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령전기 말더듬아동의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행동특성

        김정미,심현섭,이은주,Kim, Jeong-Mee,Sim, Hyun-Sub,Lee, Eun-Ju 한국음성학회 2005 음성과학 Vol.12 No.3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s and stuttering behaviors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Participants were twenty-four children who stutter and their mothers. For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5$\sim$10 minutes of 50 minutes videotaped scenes originally collected to develop fluency assessment instrument were re-videotaped. They included mother-child interactions during playing with toys and reading book situations. Mothers-children interactive behaviors were assessed with Maternal Behavior Rating Sroles(MBRS) and Child Behavior Rating Scales (CBRS). And children's stuttering were assessed with Paradise-Fluency Assessment(P-F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depending on situations, but scores of maternal responsive factor were higher in the play situation than in the reading situation. 2) Maternal responsiveness might influence on promoting the children's pivotal behavior with children who stutter. And 3) the level of maternal responsiveness was the predictor of children's stuttering behaviors. The therapeutic implication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공명장애 진단모델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한진순,심현섭,Han, Jin-Soon,Sim, Hyun-Sub 한국음성학회 2006 음성과학 Vol.13 No.4

        Speech-language therapist's experiences of their clinical practice offer greater insight to develop the assessment model for resonance disorders appropriate to the clinical sett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s of resonance disorders qualitatively, 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review of the literatures about the assessment procedures. From the interviews with 4 speech therapists analysed by using a qualitative, constant-comparative method, 3 main themes were derived: (1) the currently accepted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onance disorders, (2) the status quo of the assessment procedures, and (3) the nee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ssessment procedures. In addition, 15 sub-themes were emerged from the 3 main themes. All themes mentioned by the therapists provide th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and valid assessment model for the resonance disorders in Korea.

      • KCI등재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의 의사소통태도 연구

        최성희(Seong Hee Choi),심현섭(Hyun Sub Sim),최흥식(Hong Shik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9 No.3

        본 연구는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의 의사소통태도를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의사소통태도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검사문항(심현섭.신문자, 2002)을 이용하여 성과 연령이 비슷한 정상 집단 37명과 37명의 내전형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의 의사소통태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정적인 의사소통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 볼 때 집단 간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말할 때의 불안감이 가장 컸으며, 자신의 말에 대한 부정적인 자기인식, 말에 대한 회피나 청자의 반응, 낮은 자아상, 대인관계에 대한 어려움 등이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의 주된 의사소통태도로 나타났다. 또한 경련성 발성장애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틀리눔독소 주입술 시 단기간 내의 치료 결과에 따른 의사소통태도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 중 보툴리눔독소 주입술 치료 경험이 전혀 없는 9명을 대상으로 보툴리눔독소 주입술 전과 1개월 후 의사소통태도를 비교한 결과, 보툴리눔독소 주입술 후 환자 대부분이 부정적인 의사소통태도가 감소하여 말 개선이 의사소통태도에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의 의사소통태도평가는 객관적인 검사와 더불어 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유용한 검사도구임이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attitude for adductor spasmodic dysphonia(ADSD). Thirty seven ADSD female patients(mean age: 31.3 yrs) and thirty seven age-matched normal females(30.8 yrs),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subject was asked to be interviewed and respond to the Korean Communication Attitude Scales(2002). The severity of tremor and breathiness was measured by 2 experienc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using a visual analog cales(10㎝). The comparison of communication attitude was analyzed with an independent t-test and each item’s response between the 2 groups was analyzed with Fisher’s test.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1) The total score of ADSD group was higher than normal group(p<.05) and the ADSD group had more negative communication attitude than the normal group. (2) Most of the item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and item 24 was especially the most prominent. (3) The adjusted total scores as a function of severity within the ADSD groups showed the severe ADSD group was significant highest(F = 4.571, p < .05). (4) The adjusted total scores as a function of the frequency of Botox inject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F = .568, p < .05). (5) Communication attitude after Botox injection treatment was changed to the decreased negative communication attitude than before the injection. Botox injection treatment is useful for the positive attitude of communication. But repeated injections, the breathy voice for the side-effect, the expectancy level of treatment effect, the maintenance period, and patients satisfaction all affect the long-term communication attitude of ADSD patients. Consequently, the evaluation of communication attitude is useful to prove the treatment efficacy for ADSD.

      • KCI등재

        학령기 말더듬아동의 불안 및 의사소통태도 특성

        김우정(Kim, Woo-jung),이수복(Lee, Soo-bok),심현섭(Sim, Hyun-sub)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2

        부정적 감정인 불안은 말더듬 발생과 발달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학령기 말더듬아동이 보이는 불안의 특성을 파악하고 불안과 의사소통태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서, 말더듬 평가 및 치료전략을 수립하고 말더듬아동 및 부모 상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학령기 말더듬아동(말더듬 중증도가 약함12명, 중간12명, 심함12명)과 일반아동 각 36명씩, 총 72명과 말더듬아동 어머니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불안정도 측정을 위해 아동 집단에게 아동용 상태?특성불안척도에서 특성불안척도(TAI-C, 조수철ㆍ최진숙, 1989)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말더듬아동 어머니집단에게 특성불안척도(TAI, 김정택ㆍ신동균, 1978) 검사를 실시하였다. 의사소통태도는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Ⅱ??(심현섭ㆍ신문자ㆍ이은주, 2010)의 초등학생용 의사소통태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말더듬아동집단이 일반아동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안점수 및 부정적 의사소통태도를 보였다. 말더듬아동집단 내에서 보면, 불안점수와 의사소통태도점수는 말더듬 중증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말더듬아동의 불안점수는 본인의 의사소통태도점수 및 어머니의 불안점수와는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말더듬아동의 외현적 말더듬 중증도가 심하지 않더라도 불안수준이 높고 의사소통태도가 부정적일 수 있으며 학령기 말더듬 평가 시 아동 및 어머니의 불안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며 치료 시에도 반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has been suggested that anxiety, known as one of the negative emotions in people who stutter influences the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the stuttering.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wide range of factors that influence in the development of anxiety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for better understanding of stuttering.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investigated (a) the differences in anxiety and communication attitude between school-aged children who stutter(CWS) and a peer group, (b) characteristics of anxiety and communication attitude according to the stuttering severity, and (c)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CWS" anxiety, stuttering severity, communication attitude, and the mother"s anxiety. 36 school-aged CWS, 36 age- and gender-matched controls and 36 mothers of CW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The Trait Anxiety Inventory(TAI) for adults and the 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TAI-C) were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anxiety for mothers of CWS and two children groups respectively. The inventory for Child and Communication attitude test was administered to children group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anxiety and communication attitude in CWS than the matched group. Anxiety and communication attitude score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tuttering severity. In CWS group, anxiety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ommunication attitude scores and the mother"s anxiety score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CWS exhibit higher level of anxiety and negative communication attitude regardless of the stuttering severity.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consider emotional aspects of CWS and mother as well as the stuttering behaviors in evaluation and the treatment of stuttering.

      • KCI등재후보

        SSI - 3 하위영역들에 관한 평가자간 일치율 연구

        심현섭(Hyun Sub Sim),이은주(Eun Ju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1

        본 연구는 말더듬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말더듬평가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여러 평가자들이 SSI- 3 (Riley, 1994)을 이용하여 동일한 발화샘플을 평가하였을 때 말더듬 정도 및 각 하위영역의 결과가 연구자 결과와 어느 정도의 일치율을 보이는지, 그리고 피검사자에 따라 일치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말더듬 정도는 피검사자 1(아동)의 경우 60 %, 피검사자 2(성인)의 경우 22 %의 일치율로 피검사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각 하위영역에서 나타난 평가자들과 연구자의 점수차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빈도점수(피검사자 1: - 2∼4, 피검사자 2: - 1∼2), 지속시간점수(피검사자 1: 0∼6, 피검사자 2: 0∼7), 부수행동점 수(피검사자 1: - 3∼7, 피검사자 2: - 12∼1). 피검사자 2의 경우에는 지속시간점수가 말더듬정도의 차이를 가져온 주 변인이며, 피검사자 1의 경우에는 지속시간 외에도 부수행동점수가 더 큰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ddress what variables influence the reliability of stut - tering evaluation. This i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tuttering evaluation instrument . For this, SSI- 3 (Riley, 1994) was conducted by several judges and researcher s on the same subject s in order to find out the extent to which the severity evaluations regarding three subtypes (frequency, duration, physical concommitant ) yield agreement between the judges and the researcher s, and whether or not the agreement level changes according to the subject s. The result s of the experiment s are as follows: the percentages of agreement s of severity rating on each subject were found to be different : subject 1 (child), 60 %; subject 2 (adult ), 22 %. The ranges of score discrepancy between judges and researcher s are as follows: frequency score (subject 1: - 2∼-4, subject 2: - 1∼- 2); duration score(subject 1: 0∼6, subject 2: 0∼7). For subject 2, the duration score was the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overall severity rating. On the other hand, for subject 1, the physical concommitant score was found to be the more influential variable than the duration score.

      • SCOPUS

        뇌성마비 아동의 모음산출에 관한 연구

        심현섭(Hyun-sub Sim),박지은(Ji-Eun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9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3 No.-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모음 산출 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뇌성마비 아동 집단(12명)과 정상 아동 집단(10명)을 대상으로 유의미한 단음절 낱말 수준에서 모음의 포먼트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된 제 1 포먼트(F1 )와 제 2 포먼트(F2 )를 기초로 모음변별 산출능력과 모음 삼각도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두 측정치 모두에서 뇌성마비 아동의 모 음산출 능력이 정상 아동에 비해 제한되어 있었으며, 뇌성마비 하위 유형인 경직형과 불수의형의 비교에서 모음변별 능력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모음 삼각도의 면적크기에서는 경직형이 불수의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다. ing on two subtypes of cerebr al palsy , spast ic an d ath et oid. F or this purpos e, comparison s of v owel cont r ast s wer e made between the cerebr al- palsied group T he pr esent study at t empt s t o ex amin e the v owel product ion ability of cerebr alpalsied childr en (N =12) at th e single word (CVC combinat ion ) lev el by measurin g the high - low and front - back v owel contr ast s and th e speech int elligibility focu s - an d the age -mat ch ed group of normal childr en (N=10) by measurin g th e fir st (F 1 ) an d s econ d formant (F 2 ) fr equ en cies a s sociat ed w ith differ en t v ow els . Resu lt s r ev ealed th at th e cer ebr al - palsied gr oup sh ow ed limit ed ability in con t r asting v owels compar ed with the n ormal group. Howev er , no dist in ct differ en ces in v owel cont r ast s were found between the athet oid and spastic types . Secon dly , in order t o a s ses s the speech intelligibility , the formant triangle areas which were plott ed by the mean v alues of F 1 and F2 for the three v owels of / i/ , / u/ , and / a/ wer e compar ed among th e thr ee group s . It was ob serv ed that (1) the n ormal group ex hibit ed larg er ar ea than th e cer ebr al - palsied group an d that (2) the spast ic group showed larger ar ea than the athetoid group. T h e findin g s sug gest that speech types of athet oid and spast ic cer ebr al - palsied childr en can b e distinguish ed from each other by the different ar eas of formant t rian gles r ather than by th e v owel cont r ast s per se.

      • SCOPUS

        한국 말더듬 성인에 대한 고정관념 연구

        심현섭(Hyun-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5 No.1

        본 연구는 일반인 집단(N = 103), 말더듬 성인 집단(N = 40) 및 학생 집단(N = 57)을 대상으로 25개 문항 검사를 실시하여 말더듬 성인에 대한 고정관념의 집단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집단, 말더듬 집단 및 학생 집단 모두 말더듬 성인은 항상 긴장한 상태에 있다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었다. 둘째, 일반 집단과 말더듬 집단을 비교한 결과, 일반 집단이 말더듬 성인에 대해 폐쇄적이고, 자기비하적이며 융통성이 없다는 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보였다. 그러나 일반 집단은 말더듬 성인에 대해 우둔하지 않으며 또한 감정이 풍부하다는 긍정적인 고정관념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 집단과 말더듬 집단을 비교 한 결과, 학생 집단은 말더듬 성인에 대해 총명하며 또한 감정이 풍부하다는 더 긍정적인 고정관념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임상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stereotypes of the typical Korean adults who stutter exist and to find out their characteristics, if any . For this purpose, normal adult s (NA)(N=103), adult s who stutter (AWS )(N=40) and graduate student s who were studying speech - language pathology or special education (GS)(N=57) were asked to circle one of the seven intervals on each of the 25 items which show trait s which are used in order to describe stutterer s. T he findings were as follows : (1) all three groups hold an unfavorable stereotype that adult s who stutter are tense, (2) NA showed more negative stereotypes on self- derogatory - bragging, guarded- open, and inflexible- flexible items than AWS, but showed more positive stereotypes on dull- intelligent and bland- emotional items than AWS, and (3) GS showed more positive stereotypes on dull- intelligent and bland- emotional than AWS. Some clinical implication s of the finding s are discus sed.

      • KCI등재후보

        내적수정가설 검증 연구

        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3

        본 연구는 내적수정가설(covert repair hypothesis)에서 중요한 가설 중의 하나인 ‘비유창성(disfluencies)은 말오류(speech error)와 동일한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6명의 말더듬성인과 연령 및 성별을 일치시킨 정상성인 16명을 대상으로 발음하기 어려운 문장(tongue twister)을 자신의 말속도에 따라 암송하게 하여, 정확도 조건(low accuracy(LA)와 high accuracy(HA))에 따른 말오류, 자기수정 및 비유창성 빈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상집단 및 말더듬집단 모두 정확도가 강조됨에 따라 말오류 빈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반대로 비유창성 및 자기수정 빈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말오류 빈도는 LA 조건에 비해 HA 조건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자기수정과 비유창성 빈도는 정확도 조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정확도 조건에서 자기수정 및 비유창성 빈도의 집단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LA 조건에서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HA 조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one of the assumptions of the covert repair hy- pothesis by examining whether speech errors and disfluencies belong to the same category. For this purpose, 16 adults who stutter and the 16 age and sex-matched normally fluent adults were asked to recite aloud the tongue twister sentences under 2 different conditions. In the low accuracy condition(LA),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recite the sentences fast. However, in high accuracy condition (HA), they were instructed to read correctly as well as fa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peech error frequency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accuracy was emphasized, but the frequency of disfluencies and self-repairs remained the same, (2)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requencies of disfluencies and self-repairs in the HA condition. Both groups showed that speech errors tended to decrease with accuracy emphasis, but disfluencies and self-repairs tended to increase.

      • KCI등재

        삼출성 중이염 반복감염 아동의 말소리 지각 및 조음·음운 특성

        심현섭(Hyun Sub Sim),송윤경(Yun Kyung Song),진성민(Sung Min J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0 No.2

        생후 초기 3년간 아동들이 자주 걸리는 질환 중의 하나인 삼출성 중이염은 중이에 저류액이 머물러 있어 15-20 dBHL 정도의 전도성 청력손실을 초래하게 한다. 이에 연구자들은 반복적인 삼출성 중이염의 경험을 가진 아동의 말소리 지각과 조음․음운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이염 반복감염 경험이 있는 5세 아동 16명과 중이염 경험이 없는 5세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작성, 말소리 지각 검사, 우리말 조음․음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말소리 지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낱말과 문장수준의 자음정확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더 다양한 음운변동을 나타내었고, 실험군의 말소리 지각과 자음정확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이염으로 인한 반복적인 청력손실의 경험이 말소리 지각이나 조음․음운발달의 집단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는 미약한 영향을 미치거나, 초기의 이러한 부정적 영향으로 인한 문제가 5세경이면 극복된다는 점을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언어발달이 지연된 아동을 실험 대상에서 제외시킨 결과이므로, 중이염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과 언어문제가 동반된 경우는 결과에 적용되지 않은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인들을 고려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It has been believed that a child's experience of recurrent otitis media with effusion(OME) before the age of 3 may could affect their speech development.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changes in hearing due to middle ear fluid have any long-term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speech. For this purpose, a group of 16 5-year-old children who had suffered with episodes of recurrent OME were compared with 16 age-matched normal controls for their speech perception abilities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Each subject's parent was asked to be interviewed an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The Speech Perception Test and the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in the soundproof room.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scores for speech perception and consonant correctnes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diverse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y also had higher correlation between their speech perception scores and consonant correctnes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imply that frequent OME before the age of 3 may not deteriorate the speech perception and phonological ability, or their negative influences on speech development may not persist beyond the age of 5.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