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Missing Prong in Rowe and Kahn’s Conceptual Framework of Successful Aging: Limitations in Its Cultural Relevance

        어윤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4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0 No.-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uccessful aging suggested by Rowe and Kahn (1997) and the roots of their conceptualiz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ultural relevance of their concept is very limited. Using three qualitative studies from the anthropology literature, the limitation in its cultural relevance is examined. The anthropological accounts with the Inuit in Canada, the !Kung in Botswana, and the Chinese in Hong Kong provide evidence that Rowe and Kahn’s conceptual framework fails to consider a cultural context. The paper calls for a revision to Rowe and Kahn’s idea and refines their framework addressing its cultural shortcomings. A brief implication for policy maker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포부 변화와 진로상담이 개인차에 미치는 영향 분석

        어윤경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3

        In the present study, change patterns of a college student's job aspiration and the effect of career counseling were verificated by multilevel analysis. Specifically, we verified whether the effect on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s were affected by gender, school type and community size. For this study, the dataset of the Korean Youth Panel Study(Cohorts of under graduate school students) was used. Results showed that generally speaking, job aspiration of a college student increased of grade significantly. But the effect of gender, school type and community size was not significant. The other hand, career counseling tim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 college student's job aspiration. In details,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unseling time and job aspiration. That is to say, the more career counseling time have low occupational status. In conclusion, career counseling is necessary for a college student. And the contents and means of communication in career counseling have to be organized in distinction from grade. 본 연구는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의 직업포부 변화패턴을 추정하고 진로상담이 개인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우선 희망직업에 대한 직업지위가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대학생의 희망직업에 대한 직업지위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 지역규모, 학교유형에 따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상담에 소요된 시간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진로상담 소요시간이 많을수록 직업포부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상담 소요시간과 직업포부 수준은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대학생이 높은 직업포부를 갖는 것이 진로 발달적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도 있으나 취업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직업포부 수준은 오히려 눈높이 조절 실패로 인해 구인ㆍ구직이 적합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진로상담시 학년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저학년과 고학년에 대하여 진로상담 내용과 전달방식을 차별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진로상담을 위한 심리검사의 반응왜곡 탐지지표 구성 : 불성실성 탐지지표를 중심으로

        어윤경 안암교육학회 2005 한국교육학연구 Vol.11 No.2

        자기보고식 심리검사에서는 반응왜곡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탐지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탐지척도의 탐지기능에 대한 객관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반응왜곡 양상 중에서 반응의 일관성 평가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탐지척도가 반응왜곡을 적절하게 탐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반응의 불성실성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우수한 탐지지표를 새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실험장면의 유보표본(hold-out sample)에 적용하여 새로 구성한 반응왜곡 탐지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척도가 탐지 척도로서의 역할을 전혀 못한다고는 볼 수 없으나 다소 미흡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불성실 반응을 탐지하기 위하여 불성실성 지표를 구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반응의 불성실성 여부에 대한 전체 분류정확률을 산출한 결과 92% 이상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구성한 불성실한 탐지지표가 진로상담 장면에서 기존의 탐지척도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진로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 탐색: 한국과 미국대학생 사례

        어윤경,이인혁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by which college students can make effective career decision-making by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esign/Methods: Individual factors include gender, major-job interest congruence, and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adaptability (CDA), and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 period of university study and Korea/US. In this study, we used gender, CDA, Korea/U.S., college study period, and major-job interest congruence to identify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undecided group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5 Korean and 131 American college students. Findings/Results: We identified eight different types of career-indecision. The chi-square test also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only Korea/U.S., IG, PR, and S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in classify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group and the career undecided group. Especially, PR, SP, IG, and Korea/U.S. showed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group classification. Values: In conclusion,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less likely to be career decided than U.S. student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developing career intervention strategies in diminishing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 환경적 요인의 영향에 주목하여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개인적 요인은 성별, 전공-직업흥미 일치도와 진로의사결정 적응력(CDA) 각 하위요인에 해당하고 환경적 요인은 대학 학습기간과 한국/미국의 영향요인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의사결정 집단과 진로미결정 집단 결정에 관여하는 변인으로 성별, CDA, 한국/미국, 대학학습 기간, 전공-직업흥미 일치도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 대학생과(145명) 미국 대학생(131명)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측정도구는 진로의사결정 적응력 척도와 진로미결정 척도를 활용하였다. 우선 준비부족 유형・정보부족 유형・비일관정보 유형・미분화 A・B・C・D・E유형의 총 8개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χ2 검증 결과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진로의사결정 집단과 진로미결정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파악하고자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한국/미국, 정보수집(IG), 지연(PR), 결정속도(SP)만이 집단 구분의 결정요인으로 유의미하게 도출되었다. 특히 PR, SP, IG, 한국/미국 순으로 집단 구분에 영향력이 큰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같이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 차이는 집단 구분을 위한 유의미한 변수로 도출되었으며, 한국 대학생들이 진로의사결정 수준이 더 낮았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개인적 ․ 환경적 요인에 따른 독특한 특성을 파악하고 문화적 차이를 함께 고려한다면 진로결정 어려움을 덜 수 있는 유용한 개입방법이 도출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다차원적 진로의사결정 과정과 진로미결정 관계에 대한 한국과 미국 대학생 비교

        어윤경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profiles(CDMP) affect their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This study assumed that there would be cultural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thus compare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es of college students from Korea and the U.S. The subjects were 115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103 college students in the U.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files of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the U.S. college students exhibited a more effectiv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an the Korean student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decision-making difficulties, but in the sub-factors, American students had difficulties as a result of personality problems. Meanwhile, Korean students had a lack of information about decision-making process, job information, and inconsistent information. Third, the results did not show u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ation but Korean stude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consistent inform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we can find ways to reduce the decision-making difficulties by understanding the level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files an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S. Fi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but Korean stude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consistent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ways of reducing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and increas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files effectively. 본 연구는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최근의 연구동향을 반영하여 이전의 진로의사결정 유형 연구가 아닌 좀 더 다차원적인 접근으로서 진로의사결정 프로파일(CDMP)을 평가하고 진로미결정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 문화적인 차이에 기인하여 진로의사결정 과정이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여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 과정과 진로결정시 겪는 어려움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 대학생(115명)과 미국 대학생(103명)이었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국가가 두 변인 사이에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과 미국 대학생은 진로의사결정 프로파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미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들보다 효과적인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보였다. 둘째 진로미결정 요인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하위요인에서 미국 대학생들이 성격적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고, 한국 대학생들은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정보부족, 직업정보부족, 비일관적인 정보로 인해 어려움을 더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의사결정 프로파일이 진로미결정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체 진로미결정 요인에 대해서는 국가가 조절효과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한국 대학생이 미국 대학생보다 비일관적인 정보로 인해 더 많이 어려움을 걲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효과적으로 진로의사결정을 함으로써 미래 직업생활에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국가간 비교를 통해 진로의사결정 프로파일 수준을 높이고 진로결정에 대한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전공-직무 일치와 직업 가치관에 따른 직무 만족도 변화 추이

        어윤경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2

        In this study, I try to predict the changing pattern of job satisfaction of job seekers with bachelor's degree and prove the effect of the major of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change using multi-level models. To do so, I intend to find out how job satisfaction, job value and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change as more investigations are done using multi-level model. As the result shows, firstly, as more investigation is done, their job satisfaction after getting a job increased gradually but the value level they try to seek through their jobs decreased. Secondly, it is shown that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of the respondents for the survey was increasing meaningfully and there was no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according to a field of specialization. Thirdly, as the degree of investigation is increasing, the job value influenced the change in job satisfaction meaningfully. Namely, it reveals that the more internal job value, the lower internal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external job value, the lower external job satisfaction. Lastly, it showed that the more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and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has static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hows that to increase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is important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s the satisfaction is proven to influence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in a positive way, we need to carry out actively the consultation for the future direction of students from the period when they are very young then it will lead to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even when they become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직무 만족도 변화패턴을 추정하고 변화에 대한 전공계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우선 직무 만족도와 직업 가치관, 전공-직무 일치도가 조사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다층모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졸 청년층들의 취업 후 직무 만족도는 조사 차수가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으나, 직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가치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 대상자들의 전공-직무 일치도는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 계열에 따른 개인차는 없었다. 셋째, 조사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직업 가치관은 직무 만족도 변화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적 직업 가치관을 높게 소유할수록 내재적 직무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 직업 가치관을 높게 소유할수록 외재적 직무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공-직무 일치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무 만족도가 증가하였고 두 요인은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과 직무의 일치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데 전공 만족도가 전공-직무 일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 시기부터 체계적으로 진로지도를 실시하여 대학생이 된 이후에도 전공 만족도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어윤경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5

        In the present study, I verified if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is affected in decision-making criterion for major and is affected in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The objects of study were 2,833 korea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i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is affected i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enerally,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is affected in college students’ level of inner decision-making criterion for major. At the same time it increas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and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lso,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ation increas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But decision-making criterion for major no longer showed any regulating effect between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and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The use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ation will enable the establishment of suggestions not only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but also on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can increase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ation effectively. 본 연구는 대학 입학후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청소년기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던 진로상담 활동과 입학과정에서 전공을 선택한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문제로 진로상담 만족도가 대학 진학시 전공선택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아울러 진로상담 만족도가 대학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 전공만족도가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때 진로상담 만족도와 대학 전공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청소년 패널자료(KYPS)의 6차년도 대학생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전공선택 요인, 대학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진로상담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진로상담 만족도가 진로선택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변인 간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전공선택 요인이 대학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만족스러운 진로상담을 많이 경험할수록 내적인 선택요인에 의해 전공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학 입학후에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대학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졌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선택 과정에서도 외적인 선택요인보다 내적인 선택요인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청소년 시기부터 지속적으로 내실있는 진로상담 활동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만족스러운 진로상담 경험은 결국 대학생활에 대한 적응력과 전반적인 진로성숙 수준을 높여 졸업 후의 진로설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 진로인식검사 개발 및 타당화

        어윤경,부재율 안암교육학회 2009 한국교육학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areer Awareness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s of career awareness. The experiment objects of the study was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1,997 students. The 5th grade was 975 students and the 6th grade was 1,022 students. After developing the Career Awareness Scale with 32 items, the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1,9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Career Awareness Scale was proved to be acceptable. The Career Awareness Scale was validated by item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Career Awareness Scale was made of three-factor structure. Examination of the item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the 32-item final scale. As the REMEA index for the model fit was below .05, the model fit showed a good result.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the Career Awareness Scale was made of 1) self-assessment 2) job awareness 3) career attitude.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the Career Awareness Scale represented well the career development level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areer Awareness Scale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psychological testing tool for career counseling.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위한 자기보고식 진로발달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연구이다.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단계는 진로인식의 단계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진로인식검사라고 명명하였다. 초등학생용 진로인식검사에 포함시켜야 할 하위 구인들을 탐색하고 내용타당도를 확보한 후, 이에 근거한 문항을 제작하였다. 문항이 제작된 후 전국규모의 표본을 선정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다양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여 문항 양호도를 검증하고 본검사 문항을 확정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위해 초등학생들의 진로발달 과업에 대한 문헌연구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자기 이해, 직업세계 인식, 진로 태도 3개 영역과 8개 하위요인에 대한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조사자료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등을 통하여 본 검사에서 선정한 하위요인의 요인구조는 최초에 구성한 진로태도 대영역에 대한 하위요인 중 계획성과 준비성 요인을 초등학생들이 구분하여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본검사에서는 3개의 대영역과 7개의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적합도 지수가 매우 양호하여 설정된 하위요인들은 초등학생 진로인식 검사를 구성하는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근거하여 개발된 문항들은 각 하위구인들을 적절하게 대표하는 문항들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진로성숙도검사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진로인식검사는 매우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임을 입증하였다. 본 진로인식검사도구는 학령기 초기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현 시점에서 초등학생들의 진로발달 수준을 탐색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