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 농산물 유통구조의 문제점과 개선에 관한 연구

        이영석(Lee,Young-Suk),최수환(Chol,Soo-Hwan),김중원(Kim,Joong-Won),김경록(Kim,Kyung-Rok) 한국유통과학회 2011 한국유통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

        농산물 수입개방에 따른 국제화에 대응하여 농산물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농업의 구조 조정의 필요성과 농산물 유통에 있어 농산물 제값받기, 공정거래, 능률 향상 등의 시대적 요청에 정부의 적절한 대응이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공산물에 비해 복잡한 농산물의 유통구조를 효율적으로 변화시키고, 산지수집 단계에서부터 농산물 출하선택의 폭을 넓혀 안정적인 상품공급과 계획적인 생산체계를 유도하고 농산물의 원활한 수급조절과 판매 처리 능력을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유통과정에서 각종 부도덕한 상거래 행위를 근절시켜 유통정책의 효율적인 수립 및 집행을 위해 정확한 유통통계와 정보화가 필요하다.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의 궁극적인 목적은 생산자에게는 상품의 적정가격 보장과 생산의 극대화를 위한 시설개선이며, 소비자에게는 기호에 따라 적정가격의 최상품질을 제공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영의 효율성을 높여 단순히 유통비용 또는 마진을 낮추는 개선이 아닌 실제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유통구조의 비용을 절감하여 최상의 생산품을 제공하여야만 향 후 우리나라 농산물의 입지를 강화하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일본의 화장품 유통경로 분석과 판매활성화에 관한 연구

        양지안(Yang, Ji-An),이상윤(Lee, Sang-Youn) 한국유통과학회 2011 한국유통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화장품 유통경로구조를 연구하여 우리나라 화장품의 판매활성화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하였다. 한국 화장품 시장은 국내경기의 침체에 따른 소비자들의 소비심리 위축과 수입화장품의 증가로 인해 어려움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아모레 퍼시픽 보고서). 특히 타 소비재 상품군에 비해서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화장품 산업의 잠재력은 가히 크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화점, 면세점, 브랜드샵, 온라인 쇼핑몰, 대형할인점, TV 홈쇼핑 등 다양한 유통 채널의 경우 매출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쟁이 치열해지고, 규모는 대형화 되며, 저가의 브랜드샵의 급성장하는 시장 변화에 따라 경쟁력이 약한 영세전문점의 수는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며, 다양한 유통채널이 존재하고 있지만, 유통채널이 복잡하고 체계적이지 못한 이유로 동일제품에 대한 가격 격차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국내 의약품 유통구조에 관한 연구

        윤명길(Youn Myoung-Kil),류충열(Ryu Choong-yeol),유택용(Yoo Taek-yong) 한국유통과학회 2008 한국유통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약품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유통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하고, 과연 국내 의약품 유통구조의 개선 방안이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한다.   결국 국내 의약품 유통구조를 개선하고자 국내 의약품 제조기업 중 중견기업인 J사의 제품 10가지 품목을 중심으로 유통구조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유통구조 개선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2008년 4월 1일부터 동년 7월 31일까지 J사의 내부 전표 및 보고 자료를 취합하여 분석하고, 주요 담당자와 지속적인 인터뷰를 통하여 유통구조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 성공적인 슈퍼창업 전략에 관한 연구

        김성호,김판진 한국유통과학회 2009 한국유통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

        오늘날 세계경제를 주도해 나가고 있는 서비스 경제의 핵심 중 하나가 유통산업이며 1996년 유통시장 완전개방과 WTO의 출범으로 우리 유통산업은 범세계적 경쟁의 한가운데 놓여져 있으며 외국계 대형 할인점들이 규모의 대형화와 최첨단 유통기술과 경영방식으로 국내 소매상권을 급속히 장악하고 있으며 카데고리 킬러, 아울렛, TV홈쇼핑, 인터넷 쇼핑등과 같은 신 소매유통업태들이 등장하면서 소매유통산업은 더욱 복잡화되고 다양화 되어가고 있으며 업체간의 차별화, 개성화, 전문화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국내 소매유통업의 경우 자본과 경영능력, 마케팅 등에서 경쟁우위에 있는 대형할인점이나 백화점 등의 몇몇 대형 소매유통업체들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고 또한 이들 대기업들이 최근 유통의 다각화를 위해 신고만으로 개설이 가능하고 출점비용이 적고 개점이 쉬운 기업형 슈퍼마켓(SSM)을 내세워 무분별한 확장을 하면서 골목상권까지 진출하면서 시설면이나 자금력 등에서 열악한 동네 상권내 소규모 슈퍼마켓과 재래시장의 매출이 급감하며 도산되거나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국내 소매유통산업 환경에서 향후 소규모 슈퍼마켓을 창업하고자 하거나 운영중인 영세상인들의 경쟁력 강화와 발전을 위한 전략적 과제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소형 슈퍼마켓의 문제점으로는 창업시점에서 목표시장에 대한 정보수집이나 경쟁자 분석, 입지 및 상권분석 등의 철저한 조사없이 주먹구구식 창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대다수의 점포주들의 상인의식이 부족하고 낙후된 유통기술과 점포경영의 비효율성, 유통환경 변화에 대한 수동적 대처 등으로 인해 이러한 것들이 고객 불만족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경쟁력이 저하됨으로써 3저(저 회전율, 저 객단가, 저 마진)현상을 겪고 있으며 경쟁기반이 취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자료는 슈퍼 창업예정자나 현재 슈퍼를 운영하고 있는 점포주들에게 필요한 슈퍼 창업실무와 관련 점포입지 선정, 점포계약시 유의사항, 간판설치 및 관리와 영업촉진전략, 마케팅 전략 들을 제시함으로써 창업 및 점포경영에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변하지 않으면 망한다(Change or Die)” 소매업 경영전략의 원천은 고객이다. 따라서 슈퍼와 같은 소점포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철저한 고객중심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과 고객 욕구에 부응하는 머전다이징과 서비스 및 점

      • SCOPUSKCI등재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Kim, Young-Min(김영민),Kim, Young-Ei(김영이),Youn, Myoung-Kil(윤명길) 한국유통과학회 2010 유통과학연구 Vol.8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유통과학회가 발행하고 있는 유통과학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학회지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유통분야의 학문체계를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유통 관련 다른 학회지와 비교한 후 유통과학연구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유통과학회는 1999년 「유통과학연구」 제1권 제1호 창간을 시작으로 2010년 9월 제8권 제3호까지 총 109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10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 주체, 연구 참여자의 수, 연구방법론, 국문 및 영문논문 빈도, 내국인 및 외국인 참여빈도, 참고문헌 활용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유통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한국유통학회의 유통연구 및 한국유통경영학회의 유통경영학회지와 유통과학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유통과학연구의 연구동향 및 유사 학회지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유통과학연구가 SSCI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해외 투고자를 적극 유치해야한다. 또한, 영문논문의 비중을 대폭 늘려야 할 것이다. 셋째, 학술지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방법론 수용을 해야할 것이다. 넷째, 유통과학연구의 피인용율을 확대하기 위하여 학술지의 해외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구글 등 웹검색 기능을 보강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시사점을 통한 개선을 한다면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세계적인 학술지 반열에 올라설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search trends of JDS that KODISA published and gave implications to elevate quality of scholarly journals. In other words, the study classified scientific system of distribution area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and to compare it with other scholarly journals of distribution and to give implications for higher level of JDS. KODISA published JDS Vol.1 No.1 for the first time in 1999 followed by Vol.8 No.3 in September 2010 to show 109 theses in total. KODISA investigated subjects, research institutions, number of participants, methodology, frequency of theses in both the Korean language and English, frequency of participation of not only the Koreans but also foreigners and use of references, etc. And, the study investigated JDR of KODIA, JKDM(The Journal of Korean Distribution & Management) and JDA that researched distribution, so that it found out development way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f JDS that KODISA publishes, main category was made based on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f MEST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able of classification of research areas of NRF(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research classification system of both KOREADIMA and KLRA(Korea Logistics Research Association) and distribution science and others that KODISA is looking for, and distribution economy area was divided into general distribution, distribution economy, distribution, distribution information and others, and distribution management was divided into distribution management, marketing, MD and purchasing, consumer behavior and others. The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ly, main category occupied 47 theses (43.1%) of distribution economy and 62 theses (56.9%) of distribution management among 109 theses in total. Active research area of distribution economy consisted of 14 theses (12.8%) of distribution information and 9 theses (8.3%) of distribution economy to research distribution as w

      • 농산물 소매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산지유통조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조직화 · 규모화 · 전문화를 중심으로

        김대윤 한국유통과학회 2011 한국유통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

        1996년도의 유통시장개방을 계기로 소매유통 환경이 급변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소매유통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화를 통한 규모화가 산지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산지에서는 여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소규모 개별농가가 조직화를 통해 전문화·대규모화 되어 가고 있고, 품목별·지역별로 특화되어 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소비지 시장에 대한 경쟁력 강화라는 관점에서는 여전히 문제점을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시장대응상의 산지유통조직의 조직화·규모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통한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산지 조직화 배경 및 필요성, 국내 산지유통조직의 현황 및 문제점, 국내·외 산지유통조직 우수사례를 살펴보고, 조직화·규모화를 중심으로 향후 산지유통조직 경쟁력 제고방안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농산물 소매유통환경 변화에 따라 산지유통조직의 경쟁력을 제고 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원물수집체계 다양화를 통한 가동률 향상 및 조직화 강화, 전문화된 품목의 광역연합마케팅 추구를 통한 규모화 실현, 국외 산지유통조직 우수사례인 프랑스“브레따뉴 청과물 경제위원회”와 같은 관리 운영조직 설치 및 운영, 국내에 적합한 산지유통조직모델 개발을 위한 지원체계 확립 등을 제시하였다. 특히 국내 산지의 경우 산지조직화•규모화에 성공한 각종 사례분석을 통해, 조직적 규모화의 과정 속에서 생겨나는 각종 어려움과 그에 대한 극복방식 등을 일반화 시켜가는 노력이 요구된다.

      • 流通經濟이데올로기와 가난으로부터의 自由-聖經的 流通經濟學의 胎動

        이상윤 한국유통과학회 2007 한국유통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

          이 시대의 유통경제 이데올로기와 우상은 경제의 신 파시즘으로 복잡하고 복합적인 결탁과 초국적 거대조직에 기반하는 일종의 초국가적인 힘으로서 이 힘은 끊임없이 증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사가 주역인 다국적 자동차-고속도로-석유산업의 복합체는 미국 자체를 포함하여 그 어떤 단일 자본주의국가 정부의 전체예산보다도 훨씬 더 큰 규모의 돈과 과학자와 기술자를 장악하고 있다. 한국이든 일본이든, 남아프리카공화국이든 미국이든, 생명력있고 성경에 충실한 교회는 하나님 나라에 반하여 작동하는 사회의 양상 및 추세들과 긴장 관계 속에서 사는 대항문화공동체일 것이다. 신실한 교회는 사망과 조종의 힘에 대항하여 역사한다. 그런 교회는 가시적으로 그리스도와 닮은, 하나님 나라 중심적인 삶을 만들어 내는 것이며 세상적 유통경제 이데올로기와 우상에서 벗어나 자유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그리하여 교회가 여타의 유통경제학적인 질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성경적인 관점을 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말한다.   1. 성경적 유통경제학은 모두 이 세상을 장기적 관점으로 바라본다.   2. 성경적 유통경제학은 모두 자연 세계를 상호 연결된 전체로 본다.   3. 성경적 유통경제학은 모두 토지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춘다.   4. 성경적 유통경제학은 모두 인간의 한계를 의식하게 해준다.   5. 성경적 유통경제학은 모두 자연 질서를 쇠퇴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6. 성경적 유통경제학은 모든 행동에는 결과가 따른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 (중소유통업 활성화 방안을 위한) “대ㆍ중소 유통기업간 상생협력 실증사례 연구”

        안성우(Ahn, Sung-Woo) 한국유통과학회 2009 한국유통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

        유통시장 개방이후 신유통업태의 확산과 대형유통점의 급성장으로 중소유통업의 비중이 갈수록 감소하고 있다. 위기에 직면한 중소유통업체는 정부에 대형점에 대한 규제강화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에 대해 대형유통업체는 시장논리에 맞지 않는다며 정부의 일방적 규제 움직임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이슈로 주목을 받고 있는 대기업의 기업형슈퍼마켓 시장진출 확대로 빚어진 대․중소 유통업체간 갈등해소 방안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국내 유통산업의 동향과 변화추이를 분석하고 중소유통업의 당면한 문제점의 실상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대․중소 유통업체간 상생협력 방안에 대해 대안을 모색함에 있어 실제 산업현장에서 이뤄지고 있는 상생협력 실증사례를 분석하였다. 실증사례 분석모델 범위는 물류부문에 대한 대․중소 유통기업간 전략적 제휴동기와 제휴과정 그리고 제휴 성과이며, 분석결과를 통해 대․중소 유통업체간 상생협력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우리나라 농산물 유통구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문성하(Moon Seong Ha) 한국유통과학회 2007 한국유통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

          농산물 수입개방에 따른 국제화에 대응하여 농산물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농업의 구조조정의 필요성과 농산물 유통에 있어 농산물 제값받기, 공정거래, 능률향상 등의 시대적 요청에 정부의 적절한 대응이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공산물에 비해 복잡한 농산물의 유통구조를 효율적으로 변화시키고, 산지수집 단계에서부터 농수산물 출하선택의 폭을 넓혀 안정적인 상품공급과 계획적인 생산체계를 유도하고 농산물의 원활한 수급조절과 판매 처리 능력을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유통과정에서 각종 부도덕한 상거래 행위를 근절시켜 유통정책의 효율적인 수립 및 집행을 위해 정확한 유통통계와 정보화가 필요하다.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의 궁극적인 목적은 생산자에게는 상품의 적정가격 보장과 생산의 극대화를 위한 시설개선이며, 소비자에게는 기호에 따라 적정가격의 최상품질을 제공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영의 효율성을 높여 단순히 유통비용 또는 마진을 낮추는 개선이 아닌 실제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유통구조의 비용을 절감하여 최상의 생산품을 제공하여야만 향후 우리나라 농산물의 입지를 강화하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중국과의 FTA 협상방식을 위한 전략적 접근

        나승화 한국유통과학회 2010 산경연구논집 Vol.1 No.1

        한ㆍ중 양국은 1992년 수교 이래 문화적 공통성과 지리적 인접 성 그리고 상호보완적인 경제구조 등을 바탕으로, 정치ㆍ경제ㆍ사 회ㆍ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비약적인 발 전을 가져왔다. 특히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으로, 그리고 한국 은 중국의 제3대 교역국으로 부상하였으며, 2008년에는 전략적 협 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했다. 현재 국제 통상관계에 있어서 WTO/DDA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 는데 반해, FTA는 전 세계적으로 심화와 확대를 거듭하고 있으며, 한ㆍ중 양국도 각각 그 어느 나라에 뒤지지 않는 다각적이고 적극 적인 FTA 협상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1997년 금융위기 후 절감한 지역 경제협력의 필요성이 요 구됨에 따라 중국은 2005년 아세안과 FTA체결을 시작으로 여러 국가에 관심을 표명하였으며, 한국에도 FTA에 추진에 적극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5월 28일에는 이명박 대통령과 중 국 원자바오 총리와의 회담에서 이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였는바, 가까운 시일 내에 본격적인 추진협상이 이루어지리라 예측된다. 이에 중국과 FTA의 본격적인 협상에 대비하여, 한국이 어떤 협 상방식을 선택할 것인가에 정책적 제언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한ㆍ중 FTA는 포괄적 협상을 하되, 지속적 논의를 위한 프로토콜을 확정하는 지속형 FTA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 고 있으나 본 연구는 한ㆍ중 FTA는 상품무역ㆍ서비스ㆍ투자분야 를 포함하고 협상에서 일괄적으로 타결하는 포괄적 FTA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중국의 기 체결된 FTA 협상사례를 통해 중국의 협 상방식의 특징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중국은 현재 아 세안, 파키스탄, 칠레 등 개도국과는 단계별 혹은 지속형 FTA 협 상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 선진국과는 일괄 타결형 포괄적 FTA 협상방식을 취하고 있다. 중국과의 FTA 협상에 있어서 한국은 농업시장 개방과 국내 이 해집단과의 관계 등 쉽지 않은 이슈들이 잔재하고 있으나, 이들은 주로 상품무역 분야에 포진되어 있다. 반면에 중국은 금융ㆍ통신 산업이 개방될 경우 중국경제의 전반적인 기반이 위험에 노출하게 되는데, 이들은 주로 서비스무역 분야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한 국은 협상 범위를 상품무역뿐만 아니라 서비스무역 나아가서 투자 분야까지 넓혀야 이슈간의 교환이 가능해지며, 협상타결의 여지도 충분하리라 판단된다. 즉, 한ㆍ중 FTA에 있어서 한국은 뉴질랜드, 싱가포르 사례와 유사한 포괄적이며 협상에서 일괄 타결하는 협상 방식을 채택해야 할 것이다.이러한 방식으로 인하여 한국은 관세 철폐로 인한 무역 창출효과와 무역 전환효과 나아가 서비스 분야 에서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 대비한 중국시장의 선점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또한 한국은 중국과의 FTA 협상의 성공적인 타결을 위하여 중 국 국가 차원의 FTA 협상방식에 대한 정책기조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에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협상안을 제시 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본격적인 협상이 이루어지기 전인 현 상 황에서 중국의 기 체결된 협상 사례에 관한 체계적인 비교분석도 절실히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FTA 협상방식에 대한 체계적이고 철저한 파악의 부족함에서 비롯 된 결과라고 보고 있다. 중국의 기체결 FTA 협상사례를 살펴볼 경우 개도국과 체결한 FTA 즉 아세안 10개국과 칠레ㆍ파키스탄 등 국가와 체결한 FTA에서는 상품 분야의 FTA를 핵심으로, 우선 적으로 상품무역에 관한 FTA를 체결하고, 차후에 서비스와 투자 부문에 관한 FTA룰 협상하고 체결하는 단계적ㆍ지속적인 협상방 식을 채택하였었다. 그러나 2008년에 선진국인 뉴질랜드ㆍ싱가포 르와 체결한 FTA는 상품무역과 서비스ㆍ투자분야를 모두 일괄적 으로 타결하는 ‘포괄적 FTA’ 체결방식을 채택하였다. 한국은 선진 국으로서 서비스산업 경쟁력에서 중국보다 비교우위에 있으며, 장 기적인 차원에서 중국과는 상품무역의 FTA보다도 서비스와 투자 분야에서의 FTA에서 더욱 큰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한 국은 對中FTA 협상방식에 있어서, 단계적ㆍ지속적인 협상방식보 다는 동시에 상품ㆍ서비스ㆍ투자 등을 모두 아우르는 포괄적 FTA 를 체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한국은 對中 FTA 협상의 성공적 타결을 위하여, 중국 국 가차원의 FTA 협상방식에 대한 정책기조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 며, 이를 토대로 한국에 이익이 되는 협상안을 제시하여야 할 것 이다. 본격적인 對中 FTA 협상이 들어가기 직전인 현시점에서 한 국은 중국의 기체결 FTA 협상사례에 관한 체계적인 비교 분석이 시급하고 절실하며, 중국의 FTA 협상방식의 기본 특징과 변화에 대한 이해와 철저한 파악이 필요하다. Since Korea establish diplomatic ties with China in 1992, korea and China have had rapid progress in most of field as politic,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rough basing on cultural commonality and geographical adjacency. Especially, China is the biggest trading partner to korea, and also Korea is third-biggest trading country to China. They become strategic cooperating relation in 2008. Currently, in terms of international trade relation, WTO/DDA negotiation is proceeding in difficulty, but FTA has been growing and extending in the world, and the two country, china and korea, have been competitively trying wide and active FTA negotiation promotion. After Financial crisis in 1997,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of local economic cooperation, China has shown the interest to several countries since the conclusion of FTA treaty with ASEAN in 2005. China also makes the active afford to conclude FTA with Korea. Last May 28th, this was mentioned in the meeting between president Lee and Premier Wen Jiabao, so it is anticipated that the negotiation for FTA will be started in the near future. There are many political suggestions and concerns in terms of way of negotiation korea would choose. Some economist said that "'Continuous FTA aimed at long-term protocol should be promoted between korea and China and negotiated includingly'" However, this research claims that commodity exchange, service, and investment areas should be included and it has to be comprehensive package settlement style in negotiation. This research has fou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hina's negotiation and implications through the China's existed FTA negotiation examples. Currently, China has taken Continuous or a phase-negotiation method to ASEAN, Pakistan, Chile and some other developing country and to advanced countries like New Zealand or Singapore, comprehensive package settlement method is used in FTA negotiation. In consider of the FTA negoti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 has some problems in the commodity change area in agriculture maket's opening. While, for china, the issues would happen in service trade area, especially when encountering finance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are opened, China's economy could be exposed to some risk. In result, Korea should expand its negotiation range from commodity trade to service trade, in order to exchange both issues, then the negotiation will be concluded more easily. In other word, for FTA, korea should follow comprehensive package settlement way that is similar to New zealand and Singapore case. Through this kind of method, Korea can expect effect of creating trade, conversion of it and preoccupancy of service field in china's market against the advanced countries like Usa, Europe and Japan. Also, to have a successful FTA negotiation, korea should find out china's policy for FTA negotiation. With this information, korea will be able to suggest the way to make a profit. Systematic analysis and comparison about previous negotiation cases of china are needed before the negotiation beg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