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성소비시대의 레트로디자인 현상에 관한 연구

        임현숙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8 No.-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hat analyzed retro marketing activities and retro design cases as a whole of society and culture in the emotional consumption era. Based on the definition of retro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retro, including background of occurrence, the research was put together through the prior stud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retical concept and meaning regarding the significance of the emotional consumer in the age of emotional consump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tro marketing. The case study divided the activity status of marketing into three categories for retro trend analysis. First, the analysis contents and effects of marketing activities were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table by dividing them into retro marketing that stimulates the nostalgia of the consumer location, secondly, retro marketing that seeks rebirth of consumer products, and thirdly, retro marketing cases through remakes of consumer culture. The use cases of retro-design were based o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types were divided into reproducible retro-design, resurgent retro-design, and recombinant retro-design to derive the concept and design value of retro-design. In the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s, retro-design suggests that it is another alternative, not just fun, but also as an emotional design that reduces cultural estrangement between generations through the reproduction of the emotions of modern people and the formation of empathy, and becomes a link between generations. 본 연구는 감성소비시대에 사회․문화 전반에 나타나고 있는 레트로 현상에 관해 레트로 마케팅 활동과 레트로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실증연구이다.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한 레트로의 정의와 발생배경을 비롯한 레트로의 이해를 바탕으로 감성소비시대의 의의와 감성소비자의 레트로 성향과 레트로 마케팅의 특성에 관한 이론적 개념 정립과 의미를 선행연구를 통해 정리하였다. 사례연구는 레트로 트렌드 분석을 위해 마케팅의 활동현황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소비장소의 노스텔지어를 자극하는 레트로 마케팅과 둘째, 소비상품의 리바이벌을 추구하는 레트로 마케팅, 셋째, 소비문화의 리메이크를 통한 레트로 마케팅 사례 등으로 나누어, 마케팅활동과 내용 및 효과는 분석표를 통해 분석내용을 추출하였다. 레트로디자인 활용사례는 레트로 현상의 기조인 노스텔지아는 감성적․심리적 요인으로 전제하고, 재현적 레트로디자인과 부활적 레트로디자인, 재조합적 레트로디자인 등으로 유형을 3분류하여 레트로디자인의 콘셉트와 디자인가치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및 결론에서, 레트로디자인은 단순히 재미만이 아닌 현대인의 감성 재현과 공감 형성을 통한 세대 간의 문화이격을 줄이고, 세대 간의 소통의 연결고리가 되는 감성디자인으로서 레트로디자인이 또 하나의 대안임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디자인 영역에서 수용미학의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동시대 디자인 해석에 관한 연구

        배정민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9 No.-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for an analysis tool to analyze the design of the participatory area, one of the major codes of contemporary design, and applies the main concept of the discussion on receptive aesthetics to the design to provide an integrated view of contemporary design trends. We would like to analyze This study suggests the applicability of the perspective of acceptance aesthetics to interpret the trends of contemporary design on the premise that the flow of contemporary design is due to changes in perception and acceptance between designers and users (consumers) according to the transfer of design subjects. ‘Participatory design’, one of the trends of contemporary design, is a design concept that attempts to change the way design is accepted by being asked for the act of ‘participation’ in addition to the role of using and interpreting design. In the area of participatory design, the rol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er and the user goes beyond the user who simply uses the designer's intention, and shows the relationship with the user who uses it for a different purpose or reinterprets it anew. From the point of view of aesthetics of acceptance, the audience, the subject of participatory design, could be divided into a passive receiver and an active receiver, and the passive audience does not deviate from the designer's intention, but presents variable design characteristics. The active audience goes beyond simply participating in the designer's intentions and plays a role in creating a new, indeterminate design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design. Active audiences have unpredictable and indeterminate properties that designers cannot intentionally or predict.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ance aesthetics, research on changes in design acceptance means different forms and ways of interpreting previous designs, and will provide accurate exploration and direction for the expansion of design concepts that will continu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동시대 디자인 주요 코드 중 하나인 참여 영역의 디자인에 대해 분석할 분석도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수용미학에 대한 논의의 주요 개념을 디자인에 적용하여 동시대성 지향의 디자인 경향을 통합적인 하나의 관점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동시대 디자인의 흐름이 디자인 주체의 전이에 따라 디자이너, 사용자(수용자) 간의 인식과 수용 방식의 변화에 기인함을 전제로 동시대 디자인의 경향 해석을 위해 수용미학의 관점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동시대 디자인의 흐름 중 하나인 ‘참여디자인’은 디자인을 사용하고 해석하는 역할에 더하여‘참여’라는 행위를 요구받으며 디자인을 수용하는 방식의 변화를 시도하는 디자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참여디자인 영역에서 디자이너와 사용자의 역할 관계는 단순히 디자이너의 의도대로 사용하는 사용자를 넘어서 다른 의도로 사용하거나 혹은 새롭게 재해석하는 사용자와의 관계를 보여준다. 수용미학 관점에서 참여디자인의 주체인수용자는 수동적 수용자와 능동적 수용자로 구분 지을 수 있었으며, 수동적 수용자는 디자이너의 의도에서 벗어나지 않지만 가변적인 디자인 특성을 가진다. 능동적 수용자는 단순히 디자이너의 의도 안에서 참여하는 것을 넘어서서 능동적으로 디자인에 참여하여 불확정적인 새로운 디자인을 창조하는 역할을 한다. 능동적인 수용자는 디자이너의 의도에서 벗어나 예측할 수 없는 예측불가능성, 불확정적 속성을 가진다. 수용미학 관점에서 디자인 수용방식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이전의 디자인을 해석하는 다른 형식과 방식을 의미하며, 앞으로도 지속될 디자인 개념의 확장에 대한 다양한 탐구와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 KCI등재

        창의력 항샹을 위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디자인 비교 연구

        이창욱,정홍철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8 No.-

        The revised education in 2015 goes through various basic processes, and the design of the textbook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in the primary language to grasp the learner's level and symbols,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in the language arts education I designed the elements of textbook design so that I could understand and learn the characteristics correctly and easily. By comparing textbooks of revision education in 2009 and revised textbooks in 2015 and analyzing them according to design elements of textbooks, it analyzes the elements of textbook design and editing design, and analyzes layout, visual And the color and tampon used in dating. The comparison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diting design used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was compared and analyzed. ased on the editorial design factors derived from verification of their suitability, it was analyzed whether a textbook design could be made that could improve the creativity of learners in the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groups. The use of bright and soft colors of the visual image elements through their visual image enhancement and various interpretations is a variety of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layout that utilize the plasticity of the typographic system. 2015년 개정교육은 다양한 기초과정을 통해 초등학교 1~2 학년군 국어 교과서 디자인은 학습자의 수준과 기호를 파악하고 2015년 개정교육과정의 국어과 교육 특성을 정확하고 쉽게 이해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교과서 디자인의 요소를 기획 하였다. 2009년 개정 교육과 2015년 개정된 국어교육 교과서 비교 및 교과서 디자인 요소별로 비교 분석하여 교과서 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체제와 편집 디자인으로서 요소를 분석 레이아웃, 시각적 이미지 가지고 있는 정보전달의 내용과 교제에서 사용되는 색상 및 타이포그래피로 분류 2015년 개정교육과정에서 사용된 편집 디자인 현황을 비교분석 하였다. 그 적합성을 검증하고 도출된 편집디자인 인자를 기초로 초등학교 1~2 학년군 학습자의 창의력 향상을 유발할 수 있는 교과서 디자인이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였다. 시각이미지를 강조하는 그래픽요소와 다양한 삽화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요소를 밝고 부드러운 색상 사용은 조형적 원리를 이용한 구성과 레이아웃의 다양한 변화는 타이포그래픽 사용 가독성을 높이며 국어교과서 교육 과정을 자연스럽게 창의력을 향상을 위한 교과서를 제작 되어야 한다.

      • KCI등재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중국 전통 수묵 - 2015년 S/S ~ 2021년 S/S 컬렉션을 중심으로 -

        스쮜엔,김현주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0 No.-

        Traditional ink painting is one of China's representative traditional cultural arts, and due to its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it is an artistic motif frequently borrowed by famous brands and fashion designers not only in China but also abroad. In particular, many fashion brands today express their own artistry by combining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of Chinese traditional ink paintings with their own fashion designs and giving them new visual effect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er intends to examine the case of traditional Chinese ink design in modern fashion design and conduct an analysis on it. Looking at previous studies on Chinese traditional ink, there are no prior studies on and developed Chinese traditional ink in the fashion field, and other studies on fashion design in terms of expression techniques, characteristics, pattern formation, composition, and color of Chinese traditional ink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raditional ink was used and developed in modern fashion design, focusing on the examples of traditional ink in modern fashion collections, and to find out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ink applied to seasonal designs in New York, Milan, Paris, and China. To this end, first, in order to find out the concept,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ink pain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lated to Chinese ink painting and previous studies. Next, the Vogue Internet site in China and www.baidu.com, China's largest image search site, collected and summarized traditional Chinese ink design cases within 19 seasons between the last seven years (2015 S/S to 2021 S/S) in New York, Milan, Paris and Shanghai Fashion Collection. Among the fashion collections announced during the period, a total of 17 brands that appear to be examples using traditional Chinese ink paintings were first extracted, and a total of 347 costum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In other words, th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representative brands by season among the New York, Milan, Paris, and Shanghai collections and analyzing the traditional Chinese ink design cases that appeared in the design. Finall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ink design appearing in the fashion collection were examined in detail. Through the above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modern fashion design combining traditional Chinese art and costumes creates creative aesthetic value and has a new influenc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fusion of traditional Chinese ink and fashion design. 전통 수묵화는 중국의 대표적 전통문화 예술 중 하나로, 특유의 심미적 특성으로 인하여 중국뿐만 아니라 해외의 유명한 브랜드와 패션 디자이너들이 자주 차용하는 예술적 모티브이다. 특히 오늘날에는 많은패션 브랜드에서 중국 전통 수묵화의 여러 가지 표현 기법과 각 브랜드만의 고유한 패션 디자인을 결합하고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그들만의 예술성을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자는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중국 전통 수묵 디자인 사례를 고찰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중국 전통수묵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패션 분야에 중국 전통수묵에 관한 연구와 개발한 선행 연구가전무하고, 이 외에 중국 전통 수묵의 표현 기법, 특성, 도안 조형, 구도와 색채 등의 방면으로 패션디자인을 분석한 연구도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중국 전통 수묵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현대 패션 디자인에 전통 수묵이 어떻게 이용하고 발전되었는지 살펴보고, 뉴욕, 밀라노, 파리, 중국의 패션 컬렉션의 시즌별 디자인에 적용된 전통 수묵의 표현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위해 먼저, 중국 전통 수묵의 개념, 문화 및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중국 수묵화 관련 문헌 및 선행 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패션 전문지 중국 보그(Vogue) 인터넷 사이트, 중국 최대의이미지 검색 사이트인 www.baidu.com을 통해 뉴욕, 밀라노, 파리, 상하이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최근 7 년(2015년 S/S ~ 2021년 S/S) 사이의 19개 시즌 내에서 중국 전통 수묵 디자인 사례들을 수집 정리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발표된 패션 컬렉션 가운데 중국 전통 수묵화를 활용한 사례로 보이는 총 17개 브랜드를 먼저 추출하였고, 이 중 총 347벌의 의상을 분류 및 분석하였다. 즉, 뉴욕, 밀라노, 파리, 상하이 컬렉션 중, 시즌별 대표적인 브랜드를 선정하여 디자인에 나타난 중국 전통 수묵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중국 전통 수묵 디자인의표현적 특성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중국 전통 예술과 의상을 결합한 현대 패션 디자인은 창의적인 미적 가치를 창출하며 새로운 영향을 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중국 전통 수묵과 패션 디자인과의 융합에 대한 기반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KCI등재

        사용자 중심의 애착디자인 특성 연구 -반려동물 모바일 앱을 중심으로-

        이슬비,한창호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5 No.-

        본 연구는 사용자의 애착 정서를 활용한 UX 디자인을 ‘애착디자인’으로 정의하고 특성을 분석하여 디자인 분야에서의 애착 정서 활용을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애착의 개념을 이해하고 디자인의 역할로서 애착의 기대효과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애착디자인을 상황과 목적에 적합하게 활용하기 위해 브랜드 애착 형성 과정에 기반하여 적용 단계를 인지·흥미, 경험, 충성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애착의 원인과 특성에 기반한 평가 기준으로 반려동물 앱의 애착디자인 사례를 수집하여 애착 정서가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분석하여 특징을 도출하였다. 애착디자인은 인지·흥미 단계에서 전략적으로 사용자의 애착 대상을 연상시키는 디자인 요소를 사용하여 초기 낯섦을 완화시키고 호감도를 상승시키며 친밀감을 형성한다. 사용자의 참여를 통한 경험 단계에서 나타나는 디자인 특징은 앱과 사용자 그리고 애착 대상 사이에 상호작용을 도우며 적극적으로 앱을 사용하게 한다. 마지막 충성 단계에서는 사용자와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전략적인 문구나 어투를 사용하여 사용자와 감성적인 접점을 만들고, 사용자들이 자신을 표현하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제공하면서 소속감을 느끼게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한 방향으로 애착 정서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애착디자인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와 교감을 통해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여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고 디자인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defined UX design that utilizes users' attachment emotions as 'attachment design' and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for utilizing attachment emotions in the design field. As a research method, we first understood the concept of attachmen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dentified the expected effects of attachment as a role in design. In order to utilize attachment design appropriately for the situation and purpose, the application stage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cognition·interest, experience, and loyalty based on the brand attachment formation process. Next, we collected attachment design cases of companion animal apps using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attachment, analyzed how attachment emotions were utilized as designs, and derived characteristics. Attachment design uses design elements strategically reminiscent of users' attachment objects in the cognition·interest stages to alleviate initial unfamiliarity, increase favorability, and form intimacy. Design features that appear in the experience stage through user participation help interact between the app, the user, and the object of attachment and encourage active use of the app. The final loyalty stage focuses on building a long-term relationship with the user. Using strategic phrases or tone of voice, we create an emotional connection with users and provide a community where users can express themselves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giving them a sense of belonging. By re-examining the importance of attachment sentiment in one direction of user-centered design and actively utilizing attachment desig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a better experience and improving the design experience by forming an emotional bond through communication with users.

      • KCI등재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융복합 디자인 교육 과정 연구

        권성하,손희주,황희주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9 No.-

        For the realization of universal design, this study suggests a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curriculum to educate design students on social responsibility. In theoretical studies,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methods are explained. In the case studies,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and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versal design cases applied fashion design, interior design and media design together are explored. The case study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edia design is being applied in combination with fashion and interior design that are closely related to people in real life. For the effective realiz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of universal design, an education model that deepens the degree of convergence by stage was proposed along with the curriculu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universal design, a curriculum based on practical education and interdisciplinary exchange is devised. Curriculum 1 is a seminar-type project sharing stage that the majors unite to share a problem-solving mindset and independent design fields contemplate ways to solve problems in their respective majors. Curriculum 2 is a stage in which students from each major join together to create design outcomes that can be solved in each field through major convergence and share the results under a common topic, such as design considering senior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Curriculum 3 is an industry-university-linked project stage in which students derive problems for universal design by themselves and create innovative convergence design results that meet the common theme of the major convergence team through multi-dimensional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majors. To contribute to creating a universal design environment when students enter society in the future,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curriculum which enables future designers to experience step-by-step convergence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 of universal design.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과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학제간 교육을 위해 순차적으로 융복합 정도를 심화하여 문제 해결 경험을 제공하는 디자인 교육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융복합 디자인 교육방법을 알아보고 국내 유니버설 디자인과 융복합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유니버설 디자인 제품들 사례에서 패션디자인과 실내디자인에 각각 미디어디자인이 함께 적용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실현에 있어 정보기술의 발전이 실생활에서 사람들과 밀접한 패션과 실내디자인에 결합되어 응용되고 있는데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많은 서비스가 미디어디자인을 바탕으로 하여 스마트패션과 스마트홈의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융복합 교육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해 순차적으로 융합 정도를 심화하고 실무적 교육과 학문간 교류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을 구상하였다. 먼저, 기본적으로 학생들이 알아야 하고 참고해야 할 개념들에 대해서는 사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교수와 학생들의 의견 교류 시간을 늘린다. ‘교육과정 1’은 전공들이 연합하여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독립된 디자인 분야가 각자의 전공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구상하는 정도로 세미나 형태의 프로젝트공유 단계이다. ‘교육과정 2’는 시니어, 장애인을 고려한 디자인 등 하나의 주제를 공유하고 각 학과의 학생들이 모여서 각 분야가 전공실기를 이용해서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이다. ‘교육과정 3’은 학생들이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문제를 스스로 도출하고 여러 전공이 다차원적 협업을 하여 전공융합 팀의 팀 공통 주제에 부합하는 혁신적 융복합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하는 산학연계 프로젝트 수업단계이다. 이러한 융복합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다양한 관점에서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수, 학생, 동료 간의 의견 교류 시간과 기회를 확보하는것이다. 본 연구는 유니버설 디자인이라는 문제해결을 위해 단계적으로 심화되는 학제간 교육을 가능하게하여 향후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했을 때 다양한 분야가 협업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을 구상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그래픽 디자인 전공의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과목 연계 기반 커리큘럼 방향성 연구

        장순규,한상만,황현택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3 No.-

        The guideline of the curriculum, which is required professional ability and needs from industry, has a positive effect for design education for the related- department of graphic design. Currently, in domestic universities, the curriculum of majors related to graphic design has been changing due to changes in social paradigms and diversification of media as like print and multi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ecently, graphic design-related industry fields have changed to situations in which various abilities other than graphic design are required, such as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direction that will help foster the curriculum in graphic design-related majors suitable. For this purpose, we confirmed through pre-research the curriculum by the current situation of majors related graphic design at domestic universities. Also, 3 in-depth interviews with 3 industry experts focused on discussing the current overall curriculum problems and improvements. As a result, first, clearly separated information of industry fields consisting of related subjects as curriculum is needed ; the need for explanation of the specialized areas related to the currently diversified graphic design-related department. Furthermore, the specialized areas of each media were clearly classified, and the necessity of setting convergence subjects that can be applied to each media(print/multi) was derived. As above, current situation that prints work is has posted on SNS make the necessary basic motion graphics, 3D, and coding abilities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e basic sense of typography needed for screen construction in the UI expert field was necessary. In conclusion, curriculum plans will be used to improve the curriculum after next year.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guideline to help department related to graphic design. 그래픽 디자인 관련 전공의 커리큘럼은 실무 업계에서 요구하는 전문가 필요 역량에 맞춰 설정하는 방향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기도 한다. 현재, 국내 대학에서는 그래픽 디자인과 관련한 전공은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 기술의 발전에 따른 매체의 다양화에 의하여 변화하고 있다. 최근, 그래픽 디자인 관련 분야는리서치와 같이 그래픽 디자인 외 다양한 능력이 필요한 상황으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시대에 맞는 그래픽 디자인 관련 전공의 커리큘럼 및 전문가 양성에 도움이 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조사로 현재 국내 대학의 그래픽 디자인 관련 전공에서 제시하는 커리큘럼 형태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업계 전문가 3인과 3 차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 현재 전반적인 커리큘럼 문제와 개선점을 논의하는데 집중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다양해진 그래픽 디자인 관련 전공과 연관된 전문 영역에 대한 설명, 관련된 교과목을 커리큘럼으로 구성하는 별도 정보의 필요성을 도출했다. 그리고, 매체 별 전문영역을 명확히 구분하고, 매체 별로 응용될 수 있는 융합(컨버전스) 교과목 설정의 필요성을 도출했다. 위영역에는 최근 디자인 분야에서 포스터 및 인쇄물을 SNS에 올리며 필요한 기초 모션 그래픽, 3D, 코딩능력이 제시되었다. 또한, UI 영역에서 화면 구성에 필요한 타이포그래피 기초 감각이 필요하다고 제시되었다. 상기의 결과를 토대로 교과목 차년도 교과목 구성 및 배치를 개선하는데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의 그래픽 디자인 관련 전공에 도움이 되는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지역 로컬푸드 자체인증 브랜드 디자인 개발 연구 -상주시 로컬푸드 인증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구수민,임경호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3 No.-

        Currently, as the global supply chain has been shaken by the COVID-19 outbreak and the Ukraine crisis, a sharp rise in agricultural prices has deepened the sense of crisis over food, but the dependence on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is still high. We nee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secure our safe food, and accordingly, we need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safe and reliable our food" to revitalize local food that produces and sells local agricultural products within 50KM without long-distance transportation. Accordingly, Sangju-si, Gyeongsangbuk-do, the agricultural center city, w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its own brand design for local food in Sangju-si. The current local food certification brand design issue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local local food certification brand design and recognized food brand design, and the current state of joint brands in Sangju and integrated agricultural brands in 2022 were investigated to gather grounds for self-certified brand design proposals. Furthermore, in order to propose a self-certified brand design in Sangju City, a certification standard was proposed, and domestic quality certification marks were investigated to strengthen quality certification. The brand name was selected as "Sangju Pumae" through a survey, and a design that allows consumers to easily and quickly recognize the part of quality certification by making and emphasizing in the form of painting and optimism to use the "Pum" as a quality certification mark to secure reliability. 현재 코로나19 발생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면서, 급격한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먹거리에 대한 위기의식이 심화되었으나 수입 농산물의 의존도는 아직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는 우리의 안전한 먹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며, 이에 장거리 운송을 거치지 않은 50KM 이내 지역 농산물 생산 판매가 이루어 지는 로컬푸드의 활성화를 위하여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우리 먹거리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에 농업중심도시인 경상북도 상주시를 중심으로 상주시 로컬푸드 자체인증 브랜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한국 로컬푸드 현황 및 브랜드디자인 조사 분석을 통해 지역 로컬푸드 인증 브랜드 디자인과 인지도 있는 식품 브랜드 디자인을 비교분석하여 현 지역 로컬푸드 인증 브랜드 디자인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상주시 공동브랜드의 현황과 2022년도 농산물 통합브랜드를 조사하여 자체인증 브랜드 디자인 제안을 위한 근거를 수집하였다. 나아가 상주시 자체인증 브랜드 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하여 인증기준안을 제시하였고, 국내 품질인증 마크를 조사하여 품질에대한 인증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브랜드 네임은 설문조사를 통해 ‘상주품애(尙州品愛)’로 선정되었으며, 신뢰성 확보를 위해 ‘품(品)’자를 품질인증마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장, 낙관 형태로 제작/강조함으로 소비자들이 쉽고 빠르게 품질인증에 대한 부분을 인지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중국대학교 시각디자인 교육과정 개선방안

        사춘생,김면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8 No.-

        As the 21st century is called the knowledge-based society or the digital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t has been rapidly and repeatedly changed and developed. Meanwhile, the design is perceived as a broad concept embracing the national policy and overall lives of society members after exceeding the methodology and production techniques simply for formative products. With the increased interest in design in each area, it is prospected to be more needed to have the active and competent manpower specialized in design for the future society convergence researches, development of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projects, and the achieve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Considering such demands of the time, the researches on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design education of Chinese universities would be need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otal six universities(three Korean universities & three Chinese universities) focusing on Korean•Chinese visual design, this study established an analysis model based on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training design manpower in China a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this curriculum. To research the current state of overall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the semi-structured one-to-one in-depth interview on the design educational structure and university design curriculum to cope with changes of the time, targeting a student majoring in visual design of Chinese university, a professor of visual design, and visual designers with career experiences for ten years or more.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this study multilaterally analyzed the interview contents like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curriculum, current operation state of project-type courses, and current state of holding international exchange workshops.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problems and the measures for the cultivation of design manpower of China in the future. In order for universities to cultivate the design manpower suitable for practical environment, first, the subjects for learning diverse knowledge through the convergence curriculum are added. Second, in order for universities to properly understand/cope with the needs from the practical sites of design educatio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s is established, and the learner-centered industry-university projects are vitalized. Third, the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s are internalized to produce professional designers meet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s. Fourth, in order to cultivate competent designers that could create new values by clarifying the educational goals and converging diverse knowledges, the educational system for convergence education is composed/developed.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future direction of university visual design education for educating diverse competencies through the basic curriculum, diverse project courses, and international workshops. 21세기는 지식기반 사회 또는 디지털의 정보화 사회라 불리며, 급속히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다. 이와 함께 디자인은 단순하게 조형적인 산물을 위한 생산기술과 방법론을 넘어 국가정책은 물론 사회구성원들의 삶 전반을 아우르는 광의적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각 분야에서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래 사회적으로 융합연구와 산학협력프로젝트 개발 그리고 국제적 기준 달성을 위한 적극적이고 유능한 디자인 전문 인력이 더욱 필요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중국대학의 디자인 교육과정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중 시각디자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각 3개 총 6개 대학 비교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디자인 교육의 장점을 파악하여 중국 디자인 전문 인력 양성 교육의 필요성과 그를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정책의 근거로 분석모델을 구축하고 전반적인 교육현황 조사를 위해 중국 대학의 시각디자인전공 학생과 시각디자인전공 교수 그리고 경력 10년 이상의 실무 시각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시대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디자인 교육구조와 대학 디자인 커리큘럼에 관해 반 구조화된 1:1 방식의 심충 인터뷰(Semi-structured)를 실시하고 인터뷰 내용을 교육목표와 교육커리큘럼, 프로젝트형 수업 운영 현황, 국제 교류 워크숍 개최 현황 등 다각도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향후 중국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에서 실무환경에 적합한 디자인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 첫째, 융합교육과정을 통해 다양한 지식소양을 습득할 수 있는 교과목을 추가한다. 둘째, 대학은 디자인교육 실무현장의 요구사항을 적절히 파악하여 대응하기 위해 교수와 학생 간의 수평적 관계를 구축하고 학습자 중심의 산학프로젝트를 활성화한다. 셋째, 국제적 기준의 전문인력 다자이너를 배출하기 위해 국제 교육프로그램을 내실화한다. 넷째, 교육목표를 명확하고 다양한 지식들을 융합하는 것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경쟁력이 있는 디자이너를 양성하기 위해 융합교육이 시행될 수 있는 교육체계를 구성을 개발한다. 따라서 분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중국대학 시각디자인교육은 기본적인 교육 과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다양한 역량을 교육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PBL에 기반한 BX디자인 교육프로세스 모형 개발

        김세미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3 No.-

        Since design requires problem-solving methods through creative and diversified ideas, discussion-centered teaching methods such as PBL are recognized as very necessary in design major class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cess model that applies PBL to find a solution to learning through a learner-centered problem-solving process in BX design class. Through case analysis, a PBL education process applicable to visual design was derived, and it was applied to the BX design class model based on PBL.Each stage consists of educational procedures, content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educational procedures are step 1 - problem discovery, step 2 - problem analysis, step 3 - problem solving, step 4 - task performance, step 5 - evaluation and presentatio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s of BX design was design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pla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design class operation by deriving a learner-centered design process, and it is expected to be a design class model that can solve design problems in practical terms. 디자인은 창의적·확산적인 아이디어를 통한 문제해결방법이 요구되어지므로 디자인 전공 수업 시 PBL과 같은 토의중심 교수법이 매우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BX디자인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해 학습의 해결책을 찾아가는 PBL을 적용한 교육 프로세스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시각디자인에서 적용 가능한 PBL 교육프로세스를 도출하였고, 이를 PBL에 기반한 BX디자인 수업모형에 적용하였다. 각 단계별 교육절차 및 내용, 교육활동으로 구성하였고, 교육절차는 1단계-문제발견, 2단계-문제분석, 3단계-문제해결, 4단계-과제수행, 5단계-평가 및 발표의 순서로 학습자 중심으로 BX디자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 중심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도출하여 디자인 수업 운영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실무적인 측면에서 디자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 수업 모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