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시 영향관계 분석을 위한 시론

        이병찬(Lee Byong-chan)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4 No.-

        현재 한시연구는 작품의 자구 하나는 물론 그 사이 행간의 의미까지 세밀하게 해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많은 시간을 요하며 따라서 한정된 작품에 국한하여 연구를 진행할 수밖에 없다. 작가 개인에 대한 연구는 동시대 혹은 전후시대의 문학들과 연관성이 함께 언급될 때 더욱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즉 타자와의 영향이나 차별성이 문학사적 의의를 고구하는 중요한 가치척도이다. 그러므로 연구범주를 설정함에, 특정 몇몇을 대상으로 하는 것보다 비교군이 많을수록 그 성과가 의미를 가진다. 이 때문에 연구는 방대한 자료 분석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는 한 개인의 역량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방대한 자료를 분석하는 연구방법의 미비로 인하여, 연구가 다수의 인물이나 작품을 함께 포괄하는 전반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가 결국 연구자 의 연구목적에 의해 미리 한정한 문헌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바로 빅데이터 분석이다. 많은 문헌의 처리와 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도입한다면 이전에는 시도하지 못했던 개인들의 어휘사용 특성이나 패턴은 물론, 문집들의 상관성과 상호간의 거리, 혹은 고문진보(古文眞 寶)나 두시(杜詩)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중국 시인들이 우리나라 문인들에게 준 영향의 심도에 대한 수치적 계량화나 구체적 실상에 대한 분석도 가능하다. 그러나 현시점에서 우리가 한문학 자료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결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한국고전종합DB라는 자료가 확보되어 있으며, 빅데이터 분석 기술 이 발전하고 여러 방면에 응용되고 있지만 실제로 분석 기술을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왜냐하면 빅데이터 분석은 대상 데이터의 가공 여부, 분석의 도구로 사용되는 기초 자료의 확충과 정리, 분석 전문가인 프로그래머와 결과를 활용하고자 하는 한문학 전공자의 정확한 소통과 같은 전제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제한된 조건임에도 조선 중기의 한시 중 일부를 대상으로 텍스트와 주제어 유사성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수치화하여 도출한 결과가 기존 방식으로 나온 연구 결과, 혹은 일반적인 추론과 어긋나지 않음을 확인하여 빅데이터 분석의 유효 성을 입증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그 한계와 문제점을 개선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A study on artist individual has more meaning and value when mentioned with the relations with literatures of same period or the post-war period. In other words, differentiation from others is an important measure of value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Therefore, the range of research is not a few particular objects and as comparison is more, the outcomes are significant. Therefore, the study must be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n massive materials. But, it s impossible with individual capabilities. Because of the insufficient research method to analyze massive materials, the study cannot approach general and systematic analysis including many persons or works together. Therefore, the study cannot help being organized by research purpose of researcher and conducted for only limited literatures. Th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is rightly big data analysis. If introducing big data analysis that can treat and analyze lots of literatures, it s possible to measure influence of Chinese poets on our scholars numerically and analyze concrete realities through characteristics or patterns of individual vocabularies that were not tried before, correlations and mutual distance of literature collection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gomunjinbo (古文眞寶) or two poems. However,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of Chinese literature data are restricted at present. Data of Korean classics DB is secured and men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big data analyzing technology is increased. It is tried from several angles, but there are difficulties in using analyzing technology actually. Big data analysis cannot provide desired results if preconditions such as process of objective data, securing and arrangement of basic data used as a tool of analysis, persons majoring in Chinese literature who intend to utilize the results with analytic specialist, programmer, and accurate communication and so on are not satisfied. This research digitized and drew the results through analysis on texts, topic words and similarities for Chinese poems of the middle stage of Joseon in spite of restricted condition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o be same as research results or general inference brought by existing methods. It means that methodological validity utilizing big data analysis to following researches was secured. In the future, the restrictions and problems of this research should be improved and researches based on big data analysis should be vitalized.

      • KCI등재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최정순(Jeong-soon, Choe),윤지원(Ji-won, Yoo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4 No.-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through analysing the aspects and issues of each field in Korean Education and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t. Before that,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by the criteria and procedure will be done. To do that, the not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was refined. In this study,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defined as ‘Korean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of foreign students whose native language is not Korean from entering the University to graduation’ which included from general Korean to study skills needed in academic situation. The total number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until 2011 are 209(104 dissertations for Masters andDoctorate, 105 academic journal papers). They were analysed after classifying by the year and the category, by the topic(present condition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contents, method, reference, evaluation), and by the research method(data analysis, needs analysis, study skill analysis, present condition analysis). Research papers o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ere presented less than 10 pieces every year from 2000 to 2005 but from 2006 more than 10 papers were presented every year. Furthermore when it was compared total papers presented between 2000 and 2011, they were increased about 40 times in 10 years which indicates that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ill constantly be increased and it is expected the development of this field.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by the research topic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contents, method, reference, present condition, evaluation in order were studied. In language skill field, ‘writing’ was mostly studied and ‘vocabulary and grammar’,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as follow. Lastly,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by the research method, ‘data analysis’, ‘study skill analysis’, ‘needs analysis’, ‘present condition analysis’ and ‘complex analysis’ in turns were researched. This paper suggests 4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Firstly, the not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must be clarified clearly. It is needed a profound discussion on detailed classification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the matter of the subject and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related to employment and specialities. Secondly, diverse material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nd evaluation tools must be developed. The basic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for various reading material in the level of general education course, text books for improving writing skill specified by the speciality like writing report, text book development or strategy for improving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skills. Thirdly, research for association between other skill to make not to lean too much toward on one skill must be needed. Integrated approach is necessary in Korean study after acquiring certain level in proficiency. Such as writing and reading skill, writing and speaking skill, writing skill and listening skill, appropriated association with other skills and balanced research in language skill area must be studied.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which is differentiated by the area of speciality. Fourthly, the necessity of research method variation and associated research must be reconsidered. The research method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leaned too much on data analysis and analysis of study skill. For more systematic and various research, the research result must be found through the diverse research method. 본고는 2011년까지의 한국어교육 연구 중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결과물들을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구분하고 정리하여 각 영역 연구의 쟁점과 양상을 분석한 후, 그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통해 향후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이 나아가야 할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학문 목적 한국어’에 대한 개념부터 재정리하였다. 본 고에서는‘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않는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입학 전부터 졸업할 때까지 학업 수행과 관련된 전반적인 모든 한국어’를 ‘학문 목적 한국어’라 정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학문 목적 한국어’는 ‘공통 한국어’에서부터 대학(원)학업 상황에서 필요한 학업 기술(study skills)까지도 포함할 수 있어야 하며, 그 범주 또한 교양ㆍ전공 별로 다양해 질 수 있을 것이다. 2011년까지의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총 209편(석ㆍ박사 학위 논문 104편, 학술지 논문 105편)이다. 먼저 연도별ㆍ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다음 주제별(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황, 내용, 방법, 자료, 평가)로, 그리고 연구 방법별(자료분석, 요구분석, 학습 기술 분석, 현황분석)로 분류한 후 분석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2000년에 학술지 논문을 시작으로 2005년도까지 1편에서 9편으로 매년 10편 이하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2006년부터 해마다 약 10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또한 2000년과 2011년의 전체 논문 편수를 비교하면 10년 사이 약 40배 이상이 증가하였다는 점으로 미루어 향후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이 분야 연구가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를 주제별로 분류한 결과, 내용, 방법, 자료, 현황, 평가 관련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에 기능 영역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쓰기’ 영역의 연구가 압도적이며, ‘어휘 및 문법’, ‘읽기’, ‘말하기’, ‘듣기’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를 연구 방법별로 분류해보니, ‘자료 분석’, ‘학습 기술 분석’, ‘요구 분석’, ‘현황 분석’, ‘복합 분석’ 순이었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총 네 가지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 정립이 명확해져야 한다. 한국어 특수성을 고려한 상세 구분 및 대상의 문제, 전공 및 취업과의 연계를 통한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도 필요하다. 둘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다양한 자료 개발 및 평가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양 수준의 다양한 읽기 자료라든지, 보고서 등 전공별 특성화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 토론 및 발표 능력의향상을 위한 전략이나 교재의 개발 등을 위한 기초 연구 및 개발 등이 필요하다. 셋째, 어느 한 기능에만 편중되지 않고 기능 간의 연계를 위한 연구가 절실하다. 어느 정도의 숙련도를 갖춘 상태에서의 한국어 학습은 더 이상 분리적일 수 없고 통합적인 접근이 절대적이다. 즉, 쓰기 기능과 읽기 기능, 쓰기 기능과 말하기 기능, 쓰기 기능과 듣기 기능 등 다른 기능 영역과의 적절한 연계와 함께 균형 있는 기능 영역 연구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공 영역별로 차별화된 ‘특정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을 위한 연구도 필요하다. 넷째, 연구 방법의 다양화 및 협업연구의 필요성을 재인식해야 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의 연구 방법은 자료 분석 및 학습 기술 분석에만 너무 치우쳐 있다. 좀 더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를 위해서는 복합적인 연구 방법론의 적용을 통해 결과가 도출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지나치게 큰 주제를 선정한다든지, ‘학문 목적’ 다음에 이어지는 반복적이고 비슷한 주제 연구, 당위성 주장 및 이론 소개 등의 연구에서 벗어나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주제나 문제들을 찾아 연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방자치 시대 충청지역 한문학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이향배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4 No.-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지역 전통의 정신문화는 곧 그 지역의 경쟁력과도 맞물려 있다. 선비들이 남긴 한문학 자료는 지역 정체성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원이며 아직도 현대인의 몸과 삶 속에 면면히 배어있는 정신문화의 가장 근간이 된다. 본고는 충청지역 한문학 자료와 연구현황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해보았다. 한문학 자료 현황을 살펴보면 근현대 문집은 대략 410여종으로 파악되었으며, 비지정 동산문화재는 수 만 건이었다. 이는 모두 귀중한 한문학 연구 자료이다. 향후 연구과제는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했다. 첫째는 한문학 자료를 기반으로 충청지역 장소에 대한 연구이다. 장소에 대한 연구는 장소성, 장소생성방식, 장소감 세 측면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는 지역학의 측면에서 한문학 작품을 통해 충청지역의 정체성을 밝히는 일이기도 하다. 둘째는 충청지역 문집 분석 및 문인들의 관계망 연구이다. 문집분석은 예술적인 측면에서 문학성을 밝히고, 문학에 담긴 사상 즉 문학사상을 밝혀야 하며, 문집을 기반으로 작가의 사회관계망을 연구할 수 있다. 셋째는 詩會, 詩社. 契會 등 문학 동호회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동호회의 자료가 수집되어야 하며, 자료를 기반으로 동호회에 대한 성격 및 참가자의 규모와 신분 등을 밝혀야 한다. 이는 동호회의 사회 관계망을 밝히기 위한 작업이기도 하다. 다음에는 시회를 비롯한 동호회의 운영방식과 시문의 기록을 분석하여 운영 실태와 작품의 내용에 대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의 재영역화와 연구 방향

        이용욱(Lee Yong wook)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이 논문은 AI가 소설을 창작하고 딥러닝 기술이 예술의 알고리즘을 학습하는 디지털시대에, 문학연구는 왜 새로운 학문 영역을 개척하지 못하고 여전히 ‘이광수’와 ‘일제강점기’에 머물고 있는지에 대한 반성에서부터 출발한다. 1990년대에 이미 탈근대를 선언했지만 20여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근대에 집착하고 있는 학문의 보수성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다. 한국현대문학연구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과 ‘디지털서사학’이 새로운 연구 경향으로 확장 발전하지 못하고, 문학의 미래에 대한 국문학 연구자들의 관심이 부족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문학이론의 빈약함 때문이다. 그리고 학문후속세대들의 창의적인 연구를 포용하고 새로운 문학이론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담당해야 할 대형학회와 학술지들이 타성과 순혈주의에 젖어 도전적인 문학연구방법론을 배타하거나 학술논문의 엄정함으로 재단함으로써 이론의 빈곤은 악순환 되고 있다. 가라타니 고진은 일본의 근대문학은 1980년대에 끝났다고 이야기한다. 이제 소설 또는 소설가가 중요했던 시대가 끝났고, 소설이 더 이상 첨단의 예술도 아니며, 영구혁명을 담당하지 못하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근대문학의 종언은 근대소설의 종언이라고 해도 무방해졌다. 무엇보다 소설이 지켜왔던 역사와 사회ㆍ개인에 대한 지적이고 도덕적인 책무, 재현과 성찰, 반성과 저항의 가치들은 사라지고 유희와 쾌락의 글쓰기가 소설이라는 이름으로 소비되고 있을 뿐이다. 1980년대를 근대의 마지막 시기로, 1990년대를 근대에서 벗어나려는 시도가 사회 전반에 걸쳐 진행된 탈근대의 시대로 본다면, 현대의 시작은 2000년 이후부터 시작된다. 필자가 근대와 탈근대, 현대의 시기 구분을 한 이유는 우리가 지금 어느 시대에 서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우리는 근대에 태어났지만 지금은 현대에 살고 있다. 그리고 현대문학을 연구하는 연구자이다. 근대문학을 현대문학이라고 위장하기에는 우리 앞에 놓인 문학의 현실이 녹록치 않다. 문학의 마지막 보루인 아카데미에서 조차 현대문학 연구를 시작하지 않는다면, 문학은 정말 종말을 고하게 될지도 모른다. 현대문학은 근대문학의 종언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종언은 단절과 변별, 새로운 시작을 포함한다. 현대문학은 ‘문자’로부터 ‘리얼리티’로부터 ‘작가’로부터, 그동안 문학을 둘러싸 왔던 모든 관습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문학은 이제 새로운 출발선 위에 서 있다. 무엇을 문학의 범주 안에 포섭하던지 간에 중요한 것은 재현과 반영의 서사인가 아닌 가이다. 재현과 반영의 서사라면 그 형식과 무관하게 현대문학 연구의 영역이 될 수 있어야 한다. 현대문학연구는 초언어적 보편구조를 갖는 이야기에 집중하며 새로운 예술미학을 견지하여야 한다. 디지털서사를 연구대상으로 포함해야 하고 위아래가 없고 오로지 토폴로지만 있는 네트워크 중심의 새로운 학문공동체가 만들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근대문학의 종언이라는 냉엄한 현실을 인정하는 가장 어려운 일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thank the students for their understanding of why AI is writing novels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is learning algorithms of arts. In the digital era, why literature research is still in ‘Lee Kwang Soo’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depart. It is a criticism of the conservatism of the scholars who still obsessed with the modern age even though they declared the postmodern in the 1990s. Digital storytelling and digital narrative are not developed as new research tendency in Korean modern literary research, and the lack of interest of Korean literary researchers on the future of literature is due to the weakness of literary theory above all. And large academic societies and journals that embrace the creative research of subsequent generations of scholars and act as incubators of new literary theories are immersed in inertia and pure-bloodism. By exclusion of challenging literary research methodologies or by the strictness of academic papers, It is becoming vicious. Modern literature started from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The end includes disconnection, discrimination, and a new beginning. Contemporary literature should be free from ‘characters’, ‘reality’, ‘writers’, and all the customs that have surrounded literature in the meantime. Literature is now standing on a new starting line. Whatever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literature, what is important is not the narrative of representation and reflection. The narrative of reproduction and reflection should be an area of contemporary literature research regardless of its form. Modern literary studies should focus on stories with a superglobal universal structure and maintain a new aesthetic of art. A new academic community based on networks should be created that includes digital narratives as research subjects and has no top and bottom, but only topology. In order to do that, we must start with the most difficult thing to recognize the cold reality of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재만 시인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

        이성천(Seung-Cheon, Lee) 어문연구학회 2011 어문연구 Vol.70 No.-

        이 논문은 재만(在滿) 시인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는데 목적이 있다. 심연수는 그동안 한국 현대 시사(詩史)에 잘 알려지지 않은 시인이다. 그러다가 2000년대 이후, 심연수 문학에 대한 연구는 중국과 한국 학계에서 가히 폭발적이라 할 만큼 급속도로 전개되었다. 심연수 초기 작품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는 몇몇 논문을 제외하면 이제까지 선행연구의 공통된 견해는 “일제 암흑기의 대표적인 저항 시인” “또 하나의 시성(詩聖)” “암흑기의 민족의 별”이라는 문구에서 알 수 있듯이, 대개가 민족시인 혹은 저항시인으로 그의 문학사적 위상을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본고가 판단하기에 이들의 연구는 단순 착오에서부터 논리적 모순과 ‘의도적 왜곡’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따라 먼저 이 글의 2장에서는 시인의 생애와 초기의 작품들을 살펴보면서 전기적(傳記的) 사실에 대한 오류 및 한계를 지적할 것이다. 이후 구체적 작품 분석을 통하여 심연수의 일부 작품이 기존의 연구논문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민족의식과 저항의식을 드러내기 보다는, 이와는 상반되게 1941년 당시 일제의 정책 이념과 왜곡된 지배 이데올로기에 동화되어 있음을 밝힐 것이다. 3장에서는 『돌아가신 할아버지』라는 작품 해석에 나타난 선행 연구자들의 문제점을 지적할 것이다. 이 작품을 다루면서 기존의 연구자들은 시 본문의 내용을 ‘의도적으로’ 훼손하거나 ‘의미의 과잉’이라는 측면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는 연구자의 윤리적 태도의 문제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본문의 훼손으로 인해 시적 주제 및 작품의 전체적인 구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면, 앞으로의 연구과정에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4장에서는 심연수가 일본 유학을 떠난 1943년 이후 시인의 행적과 관련된 논의를 펼칠 것이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는 심연수 시인의 일본대학 졸업 일자를 1943년 7월 13일로 규정하고 있는 데, 이는 명백한 오류이다. 필자가 확인한 바로는 이 시기 일본 주요 대학의 졸업 일자는 9월 25일 혹은 9월 26일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논문은 실증주의적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도 많은 오류를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문제가 학병 제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보다 심도 깊은 논의가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고는 이제까지 전개된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몇 문제를 제기하고자 했다. 이러한 본고의 작업은 최종적으로 심연수 문학의 온전한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는 선행 연구자들의 목표와 일치한다는 점을 끝으로 밝혀둔다. This paper studies a Korean poet on Manchuria, Shim, Yeon-Su’s poetry raised some issues which are intended. Sim, Yeon-Su’s early work that takes a critical stance with the exception of a few papers, the ever previous studies of common opinion,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 dark days of the typical resistance poet,” “Another great poet” “Dark Ages of the nation’s star,” the phrase implies, As you can usually resist the national poet, or poet, his literary and historical position is very highly regarded. However, at the discretion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m from a simple mistake, from a logical contradiction and intentional distortion has exposed serious problems. This paper begins with awareness of these issues. Accordingly, in the second chapter, his early works of the poet’s life by looking at the biographical and about the fact that the error will point out the limitations. Specifically, since the number of works by analyzing the abyss of the existing research papers, some work as claimed in national consciousness and a sense of resistance, rather than exposing, 1941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ever assimilated into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policies that will reveal. Chapter 3, “deceased grandfather” appeared to interpret the work of leading researchers will point out the problem. As this work deals with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body of researchers at the ‘deliberate’ damage or ‘an excess of meaning’ is in terms of committing errors. The researcher’s ethical attitude can not but suspect a problem. Chapter 4, he left to study in Japan since 1943 and a discussion regarding his past. Meanwhile, previous studies of the poet Sim, Yeon-su graduation date July 13, 1943(Nihon University in Japan) to the date of the regulations, which is an obvious error. I got confirmation from the major universities in Japan this time of the September 25 date of graduation or date of September 26 is recorded. Therefore, the leading liberal paper, empirical research reveals many errors in terms of how it can be seen that. In particular, this problem the student conscription system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more in-depth discussion will be deployed.

      • KCI등재

        유사 문장 말뭉치 분석을 통한 유사도 인식에 관한 연구

        이숙의(Lee Suk-eui)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8 No.-

        본고에서는 유사 문장 말뭉치를 대상으로 자동시스템과 사람의 유사도 인식 결과를 대조·분석하였다. 자동시스템과 사람의 유사도 인식 불일치 결과를 주로 다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 컴퓨터와 인간이 문장을 이해 하는 방식이 서로 어떻게 다른가를 보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연구는 추후 구축될 유사 문장 말뭉치와 유사 문장 자동처리시스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유사 문장 학습 데이터 구축 결과를 활용하였고, 구축 과정에 적용한 유사도 판단을 위한 기준에 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6개 구간의 점수대로 유사도 문장 쌍의 점수 값을 부여하였고, 3점 이상의 문장은 유사 문장에 해당된다. 주로 유사 문장의 경계에 놓인 문장 쌍들이 컴퓨터와 인간의 유사도 판단의 차이가 있는 지점임을 알 수 있었다. 자동시스템에서는 유사 문장으로 판단하지만 사람은 유사 문장이 아니라고 판단 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이 결과를 통해 기초 작업에서 모호성이 짙었던 유사도 판단 기준을 구체화 하였으며, 이를 추후 연구에 반영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corpus of similar sentences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e computer system and manual work. In order to analyze how computers and humans understand the meaning of sentences differently, the results of inconsistency between humans and automatic systems for recognizing similarity were mainly analyzed. This paper utilized the results of constructing similar sentences learning data of th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ETRI). Here, the similarity criteria appli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language data for the ETRI project were reviewed. A similarity score was given by dividing into 6 sections, and sentences with a score of 3 or more are similar sentences. In Chapter 2, the definition of linguistic similar sentences was presented, and similar sentences types were classified. In addition, sentences surveyed in the actual corpus were also presented. Chapter 3 introduce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corpus of similar sentences. the results of corpus construction were used in this study. In Chapter 4, an example of inconsistency between the results of the automatic system and manual work was analyzed. In addition, I tried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automatic system that operates based on rules and the way humans understand sentence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ill be utilized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processing system for similar sentences and the direction of corpus construction.

      • KCI등재

        국어 ‘이다’와 중국어 ‘시(是)’의 대조 연구 - ‘부사+이다’의 ‘이-’와 ‘시(是)’의 대응 양상 및 계사설 고찰 중심으로

        이지연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4 No.-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 ‘부사+이다’의 ‘이-’와 중국어 ‘시(是)’의 대응 양상 대조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시(是)’가 언어유형론적 계사에 속하는지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기존 한·중 대조 연구에서는 국어 ‘-이다’ 뿐만 아니라 ‘-이다’에 대응되는 한자어 ‘是’ 역시 계사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중국어 문범에는 계사라는 품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한자어 ‘是’는 전형적인 계사의 예로 들 수 있는 영어의 ‘be’ 동사나 국어의 ‘-이다’와 통사적 특징이 완전히 일치하지도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언어를 대조 연구하여 진행한 몇몇 논의에서는 ‘是’가 구문에 출현한 경우 언어유형론적 계사와 유사한 통사적 특징이 나타난다는 이유를 들어 ‘是’가 계사에 해당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是’가 구문에서 나타나는 경우 항상 진정한 계사로 정의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동시에 대조 연구의 시각으로, 언어유형론적 계사구문에 국어 ‘-이다’가 출현할 때 ‘-이다’와 공기할 수 있는 선행성분을 찾아보고, 해당 선행성분에 대응되는 중국 한자어 ‘是’의 계사설에 대해 재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是’가 언어유형론적 계사에 속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계사의 개념을 명확히 규명하고자 가장 먼저 여러 언어의 측면에서 계사의 개념을 고찰하였고, 각 언어에서 계사가 통사 특징적으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는지 분석하고 설명하였다. 또한 ‘是’가 구문에 출현할 때 어떤 통사적 특징을 지니는지 파악하기 위해 중국어 기초문법의 ‘是’에 대한 통사규범도 함께 알아보았다. 또한 한·중 양언어의 계사구문에서 나타나는 통사적 특징을 고찰하여 해당 단어의 계사 여부를 파악하고 비교·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다’는 반드시 계사구문(SOV)에서 ‘O’성분(선행성분)과 공기해야만 서술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반면 한자어 ‘是’는 계사구문(SVO)에서 반드시 ‘O’과 공기할 필요가 없다. 또한 구문에서 국어 ‘-이다’의 선행성분 ‘O’에 올 수 있는 품사로는 명사화된 성분과 부사 두 가지만 가능하지만, 중국어 ‘是’의 후행성분 ‘O’에는 명사, 동사, 형용사나 구, 절 등 다양한 성분들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 또한 두드러진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들을 고려하여, 중국어 ‘是’의 ‘O’ 성분에 어떤 성분이 나타나는지에 따라 ‘是’의 계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간 대부분의 한·중 대조연구에서는 ‘부사+이다’ 구문의 ‘이다’를 한자어 ‘是’와 대응시켜 모두 계사로 설정하고 비교·분석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부사+이다’ 구문의 ‘이-’와 중국어의 ‘是’가 대응되는 경우는 매우 적고, 오히려 형용사나 동사와 대응되는 경우가 훨씬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본 연구는 ‘-이다’ 구문과 대응되는 한자어 ‘是’ 구문의 통사적 유형과 양상을 추출하여 표로 정리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플립러닝을 이용한 신조어 수업 방안 연구

        김덕신(Kim Deok-shin)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8 No.-

        이 연구는 두 가지 문제의 접점을 찾는 데에서 출발한다. 하나는 중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교재 밖’에 있는 신조어를 가르쳐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매체를 활발하게 활용하는 신세대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교수법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신조어 사용이 일상화되어 신조어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 문식력이 떨어지게 될 정도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교재 밖에 있는 신조어를 어떤 방법으로 학습시킬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은 교수자의 강의를 온라인을 이용해 교실 밖에서 하고, 기존의 교실 밖에서 하던 개별적인 과제 활동은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교실 안으로 옮긴 형태로서 변화한 학습자와 교육 환경을 반영한다. 신조어 형성 규칙과 그 어휘에 포함된 문화를 찾아내기 위해 탐구 중심,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플립러닝 교수법을 택해, 학부 외국인 유학생들이 배우기 원하는 신조어를 조사하여 교양 글쓰기 수업에 이를 적용해 보았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사례 연구를 통해 교재에 넣기 어려웠던 교재 밖 어휘를 가르치기 위한 방법으로 택한 플립러닝이 학습자들의 어휘 능력을 얼마나 향상시킬 수 있는지 검증해 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생산성이 큰 조어 단위인 ‘-권’을 선정하여 플립러닝 기법으로 수업을 한 결과 학생들은 신조어에 나타난 어휘 형성 규칙을 알고 자신만의 신조어를 만들었으며, 그 신조어 속에 담긴 문화를 찾아낼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은 조별 활동 시간에 토의, 토론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플립러닝은 교재 속에 즉시 반영하기 어려운 신조어의 형성 규칙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교실 수업에 문제 해결 학습(PBL)을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starts from finding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two problems. First, there is a growing need to teach Korean language learners at the middle and high level the new words “outside the textbook”. How to teach them effectively? What s more, you can t teach all new words, so how will you lead to vocabulary expansion? Next, how will you learn new words outside the textbook? What effect will it have if you use a flip-learning teaching method suitable for new generations of learners who actively use the medium, lead to learner-centered classes, revitalize the class, and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printed textbooks? By researching new words that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want to learn, the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liberal arts writing class. Through this case study, we tried to verify how much the flipped learning, which was chosen as a method to teach vocabulary outside the textbook, which was difficult to include in the textbook, can improve the vocabulary skills of learners. Affixes with high productivity (-kwon, -chin), proto-syllable words (chinchu, eoljuka, jeommechuhae, dangmochi, byeoldajul, masang, kagong), mixed words (Suggestion of vocabulary related to COVID-19: sangsangkorona, geumseukeu, jipkokjok, isigugyeohaeng, hwakjjinja, salcheonji, jagagyeongni, koronabeullu, magikkun) was created, and the culture contained in the new word was found. These problems were resolved through discussions and discussions during group activities. In this way, flip-learning helped to understand the rules and meanings of new words that are difficult to immediately reflect in the textbook, and applied problem-solving learning(PBL) to classroom instruction so that it became a learner-centered class.

      • KCI등재

        추사 김정희의 한글 편지 해독과 의미

        김경순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5 No.-

        秋史金正喜(1786~1856)의 한글 편지에 관한 연구는 한글 편지 자료, 문학적, 국어학적, 서예학적 연구는 많은 진척을 이루었으나, 추사의 한글 편지 판독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秋史한글 편지』영인본 중에서 오독이 많이 나타나는 제1편·제20편·제31편을 선택하고, 영인본의 판독문에서 발견되는 오독문제를 검토하고, 새로운 판독에 의하여 편지의 내용을 해독하였으며, 편지자료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추사 한글 편지는 부정형의 진흘림 필사체로 연결되어 있고, 다양한 변형의 글씨를 자유자재로 혼서하여 썼으며, 작품이 아닌 관계로 같은 뜻의 글자가 서로 다른 글자로 誤記되어 혼용하였으며, 당시의 한문 투로 글자가 붙여 쓰여 있어, 정확한 판독에 많은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秋史한글 편지』의 영인본 글씨를 판독할 때 일차적으로 시각상으로 판단하고, 애매한 글씨는 문맥으로 판독하였다. 그 결과 오자라고 판정한 41자를 기존 판독문과 비교하여 해독하고,『秋史한글편지』의 영인본과, 필자가 판독한 새로운 판독문을 제시하고, 새로운 해독의 근거를 설명하며, 편지내용을 요약 설명하였다. 그리하여, 기존 판독문을 비교한 결과, 오독으로 인하여 그 내용이 상당히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글 편지는 국어학적 측면에서 국어사 연구에 사회언어학적 접근 가능성을 열어 주기도 하며, 언해위주의판본자료를 보완하는 것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편지의사 연속에는 당시의 실생활이 그대로 녹아있어 생활사, 민속사, 사회사 등 여러분야에서 살아있는 자료가 될수 있다. 또한 추사체의 독특한 서체가 한글편지에도 반영되어 있으므로 서예사 자료로도 요긴하며, 한글 서예 교본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추사의 한글 편지를 정확히 판독하면 국어학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사 한글 편지 3편만을 판독하였으나, 앞으로 편지 40편을 모두 판독하여, 서간 문학의 기초 자료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한글 편지에 대한 오독을 줄이기 위해서는 국문학은 물론 국어학, 한문학, 서예학 등 학제간 교류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정확한 판독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tudies on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by Chusa Jeong-hee Kim(1786~1856) have made advances in collection of data on Korean letters, literary, linguistic and calligraphic findings; however, there have not been a study on deciphering Korean letters of Chusa. This paper examines 1st, 20th, and 31st photoprints of “ Chusa’s Letters in Korean,” those with particularly frequent misinterpretations, and offers new interpretations as well as methods to better utilize the epistolary materials. Chusa’s Korean letters are written in irregular longhand with various types of letterings combined in a free style. As it is not a work of art, characters with the same meaning were confused with characters of different meanings. Moreover, the characters are spaced according to the Chinese character writing style of the time, creating further confusion inhibiting accurate interpretation. This paper first used visual methods and then contextual methods to interpret vague passages of Chusa’s Korean letters. As a result, this paper could interpret the forty-one misspelled characters by comparing them with previous interpretations and presents the photoprints of Chusa’s Korean letters along with the interpreted version. It also provides explanations of the interpretations with evidences as well as summary of the content of the letter. Such efforts led to the conclusion that previous interpretations include many misinterpretations leading to largely in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letter.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nguistics, the Korean letters open up a new possibility for sociolinguistic approach within the field of History of Korean language. It can also be used for complementing the original materials with annotations. The content of the letter directly reflects the events of the times which could serve as useful data of social, folk and everyday life history of the respective era. Moreover, Chusa’s unique handwriting style is shown in the letters making it an ideal reference material for history of calligraphy as well as a sample for Korean calligraphy. As mentioned above, accurate interpretation of Chusa’s Korean letters can contribute to various research efforts including the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This paper limited interpretations to three Korean letters of Chusa but future endeavors will need to include all forty letters to contribute further to Korean epistolary literature. To minimize misinterpretations of Korean epistolary dat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Korean literature, linguistics, Chinese literature, calligraphy, etc. will be necessar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crease accuracy of the epistolary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