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직관적 사고, 디자인 사고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의성향에 미치는 영향

        주맹희,김보경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Although emphasizing creativity in education, intuitive thinking and design thinking, the driving force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has been less emphasized, while logical and rational thinking have been emphasized. Especially, creativity education itself tends to be less emphasized while students becomes older. In this article, this author has studied intuitive thinking, the only way of thinking of human beings, and examined how design thinking, the way of thinking and solving empathic problems, would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mediated self-efficacy. For this study, the authors has analyzed the data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uitive thinking and design thinking has had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Second, self-efficacy has had mediated effects in relation between intui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between design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Third, after analyzing moderated effects of nationalities and grade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no moderated effect in nationality, but in grades. Thes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college students, they should be redesigned from the content-based education to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er should respect learners’ needs and emotions, and allow for a holistic understanding, physical sense, and nonverbal expression rather than accuracy. These also imply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curriculum to train convergent thinking skills which express intuitive thinking and design thinking with confidence and self-efficacy in their own way. 교육에서 창의성 함양을 강조하고 있지만 여전히 논리적·합리적 사고를 중요시하며 상상력, 창조력의 원동력이 되는 직관적 사고와 디자인 사고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두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학령이 높아질수록 교육에서 창의성을 덜 강조하는 경향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유일한 사고방식인 직관적 사고와 공감적 문제해결을 위한사고방식인 디자인 사고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의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한국과 중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이행하였다. 연구결과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관적 사고, 디자인 사고는 자기효능감과 창의성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직관적 사고와 창의성향, 디자인 사고와 창의성향의 관계에서 각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적과 학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국적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않았으나, 학년에서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창의성향을향상하기 위해서는 교과내용 중심의 교육에서 학습자중심 교육으로 재설계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의 욕구와 정서를 존중하고, 정확성보다는 총체적 이해를, 신체감각과 비언어적 표현을 허용하여야 한다. 또한학생이 자신의 방식에 대한 확신과 효능을 가지고 직관적 사고와 디자인 사고를 발현하는 융합적 사고를 훈련하는 교육과정을 기대한다.

      • KCI등재

        중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분석

        김기열(Kim, Ki-Yeol)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이 연구는 중학생의 성격유형과 기술적 사고성향 간의 관계를 구명하고 성격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기술적 사고성향은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선호하는 기술적 사고성향을 이해하고, 각각의 성격 지표에 따른 학습 방법을 찾아 기술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교사는 학습자에 대한 정교하고 심층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적절한 교수기법을 선택하여 보다 효과적인 기술교과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MBTI 성격유형과 기술적 사고성향 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0.2~±0.7 미만의 상관계수를 나타내고 있고, 이것은 낮은 상관관계 또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의미한다. 기술적 사고성향의 총점과 외향(E)과의 상관계수는 .590, 사고(T)와의 상관계수는 .471, 감정(F)과의 상관계수는 .503, 판단(J)과의 상관계수는 .583, 인식(P)과의 상관계수는 .574로 다소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감각(S) 과의 상관계수는 .277과 직관(N)과의 상관계수 .397는 낮은 상관을 보였다. 실천적 활동을 중시하는 기술교과는 다른 교과와 달리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기술적 사고성향과 내향(I)과의 상관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중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기술적 사고성향을 t-검정한 결과 외향형․내향형의 평균만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p<.05). 외향형 학습자는 내향형 학습자 보다 사교적이고 현실적인 문제를 선호하며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문제해결력을 기술적 사고와 긴밀하게 연관시키는데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외향형 학습자는 외부 세계의 사람이나 사물에 에너지를 집중하기 때문에 기술적 문제 파악 및 해결 성향, 기술적 조작 성향에서 내향형 학습자 보다 더 행동을 하려는 사고 성향이 나타 났다. 직관형 학습자는 감각형 학습자 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실 이면의 의미나 관계, 가능 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보고 제품을 만들어 보는 등의 사고성향을 갖고 있는 기술적 창의 및 표현 성향, 기술적 조작 성향에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판단형 학습자는 인식형 학습자 보다 계획적이고 조직적이며 명료한 과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명확한 계획을 세우고 만들기를 시작하거나, 만들기 과정을 미리 생각해 보거나, 만들기 작업 후 반성해 보는 등의 사고 성향을 갖고 있는 기술적 계획 및 성찰에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he personality typ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determine what differences exist in the preferred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based on the personality types. It can help reveal preferred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depending on personality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MBTI personality types and the technical thinking disposition represen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0.2 ~ less than ±0.7, this means a low correlation or a little high correlation. For the total of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is and extroversion is .590, thinking .471, feeling .503, judging .583, perceiving .574, showing a little high correlation and sensing .277, intuition .397, showing a low correlation. It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introversion because technology subject focuses on practical activities and prefers application of the theory to actual situation contrast to other subjects. Second, the results of conducting t-test on the preferred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personality type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averages of extroversion-introversion types. Extroversion learners are considered more advantageous to closely associate technological thinking with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because they prefer more sociable and practical issues, and interaction than introversion learn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in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sensing-intuition, thinking-feeling, judging-perceiving(p>.05). This means that personality types of sensingntuition, judging-perceiving do not affect the learner preferences of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 KCI등재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추상적, 구체적 반복사고의 차별적 매개효과

        정소담,김창대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2

        This research was conduc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 standard perfectionism on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differential mediating effects of abstract-analytic thinking and concrete-experimental thinking. For this purpose, 565 adults were surveyed about Fros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 Repetitive Thinking Mode Questionnaire(RTMQ), Zung’s Self-report Depression Scale(SD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personal standard perfectionism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oth abstract-analytic and concrete-experimental thinking, and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Second, while abstract-analytic thinking had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concrete-experimental thinking had negative effect on it. Third, the effect of personal standard perfectionism in the path to depression was differentially mediated by abstract-analytic thinking and concrete-experimental thinking.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와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가 병렬적으로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성인 565명을 대상으로 Frost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FMPS), 한국판 반복적 사고 방식 질문지(RTMQ), Zung’s 자기보고식 우울척도(SDS)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인기준 완벽주의는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에 정적 영향을,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는 우울에 정적 영향을,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우울에 이르는 경로에서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와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가 각각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점을 도출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고시조에서의 정치의식 표출의 양상

        전재강(Jeon Jae-Gang) 한국시조학회 2007 시조학논총 Vol.27 No.-

        정치의식이 역사적 사건과 관련하여 시조에 표출된 경우, 시조에 반영된 다섯가지 역사적 사건 가운데 대내의 정치변동이 세 가지, 대외 전쟁 사태가 두 가지였다. 사건 피해지들은 조선 건국에 강한 저항과 고려 왕조에 대한 회고의 정서를, 세조 왕위 찬탈의 경우에는 강한 절의와 단종에 대한 연민의 정서를, 인조반정의 경우에는 반정을 칭송하거나 반정 후에 필요한 경계를 각각 노래하였다. 앞의 두 사건에 대한 저항은 不事二君, 왕위의 父子世襲이라는 유교적 가치기준에 근거하며, 반정 대한 칭송은 廢母殺弟의 悖倫을 징치한다는 유교적 가치에 따른 것이어서 유교의 관념적 정치의식이 반영됐다. 시조에 반영된 대외 전쟁 사태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둘이었다. 둘은 몇 가지 점에서 다르게 시조에 반영되어 있었다. 결과에 있어 임진왜란은 승리한 전쟁이었고 병자호란은 완전히 패배한 전쟁이었다. 그 때문에 전자의 경우에는 전쟁의 상처를 물리적으로 치유하는 일이 급선무였다면 후자의 경우에는 물리적 상처에 그치지 않고 조선이 신봉하던 중화주의적 세계 질서가 파괴되고 조선이 소위 오랑캐 나라에 조공을 바쳐야 하는 신하국으로 전락하여 그 충격의 정신적 치유가 시급했다. 그래서 임란의 경우에는 일부 작품에서 전쟁 자체를 표현했고 전후 국가 내적 문제를 지적하고 시정을 요구하는 내용이 작품에 많이 나타났다. 전쟁을 표현한 작품에서는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순수한 무장의 정치의식이 나타났고 전후 정치를 경계하는 작품에서는 전쟁 극복의 방법이 안에 있다는 합리적 정치의식이 나타났다. 호란의 경우에는 중화주의적 세계관을 무너뜨리는 것이었기 때문에 그 사건 자체를 두고는 죽음을 각오하고 저항하며 사건 뒤에 나온 작품에서는 중화문명의 회복을 추구하고 적개심을 불태우는 내용이 많이 나타났다. 임란에서는 그 원인을 우리 내부에서 찾아 해결하려고 하여 합리적 정치의식을 보였다면 호란에서는 원인을 밖에서 찾고 중화주의에 입각한 저항적 정서를 보여 관념적 정치의식을 보여 주었다. 시조에서 중요한 일상으로 다루어진 항목이 송도, 생계 활동, 강호 생활, 훈민, 학문 등이었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이 송도인데 여기서는 집권층의 입장을 대변하거나 권력을 추구하거나 개인적 영달을 추구하여 권력층 내부에서 통치의 정당성을 선전하는 정권 담당자의 정치의식, 밖에서 중앙 권력을 추구하는 권력 지향적 정치의식, 개인이 출세를 도모하는 현실적 정치의식 등이 나타났다. 생계 활동과 강호 생활을 노래한 작가의 경우 하인을 부려 생계활동을 할 수 있는 작가는 중앙 정치무대를 지향하는 정치의식을 보여주었고 후대로 가면서 백성의 어려운 생계 현실을 알리고 연민히는 작품이 나와서 애민적 정치의식을 보여주었다. 강호 생활을 노래한 작품의 경우 강호와 정계를 두고 올바른 정치를 수행하기 위하여 출처를 고민하는 관념적 정치의식을 보이기도 하고 출사가 막힌 상황에서는 강호를 무대로 수기에 전념할 수밖에 없는 현실적 정치의식이 나타났다. 끝으로 훈민을 노래한 작가가 관직을 가지고 있을 때에는 구체적 행정 업무를 수행한다는 정치의식이 나타났고 관직 없이 훈민을 노래한 경우에는 스스로 능력자임을 증명하여 정치적 진출을 추구하는 참여 지향적 정치의식을 나타냈다. 학문의 경우 정치에서 물러나 학문에 매진하는 작가는 학문을 통하여 후진을 양성하고 이상적 정치를 미래에 구현하려는 관념적 정치의식을 보여 주었고 학문을 통하여 진출과 상승을 꿈꾸는 작가는 자기의 지위를 다지고 자기 세력을 수호하려는 현실적 정치의식을 보여 주었다. I studied on the thinking of politics which represented in classic Sijo by discussing two aspects, that is, relating with historic incidents and daily works. I found out five kinds of historic incidents in classic Sijo which are consists of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Saejo's dethroning a king Danjong. The Japanese invasion to Chosun. Injo's taking over the throne. Ching's invasion to Chosun. About national problems(=foundation of Chosun dynasty, Saejo's dethroning a king Danjong. Injo's taking over the throne), the authors of classic Sijo showed the confucian thinking of politics, differently from about international problems(=The Japanese invasion to Chosun, Ching's invasion to Chosun) the confucian thinking and rational thinking of politics. I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nking of politics and five kinds of confucian scholar's daily works: for example the eulogy, living acts, the life in the nature, the teaching people, the studying Confucianism. The author of classic Sijo showed distinctive thinking of politics related with the eulogy, distinctive thinking and people loving thinking of politics related with living acts, confucian thinking and realistic thinking of politics related with the life in the nature, ruling thinking and distinctive thinking of politics related with the teaching people. ideal confucian thinking and realistic thinking of politics related with the studying Confucianism.

      • 통합예술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박경주,최경숙,권이정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합하는 전인적 인간의 형성을 위해 과학적 이성 뿐만 아니라 예술적인 감각과 감수성이 요구된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예술교육이 사물에 대한 탐색과정에서 느끼고 생각하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다른 아이들과 상호작용하고 협동하는 경험을 통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는 통합예술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로 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 N시에 위치한 N 유치원 만 5세반 두 학급의 유아 51명(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배려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해 Lipman(2003)이 제시한 배려적 사고 유형 및 특성을 기초로 이춘희(2007)가 구안한 교사용 유아의 배려적 사고 관찰척도를 적용하였다. 검사 실시 방법은 배려적 사고 영역의 각문항에 대하여 각 반의 담임교사가 유아의 평소 생활 모습 중에 배려적 사고가 언어적 표현과 행동을 나타낸 것을 관찰하여 제시된 기준에 따라 평정하도록 진행하였다. 실험처치는 2017년 6월 5일부터 2017년 7월 28일 까지 매주 2회 총 8주간 진행되었다. 실험기간동안 실험집단은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생활주 제에 따른 단위활동으로 신체표현, 음악, 미술 활동이 이루어졌다.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유아의 배려적 사고 검사도구를 통하여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대한 동질성을 확인 한 후 실험처치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 실시 하였다. 사용된 검사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a 계수를 산출하였다. 자료분 석은 SPSS 18K를 통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통합예술교육은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통합예술교육을 실시한 결과 사전 검사에서 배려적 사고 점수가 유사하던 수준은 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점은 통합예술교육을 통해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하위 변인인 가치 부여적 사고, 규범적 사고, 정서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 행동적 사고에 대하여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즉유아들은 자신들의 표현에 대한 감상 및 평가를 하면서 활동한 결과물을 소중히 여기며 가치를 부여하는 가치부여적 사고, 일정한 틀 속에서 친구들과 함께 예술표현을 하면서 친구들과의 관계형성에 필요한 규범적 사고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함께하는 활동 속에서 친근한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정서적 사고가 성숙하게 되었으며, 고려하기. 성원하기.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기 등 감정이입적 사고와 끝으로 어려움에 처한 유아를 돕고자 하는 행동적 사고가 향상되었다.본 연구 결과를 통해 통합예술교육을 실시하면서 유아들 간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과 협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아의 통합 예술교육은 유아들이 직접 상호작용하며 도움을 주고받는 경험을 통한 인성교육에 효과적 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launched in that artistic sense and sensitivity as well as scie ntific reason were demanded to nurture and educated the whole-person suitabl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was to examine how integrated arts program affects the caring thinking of young children by stimulating the ar tistic sense and sensibility of human beings through creative expressions and en hancing the ability of interaction and cooperating. According to the purport of this study, a leading research question was summar ized as follows: How integrated arts program affects the caring thinking of youn g children? The target of this research was fifty one infants of two five year old classes of N preschool located in N city of Chungcheongnam-do (twenty five children for an experiment group and twenty six children for a control group). In order to m easure the caring thinking of infants, the standard to observe caring thinking of infants for teachers proposed by Lee, Choon-Hee was used. This standard was set up based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 of caring thinking proposed by Lipm an (2003). As a testing method, the homeroom teacher of each class observed h ow the caring thinking of infants were expressed through language and behavior s in their daily lives and rated them according to standards and questions sugge sted. The testing was conducted from June 5 th of 2017 to July 28 th of 2017, twice pe r every week for eight weeks. During the testing period, the integrated art prog ram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physical expressions, m usic and art activities as unit activity according to their life theme. were given t o the control group. Before implementing the integrated arts program, the equivalence of the caring t houghts of infants was verified through testing tools and then the program was applied.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for the credibility verificati on of the testing tools and t-test for the two independent samples were conduct 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18.0K. The finding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as belows; The integrated arts program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caring thinking of infants. While a preliminary test showed a similar level of caring thi nking among the group, post-test after the education program were implemented showed a significant result statistically. It had definitely effects on the sub-facto rs of caring thinking including value attaching thinking, normative thinking, emo tional thinking, empathetic thinking and behavioral thinking. The appreciation an d evaluation of the expressions of infants using creative expressions led infants to build value attaching thinking among them, and their artistic expressions mad e with friends in a certain form enhanced their normative thinking which was d emanded for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Furthermore, while they participated in collaborative activities, they developed emotional thinking to build intimate rel ations, empathetic thinking to accept others including considering, supporting, an d caring as well as behavioral thinking to help other children with difficulties. The study concluded that through the integrated arts program natural interactio n and cooperation arisen among the infants had the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caring thinking. It implied that the integrated arts program let children to interac t one another and help each other, which was effective in personality education.

      • KCI우수등재

        감사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및 사회문화적 요인

        서예지,안정민,정태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personal and socio-cultural factors that influence gratitude experience (Study 1), identified different types of gratitude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gratitude experience based on life, Korean social satisfaction, and personal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Study 2). In Study 1, 314 participants (127 men, 186 women, 1 anonymous; age M = 24.38, SD = 5.52, range: 18-49) completed tests to assess life and Korean social satisfaction, gratitude disposition (tendency), personal and societal gratitude, personality (Big Five),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analytical-integrated thinking. Amos was then used to perform a structural model analysis. As a result, both life and Korean social satisfaction influenced personal and social gratitude positively. Among the f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xtroversion had a negative impact on social gratitudes and emotional stability had a negative impact on personal gratitudes, with gratitude disposition having a static impact on both. The greater the collectivism, the greater the personal and Korean social satisfaction and the greater the integrated thinking tendency, the greater the personal appreciation. In Study 2, 65 participants (male = 31; female = 34; age M = 23.02, SD = 3.15) were asked to keep a diary on their gratitdude experience for two weeks. As a result, gratitude experiences were classified as personal, social, or transcendent. Overall, the ‘upper’ group had a higher frequency of gratidue experience than the ‘lower’ group due to higher variable scores. Regardless of the degree of factors, however, the frequency of social gratitudes was quite low. When the forms of gratitude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are considered together, the influence of variables by dimension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gratitude. These findings imply that multimodal psychosocial intervention is required to increase gratitude, which is linked to both social and personal well-being.

      • KCI등재후보

        개인적 지능 중심의 반성적 사고 향상을 위한 수업 전략 연구

        정태희 교육종합연구원 2010 교육종합연구 Vol.8 No.3

        Personal intelligences play an important role to motivate our life. The strategy to enhance intrapersonal intelligece is the reflective thinking. This study aims to inquiry personal intelligeces and reflective thinking, suggest strategies to enhance reflective thinking based on personal intelligences in classroom instru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reflective thinking strategies based on personal intelligences involved searching one's strength/weakness, self report reflection, subject inventory, planning and choosing : project learning in multiple intelligeces, project journal writing, subjective writing about topic, and reflecting through cooperation with peers/ feedbac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suggest that reflective thinking corresponding with personal intelligences is the most important activities to facilitate student's self development.

      •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재양성과 창조교육

        이용길 ( Lee Yong-gil ) 창조교육학회 2017 창조교육논총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nurturing talen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period of ‘Convergence’ without boundary between studies. Nurturing talent, therefor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be the education focusing on personality, sensibility, and creative thinking. The education for convergence is to cultivate human creativity. The vision of the future talent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o display diversity of convergence by ‘thinking power’ as creative professionals to create the new knowledge coming from integrated sight of every field. That is the talent of creative professionals to be the origin of added value of particularity layng stress on originality and discrimination. Education needs to provide jobs, capabilities, and creative professionalism of personality to industrial society through creativity education. Accordingly. customized education considering individual’s cap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should be sought so that individual education can be performed to meet each learner’s creative capabilities. The future talen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ose who are equipped with diversity by the ‘thinking power’ to create value. The creativity education to cultivate the ‘thinking power’ can be realized by the educational method of Idea-Discovery-Digging-Manifestation- Development of the five stages of teaching-learning in creativity education. The stage of Idea is that of imagination from which the ‘thinking power’ beginsm showing independent, original and distinctive thought. The stage of Discovery is the process that the ‘thinking power’ obtains unity and order gradually, expressing the content of the stage of Idea concretely. The stage of Digging is the process of making purposive and incorporated conception toward the new value, changing the ‘thinking power’ to reasonable and systematic conception. The stage of Manifestation is the process of composing the content by systematically arranging the ‘thinking power’ that is collected from the stage of Digging. The stage of Development is the process of creating value, showing original, distinctive, and creative capabilities by accomplishing the ‘thinking power’. The vision of the future talent in creative education is that of creating the new knowledge through consilience and convergence, as professionals displaying diversity of convergence is the education to build up original, distinctive, and creative capabilities through creativity education.

      • KCI등재

        이과계열 고등학생의 사고양식 특성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분석

        정은주(Jeong, Eun-Joo),민병미(Min, Byeong-Mee),손연아(Son, Yeon-A),맹희주(Maeng,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미래사회를 대비하여 창의적 이공계인력의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계층인 이과계열 고등학생들의 창의적 인성과 사고양식의 특성을 조사하고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의 이과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총 285명을 대상으로 결과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창의성 인성에 따라 상하그룹으로 구분하고 사고양식의 특성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과계열 고등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입법형, 계급형, 지엽형, 외부형, 자유형의 사고양식을 지니며, 창의적 인성과 외부형, 지엽형, 계급형, 입법형, 자유형순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인성이 높은 그룹은 창의적 인성이 낮은 그룹보다 입법형, 사법형, 계급형, 무정부형, 지엽형, 외부형, 자유형의 사고양식을 유의미하게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인성이 높은 그룹은 지엽형, 무정부형, 계급형, 사법형, 입법형, 자유형 순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창의적 인성이 낮은 그룹은 사법형, 외부형, 지엽형, 계급형, 입법형, 자유형 순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보수형의 사고양식은 창의적 인성과 유의미하게 부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과계열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활용방법으로 학습자가 선호하는 사고양식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나 보수형 사고양식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시사되었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inking style of high school students in natural science departments, which is a potential group that can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creative science and engineering workforce in preparation for future socie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tudents of natural science departments in the Kyonggi-do high school. A total of 285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according to creativity personality, high and low group were classified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thinking style and correl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 school students in natural science departments generally have the thinking style of legislative, hierarchic, local, external, liberal,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reative personality in order of external, local, hierarchic, legislative, and liberal. Second, it was analyzed that high creativity personality group were more likely to prefer the thinking style of legislative, judical, hierarchic, anarchic, local, external, liberal than low creativity personality group significantly. The high creativity personality group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order of local, anarchic, hierarchic, judical, legislative, liberal, the low creativity personality group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reative personality in the order ofjudical, external, local, hierarchic, legislative and liberal.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conservative thinking styl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reative person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considering the preference thinking style of the learner as the educational utilization method to cultivat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the students in the science department, but it is suggested that the conservative thinking style should be avoided.

      • KCI등재

        통합적 유아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류경희(Ryu, Gyeong-Hu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통합적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기 적절한 인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 대상은 전북지역에 소재한 S유치원과 K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4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통합적 유아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전체 창의적 인성 및 하위요인인 독특 성, 다양한 관심, 상상-유희성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통합적 유아인성 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전체 창의적 사고 및 하위 요인인 독창성, 제목의 상상력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즉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활동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사고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유아인성교육활동은 단일 형태보다는 통합적 접근을 통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find ouf the effects of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on young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and thinking,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proper personal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o that end, the study was conducted for 44 five-year-old young children in S and K kindergartens located in Jeollabuk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had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Young children s whole creative personality and sub-factors such as uniqueness, diverse interest, and imagination-play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it was shown that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had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 s creative thinking. Young children s whole creative thinking and sub-factors such as uniqueness and title-making imagin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t meant that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using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and thinking. Therefore, young children s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suggests ways to apply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s through integrated, not single,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