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다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을 이용한 구개열 화자의 과다비성 청지각적 평정 시의 변인 연구

        김선희(Seon Hee Kim),심현섭(Hyun Sub Sim),하승희(Seung 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1

        배경 및 목적: 구개열 화자의 과다비성 평가에서 청자의 청지각적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공통된 기준이나 적절한 평가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평가자의 개별 경험에 의존하여 과다비성을 청지각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실정이기에 신뢰도에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다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청지각적 판단 특성을 살펴보았다. 방법: 과다비성이 주된 말 문제인 5-13세 구개열 아동들을 대상으로 과다비성의 심각도에 따라 정상, 경한, 중간, 심한 과다비성의 말 샘플을 각각 4개씩 선정하여 평가자료로 사용하였다. 구개열 화자의 청지각적 평가 경험이 있는 언어치료사와 경험이 없는 대학원생에게 말 샘플을 들려주고, 과다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Hypernasality Perceptual Profile, HNPP)의 각 변인을 평정하게 하였다. HNPP는 '전반적인 인상' 외에 '음소의 종류', '일관성', '지속성', '사회적 수용도', '말 명료도' 변인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회귀분석 결과 청지각적 판단에 주된 영향을 주는 변인은 '사회적 수용도'와 '음소의 종류'이며, '사회적 수용도'가 가장 강력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HNPP를 사용함으로써 평가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수용도'를 공통적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향후 HNPP의 임상적 적용을 통해 과다비성의 평가 신뢰도 향상과 임상교육에 기여하게 될 것이며, 구개열 팀 간 과다비성 평가에 대한 의사소통이 원활해질 것으로 본다. Objectives: The ultimate goal of speech therapy for children with cleft palate i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For this goal to be achieved, an accurate assessment is crucial in designing appropriate therapy. However, the assessment of hypernasality for children with cleft palate has relied on evaluators' intrinsic and subjective judgment as opposed to external and objective criter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Methods: Twelve speech-language therapists (SLPs) and twenty-nine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ixteen children with cleft palate from 5 to 13 years old were selected for voice samples. All of them had major hypernasality problems. They were asked to read words and sentences as well as to retell a story. Their sixteen audio files were used as perceptual assessment data.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listen to the sixteen audio samples and to answer the questions of the Hypernasality Perceptual Profile (HNPP). The HNPP consists of the following six factors: general impression, type of phoneme, consistency, frequency, social acceptance, and understandability. A second assessment was performed a week after the first. Results: Regression analysis shows social acceptance and type of phoneme as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the general impression of hypernasality. The social acceptance factor was revealed to b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SLPs tend to rely on social acceptance in the perceptual evaluation of hypernasality rather than their own experience.

      • KCI등재

        이중언어 사용자의 언어권별 과대비성 지각 비교

        김선희(Sun-Hee Kim),심현섭(Hyun-Sub Sim),송윤경(Yun-Kyung Song),최진영(Jin-Young Choi),양지형(Jee-Hyung Y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2

        배경 및 목적: 과대비성에 대한 청지각적 반응 정도는 과대비성의 중증도와 언어적 배경 즉, 모국어의 음운론적 속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과대비성 지각에 대한 교차 언어적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점차로 다양한 언어적 배경을 가진 대상자들을 대하는 언어치료사들에게 임상적으로도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에 청자의 과대비성의 지각 정도가 언어권에 따라서 그리고 화자의 과대비성의 중증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보았다. 방법: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이중 언어 사용자 중 일본어와 한국어, 중국어와 한국어, 베트남어와 한국어, 필리핀어와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는 집단 그리고 한국어만을 사용하고 있는 단일 언어 사용자 집단 등 5집단을 대상으로 하였다. 청자인 대상자들이 한국어로 산출된 과대비성의 녹음된 목소리를 듣고, 들은 목소리에 대해 과대비성 지각 정도를 5점 Likert scale로 평가하게 하였다. 과대비성 지각에 있어 중증도 및 언어권에 관한 주 효과 검증 및 이차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으로 분석 하였다. 과대비성의 중증도에 따른 언어권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요인 분산분석을 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중도의 과대비성의 경우에 Bonferroni 사후검정을 살펴보았다. 결과: 과대비성 지각에 있어 주 효과가 중증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언어권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중증도와 언어권에 관한 이차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중도 과대비성의 경우에만 언어권별 과대비성지각에 차이를 보였고, 경도의 과대비성일 경우에는 언어권별 과대비성 지각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 과대비성을 들을 때,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베트남의 5집단 중에서 베트남이 한국과 일본에 비해 유의하게 콧소리가 나지 않는 것으로 지각하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결론: 중도 과대비성에 대해 언어권에 따라 다르게 지각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공명 장애를 가진 이중 언어 사용자들의 언어 치료 중재 시에 고려되어야 할 언어적 문화적 배경의 기본적인 자료로 사용 되어질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Hypernasal perception is affected by the severity of hypernasality of the speaker and the linguistic background of listener, including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language. Diversity of the linguistic background is gaining interest with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regarding perception of hypernasality according to listener linguistic background and speaker hypernasality severit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monolingual Korean and bilingual Korean-Japanese, Cantonese, Filipino, and Vietnamese listeners. A total of 49 female listeners from the five language groups rated voices with mild or severe hypernasal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nguistic background and hypernasality severity. A five-item Likert scale was used to rate the degree of hypernasality. Results: In repeated measures ANOVA, a main effect of speaker hypernasality severity was observed, while a one-way ANOVA indicated the effect of the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listener. Results also indicate that bilingual Vietnamesese, Filipino, e phonetic chaseverity of hypernasality as more mild than did the other language groups. Discussion & Conclusions: The study demonstrates that hypernasality perception was differently rated according to the listener linguistic background.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clinicians not only about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background, but also about priority intervention in speech therapy.

      • KCI등재

        듣기 훈련과 외적 음성 기준 사용이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는 비성 정도를 평가하는 가장 타당한 평가 방법이지만 신뢰도 높은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본 연구는 청지각적 훈련과 외적 음성 기준이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의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와 두 변인간의 상호 작용을 살펴봄으로써 청지각적 평가 신뢰도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임상 경험이 없는 20명의 평가자들을 대상으로 듣기 훈련을 실시하여 듣기 훈련 전․후의 평가에서 신뢰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평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게는 평가하는 동안 외적 음성 기준과 평가하는 음성 샘플과 비교하면서 측정하게 하였고, 나머지 한 그룹에게는 외적 음성 기준 없이 평가하게 하여 외적 음성 기준치 사용여부에 따라 신뢰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듣기 훈련을 실시한 후에 평가자 내와 평가자 간 신뢰도가 높아졌고, 외적 음성 기준을 사용한 그룹이 사용하지 않은 그룹보다 듣기 훈련 전․후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자 간 변산도 점수를 바탕으로 한 통계 분석 결과, 듣기 훈련 전과 후 사이에, 그리고 외적 음성 기준 사용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듣기 훈련과 외적 음성 기준간의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듣기 훈련과 외적 음성 기준 사용이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의 주관적이고 가변적인 요소를 통제하고 신뢰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411-421. Background & Objectives: Perceptual judgment is the most valid technique for evaluating hypernasality. However, perceptual rating of hypernasality is subjective, variable, and highly prone to err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factors which affect the reliability of perceptual judgment with regard to hypernasality and to determine methods to control its subjectivity and variabil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listener training and external standard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reliability of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among inexperienced listeners. Methods: Twenty students majoring in speech pathology with no or limited experience evaluating the speech of patients with cleft palat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evaluated speech samples of 28 children with cleft palate for degree of hypernasality i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external standards before and after listener training.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ies and variability scores were obtai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raining and external standards on perceptual judgments of hypernasality.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listener training and use of external standards help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among inexperienced listeners. There were significant listener training, external standards, and interaction (external standards by training) effects in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listener training and use of external standards were effective in controlling subjectivity and variability of perceptual evaluation and in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among inexperienced listene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411-421)

      • KCI등재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의 등간 척도와 직접 크기 측정법 비교 연구

        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과대비성을 포함한 말장애 영역의 청지각적 평가에서는 타당하고 적절한 평가측정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등간 척도는 임상과 연구현장에서 과대비성을평가할 때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평가법이지만, 과대비성의 정도를 타당하게 반영하는지에대한 우려가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대비성의 또 다른 평가 척도로 사용되는 직접크기 측정법(direct magnitude estimation: DME, 이하 DME)과 등간 척도의 평가 결과치를비교해서 어떠한 평가법이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에 더 타당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28명의 한국 구개열 아동의 말 샘플을 수집 한 뒤 10명의 평가자에게 등간 척도와 DME 평가법을 이용해서 과대비성의 정도를 청지각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두 평가법의 결과치의관계를 산포도의 시각적인 검사와 모형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산포도의 시각적인검사와 모형 분석 모두 등간 척도와 DME를 사용한 평가치의 관계가 비선형(curvilinear)관계임을 보여 주었다. 논의 및 결론: 비선형 관계는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속성이 기존 자극에자극이 양적으로 더해지는 부가적인(additive)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음성 자극을동일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평가해야 하는 등간 척도보다는 DME 평가법이 좀 더 타당하고신뢰로운 측정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It is important to use a valid and appropriate scaling system for the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disorders, including hypernasality. Although equal-appearing interval scaling (EAI) is the most popular scaling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hypernasality in clinical settings and research,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validity of this method for hypernas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AI and Direct Magnitude Estimation (DME), which is another scaling system for the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and to determine which scaling system is more valid. Methods: Speech samples were obtained from 28 children with cleft palate, and 10 listeners performed the perceptual evaluation of hypernasality using EAI and D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from the EAI and DME were investigated based on visual inspection and analysis of models. Results: Visual inspection and analysis of models demonstrated a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easure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listeners have difficulty partitioning hypernasality into equal-appearing intervals because hypernasality is additive, quantitative, and prothetic in nature. These findings verify that the DME is a more valid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hypernasality than the EAI

      • KCI등재

        Comparison of Nasalance Scores with and without Hypernasality Control Device in Adults with Hypernasality: A Preliminary Study

        Yun-Kyung Song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22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asalance scores of the experimental vowels, words and paragraphs with and without ‘Hypernasality Control Device (HCD)’ in adults with hypernasality. Three adults with a cerebrovascular attack or a Parkinson’s disease wore in HCD, were asked to read aloud the experimental vowels, words and paragraphs. Using a Nasometer, the nasalance scores were measured. In all experimental vowels, words and paragraphs, the nasalance scores with HCD were measured lower than those without HCD. These results showed that HCD played a role in regulating nasal resonance in adults with hypernasality.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trials of HCD are required for the adequate modulation of nasal resonance. Additional studies are also required for adults with various degrees of hypernasality.

      • KCI등재

        수술 후 지속되는 과다비성 환자에서 지속성 기도양압 치료의 장기적 유효성: 증례보고

        권주용,박미경,백롱민 대한성형외과학회 2011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8 No.6

        Purpose: In some patients with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VPI), Hypernasality can persist after surgical management.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is applied to these patients for treating hypernas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follow-up results of postoperative CPAP therapy. Methods: After performing palatal lengthening, CPAP therapy was applied to three patients for eight weeks from July of 2008 to November of 2009. Perceptual evaluation,nasometry, and nasopharyngeal endoscopy were performed to evaluate hypernasality, nasalance and size of the gap at velopharyngeal port. Each evaluation was made before surgery, right after CPAP therapy and during followup of more than a year after CPAP therapy. Results: All of the patients showed improvement in hypernasality right after CPAP therapy according to the auditory perceptual evaluation, nasometry and nasopharyngeal endoscopy. But the improvement in hypernasality in these patients did not last during follow-up. Conclusion: In this study, our results suggest that CPAP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hypernasality for postoperative VPI patients immediately after the therapy,but hypernasality may be worsen in some patients during follow-up. Therefore we recommend follow-ups after CPAP therapy to see if the efficacy of CPAP therapy lasts.

      • KCI등재후보

        연인두기능장애 환자의 언어치료 효과: 사례 보고

        최성희(Seong Hee Choi) 대한구순구개열학회 2020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Vol.23 No.1

        Purpose: Velopharyngeal dysfunction (VPD) is most common in cleft palate that can cause hypernasality and/or nasal emission during speech. Although VPD with non-cleft causes often present in clinical practice, in some cases, they may not be properly diagnosed or treated. This case report introduces the effectiveness of speech therapy for patients with velopharyngeal dysfunction due to faulty vocal pattern and articulation habits. Case Report: This report describes the speech therapy for 2 patients with resonance disorders: case 1 patient, a 22-year-old man, produced /i/ vowel only with nasality and case 2 patient, a 24-year-old man, presented moderate hypernasality. For case 1, a total of 8 sessions of speech therapy were conducted once a week, 40 minutes per session using tongue protrusion /i/, yawn-sigh, opening mouth with chewing approach. Case 2 underwent speech therapy (5 sessions, once a week, 40 minutes per session) and facilitating techniques with posture alignment correction and focus method were used. All training sessions were conducted by the same speech-language pathologist. The speech intelligibility test was implemented and nasalance was measured using a nasometer before and after therapy. Significantly improved speech intelligibility and reduced hypernasality were achieved following speech therapy. Conclusions: Inappropriate phonation and articulation habits may cause hypernasality and nasal emission. Tongue protrusion/i/, opening mouth with chewing, yawn-sigh method help reduce hypernasality and nasal emission especially in high vowel /i/ by releasing tongue tension and airflow through the mouth. In addition, posture correction, opening mouth, and focus(voice placement) may be useful as a stimulability technique for patients who have hypernasality to modify the vocal pattern and change the poor articulation habits.

      • KCI등재

        과대비성을 동반한 점막하 구개열 환자에 대한 Double Opposing Z-plasty 3례

        최홍식,이승수,김성국,김태만,김현준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1998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9 No.2

        Several kinds of surgical methods have been used to treat the submucous cleft palate with hypernas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ouble opposing Z-plasty which is one of the newly established surgical methods by Dr. Furlow in three cases of submucous cleft palate with hypernasality operated in this department. There were a number of advantage of double opposing Z-plasty. The surgery is adaptable for use in early patient. Midfacial growth retardation and complication were not seen in all cases. Hypernasality was improved subjectively. Using the nasometer, the nasalance score of the postoperative period was compared with that of before surgery, much improvement were noted in 'Ah', 'PaPa'. And fiberoptic endoscope was used to evaluate the velopharyngeal closure pattern. Velopharyngeal closure pattern with velum was improved dramatically, Double opposing Z-plasty seem to be a good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submucous cleft palate with hypernasality.

      • KCI등재후보

        과대비성 평가를 위한 공명증진 도구(Nasonance tube)의 임상적 타당성

        김선희(Kim Sun Hee),심현섭(Sim Hyun Sub),권순만(Kwon Soon Ma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1

        과대비성 치료를 위해서는 과대비성 정도의 평가를 신뢰도가 높고 객관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치료대상자는 자신의 과대비성 정도를 스스로 지각할 수 있어야 한다. 과대비성에 대한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Nasometer와 같은 고가의 장비는 일선 임상현장에서 손쉽게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저렴할 뿐 아니라 객관성이 유지되고 간편한 과대비성 측정 도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를 증진시키기 위한 도구인 일명 ‘Nasonance tube’를 개발하였다. Nasonance tube는 기존의 평가도구들과는 달리 튜브의 중앙에 공명통을 삽입해서, 비음정도를 더 증폭시켜 과대비성 정도를 더 명확하게 지각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양쪽 끝은 각각 코와 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도구이다. 본 연구는 Nasonance tube의 임상적 타당성을 규명하기 위한 일차적 연구로서 3명의 언어치료사들을 대상으로 1) Nasonance tube 사용여부에 따른 평가자들 간의 비성정도 평가점수의 상관관계와 일치도를 살펴보았으며, 2) Nasonance tube를 사용할 때의 평가점수와 Nas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 비음치(nasalance score)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청지각 평가를 위한 말샘플은 과대비성을 보이는 구개열 아동 14명의 아동이 구강음만으로만 구성된 문장을 읽는 동안 수집되었다. 각 말샘플의 비성의 정도에 대한 평가 점수는 3점 척도(mild, moderate, severe)로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 Nasonance tube를 사용하여 비성정도를 평가했을 때에는 평가자 간에 상관관계가 매우 높았으나, Nasonance tube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는 평가자 간의 상관관계는 높지 않았다. 또한 평가자간의 일치도는 Nasonance tube를 사용하였을 때 더 높았다. Nasonance tube를 사용했을 때 비성정도에 대한 청지각적 평가는 Nasometer로 측정한 비음치와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Nasonance tube가 과대비성을 청지각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적절함을 시사하며 나아가 임상적 타당성을 지지해준다. The purposes of study was 1)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device in assessment of the hypernasality by SLPs. and 2) to investigate whether Nasalance Scores were correlated with perceptual judgements of the hypernasality by SLPs with device. Fourteen children with hypernasality caused by the cleft palate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severity of hypernasality: mild, moderate, and sever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rabbit passage and three SLPs evaluated their nasality under two conditions 1) without device 2) with device connecting a pair of nose of children and ear of SLPs. The severity of nasality was evaluated using a 3- point Likert scale(1- mild, 2-moderate, 3-severe) for both with and without device conditions. Nasalance score was measured by Key Elemetrics model 6200-2.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that judgment of hypernasality with devi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among the SLPs, and nasalence scores were correlated with SLPs’ judgment with device.

      • KCI등재

        CPAP 치료법이 마비말장애 화자의 과대비성에 미치는 효과

        송미자,김점숙,최혜영 한국언어치료학회 2010 言語治療硏究 Vol.19 No.4

        마비말장애 화자들의 경우 과대비성으로 인한 의사소통상의 어려움을 자주 보인다. 하지만 새로운 치료법의 부재로 인하여 여전히 전통적 치료법들이 혼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 치료법과 CPAP 치료법이 마비말장애 화자의 과대비성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해 봄으로써, 마비말장애 화자를 대상으로 CPAP 치료법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NasometerⅡ 측정시 20%이상의 비성도(nasalance)를 보이는 마비말장애 화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통적 치료법 집단과 CPAP 치료법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별로 9명씩 무작위로 할당하였으며, 4주(240분)동안 치료법을 적용하였다. 사전-사후의 비성도 변화량을 측정한 후, 이를 Wilcoxon Signed Rank test와 Mann Whitney U test로 통계 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과대비성을 보이는 마비말장애 화자에게 CPAP 치료법을 실시한 결과 비성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p<.01), 전통적 치료법을 실시한 결과 비성도 감소를 부분적으로 보였다(p<.05). 둘째, CPAP 치료법과 전통적인 치료법 간의 비성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CPAP 치료법을 적용한 집단에서 비성도 변화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p<.05). 이는 전통적인 치료법에 비해 CPAP 치료법이 과대비성을 보이는 마비말장애 화자의 비성도 감소에 더 유용한 치료법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임상현장에서 마비말장애 화자의 과대비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전통적 치료법과 더불어 CPAP 치료법이 새로운 치료법으로 의미 있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CPAP therapy and traditional therapy on hypernasality in dysarthric speakers. The 18 subjects were dysarthric speakers with hypernasality. CPAP therapy and traditional therapy group were divided into 18 subjects, each group was randomly assigned to nine subjects. Each therapy program progressed in 240 minutes during 4-week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 and post- nasalance values. Wilcoxon Signed Rank tests and Mann Whitney U tes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improvement in decreasing hypernasality of the two groups. However decreasing hypernasality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 the CPAP therapy group than in the traditional therapy group (p<.05). Our results show that CPAP therapy was a more effective method than traditional therapy on decreasing hypernasality in dysarthric spea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