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입학사정관의 직업윤리 탐색

        유현실,김봉환 한국교육개발원 2009 한국교육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fter consultation with professionals, the necessary components of the ethics codes for the college admissions officers. Using a delphi method, thirty delphi panels were selected from college admissions officers, parents, teachers, and professors. Eight areas (general ethics, professionalism, fairness, public relations, trust, privacy, professional development, ethics for high school) and 54 items for codes of ethics were derived. Diverse ideas for applications of the ethics codes were discussed to help many colleges to develop their own codes of admissions officer ethics. 본 연구는 전문가들의 합의를 통해 대학 입학사정관에 적합한 윤리 강령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 문헌들을 참고하여 입학사정관 직업윤리에 대한 개념모형을 설정하였으며,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국내 대학 입학사정관제도과 관련된 입학사정관, 학부모, 진학담당교사, 대학보직교수 등 전문가 패널 30인을 구성하고 설정된 대학입학사정관 직업윤리 개념모형을 확인하고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총 8개 영역(일반적 윤리, 전문성, 공정성, 홍보, 상호신뢰, 정보보호, 자기계발, 고등학교 윤리)과 54개의 윤리항목들을 제시하였다. 향후 각 대학들의 입학사정관 윤리강령을 제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입학사정관 윤리강령의 다양한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잠재적 내담자의 자기은폐 및 자기개방과 상담 이용 의도의 관계에 대한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의 매개효과: 대면 및 비대면 상담 형태 선호에 따른 다집단 분석

        유현실,이태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4 No.4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whether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s mediated the influence of self-disclosure and self-concealment on potential clients' intention to use counseling, and whether thi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preferred counseling setting (face-to-face, phone, or chat counseling).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of 412 potential clients in their teens to 70s was conducted. A chi-square analysi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unseling setting preference by age group. Face-to-face counseling was the most preferred form of counseling for all ages, and among non-face-to-face counseling types, teenagers and 20s preferred chat counseling, while those in their 30s and older preferred telephone counseling. A multi-group analysi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found that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 completely mediates the path from self-disclosure to intention to use counseling in all counseling settings.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service marketing and program development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ounseling sett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잠재적 내담자의 대면, 전화, 채팅 상담 형태 선호 유형에 따라 자기개방과 자기은폐 성향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를 매개로 하여 상담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0대부터 70대에 이르는 412명의 잠재적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Χ2 분석 결과, 연령대에 따라 상담 형태 선호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전 연령대에서 대면상담이 일관되게 가장 선호되는 상담형태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상담 유형 중에서는 10대와 20대는 채팅상담을, 30대 이상에서는 전화상담을 선호하였다. 한편, 상담 형태 선호 유형에 따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를 매개로 자기개방 및 자기은폐에서 상담이용의도로의 경로가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적용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상담 형태에서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는 자기개방 성향에서 상담이용의도에 이르는 경로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면상담 및 비대면 상담 형태에 따라 고려해야할 상담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 등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진로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성인 진로상담에 대한 시사점

        유현실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1

        As the recent unstable and complex adult career phenomena resulted from the global industrial restructuring and thereby commonplace layouts and unwanted positions change, the concept of career resilience has been presented in the field of career counseling. This paper reviews the existing theories on the concept of career resilience which has been newly proposed to explain the recent unstable and complex phenomenon in adult careers. Specifically, the relations of the concepts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personality trait perspective, attitude perspective were reviewed and discussed. The conceptu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areer adaptability with career resilience were reviewed as well. In addition,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of career resilience were discussed comprehensively for adult career counseling. Finally,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studies. 전세계적인 산업 구조조정과 그로 인해 일상화된 실직 및 원치 않은 보직 변경 등과 같이 최근의 불안정하고 복잡한 성인 진로 현상과 관련하여 진로탄력성(career resilience) 개념이 진로상담 분야에 새로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진로탄력성 개념에 대한 선행이론 검토를 통해 진로탄력성의 측정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특히 진로탄력성과 심리적 탄력성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진로탄력성에 관한 성격특질 관점, 학습된 결과로서의 능력 관점, 태도 관점을 비교하였으며 진로탄력성과 인접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진로적응성(career adaptability)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진로탄력성 개념의 선행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새로운 진로탄력성 개념 정의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진로탄력성 개념의 성인 진로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끝으로 진로탄력성에 관한 후속 연구 시 고려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스트롱 흥미검사의 GOT-BIS 요인구조 재검토

        유현실,이은경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General Occupational Themes(GOT)-Basic Interest Scale(BIS) factor structure of Korean-version Strong Interest Inventory(SII) is the same in the Korean college student sample as that of the U.S. version published in the year of 1994.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3,148 freshmen attending a 4-year university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showed that the BIS factor structure did not fit the GOT codes of the 1994 U.S. version. After disconfirming the factor structure,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ame dataset and the result was found that some scales of BIS corresponded to different GOT codes presented in the 1994 U.S. ver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GOT and BIS in the group of Korean college students may not correspond to that of original American version, which implies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classification pattern of vocational interests from that of the Western culture. This study also suggests considering the cultural differences when interpreting the GOT and BIS of the Strong Interest Inventory for Korean cli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롱 흥미검사의 일반직업분류(General Occupational Themes: GOT)와 기본흥미척도(Basic Interest Scales: BIS)의 요인구조가 1994년판 미국 스트롱 흥미검사에서 제시하는 요인구조와 합치되는지를 한국 대학생 집단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의 한 4년제 대학교 신입생 3,1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스트롱 흥미검사 자료에 대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 대학생 집단에서 GOT-BIS의 요인구조는 2001년판 한국 스트롱 흥미검사에서 제시하는 GOT-BIS 요인모형과 합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다시 동일한 자료를 가지고 최대우도법에 따른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BIS의 일부 척도들이 스트롱 흥미검사 GOT 구조와는 다른 코드에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 대학생 집단에서는 스트롱 흥미검사의 GOT와 BIS의 요인구조가 미국판 스트롱 흥미검사의 요인구조와 일치하지 않음을 뜻한다. 따라서 한국 대학생 집단에서 BIS 상에서의 개별 직업에 대한 흥미를 유목화하는 방식이 서구 문화권의 유목화 방식과 다를 수 있으며 향후 한국 내담자를 대상으로 스트롱 흥미 검사를 해석할 때 GOT와 BIS 척도의 해석에서 문화적 차이점을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상담전공 학부생의 전공역량 모형 구축 및 자가평가도구 타당화: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유현실,서미아,이주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re capability of counseling major related with counseling professional directly and to validate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this core capability.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model for capability was set up referring to related studies, especially the literature presenting core capability of counseling major or capabilities NCS presenting and considering educational objectives of department in D university. To identify the fidelity of model for capability, the expert panel evaluated or checked and then final model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The final model for major capability consisted of three capability groups, eleven capability factors, and twenty seven capability indicators. Also, self-evaluation instrument of major capability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model and then experts checked content validity of it. Next, the survey was performed for students belong to the target department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identified by collected data. As a result, the self-evaluation instrument consisting of thirty six items was reliable and validated. Furthermore, the instrument was identified as a measurement sensitive responding to educational effect by showing aspect of increase of major capability level for undergraduates on counseling major by grade measured by developed instrument in this study. At last, we discussed about the usage possibility of the major capability self-evaluation instrument validated in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counselor education for undergraduates. 본 연구는 상담전공 학부생의 핵심역량을 확인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문헌들, 특히 기존에 상담전공의 핵심역량에 대해 제시한 연구와 NCS의 역량들을 참고하고 D대학의 상담학과에서 제시하는 교육목표를 고려하여 역량모형을 설정하였다. 역량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전문가 패널에게 평가 및 검토받았으며 이에 근거하여 최종모형을 확정하였다. 최종 전공역량 모형은 3개의 역량군, 11개의 역량요소, 27개의 역량지표로 구성되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전공역량 자가평가도구를 구성하고 이를 타당화하기 위해 전문가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해당 학과 소속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36문항으로 구성된 자가평가도구는 신뢰롭고 타당하였다. 아울러 본 도구를 통해 측정한 재학생들의 전공역량이 학년에 따라 증가되는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본 도구가 교육 효과에 민감하게 반응함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타당화 한 전공역량 자가평가도구의 활용가능성과 이에 기반한 학부 상담자 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진로상담의 성과준거에 관한 델파이 연구

        유현실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greements on the content domains of outcome criteria of career counseling from the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and to explore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the outcome criteria that differ according to the career development tasks of clients. Based on the organizational schemes proposed by Whiston(2001), a conceptual model on the outcome criteria contents of career counseling was devised and drafts of criteria model were developed through five experts interviews and open-question survey from the 26 incumbent career counselors. Three-way delphi survey was performed for reviewing and revising the outcome criteria contents by 32 delphi panels. In addition, a Analytic Hierarchy Processing method was applied to rate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the outcome criteria for three delphi panel subgroups (adolescent, college student, adult professionals). As results, three domains and 15 outcome criteria factors was developed. In addition, ‘increase in understanding of self and environments’ wa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outcome, ‘commitment to the career action planning’ was the second, and ‘shaping of positive self-concept’ was the third.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nd practice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상담 성과준거의 내용영역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고, 내담자의 진로발달 과업수준에 따라 진로상담 성과준거의 상대적 중요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Whiston(2001)의 방식에 따라 진로상담 성과준거 내용에 대한 개념모형을 구축하고 5명의 전문가 면접조사와 26명의 현직 진로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진로상담 성과준거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또한, 성과준거의 내용타당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기 위하여 32명의 전문가 델파이 패널을 구성하였으며, 3회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통해 성과준거의 내용을 검토하고 수정하는 절차를 거쳤다. 최종 확정된 진로상담 성과준거의 각 요소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정하기 위하여 계층화분석법(AHP)을 통한 추가적인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총 3개 영역의 15개 진로상담 성과준거가 도출되었으며, 청소년 진로상담전문가들은 진로지식과 기술을 중요시하는 반면, 성인전문가들은 진로행동을 중요시하였다. 15개 성과준거의 상대적 가중치를 모두 고려하는 복합가중치에서는 세 집단 모두 ‘자기 이해 및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이해 향상’이 1순위, ‘진로목표 실현을 위한 진로실행계획의 실천’이 2순위, ‘긍정적 자기개념 형성’이 3순위로 가중치를 평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진로상담 성과준거들이 진로상담의 현장과 연구에 적용되기 위한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