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정팔난기> 유통 형태의 변화와 의미

        최윤희 우리어문학회 2003 우리어문연구 Vol.21 No.-

        <NamJeongPalNanGi> is the work which clearly shows a change of distribution form. <NarqJeongPalNanGi> is a long piece novel of 14 section 14 volume. It was published for commercial lent and in a woodblock-printed book form. This paper studies that features of <NamJeongPalNanGi> went thorough changes of distribution form, that is, a book of pen-manship, a woodblock-printed book form and a printing type. Furthermore, the paper considers how the tendency of the work was transformed while the distribution form changed and how is the sense of beauty of readers and writers which was reflected <NamJeongPalNanGi>. I have found a multilateral faces of <NamJeongPalNanGi> and aspects of changes of the work historically and contemporarily through the study.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inquire into one example of a movement and change of old novels in the late Yi Dynasty the, as well. Thus is the meaning of this paper. This paper was proceeded as follows. First, the paper studied each variant text forms of <NamJeongPalNanGi> and classified them. Secondly the paper considers what characteristics of each variant texts are and how those transformed and the meaning of these developments. <NamJeongPalNanGi> are classified 14seCtion 14volume type→3section 3volume type→woodblock→printed book type(㉮→㉯→㉰) in order. long piece novels such as, 14section 14volume, were shortened to 3section 3volume and this change did not mean only shortening of the length. Changes came from distribution form of variant texts are classified to the change of narration view a b u t a hero, the change of war-story narration, the change of the later part of hero's life narration. First of all, a multiple main Character appears in the ㉮type, and their role is pretty important. However, their role was deleted or shrinked in the ㉯type and ㉰type. as a result of this, it was focused on a person called HwangGeuk. A personal hero was emphasized and one character was focused. Secondly, changes appeared in GunDam. Various kinds of war, strategy, tactics, Taoistic magic were frequently described in ㉮tYpe. shortenings and eliminations took place in GunDam novel such as, the ㉯type and the ㉰type. The shortening and elimination of war-story show some features as follows, Shortenings and eliminations pretty often took place in war-stories with southern barbarians. On the contrary, Taoistic magic or disposition of troops were less deleted. This means that stories became focused on the popular imagination than the interest through emperical imagination. Lastly, the part of HuIlDam which had been largely described by one sixth of the whole novel was been sharply decreased or eliminated in the ㉯series (This paper has excluded the ㉰series from the reference). This means that concerns of writers and readers decreased in the ending and their life after the success of characters. That is, we realize that the interest of writers and readers transferred to distinguish themselves rather than the enjoyment after the success. In brief, we can find signs of features of a group of here novels which were woodblock-printed started to appear features which partially extricated after the 18th century. Woodblock-printed type(even though they are missing volume) became close to hero novels which sought for the distribution for commercial popularity in stead of being eliminated features of long piece novel. The feature of works chang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form change and this change was the compromise with expectation of writers and readers. In conclusion, <NmJeongPalNanGi> shows that the relation between changes of novel formand the expectation of writers and readers.

      • KCI등재

        종말 이후와 계속되는 삶-백민석ㆍ김기창ㆍ김초엽의 기후소설에 나타난 종말의 수사학-

        우미영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6 No.-

        Literature, movies, and non-fiction that deal with climate change are climate change texts and are a place where the meaning of climate change is formed and debates about it take place. In this regard, Janet Fischio emphasized the need to examine the aesthetic and narrative forms of climate-related cultural texts. In this paper, with awareness of this problem, three climate novels – Baek Min-seok’s Happy, Apocalypse!, Kim Ki-chang’s Love in the Age of Climate Change, and Kim Cho-yeop’s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Earth- were analyzed. Their narratives clearly show the post-apocalyptic aspects of the apocalypse and post-apocalypse even among climate narratives. In this paper, we looked at how these novels talk about the apocalypse or its aftermath of climate change. Although climate change is a global phenomenon, it is not uniform at the individual level. The same is true at the level of each country. The response pattern and impact are still different depending on economic conditions. For the economically vulnerable, climate change itself is a violent situation. In particular, in Baek Min-seok’s novel, climate change is a violent reality faced by economically vulnerable classes. His novel shows this through humans and non-humans transformed into helpless monsters. In the novels of Kim Ki-chang and Kim Cho-yup, we can also look at the response to the violent situa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In a situation where climate change is becoming extreme, what is given to humans is life as a struggle for survival. The two authors depict how human life occurs in these situations and how each character copes with it. Through this, we can think ahead about human biological life exposed to the violence of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Kim Ki-chang and Kim Cho-yup demonstrate the transformation of thinking through climate change in their novels. First, Kim Ki-chang’s “Promised Land” calls for a change in perception of life on Earth. Through this, it reveals how fictional the modern myth was and how fictional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s in the reality of climate change. This also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anthropocentric view of living things, including humans. This perspective corresponds to a planetary perspective on life that goes beyond the global perception of anthropocentrism. Next, Kim Cho-yup’s novel specifically shows the action of reconstructing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plants. In particular, the history reconstructed through Mosbana, the plant that overcame the end of humanity, is not human history. This is the history of the planet reconstr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plants. Through this, this novel also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life, including humans, the Earth, and the universe. 기후변화를 다룬 문학과 영화 및 논픽션 등은 기후변화 텍스트로서 기후변화의 의미가 형성되고 그에 대한 논쟁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자넷 피스키오는 이런 점에서 기후 관련 문화 텍스트의 미적 서사적 형식 검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세 편의 기후소설– 백민석의 『해피, 아포칼립스!』, 김기창의 『기후변화 시대의 사랑』,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 -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서사는 기후 내러티브 가운데에서도 종말 및 종말 이후로서의 포스트아포칼립스적 양상을 잘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소설이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이를 어떻게 이야기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기후변화가 전 지구 차원의 현상이긴 하지만 개개의 차원에서는 균등하지 않다. 각 국가의 차원에서도 그러하다. 아직은 경제 여건에 따라 대응하는 양상도 그 영향도 상이하다. 경제 취약층에게 기후변화는 그 자체가 폭력 상황이다. 특히 백민석의 소설에서 기후변화는 경제 취약 계층이 맞닥뜨린 폭력적 현실이다. 그의 소설은 인간과 무력한 괴물로 형질변이된 비인간을 통해 이를 보여준다. 김기창과 김초엽의 소설에서도 기후변화가 초래한 폭력적 상황에 대한 대응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기후변화가 극단적으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인간에게 주어지는 것은 생존 투쟁으로서의 삶이다. 두 작가는 이런 상황에서 인간의 삶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또 각각의 인물이 이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그린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라는 폭력에 노출된 인간의 생물적 삶에 대해 앞서 생각해 볼 수 있다. 특히 김기창과 김초엽은 각각의 소설에서 기후변화를 통한 사유의 전환을 잘 보여준다. 먼저 김기창의 「약속의 땅」은 지구상의 생명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촉구한다. 이를 통해 근대 신화가 얼마나 허구적이었는지 나아가 기후변화의 현실에서 인간과 비인간의 구분 또한 얼마나 허구적인지를 드러낸다. 이는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에 대한 인간중심주의적 시선의 한계에 대한 지적이기도 하다. 이러한 관점은 인간중심주의의 지구적 인식을 넘어선 생명에 대한 행성적 시선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김초엽의 소설은 식물의 관점에서 역사를 재구성하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인류의 종말을 극복한 식물 모스바나를 통해 재구성된 역사는 인간의 역사가 아니다. 식물의 관점에서 재구성된 행성의 역사이다. 이를 통해 이 소설 또한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와 지구 및 우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을 제공한다.

      • KCI등재

        김우철 시 평가 양상을 통해 본 북한 문학사 서술 변화 : '평화적 민주건설 시기'~'전후복구건설 및 사회주의 기초건설 시기'를 중심으로

        이승이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6 No.-

        북한 문학사가 북한 체제의 성립과 더불어 고안된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다. 북한 문학사는 1946년 토지개혁과 민주개혁의 완성, 1948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1949년 조소 및 국제주의 친선, 1953~1956년 반종파 투쟁, 1956년 도식주의 비판, 1958년 사회주의 개조 완성, 1959년 부르주아 잔재와의 투쟁, 1967년 반종파 투쟁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서술 변화를 거쳐 왔다. 이러한 서술 변화는 '김일성을 주체로 하는 민족해방서사의 틀을 잡는 과정'에서 일어난 불가결한 현상이었다. 본 글은 1950년~1990년대 사이에 출판된 5종의 북한 문학사를 대상으로, 이들 문학사에 수록·평가된 김우철 시 작품을 통해 체제 변화에 따른 문학사 서술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북한 문학사 서술 변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59년판 문학사는 조소 및 국제주의 친선 주제를 중시하였고, 도식주의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비판·풍자 작품에 대한 비교적 자유로운 평가가 가능했다. 둘째, 1978년판 문학사부터는 주체문예이론이 공식화됨으로써 수령 칭송 주제와 항일혁명 주제가 강조되었다. 이는 1967년 유일사상 확립 이후 김일성 권력의 절대화 과정과 관련된다. 셋째, 모든 북한 문학사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민족 해방 및 건설의 감격으로써 토지개혁의 의의와 수령 형상 주제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이로써 1959년판 문학사 서술이 마르크스 레닌주의 방법에 기초하여 카프 문학을 북한 문학 전통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였다면, 1978년판 이후 문학사 서술은 주체 방법에 기초하여 항일혁명 문학을 북한 문학 전통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literary history of North Korea was devised along with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ere has been narrative change in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throughout the land reform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in 1946,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1948, Korea-Soviet Union and internationalism friendship in 1949, the anti-sectarian struggle from 1953 to 1956, criticism against schematism in 1956, the completion of socialism reconstruction in 1958, the fight against remnants of bourgeois in 1959, and the anti-sectarian fight in 1967. The narrative change had been an indispensable one "in the process of framing narration of national liberation led by its leader, Kim, Il-Sung." This thesis is to review Woo-cheol Kim's poems in five kinds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published from 1950 to the 1990s to see the narrative change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throughout regime change. Woo-cheol Kim's poems were classified into those only in the 1959 version, others from the 1978 version, and the others in all version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change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is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 change in the 1959 version highlighted the theme of Korea-Soviet Union and internationalism friendship, and literary works with criticism and satire were relatively freely evaluated as there was criticism against schematism tendency at that tim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on appeared from the 1978 version was that the themes of praise of its leader and revolution against Japan were emphasized as the Juche literary theory was formulated. Third, the common narrative characteristics in all versions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was that the implications of land reform and figuration of leader became important at a greater and lesser extent. As such, there were changes of highlights and evaluation of North Korean literary narration between 1959 and 1978 versions. If the 1959 version of literary history had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KAPF literature as the tradi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based on Marxism-Leninism method, the literary history from the 1978 version was to make anti-Japan revolution literature the tradition based on the Juche method.

      • KCI등재

        문화변동과 구비문학연구 ―구비설화의 화자론 반성―

        심우장 한국구비문학회 2011 口碑文學硏究 Vol.0 No.32

        If external cultural contexts are changed drastically, we have to seek for a new viewpoint and methodology to respond to the culture change. Indeed, how the study of oral literature answers this question? We try to answer this question in this paper with the study on narrator of oral folk tales. First of all, we reflect ourselves about lack of thorough awareness of culture change. We didn't product a new viewpoint and studied oral literature customarily depending on existing viewpoint. With the study on narrators, we understand easily this tendency. Although this branch have achieved many pioneering achievements, it have kept the beginning viewpoint during the 40 years and so it don't have any more energies on study. In this age of digital revolution, digital devices to permeate into daily life, have increased human relationship. The concepts of Combination and interaction are more important than any ages. But going against the times, the study on narrators has pursued special narrators constantly, and so we have to reflect deeply on it. From a culture change's perspective, the study of oral literature needs the change of viewpoint and the seeking of methodology as soon as possible. We have to interact with fields of study on culture change and paradigm change. It is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creativities of oral literature don't depend on only narrator's ability, but varied member's relationship in storytelling site. 문화변동이 외적인 환경 변화라면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학문 내적인 새로운 문제의식과 이에 걸맞은 새로운 연구 관점 및 방법의 모색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과연 구비문학연구는 이에 대해 어떻게 답할 수 있을까? 이 논문은 구비설화의 화자론을 통해 이 문제에 답하려 했다. 우선 구비문학연구 전반에 걸쳐 문화변동에 대한 인식이 철저하지 못했음을 반성해야 할 것 같다. 새로운 연구 시각이나 관점을 생산해내지 못하고 기존의 연구 시각에만 기대어 관성적으로 연구를 해온 것도 여기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화자론을 보면 이러한 경향을 뚜렷이 파악할 수 있다. 구비설화 연구 분야 중에서도 가장 선구적인 업적을 이루어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의 연구 시각이 40년에 걸쳐 그대로 유지되어 오면서 이제는 더 이상 연구의 새로운 동력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된다. 디지털 혁명의 시대라고 한다. 생활 곳곳에 침투해 있는 디지털 기기들은 소셜 미디어 시대라고 칭할 만큼 사람과 사람의 연결성을 높여주고 있다. 그 어느 시기보다 상호작용의 강도는 세졌고 통합의 가치는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변동의 양상과는 거꾸로 구비설화의 화자론은 끊임없이 소수의 전문 이야기꾼에게만 초점을 맞춰 이야기문화의 핵심을 설명하려 한 것은 아닌지 반성해 봐야 할 것 같다. 문화변동의 관점에서 봤을 때, 구비문학연구에 가장 시급한 것은 관점의 변화와 방법론의 모색이다. 최근의 문화변동 혹은 패러다임 변화의 핵심을 다루고 있는 여타의 학문들과 교류하면서 새로운 연구의 관점 및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하는 시기이다. 화자들의 관계나 청자에 대한 연구를 왜 하지 않느냐고 당위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화자들의 관계 혹은 청자에 대한 연구가 구비문학의 창조성과 전승력을 설명하는 데 어느 정도 긴요한 구실을 하는지를 해명하면서 관점을 전환시키고 구체적인 방법론을 열심히 궁구하는 것이 훨씬 중요한 것 같다.

      • KCI등재

        서사의 개정과 의식의 변화

        이재인(Jaein Lee)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2

        이 연구는 서사방법론이라는 새로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서사의 개정과 의식의 변화가 연결되어 있음을 보이는 한편, 서사의 개정이 일어나는 계기와 조건을 탐색한다. 이 연구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서사에 나타나는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핵심사건의 의미 변화를 조명하는데, 이는 핵심사건의 변화가 서사의 개정을 함축하기 때문이다. 서사의 개정(혹은 생애이야기의 재진술)은, 그것이 성공적일 경우, 파편적인 요소들로 구성된 다중적 자아를 보다 통합적인 자아로 재편한다. 그러므로 서사의 개정과 그것의 조건을 탐색한 이 연구는 개인의 다중적 정체성과 그것이 통합되기 위한 심리적, 서사적 조건을 탐색하는 의미를 지닌다. 이 논문의 주인공은 평범한 주부로서 남편에게 순종적인 자세로 살아왔지만, 남편 몰래 춤을 배우러 다닌 것이 들통이 나서 그 후 남편의 가혹한 구타에 시달리다 아내구타 쉼터로 피신한 여성이다. 그녀는 상담 초기까지만 해도 자기가 얼마나 여자답게 살아왔는가를 힘주어 이야기할 뿐, 춤을 배우러 다닌 자신의 행위를 부도덕한 사건, 혹은 뭐라고 명명하지 못하는 사건으로 묘사한다. 그러나 집단상담이 종료될 시점에 이르면, 그녀는 전혀 다른 의미로 그 사건을 묘사한다. 즉 그녀의 생애이야기의 핵심사건의 의미가 전면적으로 교체되고, 생애이야기는 재진술(reclaiming life story)된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그녀는 관습적 규범에 순종적인 삶의 자세를 벗어나서 보다 당차고 주체적인 여성으로 변모한다. 이러한 서사의 개정과 의식의 변화에는 주인공 여성이 아내구타 쉼터에 있으면서 새롭게 습득한 도덕적 개념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온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사의 개정이 일어나는데 필요한 조건(즉 서사의 균열 및 비통합적 주체, 심리적 위기 그리고 새로운 담론 자원의 습득)을 보여주었다는 점, 둘째 비판적 서사 연구를 위해 비통합적 주체 개념이 이론적으로 유용한 도구라는 것을 제시한 점, 셋째 서사방법론의 여성주의적 효용을 점검한 점이다. The study examines a woman's life narrative through a narrative analysis method. It‘s purpose is to reveal the multiple identity of women, as well as to show that it(multiplicity) is related with psychological liberation and social change. Life history reclaiming implies a process in which multiple identities composed of fragmented elements are reconstructed to a more unified one, if it is successful. I explore the life history reclaiming of a woman to designate the change of her self. The article analyses a subtle but important change within the narrative over the time in the specter of nuclear episode, since the change of nuclear episode assumes a kind of life history reclaiming(or transformation of narrative). The study also probes the relation between the reclaiming and the drastic change of her consciousness, and examines the condition and momentum of life history reclaiming. The narrator of the study was a victim of wife-battering who had been living as an common and obedient housewife until her husband started to accuse her of an event so called "dance lesson". In the beginning of the interview she depicted the dance lesson as a morally wrong activity. By the middle of time she could not define it specifically. Until that time she used to tell eagerly how she was a feminine person. However she changed the meaning of the event(dance lesson) into another different one. A kind of life narrative transformation occurred, the transformation was accompanied with change of herself. She became a more assertive and confident person. The narrative and consciousness changes like these revealed to be the consequences or effect of new moral discourse that she has achieved at the shelter for wife battering. The study has significances as follows. First it shows the condition of narrative transforming(splitting of narrative, ununitary subjectivity, psychological crisis, and learning of new moral discourse). Second it suggests that the ununitary subjectivity concept is very useful for the critical narrative study. Lastly it examines the probability of narrative method as a feminist methodology.

      • KCI등재

        김창걸 해방전 단편소설 연구

        황영미 한국문학연구학회 200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37

        In this paper, I present a reading of the novels of the realist author Kim Chang Geol, tracing his philosophy of literature and revealing how he composed his novels as a way to protest and resist the sterility of the present age. In particular, since Kim’s short stories about the war of liberation express most powerfully his philosophy of literature, I chose as the subject of this paper those works of Kim’s which deal with the war of liberation, in order to examine more closel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his art. Recent research on Kim’s fiction has generally approached them from the side of the “what”, dealing with the subject and content; but in this paper, the analysis is made from the side of the “how”, narrative structure and viewpoint, revealing the perception of reality in Kim’s novels.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appears consistently in most of Kim’s short stories about the war of liberation. Kim’s novels are composed of a structure of the contrast of good versus evil. The content consists of a protest and passive resistance against evil. First a defect or affliction is presented to the hero, who now undergoes a transformation in order to deal with suffering, and then sets out in a new direc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Kim’s novels, punishment for evil does not appear in the concrete sense; it is just that there is nothing more than complaint and passive resistance. That is because for the hero, the evil which is the target for punishment is a very significant problem. This type of structure is repeated throughout all of Kim’s novels. It is the prevailing system in his fiction. Moreover, Kim’s novels are commentary narrator’s narrations in both the first-person narration and the third-person narration, because this kind of narrative situation is appropriate for protest and resistance. Thus the weight of the barren reality, where there is always a man who personifies the nation, is consistently set up as the subject of Kim’s novels. 이 글에서는 재만작가 김창걸이 ‘간도’의 척박한 현실에 대한 고발과 저항의 수단으로 소설을 썼다는 것을 밝히고자 했다. 김창걸 소설의 특징은 크게 해방 전과 해방 후로 나눌 수 있는데, 해방 전 문학은 비판적 사실주의에 속하고 해방 후 문학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속한다. 이 글은 김창걸의 비판적 사실주의 문학에 주목하여 해방 전 단편소설을 대상으로 김창걸의 특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수필 <절필사>와 평론의 분석을 통해 가난이라는 체험을 바탕으로 소설을 쓰는 김창걸의 비판적 리얼리즘의 문학관을 밝혔다. 다음으로 김창걸의 소설에 대한 기존 연구는 ‘무엇’에 해당하는 제재와 주제에 대한 접근만 있어 왔지만, 이 글에서는 ‘어떻게’라는 측면에서 서사구조와 서술상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김창걸의 현실인식이 어떤 서사구조와 서술상황으로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김창걸의 해방전 대부분의 단편소설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서사구조를 세 가지 범주에서 설명할 수 있었다. 첫째로 선악대립의 구조에서 출발하며 선인의 ‘고난’이 먼저 제시되고 고난에서 ‘탈출’하는 서사구조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고난’에 대한 소극적 저항이라는 형태로 구조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셋째로는 가난한 주인공이 가난 때문에 ‘죄’를 짓게 되고, ‘죄’에서 ‘회복’되는 과정으로 구조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세 가지 서사구조 모두 먼저 인물에게 결핍이나 고난이 제시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변모된 모습의 인물이 현재의 위치에서 새로운 지향점을 향하여 떠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저항하게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김창걸 소설의 구조에서는 고난을 제공하는 강자와 악의 세력에 대한 징벌은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즉 고발과 소극적 저항에서 끝난다. 이는 김창걸 문학의 목적이 비전을 제시하기 보다는 현실의 고발에 그 목적이 있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이며, 징벌의 대상인 악이 주인공이 대적하기에는 너무나도 큰 시대적 문제였기 때문이다. 또한 김창걸 소설은 1인칭이든 3인칭이든 일관되게 화자의 입을 통해 직접적으로 서술하는 논평적 화자 서술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이러한 서술상황이 고발과 저항을 하기에 적절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볼 때 김창걸의 소설이 소설미학적으로 높이 평가하기는 어려우나, 그에겐 억압적인 ‘간도’에 사는 조선인의 현실적 고난을 고발하는 것이 소설을 쓰는 목표였고, 이를 효과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 김창걸 문학의 가치가 놓여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분석은 그동안 주제나 제재 측면에서만 논의되어 왔던 김창걸의 소설을 내용과 형식적인 측면을 연계하여 논의함으로써 비판적 리얼리즘 소설읽기의 또다른 방식을 제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정책담화모형(NPF: Narrative Policy Framework)을 적용한 정책변화연구 - 제2롯데월드 신축허가사례를 중심으로 -

        박용성 한국거버넌스학회 2014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1 No.2

        This study introduce an analysis of policy narratives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permit process of 2nd Lotte World(skyscraper) using the Narrative Policy Framework. Narrative Policy Framework(NPF) takes a systematic neo-positivist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licy realities. The 2nd Lotte world project, which build a 123-story skyscraper landmark, was unable to obtain approval from government. Government has opposed the construction over worries about air traffic safety at the near by Seoul Airport. But the 2nd Lotte world project obtained approval tanks largely to the business-friendly policy stance. The central questions of NPF concerns what is the role of policy narratives in the policy process and what effect policy narratives have on the policy change. This paper review the policy narrative formation, the empirical role of policy narratives in the policy change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permit process and policy narratives's functions in the policy changes. 본 연구의 목적은 제2롯데월드 신축허가에 대한 정책결정과정에서 정책행위자들의 정책담론이 어떻게 생성되고 경쟁하면서 정책변화를 가져왔는지에 대해 정책담화모형적 시각에서 분석해보는 시도이다.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시각은 특정 정책행위자들의 다양한 정책이해관계들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으로 보는 반면, 정책담화모형에서는 정책참여자들의 담화적 상호작용을 통해 특정 정책이해관계들이 정당화하는 과정으로 이해한다. 정책담화모형은 담화(narrative)와 담론(discourse)을 대상으로 정책과정을 분석하는 후기실증주의적 방법론으로 정책실체에 대한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을 이해하기 위해 시도되는 새로운 접근방법이다. 본고에서는 국방안보패러다임과 경제패러다임의 정책담론이 충돌하였던 제2롯데월드 신축허가사례를 대상하여, 동일한 정책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의미를 부각하여 자신들이 원하는 정책결정을 내리기 위해 정책담화모형(NPF: Narrative Policy Framework)을 어떻게 활용하였고 정책변동에 주요한 변수였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향후 정책담화분석모형은 제2롯데월드 신축허가정책과 같이 정책대립의 성격을 가지는 정책사안의 결정과정에 대한 유용한 분석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사진치료에 참여한 중년여성가장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백지연,유현실 한국여성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1 No.3

        This study is intended to make a detailed inquiry into the process itself in which middle-aged female heads of families realized their own identities and they changed. Hence, through the narrative methodology of Clandinin and Connelly(2000), this study made an inquiry into the method of defining themselves within the relationship and within the role in the life of middle-aged female heads of families and the subjective and detailed realm of experience where femininity and motherhood were mixed into identity. Besides, through photo therapy, useful tool of identity inquiry, an inquiry was intended to be made an inquiry into the process identity change of middle-aged heads of families through visual image.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3-dimensional space, narrative inquiry space, the participants' common experiences wer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in the situation(place) dimension, they were 'absence of care', 'reappearance of control', 'severance and isolation', and 'responsibility for rearing'. Second, in continuity(temporality) dimension, it was shown that they were 'escape', ‘depression', maternal regression', and 'maturity'. Third, in the interaction dimension, it was deduced that they were 'adaptation', 'refusal', 'leading' and 'interdependence.' It was shown that these analysis results were in gear with the process of change in participants' identities from the viewpoint of role connected to 'helpless daughter', 'good-natured wife', 'tough mother', and 'centrality of family.' Besides, it was shown that photo therapy experience resulted in reframing the viewpoint by finding unfinished problem, checking a change, and accelerating self-acceptance in the process of change in participants' identiti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se study results were also presented.

      • KCI등재

        흥보가 사설에 나타난 의향씨끝 연구 -서술씨끝을 중심으로-

        장숙영 ( Suk Young Jang ) 겨레어문학회 2013 겨레어문학 Vol.51 No.-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finalendings which appeared in the chang texts of pansori narration. The finalending should be a part of a sentence which is formed with the subject-the predicate as the main elements of it. Pansori consists of chang (song) and aniri (recitation);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finalendings of the chang as the chang is also formed of sentences. Four aspects of finalendings are shown in the narration of pansori Heungbuga. First,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finalendings, some are commonly used in the chang texts of the ten people while others are expressed differently by individual singers. This shows that the finalendings used in common in the pansori recitation is the ones used widely in general; the ones which are not used in common could be said to be the unique speech (grammar) or expression of individual singers. Second, there were linguistic changes within the change texts of Heungbuga. This was done in the form of morphological change since there was time difference about one hundred years depends on the chang texts. The combination of ‘-내다/내다’ and the prefinal ending ‘-ㅇㅂ/ㅅㅂ-’ changes to ‘-읍/습니다’ is shown in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chang texts of Heungbuga. Third, this study found that the feature of finalendings of dongpyonje(the eastside-je) singers. Finalendings such as ‘-올시다’, ‘-을라네’, ‘-을라요’ are used by dongpyonje(the eastside-je) singers. Fourth, A new finalending appeared. The finalending ‘-구료’ appeared 박녹주?박송희, 김소희, 박봉술 chang texts in the modern Korean, which didn``t appear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 KCI등재

        미학적 우스꽝스러움과 기대 규범의 위반 - 손창섭의 문학세계 -

        오창은 ( Oh Chang-eun ) 세계문학비교학회 202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80 No.-

        한국문학사에서 손창섭은 서사 미학적 성취가 돋보이는 작가다. 그는 예외적 작가, 별종적 개성을 지닌 작가라는 문학사적 평가를 받을 만큼 문학적 개성이 강했다. 손창섭은 1950년대 비극적 현실을 재난·이주·난민이라는 테마로 깊이 있게 형상화해냈다. 그의 소설에서는 서사적 의외성, 우스꽝스러운 상황 설정이 특징적이다. 주요 인물들도 무력한 성격으로 그려지거나, 현실의 부조를 비약하는 무관심성을 보이기도 한다. 의외성의 서사와 미적 우스꽝스러움, 그리고 비주류적 세계관은 1950년대 독자들로부터 열렬한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손창섭 소설은 기존체제의 윤리를 낯선 시선으로 바라본다. 이 독특한 시선은 기존의 사회체제를 해체적으로 재구성하는 힘을 지닌다. 이는 1950년대 비극적 현실에 대한 거리두기이면서, 비주류적 인간이 바라본 세계를 형상화함으로써 기성 체제를 비판하는 것과 같다. 그 핵심에 ‘우스꽝스러움의 미학’이 자리하고 있다. 손창섭의 소설세계는 기존 체제 비판, 낯선 시선, 비주류적 세계관를 그려냈기에 민중성과 현재성을 갖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손창섭의 독특한 미학 세계는 1950년대 한국문학의 성취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그가 갑작스럽게 1973년 말 일본으로 이주한 후, 그의 문학은 애석하게도 잊혀지고 있다. 필자는 손창섭이 1958년부터 1973년까지 거주했던 ‘흑석동 산4번지’를 발굴했다. 손창섭의 문학 공간을 되실림으로써 손창섭의 문학을 재해석하려는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한국문학사에서 소중한 ‘미적 성취’를 이룬 손창섭의 소설세계는 ‘서사의 의외성’, ‘우스꽝스러움’, ‘비주류적 세계관’으로 의미부여할 수 있다.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on Chang Seop is a writer whose narrative aesthetics are outstanding. His literary personality was strong enough to receive a literary historical evaluation of an exceptional writer, a writer with a distinct personality. Son Chang Seop deeply embodied the tragic reality of the 1950s under the themes of disaster, migration, and refugees. His novels are characterized by narrative unexpectedness and ridiculous situation settings. Their main characters are also portrayed as helpless, or show indifference to the abordities of reality. The unexpected narrative, aesthetic ridiculousness, and non-mainstream worldview aroused enthusiastic response from readers in the 1950s. Son Chang Seop’s novels look at the ethics of the existing system from an unfamiliar perspective. This unique perspective has the power to deconstruct the existing social system. While keeping distance from the tragic reality of the 1950s, this appears to criticize the established system by shaping the world viewed by non-mainstream humans. At the heart of it lies the ‘aesthetic of ridiculousness’. Son Chang Seop’s novel world is evaluated as having folklore and currentity because the novels depict the criticism of the existing system, an unfamiliar perspective, and a non-mainstream worldview. Son Chang Seop’s unique aesthetic world was evaluated as an achievement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50s. However, after he abruptly moved to Japan at the end of 1973, his literature is sadly forgotten. This writer explored ‘San 4 Heukseok-dong,’ where Son Chang Seop lived from 1958 to 1973. By reviving the literary space of Son Chang Seop, it is expected to reinterpret the literature of Son Chang Seop. Son Chang Seop’s novel world, which has accomplished a precious ‘aesthetic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can be given the meaning of ‘the unexpectedness of the narrative’, ‘ridiculousness’, and ‘non-mainstream world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