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유튜브 대외 선전매체 활용 양상

        하승희 ( Ha¸ Seunghee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20 북한학연구 Vol.16 No.2

        이 글은 북한 유튜브 콘텐츠영상의 활용양상을 분석하여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 결과, 첫째, 국제관광 사업 추진 및 홍보를 목적으로 다국어 콘텐츠를 제작하여 다양한 전략을 통해 활용하였다. 이는 인터넷 활용에 따른 정치적 영향과 경제발전 사이에서 최근 경제발전을 통한 이익에 중점을 둔 북한 당국의 행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개방적이고 유연한 미디어플랫폼 활용양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북한은 유튜버가 등장하는 브이로그(Vlog)형식을 선택하면서 보통의 일상을 이야기하고자 했지만, 일상의 강조는 브이로그에서 나타나는 의미와는 다른 차원의 보통의 삶으로 생산되고 소비되었다. 셋째, 유튜브 콘텐츠 내 정치적 내용을 최소화하며 보편국가로서 대외의 인식 전환을 시도하고자 했다. 국제적 미디어 환경 속에서 북한이 보이고 있는 참여와 소통 의지는 국제사회 일원으로 편승하기 위한 자체적 검열의 시도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state of use of content video in North Korea’s YouTube channel and examines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d promoting international tourism, multilingual content was produced and utilized in various strategies, considering the cultural environment and context of each country. It can be said that the political impact of internet use and the problem in economic development are actions that focus on the commercial interests of recent economic development. It also confirmed how open and flexible media platforms are utilized. Second, North Korea tried to talk about everyday life by choosing the form of a Vlog in which YouTubers appear, but the emphasis of daily life was produced and consumed in a different level from the meaning of the Vlog. Third, it tried to minimize the political content in YouTube and change its perception of North Korea as a universal nation. In an international media environment, North Korea’s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d communicate is an attempt to self-censorship to take advantag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KCI등재

        Speech Measures from Phonological Analyses of Spontaneous Conversations in Children between 18-47 Months of Age

        하승희(Seunghee Ha),황진경(Jinkyung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4

        배경 및 목적: 아동의 말소리 산출이 또래 일반 아동과 비교해 적절한 발달을 이루고 있는지 타당하게 비교 평가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측정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발화에 기초하여 분석 가능한 5 가지 말소리 측정치에 대해 고찰하고자 각 말소리 측정치가 나타내는 일반아동의 조음음운 발달패턴과 각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18-47개월 일반아동을 6개월 단위로 구분하여 각 10명씩, 총 5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검사자와의 자유놀이 상황에서 아동의 자발화를 수집하여 5가지 말소리 측정치(자음목록, 명료도, 자음정확도, 개정자음정확도, 평균음운길이)를 측정하고 각 측정치가 연령그룹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와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모든 말소리 측정치는 연령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조음음운능력이 급격하게 발달하는 1세 후반과 2세 후반 사이에는 모든 측정치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모든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조음음운발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18-47개월 아동을 대상으로 자발화 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측정치를 이용하여 말소리 산출 능력과 발달 수준을 살펴보았고 조음음운평가에서 참조할 수 있는 기초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Objectives: Objective measures of speech are necessary in order to validly and reliably assess whether a child can demonstrate appropriate phonological developments when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of the same ag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5 speech measures based on phonological analyses of spontaneous conversations. It examined whether the speech measures indicated phonological developmental patterns and how they were related to each other.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etween the age of 18-47 months and they were divided into 5 age-groups (6-months interval with, 10 children per group). Spontaneous conversational speech samples were obtained and 5 measures (consonant inventory, speech intelligibility,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revised, and phonological mean length of utterance) were analyzed thereafter. Multivariate analyse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measures among the age groups and to what extent the relationships were shown among such measures. Results: All the speech measur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ge groups. Specifically, the speech measures indicated that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isplayed the biggest phonological developments between 1;6 and 2;11.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of all the speech measur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ive objective speech measures from phonological analyses of spontaneous conversations could be used to assess phonological developments of children.

      • KCI등재

        구개열 영유아를 위한 부모 중심 조기언어중재가 말-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4

        배경 및 목적: 구개열 영유아의 말-언어발달 패턴을 살펴본 선행연구들은 구개열 영유아들은 언어이전기 단계에서부터 느리거나 다른 발달 양상을 보이고, 초기 말-언어발달 단계에서도 이러한 특징은 연속적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구개열 영유아를 위해 말-언어발달상의 지연이 악화되는 것을 예방하고 정상적인 발달을 촉진하는 조기 언어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구개열 영유아의 말-언어발달 특성과 부모 중심 조기언어중재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구개열 영유아를 위한 부모 중심 조기 언어중재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어머니의 상호작용 방식과 영유아의 말-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생후 12∼30개월 사이의 구개열 영유아와 어머니 11쌍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정상적인 말-언어발달 패턴 및 구개열 영유아의 말-언어 특징에 대한 정보와 언어자극 기법과 상호작용 핵심전략 훈련 등의 내용을 포함한 부모교육을 실시한 후 3개월 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상담을 통해 가정 내에서 부모중심 언어중재를 실시하게 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전과 후에 실시된 말-언어평가를 통해 어머니의 상호작용 방식과 아동의 말-언어발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부모교육프로그램 이후 아동과의 상호작용에서 어머니가 사용하는 서로 다른 낱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아동의 의사소통 의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하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응하기 하위 영역 중에서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언어적 연결, 수정 피드백, 확장 및 확대 사용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어머니의 상호작용 핵심전략 사용여부에 대해 핵심전략 3개의 항목과 전체 평점에서 평가자들에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아 부모교육 이후 어머니들이 아동과의 상호작용에서 아동의 말-언어발달에 긍정적인 기술이나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이후 아동의 말-언어발달 수준은 SELSI 등가연령, MBCDI-K 표현어휘수, 의사소통 방법에서 명료한 구어 사용의 빈도, 자음목록수, 파열음과 유음의 산출, 음절구조다양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 교육을 통한 가정 내 조기 언어중재가 부모의 상호작용 방식상의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결과적으로 구개열 영유아들의 표현 언어와 말 산출 능력이 향상되는데 영향을 끼쳤음을 제안하고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Young children with cleft palate have a high risk of speech-language impairment due to innate anomalies of the oral mechanism, which indicate the need for early intervention for speech impairme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 parent-implemented early intervention on parents’ interaction styles and children’s speech-language development. Methods: Eleven pairs of mothers and children between 12 and 36 months of ag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fter the mothers attended parent training that focused on language stimulation skills and communication facilitation strategies,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 was performed in the children’s home for three months through regular monitoring, coaching and counseling. Parents’ interaction styles and children’s speech-languag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pre- and post-intervention test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parent-implemented early intervention. Results: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in the mothers’ utterance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ir responsiveness to children’s communication acts significantly increased. Mothers showed more frequent uses of linguistic mapping, corrective feedback, linguistic extension and expansion among subcategories of responsiveness after the intervention. Rating scores on maternal use of communication facilitation skills indicated that mothers more consistently used the learned skills when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following the parent training. Among child speech-language measures, language age of SELSI, number of expressive words, percentage of intelligible speech, consonant inventory and number of different syllable structur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parent-implemented early intervention on positive changes of parents’ interaction styles and children’s speech-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Age of Acquisition of Consonants in Korean-Speaking Children in One-Syllable Word Contexts

        하승희(Seunghee Ha),김민정(Minjung Kim),피민경(Minkyeong P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자음정확도는 자음이 위치한 음운 환경, 음절구조, 언어학적 단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일음절 자음-모음-자음(CVC)의 문맥에서 한국 아동의 자음정확도와 자음 습득 연령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세 후반에서부터 5세 후반까지의 아동 251명에게 일음절 낱말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일반 및 개정 자음정확도를 구해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50%, 75%, 90%의 아동이 자음을 바르게 산출한 연령을 기준으로 자음의 습득 연령을 살펴보았다. 결과: 일반 및 개정 자음정확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2세 후반이 80%대 중반, 3세 전후반이 80% 후반, 4세 전후반이 90%대 초반, 5세 전후반이 90%대 후반으로 점차 증가하였다. 다른 자음에 비해 초성 유음과 마찰음이 습득 연령이 늦었다. 75%를 기준으로 살펴본 습득 연령은 종성 /ㄱ/을 제외한 파열음과 비음, /ㅎ/, /ㅈ/, 종성 /ㄹ/이 2세 후반 이전이었고, 종성 /ㄱ/이 3세 전반, /ㅉ, ㅊ/이 4세 전반이었으며, 초성 /ㄹ/과 /ㅅ, ㅆ/이 5세 전반이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일음절 낱말 과제에서 한국 아동의 자음정확도와 습득 연령을 제시하였다. 자음의 정확성과 습득 연령은 검사어의 음운 환경 및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아동의 조음음운능력을 평가하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Accuracy of phonemes can vary in terms of phonetic and linguistic contexts of test wor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PCC) and age of acquisition of consonants in Korean-speaking children in one-syllable word contex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51 Korean-speaking children aged 2;6 through 5;11 who produced 18 one-syllable words. PCC and PCC-Revised were calculated from 18 initial consonants and 7 final consonants. Two-way ANOVAs were performed whether PCC and PCCRevis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ges of acquisition across all the initials and finals were determined if 50%, 75%, and 90% of children at a specific age produced correctly. Results: PCC and PCC-Revise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ge groups. The mean PCC for the children at age 2;6 was approximately 80%–85%; and by 4;0–4;11, it climbed to approximately 90%. PCC for children aged 5;0 to 5;11 exhibited approximately 98%. Seventy-five percent or more of the children correctly produced most plosives, nasals, /h/, /tɕ/, and final /l/ earlier than age 2;6. Final /k/ reached the criterion by 3;5 and /tɕ*/, /tɕh/ reached the criterion by 4;5. Initial /l/, /s/ and /s*/ reached the criterion by 5;5.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PCC and ages of acquisition of consonants in Koreanspeaking children in one-syllable word contexts. This study suggested that children’s sound productions should be assessed and interpreted considering phonetic contexts and linguistic units of test materials.

      • KCI등재

        The Levator Veli Palatini Muscle in Cleft Palate Anatomy and Its Implications for Assessment Velopharyngeal Function: A Literature Review

        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1

        구개올림근은 구개파열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가장 비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보이는 대표적인 근육으로서 연구개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구개파열자의 말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과 구개파열자를 대상으로 한 구개올림근의 해부학적 특징에 관한 문헌을 살펴보았고, 그 연구들이 구개파열자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와 치료에 주는 임상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결과 및 결론: 선행연구들은 구개올림근의 비정상적인 삽입점과 근육 부피가 연인두 기능부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구개파열자에게 보다 적절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연인두 부위와 구개올림근의 보다 세밀한 평가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최근 자기공명영상술의 발전으로 구개올림근에 대한 보다 면밀한 평가와 이해가 가능해졌고, 구개파열자를 대상으로 2차 구개열 수술과 말치료에 대한 보다 적합한 선택이 가능해졌다. The levator veli palatini (LVP) muscle is most commonly reported as the most abnormal muscle in the population with cleft palate and the muscl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velar elevation, and therefore speech production. Methods: This article reviewed the literature focusing on anatomic aspects of the LVP muscle in normal and cleft palate populations and addressed the significant implication of the studies in clinical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cleft palate. Results & Conclusion: Literature addressed that abnormal location and volume of the LVP muscle is closely related to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and a complete evaluation of the LVP muscle along with the velopharyngeal mechanism is required to provide the most appropriate and effective treatments to individuals with cleft palate. Continuous improvements of MRI technique lead to effective identification of LVP muscle structures and better clinical decision-making for surgical procedures and speech therapy in individuals with cleft palate.

      • KCI등재

        듣기 훈련과 외적 음성 기준 사용이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는 비성 정도를 평가하는 가장 타당한 평가 방법이지만 신뢰도 높은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본 연구는 청지각적 훈련과 외적 음성 기준이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의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와 두 변인간의 상호 작용을 살펴봄으로써 청지각적 평가 신뢰도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임상 경험이 없는 20명의 평가자들을 대상으로 듣기 훈련을 실시하여 듣기 훈련 전․후의 평가에서 신뢰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평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게는 평가하는 동안 외적 음성 기준과 평가하는 음성 샘플과 비교하면서 측정하게 하였고, 나머지 한 그룹에게는 외적 음성 기준 없이 평가하게 하여 외적 음성 기준치 사용여부에 따라 신뢰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듣기 훈련을 실시한 후에 평가자 내와 평가자 간 신뢰도가 높아졌고, 외적 음성 기준을 사용한 그룹이 사용하지 않은 그룹보다 듣기 훈련 전․후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자 간 변산도 점수를 바탕으로 한 통계 분석 결과, 듣기 훈련 전과 후 사이에, 그리고 외적 음성 기준 사용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듣기 훈련과 외적 음성 기준간의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듣기 훈련과 외적 음성 기준 사용이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의 주관적이고 가변적인 요소를 통제하고 신뢰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411-421. Background & Objectives: Perceptual judgment is the most valid technique for evaluating hypernasality. However, perceptual rating of hypernasality is subjective, variable, and highly prone to err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factors which affect the reliability of perceptual judgment with regard to hypernasality and to determine methods to control its subjectivity and variabil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listener training and external standard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reliability of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among inexperienced listeners. Methods: Twenty students majoring in speech pathology with no or limited experience evaluating the speech of patients with cleft palat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evaluated speech samples of 28 children with cleft palate for degree of hypernasality i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external standards before and after listener training.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ies and variability scores were obtai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raining and external standards on perceptual judgments of hypernasality.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listener training and use of external standards help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among inexperienced listeners. There were significant listener training, external standards, and interaction (external standards by training) effects in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listener training and use of external standards were effective in controlling subjectivity and variability of perceptual evaluation and in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among inexperienced listene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411-421)

      • KCI등재

        일반 영유아의 초기 발성 발달 연구

        하승희(Ha, Seunghee),설아영(Seol, Ahyoung),배소영(Pae, Soyeong) 한국음성학회 2014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6 No.4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prelinguistic vocal production of typically developing infants aged 5-20 months based on Stark Assessment of Early Vocal Development-Revised (SAEVD-R). Fifty-eight typically developing inf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age groups, 5-8 months, 9-12 months, 13-16 months, and 17-20 months of age. Vocaliza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infants" play activities and were classified into 5 levels and 23 types using SAEVD-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our ag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duction proportion of vocalization levels. Level 1, 2, 4, and 5 vocalizations exhibited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four age groups. Level 3 was predominantly produced across every age group. Therefore, the vocalization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four age groups. Especially, vowels in Level 3 vocalization predominantly produced across all ages during a long period. Also,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proportion of Levels 4 and 5 occurred after 9 months, which suggested that the production of cannonical syllables is a key indicator of advancement in prelinguistic vocal development. The results have clinical implication in early identification and speech-language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ech delays or at risk.

      • KCI등재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의 등간 척도와 직접 크기 측정법 비교 연구

        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과대비성을 포함한 말장애 영역의 청지각적 평가에서는 타당하고 적절한 평가측정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등간 척도는 임상과 연구현장에서 과대비성을평가할 때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평가법이지만, 과대비성의 정도를 타당하게 반영하는지에대한 우려가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대비성의 또 다른 평가 척도로 사용되는 직접크기 측정법(direct magnitude estimation: DME, 이하 DME)과 등간 척도의 평가 결과치를비교해서 어떠한 평가법이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에 더 타당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28명의 한국 구개열 아동의 말 샘플을 수집 한 뒤 10명의 평가자에게 등간 척도와 DME 평가법을 이용해서 과대비성의 정도를 청지각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두 평가법의 결과치의관계를 산포도의 시각적인 검사와 모형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산포도의 시각적인검사와 모형 분석 모두 등간 척도와 DME를 사용한 평가치의 관계가 비선형(curvilinear)관계임을 보여 주었다. 논의 및 결론: 비선형 관계는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속성이 기존 자극에자극이 양적으로 더해지는 부가적인(additive)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음성 자극을동일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평가해야 하는 등간 척도보다는 DME 평가법이 좀 더 타당하고신뢰로운 측정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It is important to use a valid and appropriate scaling system for the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disorders, including hypernasality. Although equal-appearing interval scaling (EAI) is the most popular scaling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hypernasality in clinical settings and research,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validity of this method for hypernas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AI and Direct Magnitude Estimation (DME), which is another scaling system for the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and to determine which scaling system is more valid. Methods: Speech samples were obtained from 28 children with cleft palate, and 10 listeners performed the perceptual evaluation of hypernasality using EAI and D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from the EAI and DME were investigated based on visual inspection and analysis of models. Results: Visual inspection and analysis of models demonstrated a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easure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listeners have difficulty partitioning hypernasality into equal-appearing intervals because hypernasality is additive, quantitative, and prothetic in nature. These findings verify that the DME is a more valid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hypernasality than the EAI

      • KCI등재후보

        구개열 수술 후 구개열 아동의 음절성 옹알이 발달

        하승희(Seunghee Ha) 대한구순구개열학회 2021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Vol.24 No.1

        Objectives: Canonical babbling (CB) is a major milestone in development of speech capacity in the first year and known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later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anonical babbling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after cleft palate surgery compared to children without CP. Methods: Ten children with CP and 10 children without CP at 13-15 months of age participated in the study. Coders were analyzed twenty 5-minute segments with the highest child vocalization rate extracted from each child’s all-day home recording using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Child vocalizations were determined based on syllable unit and each syllable was categorized as canonical and non-canonical syllables, syllables with glottal sounds, or syllables with glides. The number of each syllable type, canonical babbling ratios (CBR), and true canonical babbling ratio (TCBR)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Results: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otal number of vocalization and syllables. Children with CP produced fewer canonical syllables than children without CP and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CBR and TCBR were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 with CP show a limited development in canonical syllables even after cleft palate surgery and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followup services to monitor speech-language developmen for children with CP.

      • KCI등재

        4-9개월 한국 아동의 음절성 옹알이

        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1

        배경 및 목적: 음절성 옹알이의 출현은 생후 1년 동안 점진적으로 습득해가는 말산출 능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발달을 의미한다. 본연구는 아동의 자연스런 가정 환경에서 하루 동안 수집된 발성 자료를 토대로 4-9개월 한국 아동의 음절성 옹알이의 발달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주양육자의 보고에 따라 출생 전-중-후와 발달상의 문제가 없었던 생후 4-9개월 된 26명의 일반아동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언어환경분석기(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LENA)를 이용하여 아동의 가정에서 하루 동안 녹음자료를 수집하였 다. LENA 녹음 자료에서 아동의 발성 수가 많은 순서로 5분 길이의 구간을 20개 선택하여, 아동당 100분의 녹음 자료를 분석하였다. 초기 발성에 대한 집중적인 훈련을 마친 분석자가 선택된 녹음 자료를 들으면서 발성의 4가지 음절 유형(음절성, 비음절성, 활음, 성문파열 음이 포함된 음절)을 정하였다. 아동을 4-6개월과 7-9개월의 월령 집단으로 나누어 월령과 성별에 따라 각 발성 음절의 수와 음절성 옹알이의 비율이 유의미하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결과: 7-9개월 집단은 4-6개월 집단보다 음절 유형 중 음절성 옹알이의 수가 유의미하게 많아 음절성 옹알이 비율이 높았다. 7-9개월 월령 집단에서 8명이 음절성 옹알이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음절성 옹알이의 수와 음절성 옹알이 비율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자연스런 가정 환경에서 아동의 발성을 대표할 수 있는 충분한 녹음 자료를 토대로 6개월 미만의 어린 한국 아동을 대상으로 음절성 옹알이의 발달상의 변화를 자세히 제시하였다. Objectives: Canonical babbling is a key feature of vocal development in the first yea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anges in canonical babbling in Korean-acquiring infants from 4 to 9 months of age based on vocal samples obtained through all-day recordings in naturalistic environments. Methods: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LENA) all-day home recordings were obtained from 13 infants aged 4-6 months and 13 infants aged 7-9 months. Twenty 5-minute segments with the highest child vocalization rate were extracted from each infant’s LENA recording. The coders, who received intensive coding training, determined syllable types (canonical, non-canonical, glide, or glottal syllables) while listening to the selected recordings. The effects of age and gender were determined on the number of each syllable type and canonical babbling ratios (CBR).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fants aged 7-9 months produced significantly more canonical syllables and showed higher CBR than infants aged 4-6 months. Eight 7 to 9-month-old infants had entered canonical babbling stage. Boys produced significantly more canonical syllables and showed higher CBR than girls in this study. Conclusion: This study is the first effort to evaluate canonical babbling in Korean-acquiring infants and examine vocal development through a representative sampling of vocalizations in natural environments through day-long recor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