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EC 질적지표에 따른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대상 감각통합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분석

        신주원,김준식,김명진,김서영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ingle-subject studies in Korea related to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for intellectual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It also aims to grasp the quality level of domestic studies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for evidence-based practice suggested by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CEC). [Method] In this study, 11 single-subject studie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0 to 2021 were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were identified by dividing it into publication year, participants, study desig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the quality of the study was analyzed based on 22 indicators in eight areas presented by the CEC. [Results] In domestic single-subject studie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re were more studies address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t was found that various study designs, such as AB, ABA, and multiple-baseline designs, were used.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strategy used traditional sensory integration as the main strategy, and most studies used problem behavior and stereotyped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CEC quality indicators, there was no study that satisfied all indicato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rate was low. [Conclusion] Domestic single-subject studies related to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for intellectual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and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earch are needed. Based on this,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should be applied to the fields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intervention. [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수행된 감각통합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CEC에서 제시한 증거기반실제(evidence-based practice)를 위한 질적 지표를 사용하여 국내 연구들의 질적 수준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0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연구 11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은 출판연도, 연구 참여자, 연구 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으로 나누어 파악하였으며 연구의 질적 수준은 CEC에서 제시한 총 8개 영역의 22개 지표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국내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대상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 연구는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보다 많았으며 AB설계, ABA설계, 중다기초선설계 등 다양한 연구 설계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통합중재 전략은 전통적 감각통합중재를 주된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문제행동, 상동행동 등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CEC 질적지표에 따른 분석결과 모든 지표를 충족하는 연구는 없었으며 전반적으로 낮은 충족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수행된 감각통합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 연구는 보다 더 활발하게 수행되어야 하며 연구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한 감각통합중재가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중재 현장에 적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

        발달장애 대상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 연구 분석

        신주원,박지영,안아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2

        [Purpose] This study analyzed single-subject studies in Korea that applied enhance milieu teaching(EMT) for developmental delays,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disorders. The aim was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tudies on EMT and analyze their qualitative levels using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CEC) qualitative indicators(QI). [Method] This study included 14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between 2000 and 2023, that targeted children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elay, Intellectual Disability, or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had a single-subject design in which the arbitrator directly mediated the subjec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were assessed publication year, study subject, study desig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quality of the studies was evaluated using the CEC's eight areas and 22 qualitative indicators. [Results] EMT, conducted on DD, ID, and ASD, was the most common study in preschoolers diagnosed with ASD. Regarding study design, most of the studies used a multiple baseline designs(across setting and subject).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ll elements of EMT, including environmental control, reactive interaction and milieu teaching strategies. Improvement in spontaneous utterance was the most common dependent variable. The analyzed studies exhibited a somewhat low qualitative level, with an average fulfillment rate of 65.6% for the CEC's QI. None of the studies met all of the CEC's qualitative indicators. [Conclusion] The number of studies on EMT for individuals with DD, ID, ASD is limited. Existing studies, primarily focus on preschoo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pand the subjects to elementary school, adolescent student. Additionally, the qualitative level of existing studies is low, necessitating efforts to improve study quality. High-quality studies are essential to apply educational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DD, ID, and ASD. [목적] 본 연구는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적용한 국내 단일대상 연구를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수행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CEC에서 제시한 질적 지표에 따라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대상이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이며, 중재자가 대상자에게 직접적인 중재를 실시한 단일대상 연구로 설계된 논문이며 2000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4편을 선정하였다. 발행연도, 연구 대상자, 연구 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으로 구분하여 일반적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CEC에서 제시한 질적지표의 8개 영역, 22개 지표를 사용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과]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수행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자폐성장애아동을 대상으로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미취학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설계로는 대부분의 연구가 중다기초선 설계(상황간, 대상자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환경 조절, 반응적 상호작용, 환경중심 언어중재 전략의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었으며 종속변인으로는 자발적 발화 향상을 목표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분석된 논문의 질적 수준은 CEC의 질적 지표를 모두 충족하는 연구는 없었으며 평균 65.6% 충족률로 다소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하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의 수가 적으며 미취학 아동에게 집중되어 있어 초등기, 청소년기까지 대상자를 확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의 질적 수준이 낮아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높은 질적 수준을 갖춘 연구를 통해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아동교육 및 중재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쓰기 학습장애 중재 단일대상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김동일,이재호,이미지 한국학습장애학회 2013 학습장애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19 writing interventions used in 17 single-subject research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n writing. 17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nd graduate theses between 2001 and 2012 were reviewed. This review study investigated general features of the studies selected and the effect sizes by intervention types and duration. The intervention types were classified by cognitive strategy, metacognitive strategy,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and by single strategy and complex strategy.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10 studies used cognitive strategy, 5 studies used metacoginitive strategy, and 4 studies used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and the most effective strategy was the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when comparing to PND value of 19 interventions. Second, single strategy study was 16 and complex strategy study was only 3. The PND average of 16 studies used the single strategy was 94.21% and 3 studies used the complex strategy was 85.16%.Therefore, the single strategy showed larger effect sizes than the complex strateg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by duration, 13 studies applied intervention sessions between 11-20, 4 studies applied sessions between 21 to 30, and 3 studies applied more than 31 sessions. Then, 21-30 intervention sessions was the most effective. Lastly,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쓰기 학습장애를 대상으로 쓰기 중재가 이루어진 단일대상연구 17개(19개의 중재연구)을 분석하여 쓰기 중재 연구의 효과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이루어진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에서 실시한 중재연구들이다. 선정된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각 연구에서 사용된 인지적/초인지적/자원관리전략 분류에 따른 중재전략 분류의 효과크기와 단일전략/복합전략 분류에 따른 분석과 효과크기, 그리고 중재횟수에 따른 분석과 효과 크기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19개의 중재 연구 가운데 총 10개의 연구가 인지적 전략을 사용한 중재를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총 5개의 연구가 초인지적 전략을 사용한 중재를 활용하였으며, 나머지 4개의 연구가 자원관리전략을 사용한 중재를 활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각 연구들의 PND 값을 비교한 결과 자원관리전략이 가장 효과적이고, 다음으로 인지적 전략, 그리고 초인지 전략이 효과적인 중재 전략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19개의 분석 연구 가운데 16개는 단일전략을 활용한 연구였으며 3개의 연구만이 복합전략을 활용한 연구였으며 단일전략을 활용한 16개의 연구들의 평균 PND는 94.21%이며, 복합전략을 활용한 3개의 연구들의 평균 PND는 85.16%로 나타나 단일전략을 활용한 중재가 더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기간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 결과, 11회기~20회기의 중재를 적용한 연구들은 총 13개이고, 21회기~30회기의 중재를 적용한 연구들은 4개, 31회 이상의 중재를 적용한 연구들은 3개로 나타났고 21~30회기의 중재를 적용한 연구들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쓰기 학습장애 중재 연구에 대한 논의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분석

        박혜영(Park, Hyeyoung),방명애(Bang, Myongye) 한국자폐학회 2020 자폐성 장애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논문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28편이었다. 분석대상 논문의 일반적 특성, 중재변인 및 중재결과를 분석하고, Horner 외(2005)와 CEC(2014)의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지표에 근거하여 질적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르면 초등학생대상 연구가 32.2%이고, 중고등학생 대상 연구가 67.8%였으며,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학생이 자폐장애 학생보다 많았다. 실험설계는 중다(간헐)기초선 연구가 70%로 가장 많았다. 둘째, 중재 변인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어와 수학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중재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분석한 논문은 63.3%이었고, 관찰자간 신뢰도,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에 대해 보고한 논문이 각각 60.7%, 50.0%, 75%이었다. 셋째, 중재결과의 분석에 따르면, 중재효과, 유지 및 일반화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시각적 분석 방법으로 모든 분석대상 논문이 평균선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고, 비중복비율(중복비율 포함)을 이용하여 분석한 논문은 32.1%였다. 넷째, 질적분석 결과, 모든 질적지표를 충족한 논문은 없었으나 중재자 자격여부 정보와 사회적 타당도 영역을 제외한 모든 질적지표에 대해 논문의 60% 이상 충족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related to subject matt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Twenty eight single-subject studies published from 2010 to 2019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developed by Horner and colleagues(2005) and CEC(2014).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widely selected study subjects wer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ltiple probe designs were the most widely used. Second, the most widely selected subjects were Korean and math. Third, in all 28 studies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dependent variables. Generalization effects were tested in only eight of 28 studies, while maintenance effects were tested in 27 of 28 studies. The following quality indicators were not entirely fulfilled: intervention settings, background informations, qualifications of experimenters, operant definitions of dependent variables, fidelity of intervention, baselines, and internal validity.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 중재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분석

        류규태,윤주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oblem behaviors exhibited by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single subject stud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5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2 to 2022 were selected.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main academic research field, intervention subjects, and intervention environments. Next, th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interventionists of the single subject studies, design techniques, types of intervention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Lastly,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destructive and aggressive behaviors and disruptive behaviors were also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the extent of the effect of decreasing Problem behaviors of each 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using PN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ajority of intervention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focused o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ttending secondary schools. The interventions were mostly implemented in school settings. Second, regarding independent variables, studie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s interventionists and utiliz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based on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were the most prevalent. Third, in terms of dependent variables, research on interventions targeting self-injurious behaviors and mouthing behaviors, which are categorized as destructive and aggressive behaviors, were the most numerous. By categorizing the intervention programs used in the analytical paper by problem behavior and evaluating their size of the intervention effect, it was revealed that most of the intervention types had a significant effect in reducing destructive and aggressive behaviors and disruptive behavior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necessity of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interventions was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tailored intervention programs for specific Problem behaviors were suggested.

      • KCI등재

        장애학생 보호자가 참여한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과 관련된 단일대상연구 분석

        오경화,방명애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총 Vol.38 No.3

        Purpose: This study analyzes single-subject studies 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PBIS) including caregiver particip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wenty-one single-subject studies published from 2011 to 2022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s, intervention effects, and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developed by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2014) and Horner and his colleagues(2005). Result: First, the most widely selected study samples wer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ents‘ homes and special schools were most widely used as places for intervention. Second, the most widely implemented interventions were caregiver participation in PBIS conferences and communication education, consequence-based interventions, and individualized PBIS interventions. Third, all 21 studies reported intervention effects on decreasing problem behaviors and/or increasing desirable behaviors. While 20 studies(95.7%) examined maintenance effects, only five studies(23.8%) examined generalization effects. Fourth, nine studies(42.9%) entirely fulfilled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Conclusi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including caregiver participation are effective in decreasing problems behaviors and increasing desirable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need to be entirely fulfilled by single subject studies 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보호자가 참여한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과 관련된 단일대상연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분석 대상 논문은 2011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장애학생 보호자가 참여한 긍정적 행동중재 및 지원과 관련된 단일대상연구 논문 21편이었다. 각 논문의 일반적 특성, 중재변인 및 중재결과를 분석하고, CEC(2014)와 Horner 외(2005)가 제시한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평가 지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대상의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학생이 연구 대상에 포함된 연구가 11편으로 가장 많았고, 학교급의 분석 결과 초등학생이 연구 대상에 포함된 연구가 13편(61.9%)으로 가장 많았으며, 가정과 특수학교가 중재 장소인 연구가 각각 7편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보호자인 중재자가 ‘부모’라고 명시된 연구가 17편이고 ‘모’라고 명시된 연구가 3편이었다. 둘째, 보호자 참여 유형은 PBIS팀 협의회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교육인 연구가 각각 6편으로 가장 많았고, 보호자의 역할은 자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가정내 중재에 참여한 연구가 20편으로 가장 많았다. PBIS 전문가가 참여한 연구가 21편 중 13편이었다. 모든 분석대상 논문이 개별차원을 포함하였으며 3편은 학급차원의 중재도 포함하였다. 셋째, 중재결과에서는 학생의 도전적 행동이 종속변인인 연구가 12편으로 가장 많았고, 유지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20편이었으며 일반화를 검증한 연구는 5편이었다. 넷째, 질적 분석 결과 모든 질적 지표를 충족한 연구는 9편(42.9%)이었다. 결론: 장애학생 보호자가 참여한 긍정적행동 중재 및 지원은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이와 관련된 단일대상연구는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평가 지표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초등 장애학생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분석

        성경선 ( Sung Kyung Sun ),방명애 ( Bang Myong Ye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초등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34편의 일반적 특성(연구대상, 연구설계, 종속변인, 독립변인, 중재효과)을 분석하고, CEC(2014)와 Horner(2005)가 사용한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질적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34편의 총 연구대상 수는 모두 74명이었으며, 남학생(64.9%)이 여학생(24.3%)보다 많았다. 장애영역은 지적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연구가 23편(67.6%)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설계는 중다간헐기초선 설계가 14편(41.2%)으로 가장 많았다. 종속변인은 수업참여가 14편(41.2%)이고, 문제행동이 12편(35.3%)이었다. 독립변인은 긍정적 행동지원이 8편(23.5%)으로 가장 많았다. 34편 연구에서 모두 중재효과가 있었으며, 유지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24편(70.6%)이었고, 일반화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8편(25.0%)이었다. 둘째,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관련 단일대상 연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통합교육이 실시되는 연구 환경, 중재자의 자격 및 배경정보, 종속변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 중재 충실도, 기초선, 내적 타당도, 사회적 타당도에 대한 질적 지표가 낮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에 대한 논의와 연구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on integr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Thirty four single subject studies published from 2005 to 2016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developed by Horner et al.(2005) and CEC (2014).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widely selected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ltiple probe designs were the most widely used. The most widely selected dependent variables were academic engagement and problem behavior. The most widely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 was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the interventions of all studie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dependent variables. Out of 34 studies generalization effects were tested only by eighth studies, while maintenance effects were tested by twenty five studies. Second, the quality indicators of intervention settings, background informations and qualifications of experimenters, operant definitions of the dependent variables fidelity of intervention, baselines, and internal validity were not fully fulfille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읽기 유창성 중재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문헌 연구

        김자경 ( Kim Ja K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읽기에 어려움을 가진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유창성 관련 중재를 적용한 국내 단일대상연구의 문헌 리뷰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총 33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중재의 특징은 연구대상, 발행기간, 연구방법(연구설계 유형, 중재회기 수, 측정도구), 중재 유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PND값을 산출하여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읽기 유창성 관련 중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11편으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학습부진과 학습장애(난독증, 위험군 포함) 대상 연구가 각각 8편이었다. 이외에도 다문화 학생, 경계선지능, ADHD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소수 발표되었다. 연구대상의 연령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3에 달하였다. 분석 논문 중 21편(64%)은 2개 이상의 읽기 영역에 대해 다중중재전략을 사용하였다. 또한 단일중재연구 2편과 다중중재논문 19편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반복읽기 중재를 포함하였으며, 그 효과가 대부분의 연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읽기 유창성 관련 증거기반 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s of a single-subject study in Korea that applied an intervention related to reading fluency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Method: 33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0 to 2020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 publication period, research method, and intervention type, and the effect size was examined with the PND value. Result: The intervention studies related to reading fluency were on the rise,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1 studies). 8 studies were conducted on learning difficul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including dyslexia and at-risk groups), respectively. In addition, a small number of studies targeting multi-cultural students,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students with ADHD have been published. 25 studies were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1 studies used multiple teaching strategies for two or more reading areas. In addition, 2 single intervention studies and 19 multiple intervention studies included various types of repeated reading interventions, and the effectiveness was high in most stud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evidence-based interventions related to reading fluency were provid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 KCI등재

        고교 여자 태권도 선수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 효과: 단일사례연구

        김성훈,신홍범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 선수의 심리기술과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16세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단일사례 연구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심리적 특성, 스포츠 특성, 기준선 측정으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12주 동안 개별화 된 심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참가자에게 제공되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 선수는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심리적 기술(목표 설정, 각성 조절, 압력 완화, 자신감, 걱정, 집중력)을 향상시켰다. 둘째,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선수는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스트레스 (실패에 대한 두려움, 경쟁 요구, 지속적인 교육에 대한 걱정, 선후배 갈등, 부상에 대한 걱정)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선수들을 위한 심리기술훈련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지속적인 심리저원을 통해 학생선수들의 팀 적응과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과 관심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psychological skill and stress for high-school Taekwondo female player.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single subject-case study using a school-aged girl whose age was 16years ol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was composed by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 of sport, measurement of baseline. An individualize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was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an intervention, for 12 wee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high-school Taekwondo female player improved psychological skills(setting a goal, control of arousal, relieve pressure, confidence, worry, concentration) after participating in a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Second, high-school Taekwondo female player reduced stress(fear of failure, competition demands, worry of continued education, senior-junior conflicts, worry of injury) after participating in a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for student athletes. It is hoped that continued suppor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team adaptation and diagnose potential psychological problems of student athletes and apply them to training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ir performance.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초등학생 의사소통 중재 국외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김주선,홍성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2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often have serious communication deficiencies. Therefore, the proportion of communication skills is relatively high among the education content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ntervention effect of international single subject studie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o do this, we set 7 inclusion criteria and 2 exclusion criteria. With the selection criteria, we selected 17 articles containing 41 cases. The analysis criteria were the students' characteristics(sex, age, disability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nd intervention methods(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intervention sessions). The effect size of a single subject study was calculated using the non-overlap ratio method, which is a traditional visual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average intervention effect size of all studies was as high as 9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ta - analysis based on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female students were larger than male students in the gender standard, and the lower grade students were larger than the upper grade students in the age standard. Moreover, the effect size were similar in terms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but the students who have verbal ability showed a relatively large effect size in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ta - analysis based on the intervention methods, the effects of peer mediation i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symbolic communication i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relatively larger than other variables. The intervention sessions showed low effectiveness over 20 sessions. PECS,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recognized as effective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s been surprisingly ineffective. Detailed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Based on these results, we briefly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the single object meta - analysis on the discussion and similar subject in the future.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은 심각한 의사소통 결함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중도·중복장애 학 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내용 중에서 의사소통 기술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높다. 본 연구는 증거기반 중도·중복장애 초등학생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국외 단일대상 연구들의 중재효과 를 확인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7개의 논문 선정 준거 및 2개의 제외준거를 설정하고 이 선정 준거에 따라 41개의 사례가 포함된 17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 한 기준은 연구 대상자 특성(성별, 연령, 장애특성, 의사소통 특성)과 중재 방법(독립변인, 종속변인, 중재회기)을 활용하였다. 단일대상 연구의 효과크기 산출은 전통적 시각적 분석 방법인 비중복비율 방 법을 활용하였고, 이에 대한 분석자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전체 연구들의 중재효과크기는 평균 90%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연구대상자 중심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별기준에서는 여학생이, 연령기준에서는 저학년이 상대적으로 효과크기가 컸고, 장애특성별로는 효과가 서로 유사했으나, 의사 소통 특성에서는 발화 가능한 사례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방법 중심 메타분석 결과 독립변인에서는 또래중재, 종속변인에서는 상징적 의사소통이 포함된 경우가 상대적으로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중재회기에서는 20회기 이상이 20회기 미만 중재 회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 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주의깊게 살펴볼 부분으로는 전통적으로 중도·중복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이라 고 인정받아왔던 PECS가 비효과적인 중재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분석 결과는 본 논문에 자세히 제시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향후 유사 주제에 관한 단일대상 메타분석의 연구 방향을 간략히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