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금연공익광고 메시지에 대한 반응 탐구: 호감, 공감, 심리적 저항을 중심으로

        소현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1

        본 연구는 성인남성 30명의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금연공익광고에 대한 호감, 공감, 심리적 저항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금연공익광고에 대하여 비흡연자는 호감 반응을 나타낸 반면 흡연자는 비호감 반응이 많았다. 또한4·50대 흡연자의 광고 공감도가 2·30대에 비해 높게 나타나 연령에 따른 광고 공감도의 차이를 보였다. 흡연자들은금연메시지에 대해 다양한 방식의 심리적 저항을 시도하고 있으며 특히 정보원 폄하를 포함한 정보원에 대한 저항전략을 주로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금연공익광고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actions of ad liking, empathy and psychological resistance to antismoking public advertisem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30 adult males. According to the study, non-smokers responded favorably to the advertisement, while smokers were unhappy. In addition, smokers in their 40s and 50s showed a higher level of empathy for ads than those in their 20s and 30s. Smokers have tried various forms of psychological resistance to non-smoking messages, especially denigrating information sour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 measure was propos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non-smoking advertisements.

      • KCI등재

        스토리텔링 광고에서 사실감의 효과 탐구 : 제품관여도의 조절적 영향을 중심으로

        소현진 한국광고PR실학회 2015 광고PR실학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광고에서 소비자가 지각하는 사실감이 광고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또한 사회판단이론과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이론적 전제에 근거하여 제품 관여도가 사실감의 효과에 조절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 였다. 4편의 스토리텔링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응답이 분석되었으며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실감은 소비자의 스토리텔링 광고에 대한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의 사실감을 높이 느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하여 광고에 대해 더 많이 공감하며 더 우호적인 광고태도를 형성한다. 둘째 제품관여도는 사 실감이 광고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조절적 영향을 가진다. 사실감이 공감반응과 광고태 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저관여 제품보다는 고관여 제품의 경우 더 큰 것으로 나타났 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has explored the effect of verisimilitude on advertising responses in the context of storytelling advertising. Based on the theoretical premises of social judgement theory and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the author proposed that product involvement would have a moderating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verisimilitude and empirically tested the hypotheses. Consumer responses on the four storytelling TV ads were analyzed.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verisimilitud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nsumer reponses to the storytelling advertising. The high -verisimilitude group showed more empathic responses and formed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ad than the low-verisimilitude group did. Second, the product involve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erisimilitude and advertising responses. The influence of verisimilitude on empathic response and ad attitude was greater in the high-involvement product than in the lowinvolvement product. In conclusion and discussion, academ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posed.

      • KCI등재
      • KCI등재

        금연공익광고에서 스토리텔링 기법의 활용가능성 탐색

        소현진,김효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24 No.4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storytelling creative technique in anti- smoking advertising and the precautions in utilizing storytelling techniqu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how storytelling advertising affects audience’s psychological reactance in the context of negative framed anti-smoking message. The other purpose of the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eactance on the persuasiveness of anti-smoking advertising. 2X3 between subject design was utilized: smoking status(smokers vs. non-smokers) and advertising types(informative vs. image vs. storytelling). Three hundred men took part in the experiment which was conducted online. Results suggested that smokers showed higher psychological reactance than non-smokers. Smokers showed higher psychological reactance in the context of storytelling advertising than informative advertising and image advertising. In the case of non-smokers, the level of psychological reactance was not different across advertising types. Psychological reactance negatively affected attitude toward the ad, affective response,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본 연구는 금연공익광고에서 스토리텔링 기법의 활용가능성 여부를 탐색하고, 스토리텔링 기법을 금연공익광고에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특히 부정적 프레이밍의 금연공익메시지를 전달할 때 스토리텔링 광고가 수용자의 심리적 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심리적 저항이 금연공익광고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금연광고유형(정보전달형, 이미지형, 스토리텔링형)과 흡연여부(흡연, 비흡연)를 고려한 집단 간 연구 설계를 구성하였으며 성인남성 300명이 온라인 실험에 참가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더 높은 심리적 저항을 보였으며 특히 스토리텔링형 광고에 높은 심리적 저항을 보였다. 비흡연자의 경우 광고유형에 따른 심리적 저항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심리적 저항은 금연광고태도, 노출 후 정서반응, 금연시도의향에 모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에 근거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점이 결론에서 논의되었다.

      • KCI등재

        광고에 대한 공감반응이 광고태도 형성에 미치는 효과

        소현진(Soh, Hyeonji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광고연구 Vol.0 No.105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공감반응은 성공적인 광고의 필수요건이다. 본 연구는 2014년 소현진이 개발한 광고공감반응 척도를 이용하여 광고공감의 하위 요인인 공감적 이해·동일시·대리적 감정반응과 광고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상황변인인 제품유형(이성제품·감성제품)이 광고공감과 광고태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적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편의 표집된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가 진행되었다(이성제품 광고:100명, 감성제품 광고:100명).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공감의 세 요인은 제품유형에 관계없이 광고태도와 긍정적인 상관관계에 있다. 그러나 다중회귀분석 결과, 이성제품의 경우에는 대리적 감정반응의 영향력이 유효하지 않으며 감성제품의 경우에는 동일시의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제품유형과 광고공감 요인의 상호작용을 탐구한 회귀분석에서는 대리적 감정반응에서만 제품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으며, 대리적 감정반응은 이성제품보다 감성제품의 경우에 광고태도 형성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감적 이해와 동일시 요인은 제품유형과 관계없이 광고태도 형성에 주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광고공감의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Consumer empathic response to advertising is an essential requirement of successful advertis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empathic response-empathic understanding, identification, and vicarious emotional response- and attitude toward the ad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oduct type(think vs. fe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athic response and the ad attitude. An experimental study of a convenience sample with 200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think product 100 participants, feel product 100 participants). The empathic response toward advertising was measured by the Consumer Empathic Response to Advertising scale(the CERA scale developed by Soh(2014)).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factors of empathic response to advertis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 the ad regardless of product type. However,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vicarious emotional response do not have valid effect in the case of think product but identification do not meaningful effect in the case of feel product. Second, additional multiple regression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type showed that only vicarious emotional response was interacted with product type in terms of attitude toward the ad. Vicarious emotional response showed a greater influence on ad attitude in the case of a feel product than a think product. Empathic understanding and identification factors showed only a main effect on ad attitude regardless of product type. In conclusion and discussion, academ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금연공익광고의 메시지 유형 분석

        소현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4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nti-smoking advertisements in Korea and examined if these characteristics were appropriate in terms of their effects. 68 TV anti-smoking ads were content-analyzed, focusing on ad appeal, message frame, message orientation, communication goal, and ad type. According to research, TV anti-smoking ads in Korea used messages that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physical type messages that emphasize the effects of smoking on health, second negative frame messages that show negative consequences of smoking, third self-oriented messages that emphasize the consequences of smoking on oneself, fourth messages that intend to change attitude toward the smoking, and fifth storytelling technique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ansi-smoking ad effect research,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nation's anti-smoking advertisements.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금연공익광고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성이 흡연억제에 효과적인지를 살펴 금연공익광고의 제작 시 고려할 점을 제시하였다. TV금연공익광고 68편이 메시지 소구유형, 메시지 프레임, 메시지 지향성, 커뮤니케이션 목표및 광고유형에 근거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TV금연공익광고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주로 사용하였다. 첫째, 흡연의 신체적 영향을 강조한 신체적 유형 메시지, 둘째 흡연의 부정적 결과를 보여주는 부정적 프레임 메시지, 셋째 자기지향적메시지, 넷째 흡연 태도변화를 목표로 하는 메시지, 다섯째 스토리텔링 기법. 본 연구결과와 기존 금연광고 연구의 결과를 고려하여 우리나라 금연공익광고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토론되었다.

      • KCI등재

        친환경 식품 소비자의 가치체계 탐구 : 효과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개발을 위하여

        소현진 한국광고PR실학회 2014 광고PR실학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배경으로 소비자가 친환경 식품의 소비를 통해 추구하는 가치체계를 발 견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친환경 식품의 효과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 도권지역 친환경 식품 소비자 43명을 대상으로 래더링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들의 친환경 식품에 관련된 가 치체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친환경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가치는 크게 개인적인 가치와 사회적인 가치로 나뉜 다. 개인적인 가치는 건강과 행복, 즐거움, 자긍심 등 한 개인으로서 행복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가치이며 , 사회적 가치는 더불어 사는 삶, 자연과 조화되는 지속가능한 삶을 추구하는 가치다. 소비자의 가치체계는 건강, 즐거움, 자긍심, 공생의 가치사슬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결과는 친환경 소비자가 추구하는 핵심가 치사슬이 안전한 식품을 통한 그들 자신과 가족의 건강한 삶이나, 이것이 유일한 동기는 아니며 안전과 건 강 이외에도 즐거움, 자긍심, 공생의 가치가 친환경 식품의 소비에 영향을 주는 가치임을 밝혔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친환경 식품의 효과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 방향 설정에 대한 다음의 몇 가지 안을 제안하였다. ① 친환경 식품의 본원적 효익인 안전성과 건강증진의 적극적 홍보, ② 친 환경 식품의 쾌락적 가치이용, ③ 친환경 식품의 선택으로 인한 자긍심의 고취, ④ 친환경 식품에 대한 신뢰 감 제고를 위한 정부홍보, ⑤ 지속적 다량구매자와 간헐적 소량구매자 그룹의 세분화전략.

      • KCI등재후보

        블로그 상품추천 게시글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메시지 측면성, 추천 보상, 지각된 설득의도와 제품블로그 신뢰도를 중심으로

        소현진 한국광고PR실학회 2012 광고PR실학연구 Vol.5 No.2

        제품의 장점만을 나열한 블로그 상품추천과 제품의 장단점을 모두 제시한 블로그 상품추천은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일까? 상품추천 게시글에 대한 기업의 보상여부를 명시하는 것과 언급하지 않는 것은 설득효과에 있어 차이가 날까? 또한 블로그 상품추천의 설득효과는 소비자의 블로그에 대한 기존 인식에 따라 달라질까?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하여 메시지의 측면성과 추천에 대한 보상여부, 그리고 소비자의 블로그 상품추천의 설득의도에 대한 지각정도와 제품블로그 신뢰도가 블로그 상품추천 게시글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양면메시지는 메시지 신뢰도, 메시지 태도, 메시지 구전의향에서 일면메시지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획득하였으며, 특히 설득의도 지각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양면메시지를 더 선호하였다. 또한 제품블로그 신뢰도는 메시지 신뢰도, 메시지 구전의향, 그리고 브랜드를 타인에게 추천할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추천에 대한 보상과 소비자의 블로그 설득의도 지각정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블로그 마케팅의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