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Effec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Perspective of FUTURE ORIENTED TIME on the Actions for the Career Path Preparations: Mediating Effect of the Self Leadership and the Motivation for Career Path

        Chemi Kang,Hyunjae Cho J-INSTITUTE 2021 Public Value Vol.6 No.4

        Purpose: The young adults today are increasingly worried about their career path as they watch the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emergence of new jobs, and the disappearance of promising jobs since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eparing for the career path is related to the perspective of future oriented time in the sense of practicing the present actions, mindful of the future.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perspective of future oriented time on the actions for the career path preparations, and also explore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nd motivation for the career path in this process. Method: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650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buk, Daegu, Gyeongnam, and Ulsan regions, and the data of 565 students were finally analyzed, whil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data collected for the statistical validation of the research model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8.0 for Windows and AMOS 22.0 programs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search model, and als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by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and the phantom model.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erformed, each of self leadership and motivation for the career path related mediating effects were discove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chool students perspective of future oriented time and the actions for the career path preparations,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perspective of future oriented time demonstrated self leadership and motivation, with the double mediating effect discovered to influence the actions for the career path preparations through the career path. As a result of the multi-group analysi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gender of young adults, the path from the perspective of future oriented time towards self leadership, path from self leadership towards the motivation for the career path, and the actions from motivation for the career path preparations demonstrated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path for the career path preparations. Such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erspective of future oriented time, self-leadership, and motivation for career path as important variables in promoting the actions for the career path preparations. Conclusion: The structural model was valida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pective of future oriented time and self leadership, motivation for career path, and the actions for the career path preparations. Consequently, the effect of the perspective of future oriented time on the actions for the career path preparations was verifi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the motivation for career path were further specified in the process. This implies that the perspective of future oriented time, self leadership, and the motivation for career path are among the important variable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and applying various activities for promoting the actions for the career path preparations in school.

      • KCI등재

        청소년의 행동함정과 미래시간전망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안윤정,오현주,김미경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behavioral traps and future time perspective of adolescents o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578 middle-school students and 303 high-school students who lived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uture time perspectiv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variables such as gender, grade did not show any effect on behavioral trap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By the result of analysis, there was proportional correlation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and there was inverse proportion between behavioral traps and future time perspective,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The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between behavioral traps and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was verified. In other words, the behavioral traps had direct effect o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and future time perspectiv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traps and career decision making competency. So the career counselling program is needed for adolescents in order to be able to overcome reverse cognitive function such as behavioral traps and have long future time perspective.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동함정과 미래시간전망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578명과 고등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행동함정, 미래시간전망, 진로의사결정능력 등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각 변인들의 성별과 학년 평균 차이검증과 상관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고, 행동함정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성별, 학년에 따른 행동함정, 미래시간전망, 진로의사결정능력은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행동함정, 미래시간전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 상관관계 분석결과 미래시간전망과 진로의사결정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행동함정과 미래시간전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은 모두 유의한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다. 행동함정과 진로의사결정과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행동함정과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대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즉, 행동함정은 진로의사결정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한편 미래시간전망을 매개로 하여 진로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나 관련 교육기관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일상적인 생활에서 행동함정에 빠지기 쉬운 역기능적 인지를 제거하고 진학위주의 단기적인 시간전망보다는 미래의 직업까지 생각할 수 있는 장기적인 시간개념을 기반으로 진로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진로상담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과 미래시간조망의 매개효과

        김이영,조성은,어윤경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3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에서 진로불안, 그릿, 미래시간조망의 종합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과 미래시간조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완전매개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진로불안이 높을수록 그릿이 감소하게 만들고, 이렇게 감소한 그릿이 진로준비행동을적게 하도록 만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조망의 완전매개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진로불안이 높을수록 자신의 미래시간을 더욱 제한적으로 조망하도록 만들고, 이 때문에 진로준비행동을 더 적게 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과 미래시간조망을 순서대로 투입하는 순차 매개효과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진로불안이 높을수록 그릿이 낮아지며, 이렇게 낮아진 그릿은 미래시간조망을 보다 제한적으로 나타나게 만들어 결국 실질적인 진로준비행동의 발현을 방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건강한 증진을 위해서는 진로에 대한 불안을 감경하고, 이와 동시에 진로에 대한 열정과 인내를 가지고 지속하여 노력하도록 독려하고 미래 시간에대한 긍정적이고 확장적인 조망을 가지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empirical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areer anxiety, grit, and future time perspective 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college students’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190 college students. It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future time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xie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with the SPSS 26.0 and PROCESS Macro 4.1 program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gri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career anxie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Secondly, future time perspectiv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career anxie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nally, grit and future time perspectiv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career anxie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to help college students reduce their anxiety about their careers, encourage them to make consistent efforts with enthusiasm and patience about their careers, and assist them in establishing a positive and expanding perspective for heal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eir future.

      • KCI등재

        자기주도적 진로탐색을 위한 의사결정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김병숙,송혜령,김민정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2

        This study has a purpose to develop self-direc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youth and encourage rational decision-making for career choice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ext study and case study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previous research was performed. This program was composed of six factors such as test myth, family myth, perfection myth, decision making traps, decision making level and future time perspective.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program was fully consisted of decision making which by stage of youth career development.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to youth who take part in '2011 Career Exploration Consulting Camp that hos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e control group and one experimental group were involved. The resul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st myth, family myth, perfection myth, decision-making trap, decision making level and future time perspective. Through the program imply that self-direc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can lower career myths and decision making traps level and enhance the ability of decision making and future time perspective. Finally, it was verified that self-direc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has effectiveness for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본 연구는 청소년이 자기주도적인 진로탐색을 위한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켜 합리적 의사결정과정을 통한 진로선택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진로탐색 프로그램 사례분석, 의사결정 선행연구 분석 등의 과정을 거쳤다. 조사결과 청소년들의 의사결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들로서 진로신화와 의사결정함정 등을 확인하였다. 진로신화 중 청소년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 검사신화, 가족신화, 최고성신화를 배치하였으며 의사결정함정, 의사결정능력과 미래시간전망 등 6가지 요인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또한 기존의 진로탐색 프로그램들과 차별화하기 위하여 청소년의 발달단계에 맞추어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의사결정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2011 진로탐색 컨설팅 프로그램에 참가한 중․고등학생에게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동질성 검증 후 2회에 걸쳐 효과를 검증하였다. 1차 효과분석 결과 일부 요인에서 명반현상이 발생하였으나 2차 효과분석 결과 6개 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의사결정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신화와 의사결정함정을 낮추고 의사결정능력과 미래시간전망을 늘려줌으로써 합리적 진로의사결정능력을 높여주는 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과 미래지향시간관의 매개효과

        곽솔이,박성옥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9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57

        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i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uture time perspective. Survey were completed by high school student in Daejeon, and 874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Procedure using SPSS Ver. 19.0 and AMOS Ver. 18.0.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affec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uture time perspective directly.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future time perspective is affects career adapt-abilities directly. Third, there was partial mediation func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future time perspec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ies.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career adapt-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it is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personal factors such a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future time perspective are important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 of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과 미래지향시간관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 소재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874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사회적지지는 긍정심리자본, 미래지향시간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긍정심리자본과 미래지향시간관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과 미래지향시간관은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유의미한 매개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의 진로적응성 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적지지와 같은 환경적 요인과 긍정심리자본, 미래지향시간관과 같은 개인적 요인이 함께 다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변임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실버케어 전문가`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 진로인식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미현 ( Mi Hyun Yoo ),최정진 ( Jung Jin Choi ),박문숙 ( Mun Sook Park ),채수진 ( Su Jin Chae ),김보라 ( Bo Ra Kim ),손미현 ( Mi Hyun Son ),임은경 ( Eun- Kyong Lim ),유화수 ( Hwasoo Yu ),서종원 ( Jong Won Seo ),김주미 ( Ju Mi Kim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科學敎育硏究誌 Vol.4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실버케어 전문가` STEAM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에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생 110명이 참여하였다. 54명은 실험 집단으로, 56명은 비교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미래지향 시간관, 진로인식,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버케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 전체 점수와 2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둘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진로인식 전체 점수와 4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셋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과학적 태도 전체 점수와 7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넷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실험집단 학생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나는 과학기술 분야와 관련된 직업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라는 항목에서 가장 높은 긍정적 인식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연구에서 개발 적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 진로인식,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ilver Care Expert` STEAM Program for the elementary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reative thinking activity, scientific attitude and leadership. Participants were 1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take the test about future time perspective, career awareness and scientific attitud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all 2 sub-domains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p<.05). Second, total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career awareness and all 4 sub-domai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after the STEAM program(p<.05). Third, the total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scientific attitude and all 7 sub-domain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p<.05). Fourth, according to students` post-program opinions, experimental group students showed very positive perception like that science class was very interesting and they became interested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conclusion, `Silver Care Expert` STEAM Program was very effective to improve elementar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career awareness, scientific attitudes.

      • KCI등재

        무엇이 장노년의 주관적 경력 성공에 영향을 미치고 받는가?: 시간적 관점에서 조명

        박인조,이주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과거 경력 및 조직 몰입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주도적 성격과 주관적 경력 성공 사이를 경력 및 조직 몰입이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는데 있고, 둘째, 주관적 경력 성공과 미래 시간 조망 사이를 자기 효능감이 매개하는지 검토하는 데 있으며, 셋째, 주관적 경력 성공과 활동적 노년 사이를 미래 시간 조망이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는 데 있다. 주경력의 직장을 은퇴한 55세 이상의 노인 144명과 이들을 포함하는 55세 이상의 직장인 400명이 연구에 참가했으며 분석을 주경력을 마친 은퇴자 144명에 대한 것과 전체 샘플에 대한 것을 나누어 했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위계적 회귀 분석을 한 결과 경력 몰입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 몰입은 주관적 경력 성공에서는 유의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주도적 성격, 경력 몰입, 조직 몰입, 주관적 경력 성공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주도적 성격과 주관적 경력 성공 사이를 경력 몰입 및 조직 몰입이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매개 분석 결과 주관적 경력 성공과 미래 시간 조망 사이를 자기 효능감이 매개했다. 마지막으로, 매개 분석 결과 주관적 경력 성공과 활동적 노년 사이를 미래 시간 조망이 매개했다. 논의에서 시간 관점에서 경력 개발 활동, 특성으로서 주도적 성격, 경력 성공의 효과성에 대해서 다루었으며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경력 미래시간 조망, 직무 태도, 및 경력 개발 활동의 관계

        박인조,이주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8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s of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on occupational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career development. Data was collected from full-time employees (N = 400) working at various private companies through online survey. The results from path model show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influenced occupational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career development. Additionally, the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ath from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to career commitment was different along with age and job tit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has predictive role in job attitudes and career behavior among employees.

      • KCI등재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

        안진영,유순화,신채영,임애경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B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72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통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지향성과 진로적응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정준상관분석 결과, 한 개의 유의미한 정준상관함수가 도출되어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의 하위변인군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미래지향시간관의 하위변인인 가치와 연속성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에 대한 관심, 통제, 호기심 및 자신감이 높아져 진로적응성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 진로상담 개입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21 high school students in B City of South Korea. Research method was a survey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ies. To analyze the dat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s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ies were generally high. Second, future time perspective were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adapt-abilities. Among the sub-scales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ies, connectedn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oncern. Third, the result of can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psychologist, counselors, and teachers should consider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ies i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Future Time Perspective, Exploration Goals,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 Empirical Study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펭판,이형택 한국무역연구원 2018 무역연구 Vol.14 No.6

        Employee career management has been a challenging issue among organizations as well as scholars due to globalization. Previous studies have indicated that career management has an important impact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success. Focused on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of career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new antecedent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to discuss the boundary effect of mentor career support on such a process. Using a sample of 220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e found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was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exploration behavior via exploration goals. Furthermore, mentor career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exploration goals. Moreover, our findings carry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individual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