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T-NIR 스펙트럼을 이용한 농약 제품의 동일성 판별 연구

        안윤정,한욱,박은성,김효경,손종곤,이윤정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농약관리법 제2조에서 ‘품목’이란 개별 유효성분의 비율과 제제 형태가 같은 농약의 종류를 의미한다. 매년 농약 등록이 증가함에 따라 동일 품목에서 다양한 제품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현재까지 등록 시 제출한 시료의 FT-NIR DB는 3,404건 구축하였으며, DB를 활용하여 동일 제품의 등록 DB와 유통 DB, 동일 품목 내 제품의 스펙트럼간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단일 유효성분이며 제품이 많은 품목 중 살충제 에마멕틴벤조에이트유제2.15%, 아바멕틴유제1.8%,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액상수화제21.7%, 제초제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액제18% 4품목을 선정하였으며 유통 판매 중인 제품을 구입하여 스펙트럼을 비교하였다. 동일 제품의 등록 DB와 유통 DB의 유사성은 97.99∼99.99%가 나타났으며 동일 품목 내 제조처방이 같은 제품의 유사성은 97.06∼99.99%, 동일품목 내 제조처방이 다른 제품의 유사성은 88.66∼99.99%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FT-NIR을 활용하여 등록된 제품과 유통되는 제품간의 동일성 판별에 활용하여 등록 농약과 유통 농약의 차이를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제조처방이 다른 제품(부자재가 다를 경우)의 부자재를 분석하여 추후 정량분석 도구로서 FT-NIR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검토 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지방출신 여성들의 서울정착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안윤정,임윤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4 No.2

        In order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women from the provinces settling in Seoul, the current study conducts in-depth interviews on seven women who are working in Seoul after coming up to Seoul to attend and graduate from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under which the open coding extracted one hundred ten concepts, twenty-one sub-categories, and eleven categories encompassing them all. Causal condition is ‘difficulty of settling in Seoul’ and contextual conditions are ‘intensification of psychological anxiety’, ‘reduction in quality of life’, and ‘continuation of economic instability’. The central phenomenon is ‘dilemma of continuing life in Seoul’ and intervening condition is ‘diagnosis of ten years after coming up to Seoul’.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re ‘changes in personal life’, ‘securing economic abilities through a stable job’, and ‘finding ways to participate in the society’, while the result was ‘choosing whether to continue living in Seoul’. The paradigm of experience of women from the provinces settling in Seoul proceed from coming up to Seoul for university to becoming independent, adapting to life in the city, experiencing growth and failures, facing challenge and searching for solutions, and conducting self-evaluation and making new choices.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were aware of differences and experienced anxieties as a stranger in Seoul even after living in the city for ten years; the problems they face have become more complex and diverse since when they were in university, and while they launched a career and making money, the gap between them and their peers from Seoul has not closed. The women also express desperation that they may need to leave Seoul to find alternatives to problems caused by accumulated stress and social problems that cannot be solved by an individual.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confirmed that efforts by individuals can only have limited effects in helping women from the provinces to settle in Seoul, indicating that detailed policy plans are required to solve social issues in the overall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서울로 상경한 지방출신 여성들의 서울정착 과정에서의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로 대학을 진학하고 졸업 후 남아 직장생활을 지속하고 있는 7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에서는 110개의 개념, 21개의 하위범주와 이들을 포함하는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서울정착의 힘겨움’이며 맥락적 조건으로는 ‘심리적 불안 심화’, ‘생활의 질 하락’, ‘경제적 불안의 지속’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으로는 ‘서울정착의 지속여부에 대한 딜레마’로, 중재조건은 ‘서울상경이후 10년의 경험진단’으로 드러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개인생활의 변화’, ‘안정된 직장을 통한 경제력 확보’, ‘사회참여의 모색’으로, 결과는 ‘서울 정착의 지속성 여부 선택’으로 나타났다. 지방출신 여성들의 서울 정착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패러다임은 대학진학을 위해 서울로의 상경과 독립, 순응과 적응, 성장과 실패, 도전과 모색, 성찰과 새로운 선택 등의 정착과정을 거쳤다. 참여자들의 경험을 종합해 보면 이들은 30대가 되었어도 이방인과 같은 이질감과 불안을 인식하고 있었다. 당면한 문제들은 대학시절 보다 훨씬 복합적이고 다양해졌다. 직장인으로서 경제활동을 본격화하였지만, 서울 출신들과의 격차는 좁혀지지 않았다. 이제 이들은 누적된 피로감과 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사회적 문제로 인해 서울을 떠나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절박감마저 엿보였다. 결론적으로 서울 상경 여성들의 안정된 정착은 개인의 노력만으로 한계가 있으며, 한국 사회 전반의 사회적 문제해결과 더불어 구체적 정책 대안들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대책 특성 및 개선 방향

        안윤정,강영은,박창석,김호걸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6 환경영향평가 Vol.25 No.4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stablishing a reg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as the climate change impact in the region and local scale increases.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32 regions on its characteristics of loc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First, statistic program R was used for conducting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frequency and budgets of adaptation plan. Further, we analyzed damage frequency from newspapers regarding climate change impacts in eight categories which were caused by extreme weather events on 2,565 cases for 24 years.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was compared with damage frequency patterns for evaluating the adequac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on each cluster. Four different clusters were created by cluster analysis. Most clusters clearly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on certain sectors. There was a high frequency of damage in ‘disaster’ and ‘health’ sectors.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and budget also invested a lot on those sectors. However, when comparing the relative rate among regional government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ypes of damage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We assumed that the difference could come from that each region established their adaptation plans based on not only the frequency of damage, but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expert opinions as well. The result of study could contribute to policy making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 및 위험은 지역적, 국지적 차원에서 더욱 확장되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적 영향 및 특성을 반영한 기후변화 적응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초지자체 적응대책의 분야별 사업 수 및 예산의 특성을 분석하고 피해사례와 비교·검토하여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기초지자체 적응대책 특성 분석을 위해 군집분석을 통하여 지자체 적응대책의 유형별 특성을 파악 했다. 적응대책의 계획이 실제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과거 24년 동안 지자체별 관측 영향 결과(신문기사 2,565건)와 비교·분석을 수행했다. 군집분석 수행 결과 군집은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전국 피해 유형으로 재난재해, 건강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피해 빈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적응계획 또한 재난재해, 건강, 농업, 물 관리순서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하지만 피해 사례 반영의 비중과 단기 및 장기 미래에 대한 고려 수준에 따라서 각 군집별로 피해빈도와 적응계획의 특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초지자체 특성및 지역별 실질적 피해에 기반 한 적응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의인화된 브랜드 역할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해석과 노스탤지어를 중심으로

        안윤정,이지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3

        Brand anthropomorphism is a marketing strategy that enables companies to differentiate their brands and form long-term relationship with consumers. Previous research have shown positive influences of brand anthropomorphism on consumer response, and they have also studied anthropomorphized brand role as servant and partner bran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nthropomorphized brands positively influence the interaction with consumers and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 These influences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variables such as materialism and social connectedness. However, previous research did not examine that perceptions of social relations could be influenced by personal preferences of consumers. Also, they did not examine factors that can increase consumers’ preference for partner brands by forming long-term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In this study, self-construal and nostalgia are presented as two key variables. Study 1 revealed that the advertisement attitude toward the anthropomorphized brand rol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ype of self-construal. Specifically, independent self-construal participa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ervant brand than partner brand. On the other h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participa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partner brand than servant brand. Study 2 further examined the role of nostalgia.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self-construal became nonsignificant when the nostalgia was primed. That is,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partner brand was more positive compared to servant brand regardless of the type of self-construal. Finally, implications for develop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using brand anthropomorphism and nostalgia were suggested. 브랜드 의인화는 기업들이 자사의 브랜드를 경쟁자의 브랜드와 차별화시키고 소비자들과 장기적인 유대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다. 선행연구들은 소비자들의 반응에 대한 브랜드 의인화의 긍정적인 영향력에 대해 밝히고 의인화된 브랜드 역할을 서번트와 파트너 브랜드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의인화된 브랜드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소비자들의 개인적 성향의 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특정 역할의 브랜드에 대한 선호를 높이는 방안에 대해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아해석과 노스탤지어를 핵심변수로 제시하였다. 실험 1의 결과, 자아해석에 따라 의인화된 브랜드 역할에 대한 광고태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독립적 자아해석의 피험자들은 파트너 브랜드에 비해 서번트 브랜드에 대한 광고태도가 더 긍정적인 반면,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피험자들은 서번트 브랜드에 비해 파트너 브랜드에 대한 광고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는 추가로 노스탤지어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노스탤지어가 예열될 경우 소비자들은 관계에 대해 더 생각하고 소속감과 유대감을 느끼기 때문에 자아해석과 관계없이 서번트 브랜드에 비해 파트너 브랜드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이 브랜드 의인화 전략과 노스탤지어를 활용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클라이언트 사망을 경험한 사회복지사를 위한 집단인지행동치료 효과성 연구

        안윤정,현진희,김희국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4 Crisisonomy Vol.20 No.4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사망을 경험한 사회복지사의 회복을 돕기 위해 윌리엄 워든의 애도 4단계모델을 적용한 집단인지행동치료를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달성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게 지속적 비애,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불안, 우울에 대한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매 회기 시작 전·후에 불편감 점수를 작성하였다. 본집단인지행동치료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지속적 비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불안, 우울은 사전점수보다 사후점수가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 회기 전·후로 실시한실험집단 참여자들의 불편감 점수 역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클라이언트사망을 경험한 사회복지사의 회복을 돕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진로교육자의 자녀 대학입시 준비과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안윤정 한국질적탐구학회 2024 질적탐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대학입시 준비과정에서 진로교육자 어머니로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그 과정의 갈등은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수용하고 조절해 나가는지를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조명해 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기억회상자료, 일기장, SNS기록자료, 카카오톡 대화자료, 교사상담 및 문자 대화자료, 학교성적표 및 생활기록부자료, 입시설명회자료, 자녀와의 심층면담자료 등이다. 수집된 자료는 시간순으로 정리하고 이를 주제어 중심으로 코딩하여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학군지에서 낮아진 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에 대해 아이의 의사를 존중한다고 하면서 방관하는 결과를 낳았다. 둘째, 고등학교 동안 진로목표의 변경이 어려운 입시과정에서 진로교육의 목표와 가치가 실현될 수 없었다. 셋째, 탐구의 질보다는 양이 중요한 생활기록부 만들기를 위해 전략과 의미 사이의 갈등을 경험하였다. 넷째, 전공을 버리고 명문대 진학이라는 차선의 선택에 대해 동조하였다. 다섯째, 사교육 일번지에서 재도전하려는 아이에게 진로교육자도 별수 없는 선택과 지원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과정이 하나의 통과의례로 쉽게 다루어지거나 수험생들이 겪는 경험을 개별적인 성장통으로만 간주되지 않도록 이 입시경험이 놓여진 사회적 맥락에 대한 진로교육자로서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성찰하였다. 또한 수험생 어머니로서의 경험이 더 어렵고 열악한 상황 속에서 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어머니들에게도 공명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하며 진로교육자로서의 제언들을 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experience of a career educator mother in the process of preparing her child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e conflicts in the process, and how they accept and manage them through autoethnography. The data collected for the study include memory recollections, diaries, social media records, KakaoTalk conversations, teacher counseling and text conversations, personal school record and biographies, admission listing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her child. The collected data were organiz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categorized by coding them into them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ulted in the child ignoring the child’s lowered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in a non-academic setting while saying that the child’s will was respected. Second, the goal and value as a career educator could not be realized in the entrance examination process where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career goal during high school. Third, She experienced conflicts between strategy and meaning in order to make personal school record where quantity is more important than the quality of inquiry. Fourth, I sympathized with the suboptimal choice of dropping my major and going to a prestigious university. Fifth, for a child who wanted to try again in a private school, the career educator had little choice and suppor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reflects on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is entrance examination is placed so that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s not easily treated as a rite of passage or the experiences of the examinees are not considered only as individual growing pains. It also includes suggestions as a career educator in the hope that the experience of being a mother of an examinee will resonate with mothers who are preparing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under more difficult circumst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