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stnatal Developmental Expression of TEM7 mRNA and its Putative Ligand in the Rat Cerebellum

        강동식(Dong Sik Kang),서인애(In Ae Seo),이현경(Hyun Kyoung Lee),정진용(Jin Yong Chung),김종민(Jong-Min Kim),이규열(Kyu Yeol Lee),박환태(Hwan Tae Park) 대한해부학회 2005 Anatomy & Cell Biology Vol.38 No.5

        Tumor endothelial marker 7 (TEM7)는 암세포의 혈관내피세포와 소뇌 신경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세포막 단백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in situ hybridization과 ligand binding assay를 이용하여 발생중인 흰쥐소뇌에서 TEM7 mRNA와 그 가상적인 리간드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분비되는 형태로 만들어진 TEM7 세포외부분의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리간드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TEM7의 가상적인 리간드는 소뇌 조롱박세포의 가지돌기가 존재하는 분자층에 특이적으로 분포하였다. 발생학적인 연구는 조롱박세포에서 TEM7 mRNA의 발현이 나이에 따라 증가함을 보여 주었고, 분자층에 존재하는 가상적인 리간드는 출생후 발육과정 전 기간에 걸쳐 존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TEM7과 리간드의 상호작용이 출생 후 발달과정동안 조롱박세포의 분화에 중요한 기능을 함을 보여준다. Tumor endothelial marker 7 (TEM7) is a putative transmembrane protein that is highly expressed in the tumor endothelium and cerebellar neurons. In the present study, the expression profile of TEM7 mRNA and its putative ligand in the developing cerebellum of the rat was investigated using in situ hybridization and ligand binding assay. The secreted recombinant ectodomain of TEM7 was employed to label the expression of putative ligand of TEM7 in the cerebellum. The expression of a putative ligand of TEM7 demonstrated by using TEM7 ectodomain was found in the molecular layer of the cerebellum, where the dendritic trees of Purkinje cells are present. A developmental study has shown that TEM7 mRNA expression in the Purkinje neurons was increased with age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whereas the putative ligand labeling in the molecular layer was observed throughout the developmental perio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EM7-ligand interaction plays a role in the differentiation of Purkinje cells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 KCI등재

        흰쥐 앞뇌에서 Tumor endothelial marker 7의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 연구

        강동식(Dong Sik Kang),이현경(Hyun Kyeng Lee),박혜경(Hye Kyung Park),서인애(In Ae Seo),이규열(Kyu Yeol Lee),박환태(Hwan Tae Park)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5

        Tumor endothelial marker 7 (TEM7)은 종양의 혈관내피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군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TEM7의 신경계에서의 기능과 발현을 이해하기 위해서 TEM7에 대한 polyclonal antibody를 제작하여 흰쥐 앞뇌(forebrain)에서 TEM7의 발현을 연구하였다. TEM7의 세포외 부분의 일부를 항원으로 이용하여 제작한 항체는 Western blot과 면역조직화학법에 활용될 수 있었다. 흰쥐 전뇌에서 TEM7은 대뇌피질, 해마, 시상하부 등의 신경세포에 분포하였다. 뇌의 투사신경세포에서 TEM7은 세포체와 가지돌기에 주로 존재하였다. 하지만 뇌아교세포, 혈관세포 그리고 뇌막 등에서는 관찰되지 않아 TEM7은 뇌에서 신경세포 특이적인 기능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Tumor endothelial marker 7 (TEM7) is a putative transmembrane protein that is highly expressed in the tumor endothelium. In the present study, the expression profile of TEM7 in the rat forebrain was investigat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with a specific polyclonal antibody against the extracellular region of TEM7. The immunohistochemical research revealed that TEM7 expressions were localized to specific neuronal areas such as cerebral cortex, hippocampus and hypothalamic magnocellular nuclei. The TEM7 protein was mainly present in the dendrite and cell body of the projection neurons. However, glial cells,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meningeal cells did not show the expression of TEM7, indicating the specific roles of TEM7 in the neuronal cells in the vertebrate nervous system.

      • Klebsiella pneumoniae가 생성하는 TEM형 Extended-spectrum β-lactamase의 분석

        권영미,배현주,김정민,김종원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2

        목 적 : 국내의 임상검체에서 분리되는 K. pneumoniae 중 ESBL을 생산하는 균주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 pneumoniae가 생산하는 ESBL중 TEM형 ESBL에 관한 분석을 시행하여 국내의 주된 TEM형 β-lactamase의 성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국내의 3개 대학병원에서 수집한 ESBL 생산 K. pnuumoniae 57균주를 대상으로 PCR로 TEM 유전자를 스크린하였고, 이중 양성을 보였던 13균주 중 11균주의 TEM 유전자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접합 실험을 통하여 내성의 전달을 확인하였고, IEF로 등전점을 측정하였다. 각 균주의 야생주와 transconjugant에 대한 MIC를 측정하였고, TEM-52효소의 각 항생제의 hydrolysis rate를 spectrophotometric assay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10개의 균주가 TEM-52를 생산하였다. TEM-52유전자를 TEM-1과 비교시 3개의 아미노산 변이를 보였다. 104 glutamic acid →lysine(GAG →AAG), 182 methionine →threonine(ATG →ACG), 및 238 glycine →serine (GGT →AGT). MIC 치로 볼 때 TEM-52를 가진 세균은 cefotaxime 보다는 ceftazidime에 비교적 낮은 수준의 내성을, aztreonam에는 더 낮은 내성을 나타냈으며, kinetic study에서도 TEM-52의 cefotaxime 분해능은 강하였고 (Vmax, 340), ceftazidime 분해능은 비교적 약했으며 (Vmax, 15.1), aztreonam은 매우 미약하게 분해하였다. TEM-52 β-lactamase 유전자는 약 77-kb 크기의 플라스미드에 위치하였다. 결 론 : 국내에서 분리되는 ESBL 생성 K. pneumoniae는 TEM형 ESBL중 TEM-52를 가장 흔히 생산하였다. Background : The prevalence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ESBL)-producing organisms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We performed a study to characterize various TEM derivatives with clinical isolates of Klebsiella pneumoniae collected from 3 hospitals in Korea. Methods : Fifty-seven isolates of ESBL-producing K. pneumoniae collected from 3 hospitals were screened by TEM-specific PCR for the carriage of TEM genes. Thirteen strains were found to have TEM-related genes. Eleven bla??? genes were amplifed and sequenced. The transfer of resistance was tested by conjugation and isoelectric point of β-lactamases were determined MICs were measured to obtain a resistance pattern for each indivudual wildtype and transconjugant strain. The hydrolysis rate of TEM-52 was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Results : Ten strains carried plasmid-mediated TEM-52 gene, which sequence showed the substitution of 3 amino acids compared to that of TEM-1:104 glutamic acid →lysine (GAG →AAG), 182 methionine →threonine (ATG →ACG), and 238 glycine →serine (GGT →AGT). MIC showed that TEM-52 mediated a resistance to ceftazidime and aztreonam at a lower level than to cefotaxime. TEM-52 enzyme dydrolyzed cefotaxime efficiently (V??, 340) and showed fairly weak activity for ceftazidime (V??,15.1), but very weak activity for aztreonam. The gene of TEM-52 β-lactamases was mediated by approximately 77-kb plasmids. Conclusion :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TEM-52 β-lactamase is a common TEM-type ESBL in K. pneumoniae in Korea.

      • SCOPUSKCI등재

        국내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Eschepichia coli의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현황

        이계남,김우주,이연희,Lee Kyenam,Kim Woo-Joo,Lee Yeonhee 한국미생물학회 2004 미생물학회지 Vol.40 No.4

        최근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생산 임상 균주의 급속한 증가와 확산은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생산 임상 균주의 발생율을 파악하고자 국내 한 대학병원에 입원한 환자로부터 대장균을 분리하여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충 233균주 중 184균주 $(78.9\%)$가 ampicillin에 대해 내성을 나타냈으며, 80균주$(34.3\%)$가 cephalothin에, 93균주$(39.9\%)$가 gentamicin에, 64균주$(27.5\%)$가 norfloxacin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중 17균주$(7.3\%)$가 double disk synergy test에 의해 양성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들에 대해서 6가지 항생제에 대한 최소 억제 농도를 추가적으로 시험한 결과, 13 균주가 4가지 이상의 다른 계열의 항생제에 대한 다중 약제 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Isoelectric focusing gel electrophoresis에 의한 pI값과 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5균주가 TEM-1,1균주가 TEM-15,1 균주가 TEM-20,4균주가 TEM-52,2균주가 TEM-1과 AmpC, 1균주가 TEM-1과 OXA-30,1 균주가 TEM-1과 OXA-33,1 균주가 TEM-1, CTX-M-3, AmpC, 그리 고 1 균주가 AmpC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HV를 생산하는 균주는 없었다. 이들의 항생제내성 유전자가 전달되는지 확인한 결과 동물로부터 분리된 대장균 (CCARM No.1203)에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생산 유전자가 전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와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분석을 사용하여 genomic DNA에 대한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 균주간의 유전적 연관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한 병원에서 발견되는 균주는 clonal spread에 의한 것이라는 일반적인 보고와 다른 결과를 얻었다. Recently, the rapid increase and global spread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producing clinical isolates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The incidence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producing clinical isolates of Escherichia coli in Korea and susceptibility to antimicrobial agents were investigated. Total 233 isolates of E. coli were obtained from urine from hospitalized patients in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in 2001. One hun­dred and eighty four isolates $(78.9\%)$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80 isolates $(34.3\%)$ were resistant to ceph­alothin, 93 isolates $(39.9\%)$ were resistant to gentamicin, and 64 isolates $(27.5\%)$ were resistant to norfloxacin. Among 233 isolates, 17 isolates $(7.3\%)$ were positive as determined by the double disk synergy test. When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were assayed with additional 6 antimicrobial agents, 13 isolates $(76.5\%)$ were multi-drug resistant to at least four different class antimicrobial agents.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were characterized with isoelectric focusing gel electrophoresis and DNA sequencing. They were TEM-1 in 5 iso­lates, TEM-15 in 1 isolate, TEM-20 in 1 isolate, TEM-52 in 4 isolates, TEM-1 and AmpC in 2 isolates, TEM-1 and OXA-30 in 1 isolate, TEM-1 and OXA-33 in 1 isolate, TEM-1, CTX-M-3, and AmpC in 1 isolate, but SHV was not detected.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were transferred to animal isolate of E. coli (CCARM No. 1203) by the filter mating method.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producers studied in the current study have low correlation to each other as determined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and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This is a contradictory result from the general hypothesis that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pro­ducers in one hospital is a result from a clonal spread.

      • KCI등재

        TEM 탐사에 의한 간척지내 전도성 표층 하부 지질 구성 파악

        황학수 ( Hak Soo Hwang ),문상호 ( Sang Ho Moon ) 대한지질공학회 2011 지질공학 Vol.21 No.3

        간척지를 대상으로 시간영역 전자 탐사를 수행하였다. 간척에 사용한 준설 토양은 인접 바다에서 채취한 해양 퇴적물 점토로서, 현재 준설층은 상부의 일부분만 고결된 상태이고, 그 하부는 점토와 해수가 혼재된 미고결 상태이다. 해양기원퇴적 점토는 일반적으로 0.3 S/m 이상의 매우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는다. 연구지역은 암반 상부에 전도성 표토층이 두껍게 존재하는 환경으로서, TEM 탐사를 실시하여 전도성 표토층 하부에 존재하는 기반암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였다. TEM탐사에서 사용된 송수신 배열은 30 m × 30 m 동위치 송수신 배열이고, SIROTEM MK3의 이른 지연 시간대(0.050~20.575 ms)에서 TEM 반응을 측정하였다. TEM 자료에 대한 역산 결과를 시추 자료와 비교한 결과, 해성 점토로 구성된 준설층과 원지반 퇴적층의 전기비저항 값은 약 2 Ω-m 이하로 해석된다. 퇴적층 하부에 존재하는 풍화암은 10~20 Ω-m 범위의 전기비저항 값을 보이며, 연암은 약 70 Ω-m 이상의 값을 갖는다. 지표로부터 풍화암까지의 심도는 26~58 m 범위이며, 풍화암의 하부에 분포한 연암의 심도는 지표로부터 46~75 m 범위를 보였다. Transient/time-domain electromagnetic (TEM) soundings were carried out on reclaimed land, since the TEM sounding has good resolution of a conductive and thin overburden. The reclamation material is marine clay dredged from the seafloor, which is currently undergoing consolida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dredged layer. The conductivity of the marine-origin clay is generally more than 0.3 S/m. The aim of the TEM sounding was to determine the depths of weathered and soft rocks overlain by thick and conductive overburden. The TEM responses were measured at delay times of 0.050-20.575 ms with a 30 × 30 m coincident loop array. Data from the TEM inversion and core logging indicate that the resistivities of the conductive overburden are less than 2 Ω-m, while those of the weathered and soft rocks are 10-20 and 70 Ω-m, respectively. The depth to weathered rock is 26-58 m and the depth to soft rock is 46-75 m.

      • KCI등재후보

        네모 동축선과 TEM 셀의 분산관계 해석

        조용희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1

        A rectangular coaxial line is mainly utilized as a transition structure from a coaxial line to a rectangular waveguide. A TEM cell is also widely used to measure the EMC characteristics of a DUT. In order to understand the operations of a rectangular coaxial line and a TEM cell,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dispersion relations of a rectangular coaxial line and a TEM cell. In this paper, we present simple yet accurate dispersion relations of the TE and TM higher modes based on the TEM mode. Manipulating a mode-matching technique and a Green's function approach allows us to obtain the analytic dispersion equations of a rectangular coaxial line and a TEM cell. In our approach, a rectangular coaxial line is divided into four L-blocks and its electromagnetic fields representations are easily obtained with a superposition. To verify the convergence of our dispersion relations, we perform numerical computations and compare our results with those of FDTD. 네모 동축선은 동축선과 도파관을 연결하는 대표적인 천이구조이다. 또한 TEM 셀은 DUT의 EMC 측정을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소자이다. 네모 동축선과 TEM 셀의 동작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네모 동축선과 TEM 셀의 분산관계 해석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TEM 모드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고차 모드인 TE와 TM 모드에 대한 분산관계를 단순하면서도 정확한 방법을 이용해 유도한다. 모드정합법과 그린 함수를 이용하여 네모 동축선과 TEM 셀의 분산관계를 해석적으로 정확히 다룬다. 이를 위해 네모 동축선의 구조를 4개의 L블록으로 나누고 중첩의 원리를 사용하여 전체 전자장 표현식을 쉽게 구한다. 분산관계 수렴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행하고 FDTD 결과와 비교한다.

      • KCI등재

        元代 兩都內戰(1328)과 동북지역 —요양행성과 동도제왕 세력의 향배 및 세력 浮沈을 중심으로

        최윤정 동북아역사재단 2014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6

        The death of Yisün Temür (Tai ting di) Qa’an in Shang-tu on 15 August 1328 touched off a destructive succession struggle. Although the war of the two capitals did not last a long time, as a result of the war the highest authorities were replaced. In various aspects this wa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wer structure of the Yuan Empire, where people were divided based upon their interests. At this time, the Army head of Liaoyang Province and the Odcigin family, Chinggis Qan’s youngest brother, supported the Shang-tu court. On 4 September 1323, when Shidebala (Yingzong) and Baiju (yu cheng hsiang) with the Imperial party had encamped at Nan-po on its return from Shang-tu to Ta-tu, they were killed (the “Coup in Nanpo”). Yisün Temür became the greatest beneficiary. Seeking the throne, settling the governing group’s internal conflict and infighting, and compensating various alleged causes of Shidebala’s death, Yisün Temür expanded the profit of the royal families. In particular, Toqto’a, Prince of Liao, supported Yisün Temür’s accession to the throne because they had an apolitical and geographical relationship. As a result, Toqto’a supported the accession to the throne of Arigibag, son of Yisün Temür, and was trying to expand his forces and authority in Mongolia. Initially, the Shang-tu court force had the upper hand. However, it was defeated as a result. Regarding the factors for the Ta-tu court’s victory, not only El Temür’s personal capacity, but also geographical and economic superiority have been emphasized. How did El Temür of the Ta-tu court achieve a decisive victory? After the Middle Road army and the East Road army of the Shang-tu court had collapsed, Buqa Temür, of the Eastern Mongolian Chief Military Command, and Örlüg Temür, the prince of Ch’i, supported the Ta-tu court after changing their initial positions. That became a crucial opportunity for the Ta-tu court to achieve victory. 태정제 이순 테무르 사후 폭발된 양도내전(1328)은 최고 권력자인 대칸 권력의 轉移를 초래했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 대원 제국 대부분의 행성과 제왕 세력이 자신의 입장에 따라 정쟁에 개입하며, 각자의 입장에 따라 분열하며 제국의 정치・군사적 측면의 변화를 가져온 중요한 사건이었다. 이때 옷치긴 일가와 잘라이르부를 핵심으로 하는 동도제왕계 대다수와 요양행성의 군대가 상도 측을 지지하는 입장에 섰다. 영종 시데바라가 우승상 바이주와 함께 순행에서 귀환 도중 남파에서 살해된 ‘남파지변’(1321)의 최대의 수혜자가 된 진왕 이순 테무르는 즉위 후, 통치집단 내부의 갈등과 내분을 수습하고 영종의 피살로 야기된 각종 의혹을 무마하기 위해 제왕종척에 대한 대우를 대대적으로 제고하였다. 특히, 이순 테무르와 요왕 일가의 지리적・정치적 유대성으로 톡토아는 진왕의 대칸 즉위를 지지했고, 이후에도 톡토아는 태정제의 아들 아리기바를 적극 지지하며 옷치긴 일가의 세력 확장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양도내전은 당초 군사적으로 열세했던 대도측이 승리를 거두고, 태정제의 적장자로서 황태자라는 계승 자격과 명분을 갖추고, 요동과 섬서지역 군사적 지지를 받던 상도 측의 패배로 끝났다. 대도 측의 승리 요인에 대해서, 기존에는 대도 측의 지리적・경제적 우위성과 엘 테무르의 개인적 역량이 강조되었다. 본고의 검토를 통해서, 대도의 엘 테무르가 측이 결정적으로 승리를 거두게 되는 계기는 상도의 중로군과 동로군이 궤멸된 이후 톡토아와 우룩 테무르로 대표되는 동도제왕계의 분열과 입장 변화가 결정적 계기를 제공했음을 살펴보았다. 요컨대, 동도제왕계의 분열과 요동 지역 주둔 군대의 입장 변화는 양도내전에서 궁극적으로 대도 측의 승리를 가져온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Recent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TEM-135 β-Lactamase-harboring Neisseria gonorrhoeae in Korea

        임정훈,김현수,이혁민,용동은,정석훈,이경원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8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38 No.4

        Background: We investigated the molecular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 of penicillinase-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PPNG) isolates to monitor the change in distribution of blaTEM in Korea. Methods: We collected 804 PPNG isolates from diverse hospitals and clinics mainly located in Seoul, Korea, over a period of 11 years (2005–2015). Isolate susceptibility to seven antimicrobials was determined using the agar dilution test. The molecular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s were determined by Sanger sequencing of blaTEM, N. gonorrhoeae multiantigen sequence typing (NG-MAST) and plasmid typing. Results: Among 72 fully sequenced PPNG isolates, sixteen (22.2%) possessed TEM-135. All TEM-135 isolates had a common silent mutation (c.18C>T), which was previously unreported. We observed a pattern of continu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TEM-135 isolates since 2012. The median and 90%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azithromycin were substantially lower in the TEM-135 group than in the non-PPNG and TEM-1 groups. All TEM-135 isolates showed different NG-MAST types and predominantly harbored Toronto/ Rio (75%) plasmids. A comprehensive comparative analysis of PPNG with TEM-135 according to NG-MAST, plasmid type, and year of isolation revealed a wide distribution. Conclusions: The proportion of TEM-135 PPNG has continuously increased since 2012, in association with clonal spread. The difference at position 18 of the TEM-135 sequence can be interpreted as the existence of multiple clonal complexes. The possibility that TEM- 135 was acquired via foreign plasmids requires careful follow-up and continuous monitoring of TEM-135 to ascertain whether it constitutes a step towards evolutionary change.

      • KCI등재

        日本語を学ぶ韓国人ろう者のライフストーリー ― 複線径路等至性モデル(TEM)を用いて ―

        若月祥子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4 No.-

        본 논문은 일본어를 배우는 한국인농인의 라이프스토리를 복선경로등지성(複線径路等至性) 모델(TEM)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마이너리티를 대상으로 한 일본어교육의 공헌가능성에 대해 시사점을 얻으려는 것이다. TEM이란 비가역적시간(非可逆的時間) 속에서 개인의 라이프스토리를 기술하는 문화심리학적 방법론으로, 개인의 변용을 환경과의 관계에서 파악하되, 구조가 아닌 과정을 이해하려는 점에서 그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농인(20대 남성)을 세 번에 걸쳐 한국수화로 반구조화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스토리를 4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농학교로 전학한 것이 한국수화를 L1으로 획득하는 분기점(BFP1)이 되었고, 대안학교에서 학습한 것이 한국어를 L2로 획득하는 분기점(BFP2)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가 L1, L2습득을 통해 더 공부하고 싶다는 의욕을 가지고 스스로 책을 읽게 된 것은 일본어학습이라는 등지점(等至点, EFP)에 도달하기 위한 필수 통과점(OPP)이 되었고, 일을 그만두어 시간여유가 생긴 것과 Skype를 사용하여 일본인농인에게 한국수화를 가르치기 시작한 것은 제2의 등지점(EFP2)으로 이어지는 분기점이 되었다. 농인에게 있어 외국어를 배우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만, 이 사례는 농인이 외국어학습을 통해서 해외와 교류하고 자신의 세계를 넓힐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가 이렇게 자신의 세계를 넓힐 수 있었던 것은 농인교회에 개설된 일본어교실과 일본어교사가 가까이에 있다는 점 등, 일본어학습에 대한 접근성(accessibility)이 높았기 때문이다. 농인을 비롯한 마이너리티가 일본어 학습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히는 것이 일본어교육이 마이너리티에게 공헌 가능하게 하는 길임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life story of a deaf Korean person by using the Trajectory Equifinality Approach (TEM) and explore if there exists the potential for contributing to the Deaf minority through Japanes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EM is a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sychology for describing life within irreversible time in an individual’s life course and aims to describe the transaction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Moreover,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the story, TEM focuses on the process. In this research, thre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held. The interviewee is a deaf Korean man in his twenties. His story was reconstituted by a time series and analyzed by TEM in four phases. The analysis by TEM showed that transferring to a school for the Deaf was a Bifurcation Point (BFP1) for acquiring KSL for L1, and attending an alternative school for the Deaf was a BFP2 for acquiring Korean for L2. By acquiring L1 and L2, he became motivated to learn and read books, and they became Obligatory Passage Points (OPP) which led to the Equifinality Point (EFP): he started studying Japanese. Furthermore, the free time gained by quitting his job and starting to teach KSL to deaf Japanese people has become two BFPs which leads to the second EFP: he continuously contacts people overseas. For deaf people, it is not easy to study a foreign language, but this analysis shows the potential to broaden their own world. The reason he could broaden his own world is that he could easily access a Japanese class in a church for the Deaf or a Japanese teacher. Thus, Japanese education can contribute by improving accessibility for minorities, such as Deaf people, by providing them with the opportunity to study Japanese.

      • KCI등재

        항공기 비정상 자세 사고의 TEM 분류 및 UPRT 향상에 관한 연구

        최진국,전승준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1

        Loss of Control in Flight(LOC-I) due to aircraft upset attitude has the highest air accident rate, and International Aviation Institute such as ICAO and FAA recommended flight crew to operate aircraft safely through UPRT(Upset Prevention & Recovery Training) program. ICAO has selected Loss of Control(LOC) as key safety indicator, and recommended to respond using TEM(Threat and Error Management). However there are not much specific treats and errors classified for UPRT programs using real TEM based on evidences. This study intends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UPR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UPRT and accident analysis using TEM. Typical upset accidents were classified to common threats as IFR, inadequate training, Automation surprise, and inexperienced copilots. The common errors were cross-check, speed and altitude deviation, callouts, communication, thrust and stall action fail. The undesired aircraft states were inadequate automation mode, Deviation of speed and vertical, stall, and crash. These suggest areas to improve UPRT. 항공운항사고율은 항공기 비정상 자세(Upset)로 인한 조종능력상실(LOC­I: Loss of Control in Flight)이 가장 높아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국제민간항공기구)는 TEM(Threat and Error Management)을 활용하여 비정상자세 예방 및 회복훈련(UPRT: Upset Prevention & Recovery Training)을 하도록 권고하였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항공기 비정상 자세에 관한 TEM 요인 연구가 많이 도출되지 않은 관계로 항공사들이 실질적인 TEM 훈련에 참고할 자료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UPRT의 소개와 항공기 비정상 자세로 인한 대표적 사고 3건을 ICAO에서 권고하는 TEM으로 분류하여 핵심요소인 위협과 에러, 불안전항공기 상태의 공통요인을 도출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대표적인 비정상자세 사고를 TEM을 활용하여 분류한 결과 공통위협으로는 야간비행/IFR, 자동화 놀람, 부적절한 훈련과 미숙련 부기장 편조로 나타났다. 공통 에러로는 부적절한 엔진 추력, 절차적용오류, 조종, 속도이탈 및 고도이탈, 의사소통실패, 항공기 이상자세, 복창실패, 크로스 체크 실패 등으로 나타났으며, 불안전항공기 상태로는 부적절한 자동화 모드, 저속이탈, 수직 이탈, 부정확한 엔진 추력 등으로 실속하여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통요인으로부터 개선방향을 도출하여 본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는 TEM활용 Upset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