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니야노올자》에서 나타나는 1990년대 한국미술의 동시대성

        박경주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1

        《Sooniya No-o-lja》 is an exhibition held twice in Midopa Gallery within Midopa Department Store, Sanggye(currently, Lotte Department Store, Nowon) in 1994 and 1995. This is a project-type participatory exhibition that induces every visitor to the department store to play using the works by changing the exhibition space to a space for play, composed of joint works by four ceramists such as Jongin Kim, Kyungjoo Park, Mihwa Park, and Mikang Lim. 《Sooniya No-o-lja》 shows the post-modern tendency to aim for pluralism and also to remove excessive formalism such as closeness between genres and division of high-level culture and low-level culture. Especially, it shows the contemporaneity of Korean art in the 1990s such as popular culture of capitalistic society, dailiness of the conceptual and abstract world instead of authority, and post-genre. Also, Those four artists spent lots of time on mapping out and producing the works in their studio located around Hongik University. The background of this exhibition has been influenced by the culture around Hongik University and new generation art of the 1990s that formed new hybrid cultures and created new styles by converging various cultural genres. It includes a meaning of enjoying together just like playing with audiences through the works produced in the form of assemblage or collage by using various materials and found objects seen in daily life. Moreover, it would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eramists’ attitude who attempted post-genre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media without being bound by kiln fire using clay, and also could ‘play exciting’ together with their works by identifying arts with daily life. 《수니야노올자》는 1994년과 1995년 미도파백화점 상계점(현 롯데백화점 노원점)에 있는 미도파갤러리에서 2차례에 걸쳐서 개최한 전시이다. 4명의 도예가-김종인, 박경주, 박미화, 임미강-의 공동작품들로 구성되어 있고 전시공간을 놀이 공간화해서 백화점을 찾은 모든 사람이 작품을 이용해서 놀 수 있도록 유도한 프로젝트형 참여전시이다. 《수니야노올자》에서는 고급문화와 저급문화의 구분, 장르 간의 폐쇄성 등 과도한 형식주의를 제거하고 다원화를 지향하는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을 볼 수 있다. 특히 자본주의 사회의 대중문화,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세계에 대한 권위가 아닌 일상성, 그리고 탈장르 등 1990년대 한국미술의 동시대성이 나타난다. 또한, 4명의 작가가 작품을 구상하고 제작하면서 많은 시간을 보낸 곳은 홍대 근처에 있는 작가들의 작업실이었다. 따라서 전시의 배경에는 다양한 문화 장르들을 융복합해서 새로운 혼성문화를 생성하고 새로운 스타일을 창출했던 1990년대 홍대문화와 신세대미술의 영향이 있다.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재료와 사물들을 이용해서 앗상블라주 또는 콜라주 형식으로 제작한 작품을 통해서 관람객과 놀이를 하듯이 즐기자는 의미가 담겨있다. 더욱이 그들이 도예가임에도 불구하고 점토를 사용한 번조에 구속되지 않고 매체의 확장을 통해서 탈장르를 시도했다는 점과 예술과 일상을 동일시하면서 작품과 함께 ‘뒤집어지게 놀기’를 시도했던 작가의 태도에 주목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무신정권기 문인들의 문학에 나타난 출사와 은둔 지향의 양면적 심리 고찰 -은둔 지향 작품 창작이 지닌 치유적 기능에 주목하여-

        박경주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4 No.-

        고려시대 무신정권기 문인들은 관직에 나가고자 하는 소망을 이루기 위해 무신정권을 찬양하고 자신들의 능력을 과시하는 성향을 보이면서도, 출사가 어려울 때는 은둔을 표방하며 정치 현실을 비판하거나 민생 구제를 하지 못하는 현재의 처지를 자위했다. 이러한 그들의 상반된 심리는 그들의 한문학과 경기체가 작품들을 분석할 때 잘 드러난다. 이 논문에서는 출사 행로를 기준으로 이 시기 문인들을 유형별로 나눈 후, 문인들이 출사와 은둔 지향의 양면적 성향을 나타낸 작품들을 분석해 그 의미를 고찰했다. 무신정권기를 대표하는 문인들 가운데 이규보와 이인로는 과거에 급제하고 관료로서의 길을 걸었기에 출사 지향적 가치관을 <한림별곡> 및 일부 한시에서 보여주면서도, 출사 전에 겪어야 했던 기다림과 무력감 등의 부정적 감정을 견디어내고자 은둔 지향의 가치관을 명분으로 삼는 모습을 다른 한시 작품을 통해 드러냈다. 그런데 이규보는 최씨 정권에서 성공한 문인의 대표 주자인 반면, 이인로는 출사는 했으나 낮은 관직에 머물며 오랜 세월 승진하지 못한 차이로 인하여 세부 양상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임춘의 경우는 과거 급제조차 하지 못하고 불우한 일생을 살다가 요절했기에 그 심리적 갈등이 두 문인에 비해 더욱 컸으며, 자존감의 하락 속에 출사와 은둔 사이를 방황할 수밖에 없었다. 진화와 김극기의 경우는 관직 출사의 행로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해도 작품을 통해 은둔 지향의 속성을 드러내며 이를 관직출사와 관련해 활용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면에서 비슷하며, 이는 이인로와 죽림고회 일원들이 은둔지향을 통해 관직자로서는 미진한 현실을 달랬던 것과 같은 흐름의 노선이라 생각할 수 있다. 유형별로 출사 양상은 좀 다르지만 결국 그들이 창작한 은둔 지향의 작품들은 관직 출사를 통해 정치적 꿈을 실현하고자 하는 희망이 무신정권기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좌절될 경우에 출사와 은둔 지향이라는 양면적 심리의 거리를 줄이면서, 내면적으로는 현재 처지를 위로하고 밖으로는 자존심을 잃지 않도록 하는 명분을 갖게 했다는 점에서 정치적 혼란기에 상처 받고 위축될 수 있는 문인들에게 중요한 치유적 역할을 수행했다고 판단된다. The literati in the Goryeo military regime showed a tendency to praise the military regime and show off their abilities to fulfill their wish of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However, when faced with the difficulty of the taking up the actual service, they laid claim to a secluded life, criticized the political reality, or apologized for their inability to serve the people, and then consoled themselves. An analysis of their Chinese classical works and Gyeonggichega (a type of poetry) shows such a psychological contradiction. This paper divides the literati based on their paths toward public service, and analyzes the issues in their works including such psychological contradictions. Among the representative literati in the military regime, in some of their literary pieces, such as <Hallimbyeolgok> and some classic Chinese poems, Yi Gyu-bo and Yi In-no passed the Gwageo (state examination to attain the highest level of position in the government), took the official road, and illustrated the value of entering into public service. On the other hand, in their other classical Chinese pieces, they expressed secluded-life-oriented values and helplessness, among other negative feelings, as they had to wait for a long time to go into public service. While Yi Gyu-bo became a major successful literary man during Choi's regime, Yi In-no entered into public service in a low office and was long unable to get a promotion. This resulted in a contrasting psychology between the two authors. As another example, Im Chun failed the Gwageo examination, lived an unfortunate life, and died at a young age, thereby psychologically suffering far beyond what was endured by the two aforementioned literati. A mid losing his self-esteem, Im Chun was torn between going into public service and living a secluded life. Jin Hwa and Kim Geuk-gi embraced a secluded life value through their works, consoling themselves for not entering public service. This is similar to how Yi In-no and the members of Juknimgohoe Society sought the value of a secluded life, and yet consoled themselves through a public lives. The literati's secluded-life-oriented works, though different in terms of their public lives, helped lift up their frustrated minds while leading political lives under the military regime, and healed their double-sided psychology of going into the public lives while living a secluded life. The literati's secluded-life-oriented works, eventually helped encourage the literati. Their works are considered useful in healing the hurt and withdrawn literati during political turmoil.

      • KCI등재후보

        다각적인 모유수유접근방법을 통한 모유수유 시행율 및 만족도 향상

        박경주,김진화,김경란,조미라,박소영,김순희 한국의료QA학회 2006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3 No.2

        문제: 질병간호에만 중점을 두고 정상 신생아의 직접 모유수유 및 환아의 간접 모유수유 교육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신생아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인지도도 낮았다. 목적: 모유수유 교육에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고 개선하여 모유수유 시행율을 높이고 산모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의료기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학병원의 신생아실 질 향상 활동: 모유수유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활동 후 평가를 하였다. 개선효과: 정상아의 직접 모유수유율이 38.2%에서 69.7%로, 환아 및 미숙아에 대한 간접 모유수유율이 7.5%에서 33.7%로 향상되었고 모유수유교육 및 환경에 대한 산모 만족도는 39점에서 77.1점으로 향상되었다. 교훈: 출산 전후 체계적인 교육과 지속적인 추후관리가 필요하고 모자동실의 활성화 및 입원기간 중 모자동실 내에서 방문교육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추후 국제 모유수유 전문가를 지속적으로 양성하여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코로나 시기 ‘공군 부곰카페’를 대상으로 살펴본 문학치료의 양상과 전망

        박경주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7 No.-

        The 'Air Force Bugom Cafe' (https://cafe.daum.net/SkyEagle) is a place where parents and close friends join as members when their sons enlist in the Air Force and undertake their mandatory service. It is the Internet's Daum cafe where people share relevant information, including their longing for their family members during the enlistment period, and comfort each other. The cafe’s membership grew rapidly when military leaves of absence or visits were not allowed due to COVID-19. During that period, it was confirmed from the posts and comments in the Bugom Cafe that a process was developing that could be seen as mutual therapy where people can comfort, and sympathize with each other, and build solidarity through literary 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Air Force Bugom Cafe' as a literary therapy space and analyzes the various literary therapy practices that occur within i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s and different genres. Members of the cafe share their own creative writing, such as poems or songs. It provides a venue to present existing literary works, essays and reviews, and experiential essay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Through this process, the anxieties of families who have sent loved ones to the military are gradually alleviated, and the desire for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esteem through writing and creative expression is fulfilled. These ultimately lead to a sense of empathy and solidarity through shared therapeutic experiences. This study confirms the potential of literary therapy in an online space for a group that shares a specific situation. It is hoped that by expanding the advantages and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such online spaces, the use of literary therapy can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공군 부곰카페(https://cafe.daum.net/SkyEagle)’는 아들이 공군으로 입대해 의무 복무를 하게 된 상황에서 그 부모를 비롯한 가족과 절친한 친구들이 회원으로 가입해, 아들의 군 복무와 관련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그 기간 동안의 그리움을 나누며 위로하는 인터넷 다음(daum) 카페이다. 이 카페의 회원들은 코로나19로 인해 군대의 휴가나 면회가 자유롭지 않았던 시기에 급속한 성장을 보였는데, 그 기간 동안 부곰 카페 내 게시글과 댓글에서 문학작품을 통해 서로 위로하고 공감하며 연대해나가는 상호치료로 볼 만한 과정이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자세히 파악하고자 이 논문에서는 ‘공군 부곰카페’가 상호치료 공간으로서 규정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해 정리한 후,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문학치료의 양상들에 대해 작자군의 특성과 더불어 장르별로 예시를 들어가며 검토했다. 카페 회원들은 본인이 직접 지은 창작시나 창작가사, 기존 작품에 대한 소개의 글이나 감상문 및 평론, 그리고 체험에 바탕을 둔 교술산문 등의 다양한 장르를 활용해 게시글과 화답글을 올리며 소통했다. 그 과정을 통해 아들을 군대에 보낸 가족들이 가졌던 불안 요소가 점차 사라지고 글쓰기와 창작을 통한 정서적 표현 욕구와 자존감이 충족되면서 결국에는 작품의 소통을 통한 공감과 연대의식이 확보되는 치료의 경험을 공유하게 되었다. 이 논문을 통해 특정의 상황을 공유하는 집단 내에서 온라인 공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문학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한 만큼, 그 장점의 최대치를 넓히면서 동시에 과제를 보완하는 방법까지 고민함으로써 이러한 인터넷 공간이 더 확장되고 깊이를 더해 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여성문학의 시각에서 본 19 세기 하층 여성의 실상과 의미 : <변강쇠가> <미얄과장> <된동어미화전가> 의 비교를 통해

        박경주 한국국어교육연구회 2001 국어교육 Vol.- No.104

        This thesis pointed on the <Byeongangsoiga> <miyal-court> and <Dwendong's mother Hwajenga> in order to explicate the lower classes women's life and meaning in 19th C,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t literary criticism. The women's life was described painfully in three texts. The women's life was dotted with the death of her husbands, remarriage, and terrible laber result from poverty, social inequality, and sexual pressure. Ongnye of <Byengangsoiga> was described a typical lewd woman. But in fact she was a woman full of vitality in spite of all kinds of hardship. Miyal-grandmother of <miyal-court> was described a typical woman attached to child birth. Dwendong's mother of <Dwendong's mother Hwajenga> was described independent woman overcomed the death of her husbands and very severe poverty. These three women's shape resulted from consciousness of classes enjoyed these texts. <Byeongangsoiga> was enjoyed the upper men class, and <miyal-court> was enjoyed the lower men class. On the other hand <Dwendong's mother Hwajenga> was enjoyed the every women classes. Because of <Dwendong's mother Hwajenga> was described women's life most reasonably out of three texts.

      • KCI등재

        외상성 흉부손상: 다중검출기 CT의 역할

        박경주,강두경,김태희 대한영상의학회 2006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4 No.5

        The introduction of Multidetector-row CT (MDCT) has revolutionized the diagnostic strategy of multitrauma patients. The rapid acquisition of a large scanning volume with a thin slice collimation allows for motion-free images of high spatial resolution, and this enables the application of the multiplanar reformat (MPR) and 3D volume-rendering (VR) images. The MPR images more accurately demonstrate aortic rupture or dissection, diaphragmatic injuries and fracture of vertebrae, sternum and costal cartilages. Diagnosing vascular injuries can be aided by using the MIP images. Rib fracture, trachea and bronchial laceration are more easily detected by the 3D images, while airway and vascular injuries can be detected from performing virtual endoscopy. We introduce our current CT imaging protocol and we present our clinical experience with using MDCT in the assessment of patients with blunt thoracic trauma. 다중검출기 CT가 보급됨에 따라 다발성 외상환자의 진단과정에 큰 변화가 오고 있다. 넓은 범위를 얇은 절편으로 단시간에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적인공물이 적은 고해상도의 영상을 얻고 양질의 다면재구성영상과 삼차원 volume-rendering 영상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다면재구성영상은 대동맥파열과 박리, 횡경막 손상, 척추, 흉골, 늑골연골부의 골절을 더 정확하게 보여주고, MIP 영상은 혈관손상의 진단에 도움을 준다. 삼차원영상을 이용하면 늑골골절, 기관 및 기관지의 열상을 더 쉽게 찾을 수 있으며, 가상내시경은 기도와 혈관 손상의 평가에 이점이 있다. 흉부외상환자의 평가에 이용되는 다중검출기 CT의 영상기법과 임상경험을 소개한다.

      • KCI등재

        <반조화전가>, <기수가> 連作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의 變奏

        박경주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6 No.-

        This thesis pointed on <Banjohwajenga(반조화전가)> <Gisuga(기수가)> two gasa series, and looked into the aspects of ridicule and laughter and an end of dispute. On the ground of the result we demonstrated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two gasa series according to concept of humor and satire. Two gasa series created against the disputant circumstances between men group and women group(<Banjohwajenga>) or within women groups(<Gisuga>), and attack to partner group expressed on works as a ridiculous speech take with laughter. But come to an end of dispute make peace with each other by reconcile within disputant groups or reconcile of outside disputant groups. We can confirm on works that the base of reconcile already planed in consciousness of disputant groups. Also <Banjohwajenga> series created between men group and women group are stronger than <Gisuga> series created within women groups from a strength of dispute. On the ground of this result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two gasa series can conceptualized the variation of humor and satire. The disputant group recovered their pride and secured the unity with partner group by variation of humor and satire. And We can guess that this disputant groups recognized the disputant process as a play.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조선족 소설에 반영된 민족정체성 연구 -조선족 이주에 의한 민족공동체 변화와 한족 및 한국인과의 관계에 주목하여-

        박경주,송창주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1 No.-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of the national/ethnic identities of Korean Chinese (Joseonjok) reflected in their novels of the post-1990s, when Korean Chinese outmigrated to urban areas of China and South Korea in a large scale.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Korean Chinese relationships with their co-ethnics in South Korea and with Han Chinese respectively in regard to the changes of their communities in China. It found that the post-1990s Korean Chinese novels demonstrate and accept more close and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hinese and Han Chinese and they also regard the encounter between Korean Chinese and South Koreans as positive and hopeful phenomeno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ost-1990s Korean Chinese novels represent the consciousness of Korean Chinese people, the paper concludes that Korean Chinese, as an ethnic minority, are moving closer to mainstream Chinese society while they also share their ethnic identity is shared with their co-ethnics of the peninsula. 이 글에서는 중국의 개혁개방과 한중수교를 계기로 조선족의 상당수가 중국내 대도시나한국으로 이주하면서 나타난 민족정체성의 변화 양상을 특히 1990년대 이후 조선족 소설을대상으로 고찰했다. 이주로 인한 조선족 민족공동체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한국인과의 관계및 한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주로 인해 예전 형태의 조선족 공동체의 해체는 막을 수 없는 현실이 되었지만, 작가들은 여러 작품에서 이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시하며 공동체 복원에 대한 희망을 드러냈다. 한국과 관련한 여러 부정적인 체험에도 불구하고 작품에서는 한국이나 한국인과의 만남을 희망의상징으로 바라보는 조선족 사회의 인식이 드러났고, 이에 근거할 때 그들의 민족정체성은 한국과의 상호적 관계 속에서 구축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한족과의 관계를 다룬 작품에서는 그들과의 공존 및 협력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면서도 조선족 민족공동체 약화를 걱정하는 의식이 드러나, 민족공동체 약화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함을 보여주었다. 조선족 작가의 작품에서 한족들과의 새로운 공존, 융합 관계가 나타나고, 또 한국과 한국인과의 만남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작품들이 확인된 사실은 참으로 중요하다. 이러한 작품에나타난 작가 의식은 곧 조선족 사회의 의식을 대변하는 바, 이는 조선족들이 중국 내에서 소수민족의 지위에서 보다 더 주류사회에 접근하고 있으며, 동시에 한국인과의 민족정체성의 공유를 인정한다는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