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수출 김의 이미지, 선택속성, 친숙도 조사를 통한 국가별 마케팅 전략 수립: 4개국을 대상으로

        이신애,황조혜 한국무역연구원 2021 무역연구 Vol.17 No.2

        The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image of Korea’s laver, selection attributes, and familiarity by different nations of consumers and relationships which effect acceptance. Design/Methodology/Approach Data samples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of consumers from China, the U.S., Thailand, and Japan that have eaten Korean laver in the past.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356 responses, a rate of 89%, were used for data. Finding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age of Korean laver by country. The U.S. showed Korean laver images in the order of safety, value, exotic, premium, and craftsmanship, while China recognized laver in the order of safety, exotic, craftsmanship, value, and premium. Japan recognized it in the order of safety, value, exotic, premium, and craftsmanship. Seco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ection attribute of laver by country. China chose in the order of taste, origin, and brand, while Japan chose in the order of taste, safety, and brand. Japan also chose in order of flavor, safety, and brand. Thailand chose in the order of taste, safety, and origin. The U.S. chose taste, nutrition, and brand. Third, consumer familiarity with Korean laver differed significantly by order of country. Fourth, familiar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 Research Implications The current research results offer managerial insights as well as a practical point of view that increases the utilization rate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s of Korean laver in major target export nation consumer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our research, the results help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by understand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Korean laver’s image and selection attribute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familiarity of different countries’ consumers in order to enhance their acceptability of Korean laver

      • KCI우수등재

        호텔 서비스 로봇의 의인화 수준이 로봇 서비스품질 기대에 미치는 영향: 가젯 러빙 성향의 조절효과

        김범진,황조혜 한국관광학회 2023 관광학연구 Vol.47 No.2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로봇은 점점 더 많이 도입되고 있다. 서비스 로봇의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단순한 기계와 같은 로봇이 아닌 의인화된 서비스 로봇이 호텔 산업에 도입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소비자의 서비스품질 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호텔 서비스 로봇의의인화 수준에 따른 기대된 로봇 서비스품질의 인식 차이를 검증하고 소비자의 가젯 러빙 성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서비스 로봇의 의인화 수준이 높을수록 개인화, 효율성과 같은 로봇 서비스품질을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로봇 의인화 수준과 로봇 서비스품질의 관계에서 가젯 러빙 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동화, 효율성, 정확성에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는 호텔 서비스 로봇을 의인화수준에 따라 구분하고 소비자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여 서비스 로봇의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 가젯 러빙 성향으로 소비자를세분화하여 소비자 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인 점과 소비자 만족을 높일 수 있는 호텔 기업의 서비스 로봇 디자인에 대한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

      • KCI우수등재

        커피전문점의 프리미엄 브랜드로의 확장에 대한 연구 - 모 브랜드 자산의 영향 -

        이수하,황조혜 한국관광학회 2018 관광학연구 Vol.42 No.1

        Corporate brand extension has become a growth strategy for catering to a diverse range of consumers. Due to limitations in the brand's horizontal extension and vertical extension due to low cost study done previously, more research is needed in upward extens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erception of parent brand affects the perception of the extension of a brand to premium status.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three relationships: 1) The effect of parent brand equity on extension (premium) brand equity, 2) The effect of extending brand equity on the bran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s, and 3)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ption motivation and consumption experience on brand image spillover.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image of and loyalty to the parent brand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mage of a premium brand, and that brand loyal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emium brand awareness. However, parent brand image did not affect premium brand awareness. Image and awareness of a premium brand positively influenced brand attitude. Although there were no moderating effects of consumption motivation and experience, they caused positive primary effects. The hedonic-utilitarian group evaluated image of parent brands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premium brands. The consumption experience existence/non existence group evaluated the image of parent brands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of premium brands. The group with experience in premium brands viewed them more favorably. 기업의 브랜드 확장은 다양한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하나의 성장전략이 되었다. 그러나 연구 측면에서는 수평적 확장과 저가/보급형의 하향 수직적 확장에 제한됨에 따라 상향으로의 확장에 따른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모 브랜드에 대한 지각이 프리미엄으로 확장된 브랜드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세부 연구목적은 첫째, 모 브랜드의 자산이 확장된 프리미엄 브랜드의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프리미엄 브랜드의 자산이 브랜드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소비동기(쾌락/실용)와 소비경험(유/무)에 따른 모 브랜드와 프리미엄브랜드 이미지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모 브랜드의 이미지와 충성도는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 브랜드의 충성도는 프리미엄 브랜드 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모 브랜드 이미지는 프리미엄 브랜드 인지에 유의하지 않은 것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는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태도는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동기와 소비경험은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반면, 소비동기와 소비경험에서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소비동기의 쾌락/실용주의 집단은 모 브랜드 이미지를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쾌락주의 동기를 가진 사람일수록 프리미엄 브랜드에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다. 소비경험의 유/무 집단은 모브랜드의 이미지를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 보다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리미엄 브랜드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집단이 프리미엄 브랜드를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를 보였다.

      • KCI우수등재

        Kano모델에 기반한 판매자 관점의 외식배달 플랫폼 품질속성 분류

        방제모,황조혜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2

        Most of the research on the quality of the existing food delivery platform was conducted on consumer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platform operators, restaurant sellers that enter the platform and provide restaurant services are also major members of the platform, and research is needed accordingly, but it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quality attributes of sellers using the food delivery platform based on the Kano model, a quality planning theory.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Kano model according to the seller's usage behavior was analyzed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and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PCSI) were derived to supplement the Kano model. Sellers using the food delivery platform were classified as a unified quality factor that causes satisfaction when satisfied and dissatisfaction when not satisfied with all the quality attributes of the platform. In the case of the Kano model by seller's usage behavior, there was no difference, but as a result of the chi-square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for a specific item. As a result of deriv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the top items of the satisfaction coefficient were "advertising effect on the platform," "number of platform users," and "support of Coupon/Event costs," and "quickness of customer center response" as the top items. The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PCSI) was found to have the top items such as 'Instant Action Function for Negative Reviews', 'Fee Price Appropriateness', and 'Rationality of Advertising Cos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s for platform quality strategies for sellers from the standpoint of operators operating the food delivery platform by analyzing the quality attributes perceived by sellers using the food delivery platform based on the Kano model. 기존의 외식배달 플랫폼의 품질 관련 연구는 대부분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플랫폼 운영자의 입장에서 플랫폼에 입점하여 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식업체 판매자 또한 플랫폼 내 주요 구성원이며 이에따른 연구가 필요하지만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품질기획이론인 Kano모델을 기반으로 외식배달 플랫폼을 이용하는 판매자의 품질 속성을 분류하였다. 또한 판매자의 이용행태에 따른 Kano모델의 차이를 분석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Kano모델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객만족계수와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PCSI)를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외식배달 플랫폼을 이용하는 판매자들은 플랫폼의 모든 품질 속성에 대하여 충족되면 만족, 충족되지 못하면 불만족을 유발하는 일원적 품질요소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자의 이용행태별Kano모델의 경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카이제곱 검정 결과 판매자의 운영 형태 및 서비스 형태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고객만족계수 도출 결과 만족계수의 상위에 해당하는 항목은 ‘플랫폼에서의 광고효과’, ‘플랫폼 이용자 수’, ‘쿠폰/이벤트 비용의 지원’ 등으로 나타났으며, 불만족계수의 상위 항목으로 ‘수수료 가격 적정성’, ‘고객센터 응대의 신속성’, ‘판매자 사이트의 체계성’ 등으로 나타났다.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PCSI)는 ‘부정적 리뷰에 대한 즉각 조치 기능’, ‘수수료 가격 적정성’, ‘광고비용의 합리성’ 항목이 상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외식배달 플랫폼을 이용하는 판매자가 인지하는 품질 속성을 Kano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함으로써 외식배달 플랫폼을 운영하는 사업자 입장에서 판매자를 위한 플랫폼 품질 전략에 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of Fine-Dining Restaurants Using a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박희경,황조혜 (사)한국조리학회 2023 한국조리학회지 Vol.29 No.9

        This study applied a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to underst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customers visiting fine-dining restaurants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 total of 37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consumers aged 20 and older who had visited a fine-dining restaurant and analyzed them using structural equatio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attitude,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negative anticipated emotion, and frequency of past behavior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fine-dining desire. Seco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desire for fine-dining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Third, for women,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fluenced desire, while for men, frequency of past behavior influenced desire, showing a moderating effect. Therefore,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visit decision-making process of fine-dining customers and suggested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gender.

      • KCI등재

        Market Segment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ccording to Consumption Needs for Fine-Dining Restaurants

        박희경,황조혜 (사)한국조리학회 2023 한국조리학회지 Vol.2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uxury consumption needs and fine-dining behavioral intentions by identifying luxury consumption need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by segmenting the market according to consumption needs. A total of 37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urveying consumers who have visited fine-dining establishm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ere utilized in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first, consumption need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hedonic & complacence, relationship, belonging, uniqueness, and status). It was found that hedonic & complacence and uniqueness needs positively influenced the attitude toward fine-dining and hedonic & complacence and status needs positively influenced the behavioral intention toward fine-dining. Second,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on consumption needs, and three clusters were categorized: cluster 1: ‘Self-oriented needs,’ cluster 2: ‘High needs,’ cluster 3: ‘Low needs.’ Third, the differences in gender, generation, and marital statu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lusters.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self-oriented consumption needs increased as the generation became younger and when the subjects were female and/or unmarried. As such,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fine-dining consumers’ consumption needs and suggested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ne-dining industry.

      • KCI등재

        유튜브 랜선투어의 경험가치가 지역 이미지, 장소 애착 및 관광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수진,황조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2 호텔경영학연구 Vol.31 No.5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함께 팬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스마트관광의 발전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는‘랜선문화’가 유행하면서 비대면 여행 서비스인 랜선투어가 등장하여 관련 여행상품이 증가하고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비대면 관광에 관련된 소비자의 반응과 관련 향후 발전 방향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효용, 서비스 우수성, 심미성, 유희성으로 경험가치를 측정하였다. 또한, 랜선투어의 경험가치와 지역 이미지(인지적, 정서적), 관광 행동 의도 그리고 장소 애착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랜선투어 영상을 제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155부의 응답이 실증분 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외재적 경험가치인 소비자 효용과 서비스 우수성은 인지적 지역 이미지 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재적 경험가치인 심미성과 유희성은 정서적 지역 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정서적 지역 이미지는 장소 애착과 관광 행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소 애착도 관광 행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 이미지와 관광 행동 의도의 관계에서 장소 애착은 유의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랜선투어의 경험가치와 지역 이미지, 장소 애착 그리고 향후 관광 행동 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관광 연구 분야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가진다. 또한, 향후 여행지를 선택하는데 랜선투어의 경험이 선행적 활동으로서 중요한 역할 을 할 수 있도록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스토리텔링 광고 유형이 몰입과 진정성,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능성음료를 중심으로 -

        이수하,황조혜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2

        경쟁이 치열해진 환대산업에서 소비자들은 다양한 브랜드를 선택할 기회를 갖게 되었고, 기업은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광고에 투자하는 비중을 점차 늘리고 있다. 이에 기업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하나의 새로운 키워드로 기업의 차별화 전략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광고 유형을 세분화한 실증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광고 유형에 따른 몰입과 진정성의 차이와 이에 따른 음료 유형(기능/비기능)의 영향을 묻는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실험 광고물은 3(스토리텔링유형: 제품본질형 vs 라이프신화형 vs 관계정보형) x 2(제품유형: 기능성 vs 비기능성)의 집단 간 실험으로 설계하였다. 실험 설계는 집단 간의 통제를 위하여 6가지 타입의 실험 광고물을 무작위 배포하여 300부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토리텔링 광고 유형(제품본질형, 라이프신화형, 관계정보형)과 몰입과 진정성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몰입과 진정성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토리텔링 광고 유형(제품본질형, 라이프신화형, 관계정보형)에 대한 몰입과 진정성 차이에서 음료 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몰입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향후 스토리텔링을 통한 광고마케팅을 실시하고자 하는 외식기업은 소비자의 몰입과 진정성에 대한 지지를 받기에 충분한 스토리를 선정하여야 하며 이러한 노력은 긍정적인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기업이미지를 제고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스토리텔링 광고 유형의 몰입과 진정성을 측정함에 있어 제품을 기능성음료와 비기능성음료로 선정하여 측정하였으나 이외의 다양한 제품군의 특성을 반영한 연구는 향후 과제로 남아있다. To created added value, the companies are implementing storytelling as new keyword which have an important roles to play in companies’ differentiation strategy. This often requires empirical analysis of types of advertisement at this tim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flow level and authenticity with beverage types(functional/non-functional) according to advertising storytelling. Experiment advertising design a two level experiment, consisting of three types of storytelling and two types of product. The designed experiment used the six-types of advertising to analyze 300 response from survey that have been randomly distributed in order to control intergroup.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between types of advertising storytelling(product-oriented, life myth, related information), flow and authenticity. Secondly, Flow and authenticity have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flow and authenticity in advertising storytelling through analyzing moderating effects of beverage type showed tha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only in flow. Foodservice company assume that based on advertising and marketing through storytelling supporting from customers flow and authenticity are sure-fire way to obtain advertising effect. Along with theses these effect, this will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image for enhancing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