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명성수준에 따른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효과

        최수아,정효선,황윤용 한국유통과학회 2014 유통과학연구 Vol.12 No.4

        Purpose - Brands and products often play key roles in enabling consumers to experience a good attitude, resulting in mentally enacting a specific prototype and reliving the experience by retelling a specific story. Brand storytelling can function as an important tool for managing the brand. To successfully apply a firm’s brand storytelling, it is important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storytelling. Therefore, by utilizing the research of Escalas (1998) and Fog et al. (2005), a list of measurements for storytelling component quality (SCQ) was applied. In addition, customer attitudes toward brand storytelling were tested. In particular, if customers encounter a dynamic and interesting story, although the brand is not widely known, they can be in communion with the brand and establish an emotional connection (Hill, 2003). Thus, brand reputation was divided into two levels (high vs. low), and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between storytelling component quality and consumers’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was examin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By using the measurement list used in Choi, Na, and Hwang (2013), 12 categories in the level of message quality, conflict quality, character quality, and plot quality were measured. In addition, categories of brand reputation,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were measured. The study was based on 181 final survey samples targeti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Results - Consumer responses toward storytelling were researched in the context of brand characteristics or product attributes, such as brand reputation, differentiated from extant simple effects of storytelling. Some brands with high reputation enjoy a halo effect due to prior learning, while other brands with comparatively low reputation have trouble generating positive responses despite attempts to enhance the level of reputation or induce favorable attitudes. Although not all due to the component quality of storytelling, the case of brands with low reputation exerted more positive impact on consumer attitudes than did brands with high reputation. As mentioned earlier, consumer evaluation of the component quality of storytelling was categorized into advertising attitudes, bran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is study; this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in other ways. The results imply that an effectiv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could be an important emotional tool for the development of both brands with low brand awareness and of well-known brands. Finally, this study serves to increase consumers' understanding and ability in interpreting brand stories that marketers tell about themselves, as well as to highlight differential experiences with products by level of brand hierarchy. Conclusions - This research aimed to provide an objective guideline for storytelling component quality while considering brand awareness. Thus, brand reputation was considered for proving the baseline effectiveness of storytelling, and this study provided directions for strategic establishment of storytelling. Based on this, we conclude that in further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brand story by considering other situation variables and various story patterns, and studying their differences.

      • VIDEO ADVERTISING FOR LUXURY BRANDS

        Teona Gogichaishvili,JaeSuk Jung,Eunha Chun,Eunju Ko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6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16 No.7

        In recent years, online video advertising through social media has become a fast-growing tendency that will continue unabated. Online video advertising has become an important and influential tool in the hands of marketers and advertisers, who are spending on average over $10 million annually on digital video, representing an 85% increase from 2 years ago (IAB, 2016). Luxury brands frequently use lifestyle advertising to sell a certain lifestyle to consumers. However, it is the storytelling content that appears to become one of the marketing trends of 2016.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and credibility of storytelling and lifestyle video advertising on advertising value and consumer attitudes. To this end, we conducted online surveys with 300 respondents. Factor analysis, correlations, t-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PSS 21.0)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dvertising value dimensions –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and credibility ̶ have positive effects on advertising value, flow experience, and attitudes towards advertising. This, in turn, positively influences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However, our results show that, as compared to lifestyle video advertising, storytelling video advertising has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value.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real-life applications of storytelling and lifestyle video advertising. Our results also offer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arketers with regard to effective social media video advertising.

      • KCI등재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인터넷 광고표현에 관한연구

        정해원 디자인융복합학회 200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3 No.2

        광고는 하나의 제품 혹은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알리기 위해 하나의 이야기 구조를 발생시킨다. 특히, 인터넷 광고는 인터랙티비티(lnteractivity)의 속성을 지니므로 발신자와 수신자의 입장에서 매우 효과적인 이야기 구조이다. 이처럼 인터넷 광고중에서도 기존의 광고형식에서 벗어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 적용된 광고사례를 4 가지의 유형별으로 분류해본다. 이러한 분석은 디지털 컨텐츠의 관점에서 광고표현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찾을 수 있다. 필연성 위주의 스토리텔링은 유저(user)의 관여도가 높은 상품이나 서비스에 적합하다. 관심이 높기 때문에 스토리텔링도 간접적이거나 우회적이지 않고 필연적인 결과가 보이도록 이야기를 전개하면 된다. 반면, 우연성 위주의 스토리텔링은 유저의 관여도가 낮은 상품이나 서비스에 적합하다. 왜냐하묜, 관여도가 낮기 때문에 유저에게 관심을 촉발할 수 있는 연결고리를 사용해야 한다. 유저에게 거 부감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 우연히 접속하게 된 것 같은 이동경로툴 스토리텔링으로 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시간적 스토리텔링은 대표적으로 온라인 게임 사이트에 매우 적합한 이야기 구조이다. 그리고, 공간적 스토리텔링은 인터넷 배너 광고를 통해 유저들을 홈페이지도 유도하는 이야기 구조에 효과적이라 할수있다. Advertisements are structured around a story of how product meets consumer. Since internet advertising is interactive it is a more effective story structure between a dispatcher and recipient. The samples of internet advertisements which do not follow the usual advertising method by applying interactive storytelling are classified into 4 different types. This analysis provides new meaning and value since it analyzes advertisement expressions in terms of digital contents of advertisement examples. Stories with an obvious ending are appropriate for products or services that users have a lot of interest in. As there is high interest in the product or service itself, the story should not be indirect or take a detour but be unfolded to show the inevitable ending. On the other hand, stories of coincidence are apt for products or services that users are not that interested in, because a link is needed to stir the interest of users. For the story to not look forced, the story would utilize a channel that seems to have been accidentally accessed to. Furthermore, time-oriented storytelling is fit for on-line game websites, whereas spaceoriented storytelling would be efficient to lure users to particular homepages via Internet banner advertisements. Based on this study, I hope a more efficient interactive storytelling is developed to suit the objective of individual advertisements.

      • KCI등재

        논문 :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기반의 환경공익광고 디자인

        소유나 ( You Na So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2

        TV, 신문, 라디오 등 광고의 전통 매체는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구사해왔다. 그러나 컴퓨터와 인터넷의 등장 이후 디지털 기기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상호작용성이 부각되고 있다.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은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감성을 자극하는 스토리텔링을 주로 활용했으나, 활용 매체가 다양해지고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 결합되면서 보다 높은 광고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반면 공익광고에 있어 다양한 매체의 활용은 여전히 제한적이며, 내용과 커뮤니케이션 방식 역시 일방적으로 보여주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공익광고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민의식의 긍정적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광고 커뮤니케이션 발굴을 위한 작품 연구이다.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 갖는 이야기의 전개, 매체 활용, 사용자간의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참여에 의해 전개되는 환경공익광고를 기획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공익광고의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점과 다양한 매체를 연계하여 공익광고 매체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지닌다. While traditional advertising media such as TV, newspaper, radio, etc have commanded unilateral communication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omputer and internet, the interactivity of communications through digital devices have been standing out. Advertisement communication strategies frequently used storytelling methods that stimulate sensibility up until just a few years ago, but as various media are introduced, beginning to combine interactive storytelling, greater advertisement effects are brought about. However, in terms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utilizing various media has its boundaries and in most cases, it does not deviate from its ways of unilaterally delivering contents and communication. This work is a research for a better communications effect in terms of achieving purposes of ensuring domestic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economic competitive edge and positively enhancing national consciousness. An environmental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was designed that unfolds along with participation, regarding the story from interactive storytelling, media usage, interactions with users, etc. As a strategy to enhance the effects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this research has its meaning in improving the method of using a storytelling method and the problems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connected with various media.

      • KCI등재

        디지털 감성시대와 감성적 스토리텔링 광고

        이명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1

        디지털 시대로의 진입은 사회전반과 라이프 스타일에 다양한 영향을 주고 현재에도 진행형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의 소비 형태와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를 가져 왔다. 이러한 변혁은 디자인 분야에서도 나타난다. 그 한 예로써 광고 분야를 들 수 있는 데,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광고의 영역이 확장되고 형식면에서도 다양한 변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국내에서 집행되는 광고는 감성적인 소구방식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디지로고적 감성을 이용한 감성광고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이 감성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다섯 가지 감각(五感)을 통해 주변의 정보를 체험하고 이는 통해서 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기업은 소비자의 구매활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인간의 감성을 이용한 마케팅을 전개한다. 이는 하나의 트렌드이며, 디지털 시대 소비자 소비행태의 변화로 인해 다수의 기업들이 감성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감성 마케팅은 소비자들의 소비행태 변화에서 나타난 것이다. 현재 마케팅 분야의 브랜딩 전략으로 떠오르는 것이 감성시대의 스토리텔링 전략이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브랜딩 전략은 현재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이제는 마케팅의 중요한 요소로써 자리 잡았다. 이에 디지털 시대의 트렌드와 감성광고, 그리고 스토리텔링에 대해 연구하려 한다. 본 연구의 전개방식은 먼저 관련 서적과 선행연구 논문들을 통해 디지털 시대의 디바이스 진화와 소비 형태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후기 정보화 사회의 감성 디자인과 트렌드 그리고 스토리텔링에 대해서 광고 분야의 사례조사를 통해 알아본다. 그리고 그 적용된 사례들을 바탕으로 감성광고의 사회적 역할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중요한 것은 ‘진정성’을 바탕으로 하는 기업의 태도이다. 감성적 스토리텔링을 통한 감성광고가 성공하였더라도 진정성이 결여되었다면, 후기 정보화 사회에서 그 기업과 광고는 도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소비자와 기업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 형성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디지털 시대에서 감성적 광고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문화 콘텐츠 발굴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 Because entry into the digital era, to give effect to the various lifestyles and society as a whole is evolving into progressive even today. This has led to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and consumer communication methods. This transformation is represented in the design. As one example, to that of the advertising, the area of the extensions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been rapidly progressing and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surface. Especially now that are enforceable in the domestic advertising it can appear a lot of emotional appeals system. In addition, it is expanding the role of emotional sensitivity in digital advertising with spots. This sensibility is the process of forming an image through which information and experience around through the five senses that humans possess. And enterprises to deploy the marketing with human emotions to induce the activity of a consumer purchase. This is a trend, the digital era a number of companies due to changes in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and take advantage of the emotional marketing. Thus, emotional marketing is seen in changes in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Rising to a branding strategy for the current marketing is storytelling strategy of emotional age. Branding strategy utilizing storytelling has been deployed in a variety of ways, even now, now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element of marketing. In the digital era, trends and emotional advertising, and he tries to study for storytelling. This study developed method is to first check for device evolu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in the digital age through publications and previous research papers, and Based on this, through a case study of advertising for the late information society of the emotional design and trends and storytelling it is evaluated. And based on those applied in practice and to discuss improvement of social roles and emotional advertising.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is the attitude of the company on the basis of authenticity. If your ad even though emotions through emotional storytelling lacks authenticity success, because those businesses with advertising in the late information society is not meant to be culled. It is therefore urgent to form a social atmosphere than what is necessary to pursue the interests of consumers and business jointly. Along with the story it requires excava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database construction for emotional storytelling of advertising to meet the needs of the emotional needs of consumers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공익광고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속성에 관한 연구

        양양(Yang, Yang),이원범(Lee, Won beom)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4

        시대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다양한 사회문제가 나타났다. 사회문제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방과 홍보에 힘을 기울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공익광고는 이러한 사건들을 스토리 형식으로 이야기함으로써 사람들에게 공익사업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다. 그래서 공익광고에서는 스토리텔링의 가치 속성을 위해 활용 방법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연구 방법은 첫째, 문헌조사를 통하여 공익광고의 주제와 특징 등의 내용을 파악하는 동시에 스토리텔링의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선행 연구를 진행한다. 둘째, 사례분석의 방법과 요소를 제시한다. 셋째, 선정된 요소를 활용하여 사례분석 한다. 이와 함께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스토리텔링 속성의 강도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공익광고에서 스토리텔링의 속성을 제시한다. 사례분석에서 스토리의 유형, 구성요소, 속성 강도의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는 스토리텔링의 흥미성과 고유성의 강도는 비교적 평균적이고, 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해 용이성과 교육성의 강도는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청자의 이해력과 개인적 경험의 차이로 인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스토리텔링은 설명 효과, 감정 효과, 커뮤니케이션 효과가 있다. 공익광고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하면(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공익광고는) 시청자들이 더 쉽게 정서적 공감을 형성하게 되고,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 공익광고의 흐름은 흥미성과 고유성을 강조해야 한다. 사람들 이해력의 차이로 인한 스토리의 플롯과 메시지는 추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사람들은 자신이 잘 알고 있는 이야기에 감정적으로 공감하기 때문에 실제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 유형은 쉽게 다가갈 수 있다. 따라서 공익광고 기획과 제작 시 스토리텔링 표현기법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times, various social problems emerg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very effort to prevent and promote the case from worsening.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can increase peoples emphasis on public services by telling these events in the form of stories. Therefore, how to use storytelling to represent the value attributes of storytelling in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s is the main problem of research. As for the research method, first, the subject, characteristics, etc. of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s a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 prior research survey is conducted on the definition and attributes of storytelling. Second, the method and elements of case analysis are presented. Third, use the selected components to analyze the case in detail. At the same time, the strength of the storytelling attributes was analyzed through expert interviews. Finally, through case analysis, the attributes of storytelling are identified in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s. In the case, the strength of story types, components, and attributes was compared through analysis, and the strength of interest and uniqueness of storytelling was relatively average and high, and the strength of understanding and education was unstable, which was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between viewers understanding and personal experience. Storytelling has an explanatory effect, an emotional effect, and a communication effect. Using the story to telling in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s can make it easier for viewers to form emotional empathy and change their perceptions. The story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should emphasize interest and uniqueness. Due to differences in peoples understanding, the plot and message of the story must be clarified. Because people are emotionally sympathetic to stories they know well, actual story types can be more easily expressed educatively. Therefore, when designing and producing public advertisements, storytelling expression techniques can be considered.

      • KCI등재

        금연공익광고에서 스토리텔링 기법의 활용가능성 탐색

        소현진,김효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24 No.4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storytelling creative technique in anti- smoking advertising and the precautions in utilizing storytelling techniqu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how storytelling advertising affects audience’s psychological reactance in the context of negative framed anti-smoking message. The other purpose of the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eactance on the persuasiveness of anti-smoking advertising. 2X3 between subject design was utilized: smoking status(smokers vs. non-smokers) and advertising types(informative vs. image vs. storytelling). Three hundred men took part in the experiment which was conducted online. Results suggested that smokers showed higher psychological reactance than non-smokers. Smokers showed higher psychological reactance in the context of storytelling advertising than informative advertising and image advertising. In the case of non-smokers, the level of psychological reactance was not different across advertising types. Psychological reactance negatively affected attitude toward the ad, affective response,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본 연구는 금연공익광고에서 스토리텔링 기법의 활용가능성 여부를 탐색하고, 스토리텔링 기법을 금연공익광고에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특히 부정적 프레이밍의 금연공익메시지를 전달할 때 스토리텔링 광고가 수용자의 심리적 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심리적 저항이 금연공익광고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금연광고유형(정보전달형, 이미지형, 스토리텔링형)과 흡연여부(흡연, 비흡연)를 고려한 집단 간 연구 설계를 구성하였으며 성인남성 300명이 온라인 실험에 참가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더 높은 심리적 저항을 보였으며 특히 스토리텔링형 광고에 높은 심리적 저항을 보였다. 비흡연자의 경우 광고유형에 따른 심리적 저항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심리적 저항은 금연광고태도, 노출 후 정서반응, 금연시도의향에 모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에 근거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점이 결론에서 논의되었다.

      • KCI등재

        스토리텔링 유형이 몰입과 진정성,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수하,황조혜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2

        To created added value, the companies are implementing storytelling as new keyword which have an important roles to play in companies’ differentiation strategy. This often requires empirical analysis of types of advertisement at this tim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flow level and authenticity with beverage types(functional/non-functional) according to advertising storytelling. Experiment advertising design a two level experiment, consisting of three types of storytelling and two types of product. The designed experiment used the six-types of advertising to analyze 300 response from survey that have been randomly distributed in order to control intergroup.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between types of advertising storytelling(product-oriented, life myth, related information), flow and authenticity. Secondly, Flow and authenticity have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flow and authenticity in advertising storytelling through analyzing moderating effects of beverage type showed tha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only in flow. Foodservice company assume that based on advertising and marketing through storytelling supporting from customers flow and authenticity are sure-fire way to obtain advertising effect. Along with theses these effect, this will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image for enhancing it. 경쟁이 치열해진 환대산업에서 소비자들은 다양한 브랜드를 선택할 기회를 갖게 되었고, 기업은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광고에 투자하는 비중을 점차 늘리고 있다. 이에 기업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하나의 새로운 키워드로 기업의 차별화 전략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광고 유형을 세분화한 실증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광고 유형에 따른 몰입과 진정성의 차이와 이에 따른 음료 유형(기능/비기능)의 영향을 묻는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실험 광고물은 3(스토리텔링유형: 제품본질형 vs 라이프신화형 vs 관계정보형) x 2(제품유형: 기능성 vs 비기능성)의 집단 간 실험으로 설계하였다. 실험 설계는 집단 간의 통제를 위하여 6가지 타입의 실험 광고물을 무작위 배포하여 300부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토리텔링 광고 유형(제품본질형, 라이프신화형, 관계정보형)과 몰입과 진정성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몰입과 진정성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토리텔링 광고 유형(제품본질형, 라이프신화형, 관계정보형)에 대한 몰입과 진정성 차이에서 음료 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몰입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향후 스토리텔링을 통한 광고마케팅을 실시하고자 하는 외식기업은 소비자의 몰입과 진정성에 대한 지지를 받기에 충분한 스토리를 선정하여야 하며 이러한 노력은 긍정적인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기업이미지를 제고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스토리텔링 광고 유형의 몰입과 진정성을 측정함에 있어 제품을 기능성음료와 비기능성음료로 선정하여 측정하였으나 이외의 다양한 제품군의 특성을 반영한 연구는 향후 과제로 남아있다.

      • KCI등재

        애니메이션 기법과 스토리텔링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안주,서구원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4

        애니메이션은 우리나라 최초의 광고 기법으로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도 중요한 광고 기법으로서 활용되어 오고 있다. 한편 광고 메시지 전략은 제품 기능 소구에서 재미있는 이야기를 통해 감성에 소구하는 스토리텔링 전략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제작 기법과 스토리텔링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제작 기법(2D vs. 3D 컴퓨터 애니메이션)과 스토리텔링(유 vs. 무)에 따른 4개 형태의 광고를 제작하여 응답자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160명의 고등학교 학생들이 조사대상자들로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2개 형태의 애니메이션 제작 기법에 대해서 플로우, 즐거움, 신뢰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스토리텔링 활용 유무에 따라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하는 것이 활용하지 않는 것보다 플로우, 즐거움, 및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광고태도에 대한 영향력의 차이에서는 즐거움, 신뢰도, 플로우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애니메이션 광고에 있어서 제작 기법보다 스토리텔링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따라서 애니메이션 광고는 소비자를 감성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는 스토리를 담아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를 몰입하게 하고, 흥미를 유발시켜 줄 수 있는 캐릭터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After animation has been introduced as the first advertising technique, it is still actively utilized as an effective advertising technique. Meanwhile, advertising message strategies are changing from a product attribute appeal to a storytelling strategy which appeals to consumer‘s emotions through interesting stories.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animation techniques and storytelling on advertising attitude. The study prepared four types of advertising based on animation techniques(2D vs. 3D) and storytelling(presence vs. absence), and analyzed respondents' response. Participants were 160 high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animation techniques in flow, enjoyment, and reliability. However, in terms of storytelling,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ow, enjoyment, and reliability. When storytelling was used, flow, enjoyment, and reliability were higher than when storytelling was not used. In addition, flow, reliability, and social presence had effects on advertising attitude. The result of the research implies that storytelling is more important than animation techniques in advertising. Accordingly, animation advertising should include the story which appeals to consumer‘s emotions. To do this, the development of characters, which induce consumers to involve and lead to enjoy, seems to be preceded.

      • KCI등재

        기업 연상을 강화하는 스토리텔링의 프레임웍 연구

        이지은(Ji Eun, Lee),서창적(Suh, Chang Juck)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11 서비스경영학회지 Vol.12 No.1

        Recently, many companies are introducing storytelling method in corporate advertising. Storytelling is regarded as an effective tool to make the corporate images enhanced and advertisement content delivered vividly to the consumers in these days. This study provided a rationale for the usefulness of storytelling and suggested the framework of storytelling for the deeper impact of corporate advertising by enhancing the corporate association. We constructed the framework of storytelling which consists of narrative devices and sensory devices. And we analyzed how the component of storytelling does highlight corporate association in corporate advertising. We also conducted case studies for SK telecom, Hyundai Heavy Industries, Doosan Heavy Industries, Olympus and Apple(iPhone 4G).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guidance and empirical reference for establishing corporate advertising strategy by storytelling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