tried to include all grades of students.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t validity and group comparison were us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s. Results: All scales were reliable and valid. Only convergent validity of the scale to measure critical thinking was relatively low. It suggested that critical thinking skill and disposition might be measured separately. Also it was inefficient to measure the nursing education outcomes with separate scales.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 new integrative scale to measure nursing education outcomes. Also it is necessary to set the norm of nursing students to evaluate nursing education outcomes for the quality control of nursing education.

      • 백혈병환자의 요추천자 후 침상안정시간에 따를 두통과 요통의 차이

        정영남 ( Young Nam Jeong ),이향련 ( Hyang Yeon Lee ),박영미 ( Young Mi Park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8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4 No.1

        요추천자 후 침상안정을 취한 군(침상안정군)과 취하 지 않은 군(활동군)간의 두통의 발생 빈도를 비교하는 여러 연구가 있었으나, 어느 연구에서도 두 군간의 유 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Carbaat & Crevel, 1981;Dieterich& Brandt 1985). 하지만 아직 대부 분의 병원에서는 요추천자 후 침상안정을 권하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요추천자 후 침상안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면 피검자는 검사 후 일상생활에 바로 임할 수 있으므로 간호측면이나 시간적, 경제적 측면에서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KWon et al., 1997) . 실 제 서울시내 몇몇 종합병원의 경우를 보면, 성인 백혈병 환자의 요추천자가 시행된 후 대부분이 최소 6시간 이상 침상안정을 시키고 있었으며. 요추천자 후 6시간 이상 침상안정을 하는 환자들은 요통, 식사문제, 각종 검사의 지연, 생리적 현상 등을 참아 하는 고통을 갖게 된다. 특히 외래에서 요추천자를 시행한 경우에는 침상부족이라는 현실적 여건들이 6시간 침상안정을 철저히 준수하기 어렵게 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백혈병 환자의 요추천자 후 l시 간 침상안정과 6시간 침상안정에 따른 두통과 요통의 차이는 없었다. 이는 침상안정 시간이 척추마취 후 두 통 및 요통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확인한 Lee 와 mm (1996) 의 연구결과와, 소아종양환아를 대상으로 요추천자 후 1시간 및 6시간 침상안정 시간에 따라 두 통, 동반증상 및 두통의 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는 Park과 Lee (1997) 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18, 60세의 성인 신경계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전혀 침상 안정을 시키지 않은 군과 6시간 침상 안정 (3시간 은 앙와위, 3시간은 복위) 을 시킨 군의 천자 후 두통은 차이가 없음을 입증하여 침상안정을 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주장한 Vil血媤 등 (1988) 의 연구와 유사 하며 이는 6시간 이상 침상안정이 필요하지 않음을 시 사하고 있다. 다만 관찰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는 의 미에서 수평자세로 잠시 뉘어 놓는다 (Hong, 1993) 의 ‘잠지를 1시간 정도로 생각하면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는 근거 하에 본 연구에서 요추천자 후 l시 간 침상안정군과 6시간 침상안정군으로 구분하여 두통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두 군간에 통증 차이는 없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U= 234. 0, P=. 498). 요추천자 후 요통 정도는 1시간 침상안정군과 6시간 침상안정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서 (u= 238. q p=. 532), 1시간 침상안정과 6시간 침상안정에 따른 요 통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척추마취 환 자를 대상으로 침상안정 시간에 따른 요통의 발생률에 서 가능한 한 빨리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군이 요통 발생빈도가 적었다는 Lee와 mm (1996) 의 연구결과와 유 사하였다. 그러나 요통 점수에서 l시간 침상안정군의 평균점수보다 6시간 침상안정군의 평균점수가 높게 나 온 것은 대상자를 일찍 움직이게 하여 침상안정 시 히 리에 가해질 스트레스를 줄여 주었기 때문이 아닌가라는 견해를 피력한 Brattebo 등 (1993) 의 연구와도 관련성이 있었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6시간 동 안 침상안정을 시킨 군에시 요통 점수가 높은 것은 요 추천자라는 시술로 인한 스트레스 혹은 한국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침대 생활과 침대 매트리스로 얻어진 gj리 의 불펀감이 포함되었으리라 생각 되어진다. 이상으로 종합해 보면 연구대상이 백혈병으로 입원한 환자로 국한함으로써 전채 백혈병 대상자에게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기는 어려우나 대상자 대부분이 움직일 수 있고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침상안정시간에 다른 두통과 요통정도에 차이가 없다면, l시간 이상 침상 안정을 지속하는 것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 다. 추후 연구로는 침상안정 기간 중 지속적으로 두통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침상안정을 시키되 침상안정기간 동안 두통의 완화 정도 상대도 계속적으로 연구할 필요 가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n evidence-based nursing intervention on bed rest period after puncture, by confirm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scores of headache and back pain between the 1-hour bed rest group and the 6-hour bed rest group following lumbar puncture in patients with leukemia. Method: The subjects were 45 inpatients of the department of hematology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January 1 to March 31, 2005. There were 21 patients in the 1-hour bed rest group and 24 patients in the 6-hour bed rest group. A graphic rat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headaches and back pain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Non-parametric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1-hour bed rest group and the 6-hour bed rest group in the headache level and back pain level. Conclus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long period of bed rest over 6 hours after lumbar puncture is not a necessary nursing intervention, and repeated studies are required to confirm the result.

      • KCI등재후보

        향기요법의 국내간호연구 동향

        이향련 ( Lee Hyang Yeon ),김소영 ( Kim So Young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2

        1.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현황에 대한 논의 향기요법을 적용한 국내 간호계 논문은 1999년 1월부터 2010년 3월까지 111편을 분석하였다.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 현황을 연도별, 연구 설계별, 중재방법별, 측정변수별, 연구대 상별로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연도별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현황을 보면 선정된 논문은 1999년 박사학위논문 1편(하혜정)을 시작으로 2005년에 학위 논문 10편(석사 8편, 박사 2편)으로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학 술지는 2004년과 2006년에 각각 8편(18.6%) 발표되어 2004 년부터 향기요법 관련 논문의 발표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보완대체치료 간호학 논문의 연구경향(Yang & Shin, 2003)에서 간호계의 보완대체논문은 1980년부터 2001년까지 8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2000년에 22편으로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반면 향기요법 논문은 2001년까지 5편(5.6%)에 불과한 것으로 보아 2000년대 이전에는 향기요법 관련 연구가 거 의 없었던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본 대상 논문은 학위논문(68편)이 학술지 연구 논문(43편)보다 많았다. 이는 1985년부터 2000년까지 51편의 자료수집으로 이루어진 한방간호연구 경향(Lee & Kang, 2001)에서는 학위 논문 19편(37.3%), 비 학위논문 32편(62.7%)으로 비학위논문이 훨씬 많았다. 이는 한방간호 관련 논문 주제와 학위과정이 현재보다 적었던 연도별 차이 때문으로 사료된다. 연구 설계별 학위논문 및 학술지 발표 현황을 보면 대한간호 (Jung, Back, & Back, 2000) 와 한국간호교육학회지(Kim & Ha, 2006)에 발표된 질적 연구 2편(1.8%)을 제외한 109편(98.2%)이 모두 실험연구이었다. 이 중 가장 많이 이용된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전후설계가 학위논문 29편, 학술지게재논문 26편으로 나타났다. 이 설계가 가장 많은 이유는 주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간호 연구의 특성상 무작위배정(Random-ization)의 어려움 때문에 동질성은 확보하면서 실험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제된 상태로 연구하고자 하는 시도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실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 조군 전후시차설계도 학위논문 26편, 학술지 게재 7편으로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다. 보완대체 치료연구방법(Yang & Shin, 2003)에서도 88편 중 48편이 실험연구였고, 30편이 조사연구로 실험연구가 더 많았다. 반면 Kim 등 (2002)이 발표한 간호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연구에서 각 분야별 학회지 창간호부터 2000년까지 1,372편을 분석한 결과 실험 연구는 232편(16.9%)에 불과하고 비실험연구가 957편으로 대부분을 차지한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본 연구의 분석 대상 논문은 시 대 적으로 주로 2000년 이 후에 이루어졌으며 2000년대 이전에는 주로 시술적 연구를 많이 수행하였으므로 실험연구를 위한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후에 서술적 연구를 기반으로 실험연구가 행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학위논문이 실험연구 방법의 접근을 비교적 많이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간호중재개발을 목적으로 실험적 처치를 통해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는 간호계의 연구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 향기요법의 장점이 부각되면서 간호중재로 향기요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고자 하는 움직임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중재방법별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현황을 보면 향기요법 의 중재는 향유마사지 59편과 향유흡입 37편이 86.5% 를 차지하였다. 흡입과 마사지 병행 6편, 흡입과 도포 병행 3편으로 향기요법의 적용은 대부분이 마사지와 흡입의 중재로 나타났다. 향기요법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22편의 간호학 논 문을 분석한 연구(Kim, 2008)에서도 마사지가 11편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흡입이 8편으로 나타나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이러한 중재방법이 비교적 간호사가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보완대체 치료 연구경항의 보고서 (Yang & Shin, 2003)에서도 지압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중재방법으로 그 안에 손 마사지, 등 마사지, 발반사 마사지, 경락마사지, 산후마사지를 모두 포함한 28편의 논문이 마사지 방법이었다. 또한 한방간호 연구경호(Lee & Kang, 2O01)에서는 11편의 실험연구 중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경락마사지 1편의 연구가 있었다. 또한 항암화학요법 관련 오심과 구토 완화를 위한 비약물 요법에 관한 연구동향 (So et al., 2003)에서는 총 29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비약물 요법으로 시도된 요법은 근육이완요법(10편), 전환요법(5편) , 최면요법(4편), 마사지요법(2편), 구강 냉요법(2편)의 순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마사지 방법을 많이 사용한 것은 마사지 방법이 불안과 이완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Cho, 1999)되었기 때문이다. 마사지는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방법의 하나로서 진통, 스트레스, 긴장 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주며 각종 스트레스가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 신체적 질병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Ha, 2006)는 연구에 근거하여 향기요법 간호중재 시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향기요법 마사지의 심리신경면역학적 효과(Lee, 2000)의 연구에서는 산모에게 등 마사지 적용으로 라벤더와 로즈마리를 혼합한 2% 농도의 향유를 이용하여 일반 마사지보다 더 큰 이완효과를 냈다. 특히 산모의 피로 감소, 피부온도 증사, 타액 1gA 농도에서 일반 마사지보다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고 하였다. 이를 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논문에 적용한 현황을 보면 석사학위 논문에서는 흡입 방법을,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마사지 방법을 더 많이 적용하였다. 학술지에서는 마사지 중재방법을 사용한 경우가 학술지 논문 44편 중 29편으로 65,9%를 차지하였다. 종속변수 측정현황을 보면 생리적 변수의 직접측정 방법을 가장 많이 적용하여 측정하였스며 사회심리변수의 자가보고 측정, 생리적 변수의 자가보고측정의 순서를 나타내었다. 특히 사회심리변수 자가보고 측정에서는 불안943건)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스트레스(29건)와 우울(27건) 순으로 나타났다. 생리적 변수의 직접측정에서는 혈압, 맥박, 호흡, 피부온도를 포함한 활력징후 측정이 가장 많았다. Kim (2008)의 연구에서도 생리적 변수의 측정(43건, 66.2%)이 심리적 변수(22건, 33.8%) 측정보다 높아 본 연구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보완대체 치료논 문현황(Yang &Shin, 2003)에서는 88편 중 심리적 측정 논문이 45편으로 신체적인 면을 측정한 논문보다 많았다고 하였다. 심라적 면에서는 불안(17편), 우울(6편)이 많았고, 신체적 면에서는 면역계(8편), 순환계(7편)가 많은 것으로 제시하였다. 주제와 내용의 차이 때문에 직접비교는 어려우나 심리적 측정으로 불안과 우울의 측정 이 많은 것은 보완대체 방법이나 향기요법 적용에서 간호중재 개발로 불안감이나 우울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공통적인 목표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생리적 변수의 측정이 많은 것은 객관적이며 타당도 높은 측정방법으로 그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노력 때문으로 사료된다. 향기요법 적용연구논문 대상을 건강인과 환자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건강인에게 향기요법을 적용한 연구(56편)가 환자군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55편)보다 약간 많아 환자와 건강인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연구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건강인 중에는 중년여성과 노인, 간호사, 분만 산모, 학생, 군인 등의 순오로 다양한 대상으로 향기요법의 적용효과를 확인하였다. 환자군을 대상으로 향기요법을 적용한 연구는 말기신부전 및 혈액투석 환자, 위 · 대장내시경환자, 수술환자, 뇌졸중 및 펀마비 환자, 관절염 류마티스 환자, 암환자, 호스피스 말기암 환자, 치매, 정신지체 및 뇌성마비환자, 관상동맥 조영술 환자, 간동맥색전술 환자, 자궁근종 및 적출술 환자, 일반병동환자, 본태성 고혈압환자 순으로 다양한 환자를 대상으로 향기요법 적용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대한간호학회지 분석-창간호부터 1999년까지 연구(Choi et al., 2000)에서는 환자보다 일반인의 연구가 많았고, 간호사 및 간호학생 대상이 많았다. 7개 분야별 간호학회지(창간호부터 2000년까지)를 분석한 연구(Kim et al., 2002)에서는 환자대상 연구가 정상인보다 많았으며 암환자 대상이 많았다. 보완대 제치료 간호논문(Yang & Shin, 2003)에서는 환자대상연구가 일반인보다 많았으며 만성질환자가 많았다. 한방간호 연구경향(Lee & Kang, 2001)의 연구에서는 환자 대상이 약간 많았다. 향기요법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간호학 논문분석(Kim, 2008)에서는 건강인 대상논문이 환자군 대상논문보다 약간 많았다. 전반적으로 간호연구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조금 더 많은 편이었으며, 단 대한간호학회지 분석에서만 일반인 대상이 환자군 보다 차이 있게 많아 초창기 대한간호학회지에 실린 논문의 상당수가 일반인이었으며 간호사 및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별 향기요법 중재방법의 적용에서는 건강인이나 환자 모두 마사지 중재적용이 많았으며 다음은 흡입 중재적용이었다. 건강인의 경우 마사지 중재는 노인에게 적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환자군에서는 뇌졸중 및 편마비 환자와 관절염 및 류마티스 환자가 각각 5편으로 마사지 간호중재를 가장 많이 적용하였다. 2. 중재방법 적용현황, 종속변수 유형 및 결과 확인에 관한 논의 아로마 종류별 중재방법 적용현황을 보면 아로마 종류는 라벤더 포함 정유와 기타 정유로 분류하여 본 결과 라벤더 포함 정유를 적용한 논문이 78.3%로 많은 논문이 라벤더 포함 정유를 이용하였다. 라벤더 오일은 50대, 60대 여성이 선호하는 향 중의 하나로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이 용이하며 부작용이 거의 없어 안전하게 사용(Jung, 2007)되는 성질 때문으로 사료된다. 라벤더 포함 정유에는 라벤더, 버가못 외 1, 2종의 향유를 섞어 적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버가못 향유는 노란 녹색으로서 교감신경계의 진정작용으로 기분상승효과가 있어 불안감, 우울증, 노여움, 절망감, 신경증 및 긴장감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Kim, Kim, Kim, & Kim, 2008)는 보고 때문으로 사료된다. 아로마 종류와 중재방법적용과 관련지어 보면 라벤더와 버가못 외 1,2종의 향유를 케리어 오일에 혼합하여 마사지에 적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아로마 요법과 마사지를 병행하게 되면 윤활제 대신 정유를 사용하게 되어 기존의 윤활제를 쓰는 일반 마사지보다 더 효과적이다. 또한 마사지를 통해 정유가 피부로 빠르게 흡수되어 혈류를 타고 전신으로 순환하여 화학적 반응이 이루어지고 마사지의 자극이 신체적, 심리적 이완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동시에 두 가지 요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Choi, 2006; Worwood, 1991)는 근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많은 논문에서 에센셜 오일의 혼합비율에 약간씩 차이를 보여 어떻게 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와 함께 대상자에 따른 반복연구가 이루어져 향기요법 적용의 일반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중재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어떤 종속변수를 측정했는지를 분석한 결과 중재방법으로 마사지 중재와 흡입 중재를 측정한 논문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중재방법에 따라 종속변수의 결과를 각 연구의 p값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마사지 중재로 사회심리변수를 측정한 연구 중 향유 마사지 중재가 우울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 흡입중재로 사회심리변수를 측정한 결과 불안, 스트레스, 우울의 순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변수의 자가보고 측정만이 아닌 생리적 변수와 함께 측정하여 그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중재방법의 적용에 따라 심리적 변수의 측정과 함께 생리적 변수를 직접 측정한 결과는 분석할 수 없어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향유 마사지 중재 후 생리적 변수를 자가보고 측정한 경우는 통증 및 진통제 투여 횟수, 수면 및 수면만족도, 배변상태(양, 횟수, 변 완화제 복용, 좌약 및 관장 횟수)의 순이었다. 통증 및 진통제 투여 횟수와 수면만족도는 각각 1편만이 기각되어 향유마사지 중재가 통증완화나 수면 및 수면만족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배변상태에서는 7편은 지지되고 4편은 기각되어 다른 측정방법을 같이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향유흡입 중재 후 생리적 변수를 자가보고 측정한 경우는 수면 및 수면만족도를 가장 많이 측정 하였으며 모두 지지되어 수면을 만족시키는 데는 향유흡입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생리적 변수의 직접측정 방법은 객관적이고 타당도가 높은 도구의 측정으로 신뢰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생리적 측정도 구로 측정한 결과가 기각되었을 때는 그 이유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제언에 다른 측정변수에 대한 방향 제시가 있어야 할 것이며 기각의 이유를 잘 분석하여 반복연구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ajor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studies on aromatherapy in Korea. Methods: Literature on the studies of aromatherapy in Korea was retrieved using RISS, KISS, DBpia, and Pubmed. The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publication year, study design, intervention method, and measuring variables. The level of applied intervention was assessed by target group, the types of aroma, and their effects. Results: A total of 111 studies was included in this study. Most of studies on aromatherapy were conducted using a experimental design to test the effects of aromatherapy as a nursing intervention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ethods of mixing oils, sites of massage, and target groups vary among studies on aromatherapy in Korea. it is suggestive that standardized methods to mix oils and to apply aroma is in need.

      • KCI등재

        청소년의 성교육을 위한 가정통신문 성교육 방법과 성교육 프로그램 적용 방법의 효과 비교

        임지현 ( Ji Hyun Im ),이향련 ( Hyang Yeon L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성교육을 위한 가정통신문 적용과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 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성교육이 성에 대한 지식을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가정통신문 적용 성교육을 실시한 실험 1군과 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2 군, 그리고 성교육을 실시하지 않았던 대조군의 실험 전후 성지식 점수를 비교한 결과 세 집단간 성지식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가정통신문 적용성교육에 대한 성지식의 효 과에 대한 선행연구가 적어 본 연구결과와 직접 비교 하기는 어렵지만 초등학교 5학년 8l명을 대상으로 가 정통신문, 가정과제, 부모님께 편지쓰기 등을 이용하여 8회의 가정연계 성교육을 실시한 결과 성지식이 유의하게 증가한 결과 (oh, 2002)와 유사하였다.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 2군은 가정통신문 적용 성교육을 실시한 실험 1군보다 성지식 점수가 높았으며, 가정통신문 적용 성교육을 실시한 실험, 군은 성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성지식 점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에 성지식이 향상되었다는 여러 선행연구 결과들 (Kim, 2003`` Park, 2004, Lee, 2002, ``Lee, 2004; Lee, 2002; Jung, 2000; choe, 2002; Han, 1997)과 일치하였고, Parcel, Luttman과 Luttman (l979)의 연구에 의하면, 8학년 55명의 학생에게 토론과 소그룹 활동을 통한 성교육을 실시한 결과, 성지식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보고와도 일치한다. 위의 연구들에서 사용된 성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방법은 강의, 토의,VTR 시청, CD, TP자료, 학생용 수업자료 유인물, 소그룹 활동 등을 사용하여 본 연구 방법과 일치하였다. 또한 교육횟수의 대한 성에 대한 지식은 Park (10회/10주), Jung10회 25시간 19일) Lee (9회/4주) choe(6회/12일) Ha(5회) Han(3회) Lee(8회/8주) Kim(6회/12일)으로 성교육 프로그램 횟수에 관계없이 성지식은 향상되어 성교육 프로그램은 성지식 향상에 매우 효과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종합한 결과 본 연구에서 시행한 성교육 프로 그램은 중학생의 성지식을 증진시키는데 적합한 프로 그램으로서 성지식 변에서 가정통신문보다 효과가 높다고 사료되며, 가정통신문 적용 성교육은 수업시간을 할애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성교육 프로그램의 실시가 어려운 실정일 경우 학년 초부터 계획하여 지속적인 교육을 한다면 성에 대한 지식 증가를 위한 효율적인 성교육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성교육이 성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가정통신문 적용성교육을 실시한 실험 l군, 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2 군과 성교육을 실시하지 않았던 대조군의 실험 전후 성태도 점수를 비교한 걸과 세 집단간 성태도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성교육 후 성태도가 향상되었다는 아런 선행 연구결과들(Kim, 2003; Park, 2004; Lee, 2002; Lee, 2004; Jung, 2000; Chu, 2002; choe, 2002; Han, 1997)과 일치하며, Parcel, Luttman과 Luttman(l979)의 연구에서 8학년 55명의 학생에게 토론과 소그룹 활동을 통한 성교육을 실시한 결과 성태도가 향상되었다는 보고와도 일치한다. 그러나 가정통신문을 적용한 실험 l군의 태도 변화는 그룹간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시점간과 상호작용효과를 검정한 결과 가정통신문을 적용한 실험 l군의 태도 역시 대조군과의 차이를 보여 가정통신문 작용도 아무’런 성교육을 시행하지 않는 것보다 태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 5학년 8l명을 대상으로 가정통신문, 가정과제, 부모님께 편지쓰기 등을 이용하여 8회의 가정연계 성교육을 실시한 결과 성태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oh, 2002).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가정통신문에서 부모님과 생각해보기’ 란을 두어 부모님과 함께 하’는 과제를 부과하였으므로 비슷한 내용이지만, 부모님이 자녀에게 편지를 쓰고 자녀가 부모님에게 쓰는 편지를 쓰는 등 부모 자녀간의 상호작용을 촉친하는 작업이 본 연구 보다 많았고 실험군에게 가정통신문과 더불어 성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하였기 때문에 성태도가 더욱 유의하게 증가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교육횟수의 대한 성에 대한 태도는 l0회/ 10주 (Park, 2004), l0회 25시간’ 19일 (Jung, 2000), 9회/ 4주 (Lee, 2002), 6회l2일(Choe, 2002), 5회 (Ha, 1998), 3회(Han, 1997)의 연구에서는 성태도에 향상이 있었으나 8회/8주(Lee, 2003), 6회 12시간/일 (Kim, 1999)의 연구에서는 성태도에 변화가 없어 성교육 프로그램의 횟수가 성태도에 반드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가정통신문 적용 성교육에서 성지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성태도는 미미한 증가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성교육을 위한 가정 통신문 적용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4회를 적용하였으나 이는 학교 수업시간이 필요한 것이 아니므로 보건교사가 관심을 갖는다면 성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수업 시간을 확보하는 것보다 수월하게 횟수를 늘려 성교육을 진행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올바른 성 지식의 증가 뿐 아니라 성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가 이루어 져야 성교육의 진정한 의미가 있으므로 가정통신문의 내용을 부모님에게 자녀 지도시 필요한 내용을 안내 하고 자녀와 부모님이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수 있는 과제로 부과하여 이것을 성교육 프로그램에 적용 한다면 짧은 수업시간으로. 성지식 및 성태도에 긍정 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ffective the existing sex education programs and letter to parents from school were for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sex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Subjects were selected from first grade students in a middle school from May 30 through July 19, 2005.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70 students each, two experiment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by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information letter from school to parents was made into four editions on double-sided A4 size paper and was handed out to students during weekly meeting. Both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re required to read it and the parents were told to sign the papers. The sex education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was recomposed based on the programs which were previously made by Sun Hee Park(2004) and Eun Ja Jung(2000). Content provided in the sex education program is identical to the one``s in the information letter to parents. Experimental group 1 was required to read the four information letters to parents for two weeks, together with their parents. Group 2 experienced the sex education program four times in two weeks of time. The above two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were assessed on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sex twi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ual knowledge about sex between the three subject groups and such data supports the first hypothesi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s sex between the three subject groups and such data support the second hypothesi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 results, both the information letter to parents and programs about sex education were effective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Yet, teaching students with the program format was more successful than handout formats. However, using information letters to parents to educate students does not waste any school hours, so if school nurses can provide the students more papers, the educational effect will be greater.

      • 한국간호교육제도의 현황,문제점 및 전망

        이향련 ( Hyang Yeon Lee )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6 간호학탐구 Vol.15 No.2

        최근 보건의료환경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인구구조가 변화하고 있으며 질병의 구조 및 이에 따른 의료수요도 변화되고 있다. 그러므로 질병치료중심 의료서비스 요구보다 비건전한 생활습관을 배제하고 건전한 생활습관의 변화로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 발견, 치료하며 건강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는 건강관리 체계로 전환되고 있다. 보건의료제도에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간호사를 교육하는 교육제도 역시 현 시대에 맞도록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간호제도의 현황을 확인하고 문제점과 전략을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본다. 간호교육제도의 문제는 3,4년제 이원화, 간호사 학사학위 다원화제도, 의료법에 전문간호사의 역할 규명 부재, 간호교육기관 양적 팽창에 따른 질적 저하의 문제가 제기된다. 이에 대한 전략은 첫째, 간호학의 입학수준은 학사수준으로 일원화한다는 정책으로 의료법(간호사법)에 학사학위자에 한해 간호사 면허시험을 볼 수 있다는 내용을 삽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간호사 학사학위 제도의 다원화로 간호학문의 정통성에 문제를 초래 할 수 있으므로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일정한 질적통제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간호평가원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양적으로 팽창한 간호 교육기관의 질적 통제를 철저히 한다. 넷째, 전문간호사의 역할을 의료법에 삽입한다. 다섯째, 전문 영역별 의료인간에 전문 간호분야의 역할규명에 대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여섯째, 타학문 전공자의 N.D.(Doctor of Nursing)프로그램을 고려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간호협회나 학회에서 제도적 연구가 필요하다 Current Korean health care environment such as low birthrate and aging changes a population structure and health care needs. Rather than medical services for treatment of diseases, health care providers have focused on 1) disease prevention by encouraging healthy life style, 2) early identification of disease, and 3)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These movements demand changes in the nursing education system. Therefore, we evaluated current Korean nursing education system, found problems and proposed strategies. Problems in the nursing education system are; 1) a dual education program (3-or 4-year system), 2) varieties of contents of Registered Nurse-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RN-BSN) programs, 3) confusion of nurse practitioners` role, and 4) decrease in quality of education due to the quantitative extension of nursing institutes. The strategies we are proposing are; first, the dual nursing education system should be united into the 4-year Bachelor program and the qualification for the Korean nurse license examination should be bachelors as a statement in the medical law. Second, a standardized nursing program for quality assurance is needed because varieties of contents of Registered Nurse-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RN-BSN) programs may mislead about nursing identity. Third,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should play an active role to maintain and control quality of nursing institutes. Forth, roles of nurse practitioners should be stated in the medical law. Fifth, communications among health professions about roles of a nursing profession are necessary. Sixth, Doctor of Nursing (ND) program for other professions should be considered. Korean Nurses Association or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should conduct research for this.

      • KCI등재

        경혈지압 간호중재가 수술후 장유동 회복에 미치는 영향

        이향련 ( Hyang Yeon Lee ),김귀분 ( Kwuy Bun Kim ),김광주 ( Kwang Joo Kim ),왕명자 ( Myung Ja Wyang ),김윤희 ( Yoon Hee Kim ),김일원 ( Il Won Kim ),김호미 ( Ho Mee Kim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meridian acupressure for enhancement of post operative bowel movement to the patient with absolute bed rest who having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This study used a qusai 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 test only design. This subject were 44 patients, 22 for the experimental and 22 for the control group, who were admitted at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neurosurgical unit A and B ward, assigned by matched sample by the name of operation who having microvascular decompression and laminectomy. Date were collected from May 1, 2001 to June 30, 2001 by auscultation, self report and by using 7 point face scale. The recovery of bowel sound were measured every 4 hours until gas out for 1 minute auscultation on lower abdomen after 4 hours having surgery. The time of gas out were measured by self report, the severity of nausea were measured every 4 hours for 7 point face scale and also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were measured after 2 days having surgery with same scale. Data were analyzed with X2, t 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ANOV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ere implemented with meridian acupressure showed shorter time the recovery of bowel sound after having surgery than control group(t=-5.112, p=.0001). 2.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ere implemented with meridian acupressure showed shorter time of gas after having surgery than control group(t=-4.010, p=.0001) 3.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ere implemented with meridian acupressure showed decreased level of nausea score according to time interval than control group(F=21.995, p=.0001). 4.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ere implemented with meridian acupressure showed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than control group(t=-4.010, p=.0001). These finding indicate that a meridian acupressure could be a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enhancement of post operative bowel movement to the patient with absolute bed rest who having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 KCI등재
      • KCI등재

        한방간호연구 논문분석

        이향련 ( Hyang Yeon Lee ),강현숙 ( Hyun Sook Kang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5 No.1

        본 연구는 한방간호와 관련된 연구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대상논문은 1985년부터 2000년 7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되고 수집가능한 한방간호관련논문 81편으로 논문의 특성과 발표년도별 논문출처, 연구설계, 실험연구의 중재 효과, 문헌연구의 연구개념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방간호연구는 85년 이후 연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95-99년에 논문의 발표수가 가장 많았다. 또한 90년대 이후 학위논문의 수도 증가되었으며 대상 논문의 1/3이 학위논문이었다. 2. 연구설계는 조사연구·상관관계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1990년대에 발표되었다. 문헌연구도 많았는데 1995년 이후에 많이 발표되었다. 또한 박사학위논문의 연구설계가 다양하였다. 3. 실험연구에서 사용된 간호중재는 단전호흡, 삼음교지압, 경피전기신경자극, 지시적 심상요법, 사상체질 식이, 요가, 기공체조, 경락마사지, 침상운동 프로그램, 건강계약, 구조화된 재활교육이었다. 실험대상자는 만성질환자가 가장 많았고 간호중재의 효과는 대다수가 생리적 효과, 일상생활동작, 통증완화로 검정 하였으며 거의 대부분의 연구에서 긍정적 효과가 입증되었다. 4. 문헌연구의 개념은 기, 한방간호, 양생, 질병의 한의학적 관리 등이었으며 이들 개념은 한방간호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주요개념으로 한의학과 간호학의 유사한 사고의 관점을 확인하는 한편 문화적 측면을 고려한 간호의 중요성도 시사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학위논문은 비교적 다양한 연구 설계로 비학위논문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활발히 연구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실험연구는 다양한 한방관련 간호중재의 실험처치로 긍정적 효과를 입증하였고 문헌연구에서는 한방간호정립에 필요한 이론과 실무측면의 고찰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한방간호의 정립을 위해서는 양생과 관련된 간호중재개발과 함께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trends of study related with oriental nursing. This article reviewed 81 researches on oriental nursing from 1985 to July 2000, by examining them according to the articles` characteristics, sources by publication period, research design, nursing intervention effect of experimental study and concept, and content of literature review.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studies related with oriental nursing has progressively increased by year from 1985, and that of articles was the highest during the period between 1995 to 1999. Since the 1990s, the number of articles including thesis and dissertation increased, and a third of subject articles were thesis among them. 2. The majority of research design were survey and correlational studies, and most of them were published in the 1990s. Literature review articles also occupied a certain portion, and most of them were published after 1995. In addition, the research design of dissertation revealed in various types. 3. Nursing intervention used in the experimental study was Dan Jeon Breathing, San-Yin-Jiao (SP-6) Pressure, Percutan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Guided Imagery, Diet for Sasang Constitution, Yoga Exercise, Qigong Exercise, Meridian Massage, Bed Exercise Program, Health Contract and Structured Rehabilitation Education. Among the study subjects,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were at the highest rate, and the most nursing intervention effects presented physiological effect,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lieving pain. In most studies, the affirmative effect proved. 4. The key concept of literature review articles is energy, oriental nursing, health promotion, oriental medicine management of illness and etc. Being important concepts to understand oriental nursing, they confirm similar perspective of oriental medicine and nursing and show simultaneously the importance of nursing considered into the cultural perspective. The summary of the above results shows a tendency that the thesis and dissertation have been relatively considered with various research designs, while the others have focused on literature review. Especially, experimental study proved affirmative effect through various experimental treatment of nursing intervention related with oriental medicine. Besides in the literature review, inquiry of theories and practical perspective, which i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oriental nursing, was introduced. However, for the establishment of oriental nursing, more studies are to be required along with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related with health promo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방건강증진센터 설립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이향련 ( Hyang Yeon Lee ),김귀분 ( Kwuy Bun Kim ),조결자 ( Kyoul Ja Cho ),신혜숙 ( Hye Sook Shin ),김광주 ( Kwang Joo Kim ),문희자 ( Heui Ja Moon ),박신애 ( Shin Ae Park ),김윤희 ( Yoon Hee Kim ),강현숙 ( Hyun Sook Kang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5 No.1

        The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egree of cognition and demand on health promotion center of oriental nursing. It puts unique nursing intervention using traditional health promotion connected with oriental medicine to practical use for residents`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of disease. With the study design of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516 residents who live in 26 Dongs, Dongdaemoon-gu were selected. The tool of study consists of 30 questions which the study team made for the degree of cognition and demand on health promotion center of oriental nursing. Cronbach`s α in the degree of cognition was .8028. Collection of research data had been done from October 1 to October 30, 1999 with help of Dongdaemoon-gu office after pretest from 20 resid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to the number and percentage in the characteristic of a subject and connected with demand on the establishment of center,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in the degree of cognition and F-tests in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cognition by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characteristic of subject of this study was male 50.6%, and average age was 38.5 years old and 30-39 years old occupied the highest percentage with 31.6%. The married were 71.8%, over high school graduates was 85.6%, monthly income from 500 thousand won to 2 million won was 86.1%. 50.8% was the type living with parents, children and sibling. 2) When they were sick, the institution which residents used at first was a pharmacy(69.2%) and hospital(27.5%), but oriental medicine hospital was just 1.4%. As fo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82.5% answered over average, and 28.7% answered that they had chronic illness such as arthritis, chronic digestion problem, hypertension and so on. As for information collection on health, mass communication(34.9%) and medically concerned people(28.1%) occupied relatively high rate. Free health diagnosis system(36.8%) and establishment of health promotion center(31.5%) among welfare programs that residents want to enjoy were high ranked. The rate using a special institution for health was 17.8%, and among these institutions, the rate using aerobic exercises, health center(7.0%) and steamed room(5.4%) was high. Besides, other institutions such as breathing at the abdomen, finger-pressure therapy, meridian massage, foot massage, and so on were being used. 3) As the average of the degree of cognition on health promotion center of oriental medicine was 2.92, the degree of cognition was medium. The description, health promotion center of oriental medicine is necessary for health keeping of healthy people, including people who have a problem in health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cognition(3.04, ±0.64). 4) As for the intention on using health promotion center of oriental nursing, 61.4% said yes, no was just 1.4%. The services that people relatively high wanted to be served from the center were measures reducing stress(68.0%) (relaxation therapy, meditation, breathing at the abdomen and so on), acupuncture(66.5%), fingerpressure( 61.6%), moxibustion(57.6%), meridian massage(44.2%), postpartum care(40.3%) and so on. 5) As for the degree of cognition on the establishment of health promotion center of oriental nursing by characteristics of subjec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F=4.03, p=.046) between male(3.01) and female(2.9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marital status,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monthly income. As the above result, cognition on the establishment of health promotion center of oriental nursing was relatively low because people were not familiar with about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oriental nursing yet. However once the center will be established, the degree of demand on the center will be relatively high. So positive advertisement will be necessary, and the management of useful programs will be also required in order to make people recognize the advantage when they actually will use the center. On the other han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consists of many young people of below 30, the health problem came to be low. And in the case of sampling, the study using random sampling that can represent population will b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