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 절차에 관한 실행연구

        김소희 ( Sohee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실행연구를 적용하여 초등학교 교실 수준에서 교사가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을 어떻게 설계하여 실행할 수 있는지 사례를 통해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는 K교사가 실행한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 사례, 교육과정 디자인 과정에서의 학습자 참여, 그리고 K교사가 기록한 일지와 학습자 설문, 인터뷰 내용을 기반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은 크게 4단계 7절차로 이루어졌다. 네 단계는 1)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 준비 2)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 실행 3) 수업 실행 및 조정 4) 교실 교육과정 완성 순이다. 그리고 세부 절차는 1-1)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1-2) 교사의 수업 기획 1-3)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 방안 구축 2-4) 단원 설계 2-5) 수업 설계 3-6) 수업 실행 및 조정 4-7) 교실 교육과정 완성이다. 둘째, 학습자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부분은 크게 2-4) 단원 설계, 2-5) 수업 설계, 3-6) 수업 실행 및 조정 과정이었다. 셋째,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초등교사에게 유용한 지침이 될 것이고 학생의 학습 주체의식을 강화하는 방식의 일환이며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디자인은 이 과정에서부터 수업을 시작함으로써 사전 활동을 수업 중 활동으로 옮겨 놓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id an action research to present cases of how a teacher can plan and practice the curriculum design with student and teacher participating together and at 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level. It was based on a case of student associated curriculum designing procedure implementated by K teacker,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signing process, diarys written by K teacker, student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ssociated curriculum design largely consists of four steps: 1) Preparation of students associated curriculum design, 2) practice of student associated curriculum design, 3) implementation and coordination of lessons, and 4) completion of classroom curriculum. Details are as follows: 1-1) Analysis of curriculum achievement criteria, 1-2) lesson planning by teachers, 1-3) building ways to hav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urriculum designing process, 2-4) unit design, 2-5) teacher`s class design, 3-6) lesson implementation and coordination, and 4-7) completion of classroom curriculum. Second, there are 3 procedures where participation of students take place which is 2-4) unit design, 2-5) instructional design, 3-6) lesson implementation and coordination.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values. It will provi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useful guidance to effectively managing the curriculum, expected to strengthen student`s sense of sovereignty consequently, and start lessons along with these designing stages which has the significant meaning that impling pre-lesson activities into the activities at class.

      • KCI등재

        Backward Design을 통한 창의적인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강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s of existing mode of curriculum design and suggests new design of school curriculum to solve the problems. In general school curriculum is the main entity of educational process of learning community. Usually school curriculum consists of the subject to teach and learn under the control of school governance. According to school curriculum, we can see the aims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Until now school curriculum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by forward design, aims and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 educational evaluation and assessment. There are many problems of educational process, superficial learning, coverage-based delivery in this approach. In this pap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intends to discuss the backward design. Backward design focuses on authentic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assessment for Understanding by Design. In Backward design, the procedures of design proceeds three steps, 1. desired result, 2. evidence of performance, 3. arrangement of learning experience. Through backward design, school curriculum should be reconstructed for student's authentic understanding. To solve the problems of existing mode of school curriculum design, this study adopts critical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nd philosophical analysis. In the future, backward design of school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autonomous research within class and school culture. 본 연구는 기존의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식의 문제를 진단하고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설계 방식을 논의하고 그 구체적인 적용 방안과 유의사항을 탐구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단위에서 교육의 전체적인 계획과 운영은 교육과정이라는 실체를 통하여 만들어진다. 교육과정을 통하여 모든 교육활동이 전개되고 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 학교의 교육과정은 거시적으로나 미시적으로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전체적인 계획과 실천 상의 내용들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학교의 교육과정 설계는 주로 선형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학교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내용과 학습 경험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것, 그리고 수업을 실행하고 평가하는 등의 제반 과정에 대한 계획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방식을 전통적인 방식(forward design)이라고 부른다. 이 방식은 한국의 교육이 본격적으로 근대화 되었던 해방 이후부터 지속되어온 방식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많은 장점이 있었지만, 이 방식에서는 심층적인 학습의 깊이와 진정한 학습을 전개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 Backward design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방식의 근거가 되는 이론적 배경과 구체적인 적용 방안, 적용 시 유의사항과 정책적 제언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관련 문헌과 주요 주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하여 연구 문제를 접근하였다. 장차 새로운 방식이 조기에 정착되어 학교 교육과정 발전을 기대해본다.

      • KCI등재

        영국의 2014 개정 'Design and Technology' 국가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와 내용

        이상봉,김성애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2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jor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 ‘Design and Technology programmes of study’, and tried to introduce some of its implications for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The ‘Design and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used in content analysis is the national curriculum announced in December 2014. Both the curriculum of the England’s Design and Technology and Korea’s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clude two areas, which ar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hey are conducted in prim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and they have a common feature that they were revised recently as national curriculums.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are composed of one subject content based the ‘designing and making’, and the curriculum has been revised, centering on core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In addition, various changes in the revised curriculum adap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example, pupils will learn about hi-tech such as 3D printing and robot in new national curriculum because ‘Design and Technology’ is linked to innovation and digital industries, will give great implications for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Korea. 이 연구는 영국의 2014년 개정 ‘Design and Technology’ 국가 교육 과정의 교육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여 주요 변화와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실과(기술・가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 활용된 ‘Design and Technology’ 교육과정은 2014년 12월에 고시된 영국의 국가 교육과정이다. 영국의 ‘Design and Technology’은 우리나라의 ‘실과(기술・가정)’ 과목은 국가 교육 과정으로서 최근 개정되었고 ‘기술’과 ‘가정’이라는 2개의 분야가 하나의 과목에 포함되어 있으며, 초등과 중등교육에서 모두 이루어지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개정된 ‘Design and Technology’ 국가 교육과정은 초등과 중등 모두 ’Desing and Making’과 ‘Cooking and Nutrition'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반드시 학습해야 하는 핵심 지식과 기능이 제시되어 있으며 단계가 올라갈수록 교과 내용의 수준이 높아짐으로써 국가 교육 과정이 학습의 계속성과 계열성을 보장하고 있다. 또한, 3D 프린팅, 로봇 등 혁신 및 디지털 산업과 관련된 Hi-tech를 ‘Design and Technology’에서 배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공 중심의 ‘Design and Technology’에서 기술의 발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Design and Technology’로서의 변화를 도모하였다.

      • KCI등재후보

        내러티브에 기반한 초등학교 안전 교육과정 설계 가능성 연구

        Seung-Min, Oh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6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4 No.1

        단위 학교에서 교육과정 실행 중 발생하고 있는 각종 안전사고는 현재까지 안전교육 체계의 대폭적인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한 수정 방법 중의 하나로 연구자는 내러티 브에 주목한다. 최근에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에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활 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는 내러티브라는 인간의 인식론 적 도구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 평가의 일련의 과정을 정렬하는 과정 이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에 기반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안전 교육과정을 어떻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인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 여 2장에서는 안전교육과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적 측면을 다루었으며, 3장에서는 내러티브에 기반한 초등학교 안전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과 원리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 는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설계모형을 제시하여 안전교육과정 설계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내러티브에 기반한 초등학교 안전 교육과정 설계는 현재의 안전교육을 보 완하여 체험 중심의 실질적인 안전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sign for narrative safety curriculum. In this study, I designed the safety curriculum using narrative, a subject of current active research. Narrative safety curriculum refers to the structure in which students' education opportunity can be organized constructively and analytically utilizing narrative, so that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can be continually reconstructed. Narrative itself means a curriculum. In the study, the five-stage design template of Lauritzen and Jaeger(1997) model that includes the context, inquires, goals filter, explorations and culminations was applied to designing practical education. Various accidents that occur during curriculum practical in individual schools would require a substantial modification of the safety curriculum system to date. One of the researchers are focusing on how to modify these narratives. Recently a lively discussion about the ways to take advantage of the narrative when designing a curriculum has been made. Narrative curriculum design is the process of sorting a series of steps of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and evaluation of training courses based on the human epistemological tool called narra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arrative possibilities based on what you can do to design a safety training course at the school. In Chapter 2,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e theoretical aspects of safety training and curriculum narrative. In Chapter 3 presents the direction and principles of elementary safety curriculum design based on the narrative. In Chapter 4 presents a model of narrative design and Jaeger were Lauritzen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safe course design. School safety curriculum design based on a narrative to complement the current safety training and expected to contribute to building a system of practical safety education experience center. Education in perspective of practices is an initiation process of practices for the better quality of life, in which individuals can form totality of their lives while studying the tradition. Thus, narrative curriculum is will help professor-learner develop narrative capability.

      • KCI등재

        학부 수업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디자인 리서치 커리큘럼 및 가이드라인 제안

        최정민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4

        Background: As user experience design and service design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paradigm, designers' ability to take into account users’ needs and values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is context,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 user-centered design perspective have been introduced in the undergraduate design courses. Existing design research curriculum and references, however, tend to focus on professional designers’ retraining or graduate courses in general, or to introduce fragmentary research methods and tools. In order for undergraduate students to develop their research capability, it is needed to develop a design research curriculum that can be highly applicable to undergraduate education. Methods: Existing design research tools and education were first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Then, this research defines some factors of design projects in the context of undergraduate course, and suggests the knowledge structure needed for projects. Based on that, the design research curriculum was first developed and executed in 2013, and then was revised in 2014 and 2017 reflecting students’ performance and course evaluation. Result: Three types of curriculum were developed; one in which students develop research skills while conducting one design project, another that involves three short research projects, and the other that involves two projects. Based 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each type showed, the present research proposes a model of design research curriculum.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a model of project-based design research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education at a basic level. By providing an applicable tool for planning curriculum,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design educators who want to cultivate undergraduate students’ basic design research skills through a coursework. 연구배경: 최근 사용자경험디자인, 서비스디자인 등이 중요 패러다임으로 대두되면서 사용자의 니즈와 가치 이해를 중심으로 사회 총체적 맥락을 고려하는 디자이너의 역량이 중시되고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 중심 디자인 관점의 리서치 방법들이 디자인 전공의 학부 수업에서도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디자인 리서치 커리큘럼 및 참고문헌은 대체로 현업의 실무 디자이너의 재교육 및 대학원 수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거나 단편적인 리서치 방법 소개에 그치는 경향이 있다. 학부 교육에서도 깊이 있는 리서치 결과물 도출을 필요로 하는 만큼, 학부생의 눈높이에 맞는 활용도 높은 디자인 리서치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디자인 리서치 도구 및 디자인 리서치 교육에 대해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부 디자인 프로젝트 상황 요인을 도출하여 프로젝트에 필요한 디자인 리서치 지식체계를 구성하고 커리큘럼을 개발하였다. 처음 개발된 커리큘럼을 2013년 학부 수업에 적용한 이후 학생 과제 및 강의평가 분석을 바탕으로 2014년, 2017년에 교과과정을 수정하여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커리큘럼은 1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디자인 리서치를 학습하는 유형, 3개 프로젝트 중심의 디자인 리서치 커리큘럼 유형, 2개 프로젝트 중심의 디자인 리서치 커리큘럼 유형 등 총 3개 유형이 있다. 각 유형의 장단점을 제출 과제 및 강의평가에 기반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탐색 과정을 통해 교과과정 모형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리서치 지식을 제공하는 기존 문헌자료들의 내용을 바탕으로, 전공 입문자의 디자인 기초 교육으로서의 디자인 리서치 수업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리서치 지식을 실용적 관점에서 이해하기 쉽게 교육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대학의 디자인 교육자들이 초보 디자이너인 학부생들의 디자인 리서치 기본 역량을 함양하는 데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과정 설계 원리 탐구

        강현석(Kang, Hyeon-Suk) 한국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design based on Bruner's narrative and folk pedagogy. There are many critics about the nature and tendency of existing mode of curriculum design. Because of positivistic stance and linear approach, upholders of main stream of curriculum design have been criticized in terms of objectives model and technological operation. Curriculum design presupposes teaching-learning on the basis of conception of learner and mind. This implies narrative of teacher and learner. Narrative is considered as story-telling, mode of thought, structure of experience, and scheme of meaning making. Principles of curriculum design, in this study focus on planning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in terms of folk pedagogy which functions as tool and embodiment of narrative. Bruner emphasizes the cultural psychology as tool and conceptual lens considering curriculum design and teaching. In context of cultural psychology, Bruner suggested, curriculum design should contemplate the model of mind and learner thinking. From this work on narrative and folk pedagogy and psychology, curriculum design should be reconceptualized toward culturalism. Bruner suggests four models of mind and models of pedagogy: seeing children as imitative learners, seeing children as learning from didactic exposure, seeing children as thinkers, children as knowledgeable. Theses four models should be integrated into curriculum design.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design we studied focusing on narrative and folk pedagogy are as follows: First-constructivism, spiral orientation, internalization. Second-dynamic of structure of knowledge, narrative learning process, interpretive perspective. These principles are applied to macro and micro levels of curriculum design.

      • KCI등재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한 역량 중심 학교 교육과정 개발

        이지혜,강현석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pecific design plan that can overcome the ambiguity of competency, which is often considered as the biggest obstacle to the design and practic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competency-based school curriculum applicable with backward design. For the validity of the study, literature on backward design and competency-oriented curriculum was examined. Through this pro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and competency was defined and the basis for design was secured. In addition,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the design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urricula of two domestic schools that operated the competency curriculum as policy research schools, requ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s well as those of two overseas schools in Canada and Australia. Based on this, a draft of the competency-based school curriculum with backward design was devised, and four experts with doctorate degrees in the curriculum reviewed it. The final design plan for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as developed by deliberating on the opinions of the expert group to derive and reflect modifications. The scope of curriculum design is divided into schools, grades, and classes to deriv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oints to help teachers understand this study and increase its applic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설계와 실천에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는 역량에 대한 모호성을 극복하고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설계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역량을 실천 가능한 형태로 설계한 역량 중심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백워드 설계와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문헌을 연구하였고 이를 통해 이해와 역량의 관계를 정의하고 설계의 근거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교육부 요청 정책 연구학교로 역량 교육과정을 운영한 국내 학교 두 곳과 캐나다, 호주 해외 두 곳의 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하여 설계의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한 역량 중심 학교 교육과정 설계 초안을 구안하였고 교육과정 박사 학위를 소지한 전문가 4인의 검토를 받았다.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숙고하여 수정 사항을 도출하고 반영하여 역량 중심 교육과정 최종 설계안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 설계의 범위를 학교, 학년, 학급 단위로 구분하여 개발과 적용상의 유의점을 도출하여 본 연구에 대해 교사들의 이해를 돕고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 KCI등재

        A Study on Convergence Curriculum Development in Visual Art and Design Education

        이희영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2

        In the current trend of globalization, the boundaries between academic fields throughout society have been blurred, which has created an atmosphere of integration and consensus. Since the 1980s, as prestigious world-class universities chose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curriculum, the curriculum process for fine art and design colleges has transitioned from a curriculum focused on majors and colleges to an interdisciplinary course. However,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process and class development for domestic fine art and design colleges are in their early phases, requiring the development of subjects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revision of the curriculum.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curriculum convergence in visual art and design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This research studied the necessity and social phenomenon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e curriculum of the domestic art and design colleges, and the status quo of classes in operation. In addition, supplementary education curricula and subjects were proposed based on the questions filled out by 209 art college students in Seoul, of which 41 are male and 168 are female.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s, significance was extracted p<0.05 by employing t-test in sex and one-way ANOVA test in academic grade level.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have high satisfaction in practical training and the lowest in theoretical education. In the t-test in sex,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actical training and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one-way ANOV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lance of curriculum, convergence education, theoretical education, and lecture &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r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convergence arts education curriculum were proposed; development a design field convergence curriculum, education in design based on visual art and humanities, development a curriculum 3-dimensional, and 4-dimensional visual arts and design concepts and choosing a team-teach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in reflecting the opinions of students in the revision of the convergence curriculum in visual art and design education.

      • KCI등재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전문대학 디자인교육

        천정임 ( Jeong-im Che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1 No.-

        연구배경 소통, 통합, 융합 등의 사회적 이슈와 시대적 변화와 함께 많은 대학에서 융합디자인에 관련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타 분야와의 협업은 형식적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디자인의 영향력이 미약하여 양질의 디자인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또한 산업사회에서 세분화된 디자인 분야의 학과나 전공의 학생들은 졸업 후 같은 업무에 종사하면서도 각각 다른 전공자인 경우가 많으므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려면 디자인 분야의 학과와 전공은 서로 융합해야 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융합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4년제 종합대학이나 대학원 중심의 교육이기 때문에 2년제 전문대학에서는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국내 전문대학의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교육 과정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융합과 디자인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융합 디자인 교육의 현황을 문헌과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검토, 분석된 결과와 2년제 전문대학에서의 현장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대학에서 실행할 수 있는 디자인 교육 과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효과적으로 융합 디자인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바우하우스가 산업사회를 대비하여 기초조형교육을 중요하게 여기며 통합교육을 실시하듯이 융합의 시대적 변화를 대비하여 문화, 창조, 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 디자인 교육이 필요하다. culture, creative, communication은 각각의 주변 학문과 연련되어 융합디자인 교육의 발판이 되었다. 즉 소비자,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디자인의 속성과 함께 예술, 인문학, 사회과학, 경영학, 공학 등의 분야와 융합이 이루진다. 전문대학에서의 짧은 교육 기간 등의 여건에 맞추어 문화의 이해, 창조적 능력 발휘, 소통에 의한 협력의 단계로 구성하여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결론 산업과 디자인 교육의 관련성,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디자인 교육에 관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면서 문제점을 개선하여 전문대학에서 실행할 수 있는 디자인교육 과정을 제안하였다. 융합의 시대에 적합한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과정은 실무 형 디자인 교육으로 이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졸업 후 산업현장에서 디자인 문제 해결 방법으로 활용할 것이다. Background The current society demands that students should be taught in the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integration, and convergence or fusion. To meet such demands, several university departments of design are offering curricula from the perspectives of fusion or convergenc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executing the curricula. Coope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are usually carried out superficially. The influence of design is very limi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quality designs. Currently, there are many design departments which are subdivided with minute differences. As a result, students graudated from these different departments tend to work together on a same job.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many subdivided departments to be integrate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need of convergence design were all focused on regular 4-year colleges or graduate schools. Thus, a new study is needed for 2-year junior colleges. The present study aims to set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for junior colleges in the era of convergence and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he direction. Methods Literature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previous studies on design education and the present status of the design education. The surveyed cas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Proposed is a new design education curriculum for 2-year junior colleges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and the experiences of teaching in a junior college. Result Bauhaus considered it very important to teach the basic modelling in preparation of the coming industrialized society and to effectively carry out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As such, a new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centered on creativity, culture, and communicaiton is necessary in preparation of the era of digital revolution. Creativity, culture, communication became the basis of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associated with other branches of surrouding disciplines. That is, to meet the desires of customers and clients, the inherent properties of design is converged with other disciplines: arts, humanities, social sciences, management sciences, and engineering. Because the duration of education is short in junior colleges, proposed is the curriculum compopsed of three steps consisting of demonstration of creativity,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cooperaton based on communication. Conclusion The concepts on the relation between industries and design education and on the design education necessary for the era of convergence are defined. After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in Korea was reviewed, and after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were improved, proposed is the curriculum that can be executed in junior colleges. The proposed design curricula for junior college suitable for the era of convergence is very practical so that the students who finished the curriculum would be able to solve design problems in industries.

      • KCI등재

        그래픽 디자인 전공의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과목 연계 기반 커리큘럼 방향성 연구

        장순규,한상만,황현택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3 No.-

        The guideline of the curriculum, which is required professional ability and needs from industry, has a positive effect for design education for the related- department of graphic design. Currently, in domestic universities, the curriculum of majors related to graphic design has been changing due to changes in social paradigms and diversification of media as like print and multi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ecently, graphic design-related industry fields have changed to situations in which various abilities other than graphic design are required, such as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direction that will help foster the curriculum in graphic design-related majors suitable. For this purpose, we confirmed through pre-research the curriculum by the current situation of majors related graphic design at domestic universities. Also, 3 in-depth interviews with 3 industry experts focused on discussing the current overall curriculum problems and improvements. As a result, first, clearly separated information of industry fields consisting of related subjects as curriculum is needed ; the need for explanation of the specialized areas related to the currently diversified graphic design-related department. Furthermore, the specialized areas of each media were clearly classified, and the necessity of setting convergence subjects that can be applied to each media(print/multi) was derived. As above, current situation that prints work is has posted on SNS make the necessary basic motion graphics, 3D, and coding abilities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e basic sense of typography needed for screen construction in the UI expert field was necessary. In conclusion, curriculum plans will be used to improve the curriculum after next year.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guideline to help department related to graphic design. 그래픽 디자인 관련 전공의 커리큘럼은 실무 업계에서 요구하는 전문가 필요 역량에 맞춰 설정하는 방향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기도 한다. 현재, 국내 대학에서는 그래픽 디자인과 관련한 전공은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 기술의 발전에 따른 매체의 다양화에 의하여 변화하고 있다. 최근, 그래픽 디자인 관련 분야는리서치와 같이 그래픽 디자인 외 다양한 능력이 필요한 상황으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시대에 맞는 그래픽 디자인 관련 전공의 커리큘럼 및 전문가 양성에 도움이 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조사로 현재 국내 대학의 그래픽 디자인 관련 전공에서 제시하는 커리큘럼 형태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업계 전문가 3인과 3 차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 현재 전반적인 커리큘럼 문제와 개선점을 논의하는데 집중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다양해진 그래픽 디자인 관련 전공과 연관된 전문 영역에 대한 설명, 관련된 교과목을 커리큘럼으로 구성하는 별도 정보의 필요성을 도출했다. 그리고, 매체 별 전문영역을 명확히 구분하고, 매체 별로 응용될 수 있는 융합(컨버전스) 교과목 설정의 필요성을 도출했다. 위영역에는 최근 디자인 분야에서 포스터 및 인쇄물을 SNS에 올리며 필요한 기초 모션 그래픽, 3D, 코딩능력이 제시되었다. 또한, UI 영역에서 화면 구성에 필요한 타이포그래피 기초 감각이 필요하다고 제시되었다. 상기의 결과를 토대로 교과목 차년도 교과목 구성 및 배치를 개선하는데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의 그래픽 디자인 관련 전공에 도움이 되는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