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rformance Evaluation in Task-based Language Teaching:Suggested Procedures for EFL Classes

        김성애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13 영어교육연구 Vol.25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ocedures for evaluating EFL students’ performance in task-based language teaching. As the background the study first introduces how TBLT can be implemented in the EFL context, including principles for the implementation. Then it discusses key issues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a task-based evaluation. Based on the background, the study makes a sample evaluation plan and tests its applicability in the EFL classroom through an experiment with 25 high school students. The two means used to obtain participants’opinions about the procedures in the evaluation plan were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terview. The participants’ positiv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used as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points. Responses to the questions in the interview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nd used as a supplement for a more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evaluation procedures suggested in the study are based o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Even though the procedures may not be complete with subjective interpretations and judgments inevitably included, it is hoped that they will be of pedagogical use for EFL teachers seeking how to evaluate their students’ performance in task-based instruction.

      • KCI등재후보

        A Call for Effective Teacher Techniques in Elementary School EFL Classes

        김성애 글로벌영어교육학회 2007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For that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ree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focusing on the teacher techniques used to deal with the class materials/activiti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described in five categories: 1) kinds of materials and follow-up activities, 2) frequency of each type of activity used, 3) audience participation in role-play activities, 4) frequency of skill-getting and skill-using activities, and 5) pre- and post-activities employ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failed to use effective techniques, making their classes far from being communicative. Based on the result, the study argues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must first understand what a communitive activity is and develop the techniques necessary to help their students develop the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in the target languag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표준 관련 교육 목표 및 내용의 변천 - 2007 개정, 2011 개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김성애 표준인증안전학회 2018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standard” related objectives and contents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Engineering’ subjec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2007, 2011, and 2015 revised curricula, which contain “standard” related objectives and cont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standard”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e 2007 revised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the “standard” related purposes and contents started to appear in the curricula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most recent version of the curriculum, “standard” was separated as an independent content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but was removed from in the middle school’s elective course. Second, the “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s in middle and high school present the purposes for developing lower order thinking skills as well as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of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nd various knowledge dimension, but the past curriculum only focuses on developing lower order thinking skills and fragmentary knowledge dimensions Third, the “standard” was first introduced to the curriculum as a content related to manufacture technology and all of the engineering. but, in the recent curriculum, the “standard” is emphasized. Therefor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objectives and contents are changing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echnological advances and society. Since the “standard” is the core technology that will lead the future, the future curriculum should secure its continuity and sequence, not only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but also in the elementary school course curricula as well.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표준과 관련된 교육 과정을 분석하여 교육 목표와 내용의 변천 추이와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표준과 관련된 교육목표와 내용이 포함된 2007 개정 교육과정, 2011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성취 기준)과 내용의 변천 추이와 특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표준 관련 교육과정은 기술․가정 과목의 교육과정 중 2007 개정 교육과정, 2011 개정 교육과정,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 국민공통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선택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기술․가정과목에 ‘표준’이 별도의 독립된 내용 요소로 확대 적용되었다. 둘째, 교육 목표의 변천 추이와 특징은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11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단편적인 인지과정차원과 지식차원의 교육목표에만 집중하고 있었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인지과정차원과 지식차원의 교육목표가 제시되었다. 셋째, 교육 내용의 변천 추이와 특징은 중학교 국민공통교육과정인 기술․가정과목의 2007개정 교육과정과 2011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표준’을 ‘제조 기술’ 단원에 일부 포함되었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독립된 내용 요소로서 확대 적용되었다. 고등학교 선택교육과정 중 일반 선택 과목인 기술․가정과목의 2007 개정과 2011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표준’을 교육내용으로 포함하지 않았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독립된 내용 요소로서 제시되면서 중학교에서보다 심화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반면,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공학기술 전반과 ‘표준’을 연계하고 2011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적재산권과 ‘표준’을 연계했던 고등학교 심화(진로) 선택 교육과정의 공학기술(일반)과목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표준’ 내용을 포함하지 않았다. ‘표준’은 지적재산권과 함께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요 전략인 만큼 Technological Literacy로서 모든 내용 요소에서 표준과 관련된 내용이 언급되어야 할 뿐 아니라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까지 계속성과 계열성도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중 기술․가정 과목의 선택교육과정 전 과목에서도 계속성과 계열성 확보의 차원에서 표준과 관련된 교육목표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기술교과에서의 "로봇"활용 교육 방안

        김성애,정동양 한국기술교육학회 200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for the ways to use of Robotics programs at Technology education in middleschool.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we think robots are very important industry to affect our life in the future. Therefore, "A Robot" of the new technology should be reflected to Technology subject matter Curriclum, which has to be senstive for changing techonology in the future. "A Robot" to be united to several technologies is related to Techonology subject matter among other subjects in school. Robotics program would have a great effect on education like the following. : 1) understanding real-world 2) creativity 3) problem-solving abilities 4) understanding technology 5) cooperation 6) total analysis ability 7) understanding their own course. Therefore, This study checked the present situation of Robotics educations and looked for the several problems to be caused in the present situation which didn't accepted in public education. this present problem of Robotics education is 1) expansion of private education 2) a lowering of qualities of Robotics education to be caused to uniformeducation 3) a lack of the appropriate curriculum.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offered the way to accept Robotics in the public education. At first, this study classified the "Robot" system with idea, structure, and programming according to the contens of education and checked whether Robotics education was appropriate or not in the present curriculum. Under the present Technology subject matter curriculum, it is unsuitable to reflect the new technology like "Robots" to it. So this study offered modified curriculum which accepted curriculum organization reasonably and would help us to understand real-world.

      • KCI등재

        초, 중등 학교 숲 활용 교육을 위한 IT 융합 방안 탐색

        김성애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6

        본 연구는 초, 중등 교육에서 IT 융합을 통한 학교 숲 활용 교육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 숲 활용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기존의 학교 숲 활용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초, 중등 교육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학교 숲 활용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문제점과 요구 분석을 통해 IT융 합을 통한 학교 숲 활용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전문가의 내용 검토를 통해 적합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식물의 수집 및 관찰, 재배 및 수확, 간단한 공예 활동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교육에 더하여Hands-on Activity 중심의 IT 융합 수업을 제안하였다. 둘째, 다양한 재료, 피지컬 컴퓨팅 도구, 프로그래밍 툴을 활용한 IT융합 수업 을 제안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실과의 식물 가꾸기, 동물 기르기 관련 단원과 중, 고등학교 기술·가정과의 생명기술 관련 단원 등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한 수업 뿐 아니라 중학교 자유학기 활동 및 방과 후 학교 등 다양한 교육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포함하였다. 학교 숲은 농업, 생명기술 관련 영역의 학습을 위해 매우 중요한 학습 공간이다. 따라서, 제시된 IT융합 수업을 통해 창의 융합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 공간으 로서의 가치가 재발견됨은 물론이며 재평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method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using school forests via IT convergence. To this aim, we reviewed the previous literature on education using school forests to identify the problems with the existing education using school forest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experts to analyze the demands. we proposed an educational method that can utilize the school forests via IT convergence, and explored its validity through content reviews conducted by exper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proposed the IT convergence instruction focused on hands-on activities on top of the existing educational contents. Second, we proposed IT convergence instruction that incorporates diverse materials, physical computing tools, and programming tools. Third, we presented methods for utilizing such IT convergence instruction in connection with various elem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well as with various other activities such as middle school free semester activities and after-school activities. The school forest is a crucial learning space for the areas related to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Thus, we anticipate that the IT convergence instruction proposed in this study will lead to the re-discovery and re-evaluation of a value of school forests as an educational space that contributes to fulfilling the objectiv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nurture creative convergent talent.

      • 한국 여행시장 환경변화에 따른 항공사 전략 연구

        김성애 한국항공경영학회 2011 한국항공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

        항공사의 경영환경은 인터넷 환경으로 항공사, 여행사, 랜드사가 업무의 구분이 불확실해지는 유통질서의 변화로 업체 간 무한경쟁시대가 되었고, 국내 여행사의 대형화와 온라인 기반의 세계최대 여행사의 국내 진입, 인터넷 포탈사이트의 약진 등 급변하는 여행시장의 환경 속에서 끊임없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여행시장의 환경변화와 그에 따른 항공사의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가 절실하지만, 이에 관한 연구가 부족함을 인식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어떤 기업이든 환경의 변화 정도에 따라 경영전략은 상이하고, 외부환경이 격동적일수록 불확실성을 흡수할 수 있는 전략을 강구하며, 외부환경이 안정적일 때는 제품의 질에 의한 경쟁전략을 강화하여야 한다(Khandwalla, 1997). 연구의 목적은 여행시장의 환경 변화가 항공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에 대응하기위한 항공사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 문헌연구를 통하여 여행시장 환경변화와 항공사 전략의 개념적 틀을 정립하고, 상호 관계를 이론적으로 도출하여 여행시장의 환경변화와 항공사 전략 간의 가설을 설정하고, 그 관계를 검증하여 그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중등 학생, 학부모, 교사의 SW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SW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김성애,홍지연,구덕회,박정호,이영호 한국정보교육학회 201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SW education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nd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perception of SW education. For this study, a total of 50 elementary schools, 14 middle schools, and 8 high schools were selected from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questionnaires of 2,231 students, 615 parents, and 173 teach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SW leading schools had a high awareness of SW education, and school-level students showed higher recognition in the orde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students were more aware of the fact that male student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W-related club activitie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W-related competitions, higher class times of the desired. In the case of parents, the parents of male students, parents who taught SW-related educational activities outside the school, and the parents with high hopes had high awareness. In the case of teachers, the higher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SW, the higher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desired time of 2 hou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n the perception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ents 'and parents' awareness and the degree of hemming on the SW-related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addition, teacher awareness and SW education caree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본 연구는 초중등 학생, 학부모, 교사들의 SW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SW 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지속가능한 SW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층화표집방법을 통해 전국 SW 선도학교 중 초등학교 28개교, 중학교 14개교, 고등학교 8개교 총 50개를 선정하였으며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 2,231명, 학부모 615명, 교사 173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SW 선도학교를 경험한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SW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급 별로는 초, 중, 고등학교 순으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생의 경우 남학생이, SW 관련 동아리 활동을 한 학생이, 희망시수가 높을수록 인식도가 높았다. 학부모의 경우에는 남학생의 학부모가, 자녀가 동아리 활동하는 하는 학부모가, 희망시수가 높은 학부모의 인식도가 높았다.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특성이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생, 교사의 인식도와 SW 관련 교육에 대한 희망시수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SW 관련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예비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내용 체계 개발

        김성애,박정호,전수진,최정원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content system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be in char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s designed a content system based on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an educational content system was establishe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consensus of an expert group through the Delphi metho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content system for the enhancement of pre-service teachers' expertise in AI education was composed of domains, content elements, and generalized knowledge. It consisted of 2 major domains, 6 medium domains, and 36 content elements. Second, the two major areas were divided into AI Basics, which is an essential area for all majors, and AI Intensive, an area that can be selective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The content system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divided into mandatory and optional, and the curriculum can be reconstructed by combining this content system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ach subject. In other words, on the premise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in all subjec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or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all pre-service teachers, not pre-service teachers for a specific major, as in previous studies. It can be said that the significance is great. 본 연구는 초, 중등 인공지능 교육을 담당하게 될 예비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교육 내용 체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문헌 분석을 기반으로 연구진들이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체계(안)을 구성하였으며 총 16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교육 전문성 신장 교육을 위한 내용 체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교사의 인공지능 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체계는 영역과 내용요소, 일반화된 지식으로 구성되었다. 2개의 대 영역, 6개의 중 영역 그리고 36개의 내용 요소로 구성되었다. 둘째, 2가지 대 영역은 모든 전공에 필수로 구성되는 영역인 AI 기초와 전공의 특성에 따라 선택 구성할 수 있는 영역인 AI 심화로 나뉘었다. 셋째, AI 기초는 「AI의 이해」, 「AI 윤리」, 「AI 기초 프로그래밍」의 3가지 중 영역으로, AI 심화는 「AI 고급 프로그래밍」, 「AI 활용」, 「AI 융합」의 3가지 중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특히, 중 영역인 「AI의 이해」와 「AI 활용」은 소 영역을 포함하였다. 「AI의 이해」는 ‘AI개념과 사회변화’, ‘AI 원리’의 2가지 소 영역으로, 「AI 활용」은 ‘AI와 데이터과학’, ‘AI와 피지컬컴퓨팅’, ‘AI와 로보틱스’의 3가지 소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개발된 교육 내용 체계는 필수 영역과 선택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교과의 교육 목표에 맞춰 전공에 따라 조합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다. 즉, 기존의 특정 교과에 국한된 인공지능 교육이 아닌 범 교과에 걸친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전문성 신장을 목표로 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