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성찰지능과 모의 과보호가 초등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최유진,오지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 요인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G광역시와 전남 소재의 초등학생 5∼6학년 405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우울과 자기성찰지능 과보호에 대한 척도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상관관계 분석과 각 변인 별 단순 및 중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보호의 하위 요인 중 과잉애정을 제외한 과잉기대, 과잉보호, 과잉통제, 과잉간섭이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기성찰지능은 우울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우울에 모의 과보호와 자기성찰지능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보면, 모의 과보호의 하위 요인인 과잉기대와 과잉보호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자기성찰지능 역시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성찰지능은 모의 과보호를 통제한 이후에도 아동의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즉, 아동의 우울을 설명해주는데 있어 개인적 요인인 자기성찰지능과 환경적 요인인 모의 과보호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고 더불어 자기성찰지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아동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건강한 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과 자기성찰지능을 높일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maternal overprotection on schoolchild’s depression, and to examine the independent influence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on depression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maternal overprotec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405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articipants responded to three measures : (a) maternal overprotection perceived by children’s Scale, (b) Intrapersonal Intelligence Scale, (c) Korea-schoolchild’s Depression Inventor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pearsons’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sim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when schoolchild’s perceived maternal overprotection as more ‘expectation and protection’, it plays negative impacts on the schoolchild’s depression. As a result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the influence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on depression, intrapersonal intellig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had dependent influence additionally on depression. The result of study confirmed that schoolchild’s perception of maternal overexpectation and overprotection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re important variables in respect of depression.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verified the importance of maternal overprotection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n schoolchild’s depression. Specifically,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had independent influence on schoolchild’s depression controlling maternal overprotection. So, the improvement of schoolchild’s depression as well as their intrapersonal intelligence may be helping to prevent their depression.

      • KCI등재

        만 7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우울이 부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형(APIMeM)의 적용

        이슬기 ( Seul-ki Lee ),유성경 ( Sung-kyung Yoo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7 No.3

        연구목적: 맞벌이 부부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우울이 부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편과 아내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다. 연구방법: 만 7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351쌍을 대상으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아내보다 전통적이었고, 아내의 우울이 남편보다 높았으며,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대한 아내의 보고가 남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차가 확인되었다. 둘째,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부부의 우울이 증가하였고, 부부가 인식한 어머니 문열기가 감소하였으며, 남편이 인식한 어머니 문닫기가 증가하였다. 반면, 아내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는 아내 자신의 어머니 문닫기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영향만을 설명하였다. 셋째,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남편의 우울이 부분 매개하여 남편이 인식한 어머니 문열기가 감소하고 남편이 인식한 어머니 문닫기가 증가하였다. 또한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아내의 우울이 부분 매개하여 아내가 인식한 어머니 문열기가 감소하였다. 넷째,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남편과 아내의 우울이 각각 완전 매개하여 아내가 인식한 어머니 문닫기가 증가하였다. 결론: 공동육아 문화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사회적 맥락에서 만 7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쌍자료(dyadic data)를 수집하여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부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의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효과를 갖는 상호적 경로에서 비대칭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actor-partner effects in the context of dual-earner couples’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depression, specifically on the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Method: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 among 351 dual-earner couples with children no more than 7 years old. Results: First,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was more traditional than the wife’s, and the wife’s depression was higher than the husband’s. Similarly, the wife’s report on the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usband. Second, as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became more traditional, the couple’s depression increased, their perceived maternal gate opening decreased, and the husband’s perceived maternal gate closing increased. Third, as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became more traditional, his depression was partially mediated, perceived maternal gate opening decreased, and perceived maternal gate closing increased. In addition, the more traditional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was, the more the wife’s depression was mediated, and her perceived maternal gate opening decreased. Fourth, the more traditional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was, the more the couple’s depression was completely mediated, and the wife’s perceived maternal gate closing increas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collects dyadic data from dual-earner couples with children no more than 7 years old. The data are also collected in the social context of active discussions on the co-parenting culture to confirm the asymmetrical effect between couples in the mutual effect of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depression on the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

        서정아,엄정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rearing involvement in multicultural background fathers,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social development. A total of 143 multicultural background fathers, mothers, an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ventory of Father Involvement,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K-BDI), and the Social Attribute Checklist (SAC) were used in this study.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rearing involvement score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fathers correlated with scores of child social development. The child rearing involvement score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fathers correlated with score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maternal depression. Child social development scores correlated with score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maternal depression. Second, maternal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ild rearing involvement of multicultural background fathers and child social development.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rearing involvement of fathers influence children’s sociability. Multicultural background mothers may suffer from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from strange cultures and ways of life. For enhanc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multicultural background mother should be reduced. For reducing depression in multicultural background mother, cooperation and support of family, including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 우울, 유아의 사회성 발달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 우울이 아버지 양육참여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 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부산, 경기, 경상, 전라도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유아의 한국인 아버지 143명, 외국인 어머니 143명과 유아 143명이다. 연구 결과,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 우울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었고,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우울은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 또는 부분 매개 하였다.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는 부모 요인이 각각 작용한다. 다문화 가정 유아의 긍정적인 사회성 발달을 위해서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를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문화 가정 어머니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비롯한 가족 구성원간의 상호작용 및 협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 우울: 모-자녀 관계만족도, 분노, 외로움의 매개효과

        안명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adolescent depression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ger, and loneliness. Results based on a sample of 647 adolescents showed tha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decreased mother-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increased anger and loneliness. Additionally, the final model found tha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creased adolescent depression. Mother-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loneliness, which, in turn, increased depression. Ange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Findings from the study indicated that mother-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depression. Anger and loneliness showed separate pathways of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mother-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depression.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s, and clin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모의 심리적 통제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고 그 과정에 모-자녀 관계만족도, 외로움 그리고 분노의 관련성을 탐색했다. 674명(N=674) 청소년의 자기보고자료를 토대로 표현제재, 인신공격, 애정철회 등으로 평가한 모 심리적 통제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모-자녀 관계만족도, 분노와 외로움이 직·간접 매개하는 경로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모 심리적 통제는 모-자녀 관계만족도와는 유의미한 부적상관, 분노, 외로움, 우울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모 심리적 통제가 증가할수록 모-자녀 관계만족도는 낮아지고 외로움이 가중되었다. 셋째, 모 심리적 통제가 우울에 직접적으로, 분노를 부분매개로, 그리고 모-자녀 관계만족도와 외로움을 이중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구조모형의 적합도가 자료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 심리적 통제가 외로움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모-자녀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와 분노와 외로움이 각기 다른 경로로 모 심리적 통제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한 본 연구의 기여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상담적 함의를 논의에 포함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우울간의 상관연구

        박애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xiety and children's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130 children, who were 3-, 4-, and 5-years-olds at a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in kyunggido. A teacher-report Child Depression Inventory (CDI) rat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ir depression and a parting anxiety rat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mayernal parent's anxiety. ANOVA, Prarson'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d Stepwise-Regression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xiety and children's depression. Secondly, according to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age, gender), the anxiety on maternal parenting in having a female child was higher than the anxiety on maternal parenting in having a male child within a relationship with gender. Thirdly, according to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age, gender), depression in a female child was higher than depression in a male chil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eliminary data may be provided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can reduce the anxiety on maternal parenting and change parenting attitude in order to decrease depression in childre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xiety on maternal parenting and depression in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우울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기도 소재 유치원, 어린이집 만 3세, 4세, 5세 유아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양육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박지희(2014)가 개발한 어머니의 양육불안 척도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교사 보고식 아동 우울 척도(Child Depression Inventory(CDI)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t검증 및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우울간에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육불안 하위영역 5개요인 모두에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배경변인(연령,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불안은 유아의 성별과 관계에서 여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남아를 둔 어머니 양육불안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배경변인(연령, 성별)에 따른 유아의 우울은 남아보다 여아의 우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우울간의 관계를 이해하므로써 유아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모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키고 어머니의 불안을 감소하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계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임신기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경험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산후우울의 매개적 효과를 중심으로-

        홍현재,문혁준 한국인간발달학회 2011 人間發達硏究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hs in which stress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influence maternal attachment in infancy through postpartum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08 mothers with infants (aged between 7 to 36 months) drawn from twenty-three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maternal attachment in infancy was presumably associated with stress and social support levels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depress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depression were seen to have an influence on maternal attachment in infancy. In other words, as stress during pregnancy increases and postpartum depression increases, maternal attachment is likely to decrease. In addition, as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increases and postpartum depression decreases, maternal attachment is likely to increase. Furthermore, postpartum depression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s of mother's stress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on maternal attachment in infancy. The influence of mother's stress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on maternal attachment in infancy seemed to occur indirectly through the facilitation of postpartum depression.

      • KCI등재

        Effect of Acupuncture on Depression and Cell Proliferation in Hippocampal Gyrus Dentatus of Maternal-separated Rat Pups

        박정식,임형호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19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29 No.2

        Objectives The loss of maternal care during early postnatal period may increase development of mood-related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personality disorder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cupuncture on depression in relation with cell proliferation in the hippocampal gyrus dentatus was investigated using maternal-separated rat pups. Methods On the postnatal 14th day, rat pups from six dams were grouped into following groups: maternal care group, maternal separation group, maternal separation and non-acupoint-acupunctured group, maternal separation and Zusanli-acupunctured group, and maternal separation and fluoxetine-treated group. Acupuncture was performed from postnatal 28th day to postnatal 37th day. The rat pups that belong in the maternal separation and fluoxetine-treated group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with 5 mg/kg fluoxetine hydrochloride once a day for the same period of time. To evaluate activity of the rat pups, open field test was performed. Immunohistochemistry for 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 and tryptophan hydroxylase (TPH) in the dorsal raphe and for 5-bromo-2'-deoxyuridine (BrdU) in the hippocampal gyrus dentatus was conducted. Results The present results reveal that the activity was decreased by maternal separation. In contrast, acupuncture at Zusanli overcame maternal separation-induced hypoactivity. Maternal separation suppressed TPH expression and 5-HT synthesis in the dorsal raphe and decreased cell proliferation in the hippocampal gyrus dentatus of rat pups. In contrast, acupuncture at Zusanli alleviated maternal separation-induced decrease of 5-HT synthesisand TPH expression. Conclusions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 that acupuncture at Zusanli ameliorated depressive state through increasing cell proliferation and enhancing 5-HT synthesis. (J Korean Med Rehabil 2019;29(2):91-99)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부정적 정서경험의 중재효과

        최인숙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according to sex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The subjects were 278 1st and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3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The valuables were all measured b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sex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and depression. Second, maternal warmth and social support were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and maternal control, pressure for success, an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on for boys and girls. Third, peer support moderated the effects of maternal warmth and control on depression only for boys. Finally,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moderated the effect of maternal warmth on depression for boys and maternal control on depression for girls. Findings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ograms for the prevention and teatment of adolescents'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기의 우울에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을 성별에 따라 살펴보고, 청소년 우울과 어머니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부정적 정서경험의 중재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3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2학년생 총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27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친구지지, 부정적 정서경험과 우울 수준이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학생 모두 어머니의 수용적 양육행동과 사회적 지지는 우울과 부적인 관련이 있었고,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 및 성취압력,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경험은 우울과 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의 경우에서만 어머니의 수용적 및 통제적 양육행동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친구지지가 중재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어머니의 수용적 양육행동과 남학생의 우울,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여학생의 우울과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경험이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초기 청소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청소년 우울의 예방 및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을 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유아의 자아탄력성의 매개적 역할

        신나나,도현심,최미경,김민정 한국아동권리학회 2013 아동과 권리 Vol.17 No.1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go-resilience on rel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depression A total of 155 mothers with preschoolers(aged 3-4 years, M = 46.87 month, SD = 4.64 month)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reported on their parenting, preschoolers' ego-resilience,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depression. There were three major findings. Firs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ego-resilie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eschoolers' anxiety and depression. While only maternal rejection/control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anxiety levels, all three parenting behavior variables (i.e., warmth/acceptance, rejection/control, permissiveness/neglec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eschooler's depression. Second, resilient children displayed less anxiety and depression. Finally, preschoolers' ego-resilience mediated rel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depression, suggesting tha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directly influence anxiety and depression through ego-resili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th individual(ego-resilience) and environmental factors(maternal parenting behavior)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to explain anxiety and depression during the preschool period.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자아탄력성, 그리고 유아의 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4세의 유아 155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어머니들은 자신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유아의 불안 및 우울에 관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불안 및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들이 거부․제재적 양육행동을 보일수록, 유아의 불안 수준이 높았다. 우울의 경우, 어머니들이 유아를 온정․수용적으로 양육한다고 보고할수록, 유아의 우울수준이 낮았으며, 거부․제재적으로, 허용․방임적으로 양육한다고 보고할수록 유아의 우울 수준이 높았다. 또한 자아탄력성이 높은 유아는 불안과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어머니에 의해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불안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유아기 불안과 우울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인적 측면으로서의 자아탄력성과 환경적 측면으로서의 양육행동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산후 우울의 이론적 모형 구축

        배정이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02 정신간호학회지 Vol.11 No.4

        Purpose :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develop and test the theoretical model to explain postpartum depression. A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Neuman's system model and review of literature. Method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ver a period of 5 months.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consisted of 265 Korean mothers in their postpartum periods. A total of 19 instruments were used in this model.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with SPSS PC+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LISEREL 7.16 for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Results : 1. The hypothetical model showed a good fit to the empirical data. Chi-square=265.1(P=0.00), df=106, x^(2)/df=2.5, GFI=0.93, AGFI=0.82, RMR=0.036, NNFI=0.89, NFI=0.93 and CN=117. 2 For constructing the parsimonious best fit model, the exogenous variable (preparation for delivery) was excluded from the theoretical model because i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postpartum depression. 5 paths were deleted between the following: relationship to parents and postpartum depression, maternal role strain and stressful life event, postpartum depression and satisfaction to baby, postpartum depression and baby's character, postpartum depression and stressful life event. 11 paths were added between satisfaction to baby and support from others and between maternal role strain and personality trait et al. 3. The final modified model yielded Chi-square=131.59(P=0.02), df=101, x^(2)/df=1.30, GFI=0.94, AGFI=0.90, RMR=0.025, NNFI=0.94, NFI=0.97, CN=225 and exhibited definite improved levels of fit indices. Conclusion :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ersonality trait, maternal role attainment, marital adjustment, maternal role strain and self-esteem influence postpartum depression. Thus, the most effective prevention strategy against postpartum depression must focus on improving maternal role attainment, marital adjustment and self-esteem, modifying emotional state, and reducing the maternal role strain. By comprehensively addressing the factors related to postpartum depression, and comparing each influenc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esigning an appropriate postpartum depression prevention strategy in tune with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a mother. Finally, the author suggests that this model could be adequately applied to mother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