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Missing Prong in Rowe and Kahn’s Conceptual Framework of Successful Aging: Limitations in Its Cultural Relevance

        어윤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4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0 No.-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uccessful aging suggested by Rowe and Kahn (1997) and the roots of their conceptualiz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ultural relevance of their concept is very limited. Using three qualitative studies from the anthropology literature, the limitation in its cultural relevance is examined. The anthropological accounts with the Inuit in Canada, the !Kung in Botswana, and the Chinese in Hong Kong provide evidence that Rowe and Kahn’s conceptual framework fails to consider a cultural context. The paper calls for a revision to Rowe and Kahn’s idea and refines their framework addressing its cultural shortcomings. A brief implication for policy maker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성, 성역할 정체감이 직업적 성 고정관념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어윤경 안암교육학회 2008 한국교육학연구 Vol.14 No.2

        성역할 정체감과 직업과 관련된 성 고정관념은 아동기에 형성되며, 특히 직업적 성 고정관념은 아동기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층에서 나타난다. 그리고 이 두 변인은 향후 진로선택에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양상을 파악하고 생물학적 성, 성역할 정체감, 학년 변인이 직업에 대해 갖는 성 고정관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진로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000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별, 성역할 정체감 유형과 직업에 대한 성 고정관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은 어느정도 관련성을 나타내었으나 학년과는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직업적 성 고정관념 수준은 성별,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생물학적 성 뿐만 아니라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서도 직업적 성 고정관념에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기의 성역할 정체감 형성이 진로교육의 주요한 영역으로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Children’s gender-role identity and the occupational sex-stereotype are shaped in early childhood. Especially the occupational sex-stereotype continues for a long time and it strongly affects their career choice thereafter. Through the study, I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gender-role identity and sex, grade on the occupational sex-stereoty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aspect of gender-role identity i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utilized 1,000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age range of 12 to 13. The effect of gender-role identity and sex, grade on the occupational sex-stereoty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sample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type of gender-role identity by sex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type of gender-role identity by sex, grade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Furthermore, sex, grade and gender-role identity had an effect on the occupational sex-stereotype. In conclusion, in early childhood, the formation of gender-role identity has to get a bigger write up in career education.

      • KCI등재

        청소년 성격유형에 따른 진로상담프로그램의 효과 - MMTIC 성격유형의 주기능 분석을 통하여 -

        어윤경 한국교육학회 2007 敎育學硏究 Vol.45 No.4

        The prim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ny effect after a career development program has continuously been implemented. Unlike adults, this period of early juveniles is when their dominant process of personality types is actively developed. Accordingly, this study has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 of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cusing on the area of the dominant process among the process types which are judg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effect of those programs in the personality types of juveniles. For this, this study campared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result has shown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career decision, attitude, and ability indicating the effect of the program. Furthermore, the covariance analysis has revealed that career attitude, decision, and ability varies statistically by dominant process type. All the above-mentioned results considered, running a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early juveniles can be said as an effective method for enhancing the level of their career maturity. In addition, early juveniles have shown different levels of career maturity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their dominant process of personality. 최근들어 학교현장에서는 청소년의 진로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일정기간 지속적으로 운영된 후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첫번째 목적이 있다. 둘째는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판단되는 성격의 주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성격 주기능 유형에 따라 프로그램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태도, 진로능력이 성격 주기능 유형별로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임으로써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운영은 성격 주기능 유형에 따라 진로발달 수준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차를 고려하여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과정에 반영한다면 더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어윤경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5

        In the present study, I verified if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is affected in decision-making criterion for major and is affected in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The objects of study were 2,833 korea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i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is affected i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enerally,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is affected in college students’ level of inner decision-making criterion for major. At the same time it increas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and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lso,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ation increas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But decision-making criterion for major no longer showed any regulating effect between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and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The use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ation will enable the establishment of suggestions not only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but also on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can increase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ation effectively. 본 연구는 대학 입학후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청소년기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던 진로상담 활동과 입학과정에서 전공을 선택한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문제로 진로상담 만족도가 대학 진학시 전공선택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아울러 진로상담 만족도가 대학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 전공만족도가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때 진로상담 만족도와 대학 전공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청소년 패널자료(KYPS)의 6차년도 대학생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전공선택 요인, 대학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진로상담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진로상담 만족도가 진로선택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변인 간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전공선택 요인이 대학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만족스러운 진로상담을 많이 경험할수록 내적인 선택요인에 의해 전공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학 입학후에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대학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졌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선택 과정에서도 외적인 선택요인보다 내적인 선택요인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청소년 시기부터 지속적으로 내실있는 진로상담 활동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만족스러운 진로상담 경험은 결국 대학생활에 대한 적응력과 전반적인 진로성숙 수준을 높여 졸업 후의 진로설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전공-직무 일치와 직업 가치관에 따른 직무 만족도 변화 추이

        어윤경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2

        In this study, I try to predict the changing pattern of job satisfaction of job seekers with bachelor's degree and prove the effect of the major of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change using multi-level models. To do so, I intend to find out how job satisfaction, job value and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change as more investigations are done using multi-level model. As the result shows, firstly, as more investigation is done, their job satisfaction after getting a job increased gradually but the value level they try to seek through their jobs decreased. Secondly, it is shown that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of the respondents for the survey was increasing meaningfully and there was no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according to a field of specialization. Thirdly, as the degree of investigation is increasing, the job value influenced the change in job satisfaction meaningfully. Namely, it reveals that the more internal job value, the lower internal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external job value, the lower external job satisfaction. Lastly, it showed that the more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and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has static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hows that to increase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is important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s the satisfaction is proven to influence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in a positive way, we need to carry out actively the consultation for the future direction of students from the period when they are very young then it will lead to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even when they become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직무 만족도 변화패턴을 추정하고 변화에 대한 전공계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우선 직무 만족도와 직업 가치관, 전공-직무 일치도가 조사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다층모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졸 청년층들의 취업 후 직무 만족도는 조사 차수가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으나, 직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가치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 대상자들의 전공-직무 일치도는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 계열에 따른 개인차는 없었다. 셋째, 조사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직업 가치관은 직무 만족도 변화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적 직업 가치관을 높게 소유할수록 내재적 직무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 직업 가치관을 높게 소유할수록 외재적 직무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공-직무 일치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무 만족도가 증가하였고 두 요인은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과 직무의 일치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데 전공 만족도가 전공-직무 일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 시기부터 체계적으로 진로지도를 실시하여 대학생이 된 이후에도 전공 만족도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포부 변화와 진로상담이 개인차에 미치는 영향 분석

        어윤경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3

        In the present study, change patterns of a college student's job aspiration and the effect of career counseling were verificated by multilevel analysis. Specifically, we verified whether the effect on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s were affected by gender, school type and community size. For this study, the dataset of the Korean Youth Panel Study(Cohorts of under graduate school students) was used. Results showed that generally speaking, job aspiration of a college student increased of grade significantly. But the effect of gender, school type and community size was not significant. The other hand, career counseling tim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 college student's job aspiration. In details,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unseling time and job aspiration. That is to say, the more career counseling time have low occupational status. In conclusion, career counseling is necessary for a college student. And the contents and means of communication in career counseling have to be organized in distinction from grade. 본 연구는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의 직업포부 변화패턴을 추정하고 진로상담이 개인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우선 희망직업에 대한 직업지위가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대학생의 희망직업에 대한 직업지위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 지역규모, 학교유형에 따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상담에 소요된 시간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진로상담 소요시간이 많을수록 직업포부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상담 소요시간과 직업포부 수준은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대학생이 높은 직업포부를 갖는 것이 진로 발달적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도 있으나 취업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직업포부 수준은 오히려 눈높이 조절 실패로 인해 구인ㆍ구직이 적합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진로상담시 학년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저학년과 고학년에 대하여 진로상담 내용과 전달방식을 차별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청년층 흥미 분화 및 직무환경과의 일치도 변화 추정: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사 효과 검증

        어윤경 한국교육학회 2009 敎育學硏究 Vol.47 No.2

        This study estimated the change in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and the degree of congruence in the youth according to the time, and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dividual differences. Related factors of the chang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gender, age of the first measurement, self-esteem, and fostering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multi-level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change of the differentiation in time. Also, it searched for the relativity of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and the degree of congruence, and looked at the change pattern as time go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was found to decrease in general as time goes. The initial value of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and the ratio of change came out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age, and the self-esteem. That is, the female with older age has higher initial value of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in the first measurement than the male, and has a relatively slower differentiation speed. On the other hand, person with a higher self-estee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as the number of measurement increases. And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and the degree of congruence came out to have a static relativity. That is, as the differentiation increases, the degree of congruence with the desired work environment also increased. As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proceeds well, it becomes easier to select a desired job that suits himself or herself, and the expectation for achieving it increases as well. Therefore, if the various factors of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are found, they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본 연구에서는 29세 미만 청년층의 흥미 분화도와 일치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정하고 변화에 있어서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았다. 관련변인은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성(gender), 최초 측정시점의 연령, 자존감, 양육환경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목적을 위하여 우선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흥미 분화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검증하였다. 또한 흥미 분화도와 일치도의 관련성을 탐색해 보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패턴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청년층의 흥미 분화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 연령과 자존감에 따라 흥미 분화도 초기치와 변화율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여성이 남성보다 최초 검사시 연령이 높을수록 흥미 분화도 초기치가 높았고 상대적으로 분화속도는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검사 실시차수가 많아질수록 흥미 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흥미 분화도와 일치도의 관계는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분화도가 높아질수록 희망직업 환경과의 일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흥미를 탐색하고 이에 맞추어 희망직업을 선택한다는 것은 진로가 성숙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우선, 흥미 분화를 촉진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흥미 분화가 잘될수록 자신에 맞는 희망직업을 선택하기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이를 달성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흥미를 분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변인이 규명된다면 심층적인 진로상담을 위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적성 · 흥미특성에 기초한 청소년의 직업포부 설정요인 분석

        어윤경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1

        Career achievement and occupational preference are determined by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Thus those domains should be considered separately. It is also important to supplement the understanding of those domains by considering them simultaneousl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dolescents use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traits simultaneously, and it also explores whether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traits affect their job aspirations. 338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vocational interest has an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job aspirations through individual-vocational interest congruence. Second, vocational aptitude has an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job aspir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occupation in general. But vocational aptitude does no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job aspirations in specific occupational types. Finally, when the individual-vocational interest congruence increases significantly, the level of vocational aptitude is high in only artistic and conventional vocations. On the other hand, individual-vocational interest congruence isn’t related to the level of vocational aptitude in other vocations. This study implies that high school students should give greater consideration to all of their diverse psychological traits when they plan for future jobs. 진로 성취나 직업수행의 예측은 인지영역과 정의영역의 개인차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고려하여 부가적인 효과를 거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지영역에 속하는 직업적성과 정의영역에 속하는 직업흥미를 동시에 측정하여 청소년들이 직업포부를 설정할 때 이 요인들을 각각 활용하고 있는지 혹은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508명의 고교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직업흥미 유형별 개인-직업환경 흥미일치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직업포부 설정과정에서 본인의 흥미에 맞추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둘째, 직군에 따라 학생들은 자신의 적성수준을 어느 정도 고려하여 직업을 설정한다고 볼 수 있으나 이를 중분류 단위의 직업을 대상으로 세부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직업포부를 설정할 때 청소년들이 직업적성을 충분히 고려한다고 보기 어려웠다. 마지막으로 직업흥미 집단별로 A유형과 C유형에서만 일치도가 높을수록 적성수준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흥미유형 집단에서는 개인-직업환경 흥미일치도는 적성수준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현재 청소년들은 직업포부 설정 시 인지적, 비인지적 특성을 어느 정도 고려하고는 있지만 아직 충분히 통합하여 고려하고 있지는 못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검사의 활용도에 비추어 볼 때 직업포부 설정 단계에서 검사 결과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된다면, 수준 높은 개인 맞춤형 진로설계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교수,학습 환경에 따른 아동의 학교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 : 열린교육과 일반교육의 비교를 중심으로

        어윤경 한국교육방법학회 2005 교육방법연구 Vol.17 No.2

        The stress cerception and cop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different each other. And the stress perception level of stimulus in environment is affected in stress coping skill of children. Most cases of that reason due to their psychological resources. School is the place that social relation make for children at first. And most of all as their purpose is school-work(learning). a lot of stress of children is related to school stress. So the instruction environment of school is affected in the stratage for stress manage. Therefore the environment of open education is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shows indivisual resourse that have a effect on school stress perception and coping skill of children are self-efficacy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in affective aspect and the creative thinking skill, social problem solving skill in cognitive aspect. First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school stress in the relation with teacher have a narrow experience under open education environment. And the children under open education environment manage more than the children under the traditional instruction environment in stress of life problem, personal relation problem. Second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even though the type of the stress changes the coping skill of children have consistency. 동일한 스트레스 사건에 대해서도 개인에 따라 스트레스를 지각하고 대처하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아동의 경우 환경적 자극을 스트레스로 인식하는 데에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점은 아동이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심리적 개인자원에 기인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아동에게 있어 학교는 사회관계가 맺어지는 장일 뿐만 아니라 학업성취의 목적을 갖고 생활하는 곳이기 때문에 아동의 일상 스트레스 중 많은 부분이 학교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 어떠한 교수ㆍ학습환경을 조성하느냐가 아동의 스트레스 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열린교육 환경의 필요성이 대두되는데, 열린교육이란 교육의 규격화, 획일화, 형식화, 비인간화 경향을 지양하고 학교제도, 교육내용에 대한 결정, 수업 방법 등 여러 측면에서 보다 자유롭고 다양한 대안을 모색함으로써 인간 교육의 가치실현에 보다 충실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은 교사관계 학교스트레스를 열린교육 실시과정에서 더 적게 경험하였으며, 열린교육 실시과정 아동이 학교생활에서 당면문제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일반교육 실시과정 아동보다 더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통해 열린교육 환경이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동은 당면하는 스트레스 유형이 달라져도 대처방식에 일관성(안정성)을 보였는데, 이는 모든 학교스트레스 유형에 대해서 열린교육 환경이 아동의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열린교육 환경에서 성취된 개인 자원은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고양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함이 확인됨으로써 교수ㆍ학습환경이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학교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따른 학업성취도, 학교폭력, 진로성숙도의 변화: 일반계 고교와 특성화 고교의 비교를 중심으로

        어윤경,변정현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6

        The study analyzed the change patterns in adolescents' career maturity, school violence, scholastic achievement according to school career program employing multilevel models. Also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 were tested. Specifically, it tested whether the effects were continued across grade using the dataset of SELS(2010: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2010). As the result shows, firstly, as more participation in school career guidance program adolescents' career maturity level and scholastic achievement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ly, it is shown that especially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and scholastic achievement by age. On the other hands, the characteristic high school students didn't present the same pattern. Thirdly, a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chool career program is increasing,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But the characteristic high school students didn't showed significant effects. And the experiences on career program activi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change rates by linear change models. Also, about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on time independent variable,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But the characteristic high school students didn't showed significant effects. To sum up, as this study gives us the important hint we have to approach on the different school career program ways according to the kinds of high school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 high school students exist. 본 연구는 서울시 SELS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인지적․정의적 영역 변화에 대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일반계 고교생과 특성화 고교생을 구분하여 진로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인지영역에서 학년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변화를 정의영역에서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도 변화를 선형변화모형을 통하여 탐색하였다. 또한 학교폭력을 시간독립적 변수로 투입하여 진로지도 프로그램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지도 프로그램 경험이 많을수록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 수준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계 고교생과 특성화 고교생은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효과가 동일한 패턴을 보이지 않고 있다. 둘째, SELS자료의 학교폭력에 대한 문항을 시간독립적 변수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계 고교생은 학교폭력을 적게 경험할수록 진로성숙 수준의 증가폭이 큰 반면에 특성화 고교생은 학교폭력이 진로성숙 수준 변화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반계 고교생과 특성화 고교생에게서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효과가 차이를 보임에 따라 본 연구는 특성화 고교의 진로교육은 일반계 고교와 차별화된 접근 방식을 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