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심리측정에서 비극단 응답양식의 효과: 다집단 잠재계층 요인분석의 적용

        손원숙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1

        The present research used a multi-group latent class factor analysis(MLCFA) to measure response style and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gender and school-level(age) groups.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extent to which response style leads to measurement inequivalence when comparing a psychological construct across subgroups. Analyses were based on five items measuring self-concept for a sample of 13,232 participants selected from the database of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SELS) 2012. Results indicated that the two factor model with both self-concept and response style factors showed better model-data fit and mild response style(MLRS) which is the complement of ERS was identified in answering likert-type items on self-concept. Females or middle school students(7th graders) tended to avoid extreme responding more than males or primary school students did that supporte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based on Korean data. Also the impact of controlling for MLRS on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gender and school-level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controlling for it yielded more equivalent measurements. This finding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rrecting for response style in large-scale assessment research and the usefulness of multi-group LCFA in both analyzing measurement equivalence and response style. 본 연구에서는 다집단 잠재계층 요인분석(Multi-group Latent-Class Factor Analysis : MLCFA)(Vermunt & Magidson, 2005)을 통하여 심리측정 도구에서 발생하는 응답편파 경향을 탐색하고, 응답편파가 집단 간 측정동등성에 미치는 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정보원에서 주관하는 2012년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SELS 2012)의 학생 설문지 중 자아개념 척도 5개 문항을 사용하였고, 학교급(초, 중, 고) 및 성별(남, 여)에 따른 집단 간 응답편파의 차이 및 측정동등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자아개념 측정에서는 극단응답 범주보다는 ‘보통이다(3점)’를 포함해 비극단 응답 범주를 선호하는 응답편파 유형인 ‘비극단 응답양식(Mild Response Style : MLRS)’이 탐색되었다. 대체로 여학생 또는 중학생이 높은 MLRS 경향을 보였고, 반대로 남학생 또는 초등학생은 극단반응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MLRS의 요인의 통제는 후속되는 하위 집단 간 측정동등성 모형의 적합도를 향상시키고, 하위집단 간 요인계수 및 문항절편의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MLRS는 자아개념의 측정 비동등성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심리척도의 하위집단 간 측정동등성 평가뿐 아니라, 측정 비동등성을 유발하는 응답편파를 동시에 탐색할 수 있는 방안으로 MLCFA의 유용성을 제안하였고, 다문화 집단, 교육수준 및 학습기회의 차이 등과 같은 다양한 하위집단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 모델 개발

        방준용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3

        In this study, major measuring tools for social responsibility, which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nd utilized, were compiled and analyz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measuring tool for social responsibility suitable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Although major areas of activity were set up only for domestic and specific areas due to the nature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 measuring tools not only at home but also abroad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targets based on globalization trends for social responsibility. The four representativ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ing tools (ISO 26000, GRI, UNGC and KEJI)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for social responsibility measuring tools, including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Sustainability Index and FTSE 4GOOD Index. ISO 26000 was selected as the basis for th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model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among existing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tools by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ndividual measurement tools while organizing various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tools. ISO 26000 applied various stakeholder views from the beginning of development and reviewed and reflected as many existing data as possible, and considered it suitable as the basis for a local public corporation-typ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model, a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made it more likely to generalize different types of local public entities. After developing the primary measurement model based on ISO 26000, the entire survey was conducted on 146 regional public corporations, excluding direct-run companies, to survey items in the measurement model. Prior to the launch of this survey, to enhance the suitability of the survey items and contents, a preliminary review was conducted by the heads of departments and practitioners of six public corporations. A survey data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he social responsibility indicator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to refine the measurement model, and a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model comprised of 147 items of 28 components in six dimensions was deriv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a policy manner, it is worth using first as a strategic approach to social responsibility, and leads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oriented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inally, by using it as a management tool for various stakeholders, it is expect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can be improved from a supply-oriented to demand-oriented perspective.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지방공기업에 적합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측정 도구 개발을 목표로 기존에 개발·활용되고 있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대표적인 측정 도구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지방공기업은 설립·운영 특성상 주로 국내 및 특정지역에 국한하여 활동영역을 설정하고 있으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세계화 추세에 근거하여 국내는 물론 국외 측정 도구들도 연구대상에 포함하였다. 4개의 대표적인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ISO 26000, GRI, UNGC, KEJI)와 함께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 지속가능지수, FTSE 4GOOD Index 등을 포함시켜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들에 대해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다양한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들을 정리함과 동시에 개별 측정 도구들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존에 존재하는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들 중에서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 모델의 근거로서 ISO 26000을 선정하였다. ISO 26000은 개발 초기부터 다양한 이해관계자 관점을 적용하고 최대한 많은 기존 자료를 검토 반영한 것으로 철학적 토대가 견고함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지방공기업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이 높아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 모델의 근거로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ISO 26000에 근거하여 1차적인 측정모델을 개발한 후 2018년 행정안전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대상 중 직영기업을 제외한 146개 전체 지방공사·공단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측정모델의 항목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설문조사 실시에 앞서 설문조사 항목 및 내용의 적합성 제고를 위해 6개 공기업 유형별(도시철도공사, 도시개발공사, 특정공사·공단, 관광공사, 시설관리공단, 환경시설공단) 부서장 및 실무자를 중심으로 사전검토를 실시하였다. 설문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의 사회적 책임 지표와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모델의 정제화를 실시한 결과 6개 차원 28개 구성요소 147개 항목으로 구성된 사회적 책임의 측정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 먼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전략적 접근 도구로서 활용 가치가 있으며, 성과지향적 사회적 책임활동의 전개를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관리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공급 중심에서 수요 중심의 시각으로 조직문화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국 중재반응모형 연구 분석: 단계별 중재구성요소와 비반응 정의를 중심으로

        김우리,연준모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and definitions of response/non-response by reviewing research of Response-to-Intervention (RTI) in Korea. Eighteen studies were reviewed for this study. First, the intervention components and the ways to define non-response were investigated in Tiers 1, 2 and 3 by academic subjects. Second, the prevalence of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those identified as having learning disabilities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RTI model was mainly used for mathematics. In Tier 1, large-group instruction was applied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Small-group instruction was implemented after school in Tier 2 and one-on-one instruction was used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in Tier 3. In terms of teaching strategies, information about teaching methods was not reported in Tier 1. In Tier 2, direct instruction and teaching strategies applied Bruner’s EIS theory were frequently used in math and a peer-assisted learning strategy was often used in reading. In Tier 3, students received special education. Instruction duration varied regardless of academic subjects and Tiers. To screen non-responders to the interventions, final benchmark method was applied in Tier 1 and dual discrepancy approach was used in Tier 2.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TI model was effective for decreasing the prevalence of learning disabilities. Lastly,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재반응모형 연구들을 개괄 및 분석해보고, 중재반응모형의 특징과 우리나라에 모형 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문헌선정 기준에 따라 중재반응모형을 사용한 실험 연구 18편이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먼저, 선정된 연구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과목별, 중재 단계별로 중재구성요소들의 특징을 분석하고, 반응과 비반응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중재반응모형을 통하여 선별된 위험군 혹은 학습장애 학생의 출현율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단계별로는 Tier 1 에서는 일반학급에서 대집단 교수가 제공되었고, Tier 2 에서는 방과 후에 소집단 교수가 이루어졌고, Tier 3 에서는 주로 특수학급에서 일대일 교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전략을 살펴보면, Tier 1 에서는 교수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지 않았고, Tier 2 에서는 수학교과의 경우 직접교수와 EIS 전략을, 읽기교과에서는 또래교수를 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Tier 3 에서는 Tier 2에서 사용한 교수전략에 특수교육 접근을 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재기간은 교과나 교수 단계와 관계없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비반응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Tier 1 에서는 최종 기준점수 준거를 사용하였고, Tier 2 에서는 이중불일치 접근을 사용하였다. 또한, 중재반응모형은 학습장애 출현율을 낮추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권익옹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대응체계 - 경제적 피해대응을 중심으로 -

        최윤영,강지선,하민정 사회복지법제학회 2023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4 No.1

        As so-called "salt slavery" cases are widely known through the media, social awareness is increasing about the seriousness of abuse against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need for a response system. As economic activitie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come more active today, there are increasing cases of economic exploitation that unfairly gain benefits by taking advantage of the disability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ch as by extorting their property from or swindling them, and fraudulent damage related to the opening and use of mobile phones is increasing rapidly. It is urgently required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economic exploit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stablish a system to defend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such exploitation damag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 of regulatory measures and response systems for advocating rights and interest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economic exploitation damage response system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discussed the improvement direction.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d the status of institutional devices for protect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economic exploitation damage response system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discuss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irst, after revie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the advocacy of rights and interest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II), the current status of economic damage case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III). Specifically, the types of economic exploitation in major precedents were analyzed (III-1), and among them, relief cases of consumer groups for the disabled were reviewed (III-2), and the types of damage were analyzed (III-3). Subsequently, the contents, effect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legislation related to economic damage response were examined (III-4). Next, the expected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and the decision-support system were examined as institutional alternatives, and the public guardianship system and pre-intention registration system were discussed as other alternative approaches (IV).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it was proposed as a conclusion that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1) to strengthen the counterparty's obligation to explain economic damage to the disabled, (2) to intervene in the early stages of damage, (3)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the counterparty structurally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damage, (4)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the disabled, and (5) to introduce a device that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damage while guaranteeing the decision-making right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the relief process. 이른바 ‘염전노예’ 사건 등이 언론을 통해 널리 알려지면서 발달장애인에 대한 학대의 심각성과 그에 대한 대응체계의 필요성에 관해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오늘날 발달장애인의 경제적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발달장애인의 장애를 이용하여 억지로 재산을 빼앗거나 속여서 이익을 취하는 등의 방법으로 부당하게 재산적 이익을얻는 경제적 착취 사건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 개통 및 이용과 관련한 사기피해가 급증하는 추세다. 발달장애인에 대한 경제적 착취의 실황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러한 착취피해로부터 발달장애인의 권익을 옹호하기 위한 체계의 마련이 시급히요청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발달장애인에 대한 경제적 착취 피해 대응체계를 중심으로 하여발달장애인 권익옹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 개선방향에 관하여논의하였다. 먼저, 발달장애인 권익옹호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에 관하여 검토한 뒤(Ⅱ), 발달장애인의 경제적 피해 사건의 현황에 관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Ⅲ). 구체적으로는, 주요 판례에 나타난 경제적 착취 유형을 분석하고(Ⅲ-1), 그 가운데서도 최근 그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휴대폰 사기 사건에 관하여 장애인소비자단체의 구제사례를 검토하였으며(Ⅲ-2), 그 피해 유형을 분석하였다(Ⅲ-3). 그에 이어, 경제적피해 대응에 관련된 기존 법제의 내용 및 그 효과와 한계에 관하여 고찰하였다(Ⅲ -4). 다음으로는, 제도적 대안으로서 성년후견제도하에서의 접근과 의사결정지원제도의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에 관하여 살펴보고, 기타 대안적 접근으로서 국선후견인제도 및 사전의향등록제도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Ⅳ). 이와 같은 고찰 내용을 토대로, 발달장애인 경제적 피해 대응을 위하여 (1) 거래상대방의 설명의무를 강화하는 형태로 제도가 개선되어야 하리라는 점과, (2) 피해 초기 단계 개입을 위한 방안 마련이요청된다는 점, 그리고 (3) 피해발생과 구조적 관련이 있는 거래 상대방의 책임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점, (4) 구제 과정에서 피해장애인의 편의가 보장될 수 있도록 대응체계가 개편되어야 한다는 점, (5) 구제과정에서 발달장애인의 의사결정권이 보장되면서도 피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 도입이 요청된다는 점 등을 결론으로 제안하였다(Ⅴ).

      • KCI등재

        긴급조치와 국가배상- 대법원 2022. 8. 30. 선고 2018다212610 전원합의체 판결 -

        김광수 한국경찰법학회 2023 경찰법연구 Vol.21 No.3

        이 글에서 평석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판례는 우리 헌정사의 굴곡을 잘 보여준다. 1975년에 공포된 대통령 긴급조치 제9호는 유신헌법 체제를 지키기 위한 대통령 조치이며 그 근거는 유신헌법 제53조에 두고 있었다. 긴급조치 발령과 집행 및 그로 인한 피해자의 발생은 정치적으로도 쟁점이 많은 중요한 사안이다. 그런데 이 사건은 긴급조치의 피해자들이 최후의 권리구제 방법으로 선택한 손해배상의 인정 여부에 관한 것으로 이 판결문을 잘 읽어보면 우리 국가배상법의 본질과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대상 판결은 긴급조치의 피해자들에게 국가배상법에 의한 배상청구를 승인한 의의를 가진다. 국가의 불법적인 행위로 인한 피해자들을 구제한 점에서는 획기적인 의미를 가진다. 그런데 다수의견이 채택하고 있는 ‘일련의 국가작용’에 대한 객관적 정당성의 결여에 의한 국가배상의 성립이라는 해석은 국가배상법의 일반적인 해석에는 상당히 예외적인 공식이다. 별개의견으로 국가의 자기책임을 주장하는 견해가 있으나 자기책임설을 취한다고 하여 이로부터 조직과실이라는 개념이 도출되기는 어렵고 자기책임에 의한 국가배상 청구권의 인정을 위해서는 국가배상법의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기존의 국가배상법을 적용하여 배상책임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당시 최고권력자이자 모든 국정의 책임을 지고 있었던 대통령의 법령 위반과 과실을 인정하였으면 간명하였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법관들의 독자적인 국가배상 책임 성립도 인정할 수 있겠지만 비정상적이었던 당시의 사법부 상황을 생각해보면 뒤늦은 반성 이외에 별다른 의미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독일에서는 나치 피해자들은 보상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해결하였다. 이와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국가배상법의 적용을 통해서 피해자를 구제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국가배상법의 해석에 있어서 무리한 점이 발견된다. 이는 아직도 유신체제에 대한 엄정한 반성과 시정이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자기책임설이 국가배상법의 현대적인 적용을 위해서 필요한 입장이기는 하지만 그 경우에는 현행법이 갖추지 못하고 있는 미비한 부분을 해석에 맡기는 결과가 되어 실무상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해석론과 함께 입법론도 신중히 검토하여야 한다. 이 글에서 그 내용에 관해 제안하였다. The precedent that is the subject of commentary in this article clearly shows the ups and downs of our constitutional history. Presidential Emergency Measure No. 9, promulgated in 1975, was a presidential measure to protect the Yushin Constitution, and its basis was in Article 53 of the Constitution. The issuance and enforcement of emergency measures and the resulting casualties are important issues with many political issues. However, this case concerns the recognition of tort claims for damages chosen by the victims of emergency measures as a final remedy for their rights. If you read this ruling carefully, you can understand the essence and function of our National Tort Claims Act. The ruling has the significance of approving tort claims under the National Tort Claims Act for victims of emergency measures. It has a retrospective meaning in that it provides relief to victims of the state's illegal actions. However, the interpretation adopted by the majority opinion that state Tort Claims is established due to the lack of objective justification for ‘a series of state actions’ is a formula that is quite exceptional to the general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re is a separate opinion that asserts the state's self-responsibility, but it is difficult to derive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negligence from the self-responsibility theory, and it seems that the state tort claims law needs to be reorganized in order to recognize the right to claim compensation through self-responsibility. In order to recognize liability by applying the existing National Tort laims Act, I think it would have been simpler to have acknowledged the violation of laws and negligence of the President, who was the most powerful person at the time and was responsible for all state affairs. Of cours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judges' independent responsibility for national compensation, but considering the abnormal situation of the judiciary at the time, it is judged to have no significant meaning other than belated reflection. In Germany, Nazi victims were given compensation by enacting a special law. In contrast, in Korea, victims were relie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National Tort Claims Act, but in the process, unreasonable interpretation were discovered in the ruling. This means that strict reflection and correction of the Yushin Constitution system has not yet been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Although the theory of self-responsibility is a necessary position for the modern application of the National Tort Claims Act, the current phrases do not provide reliable grounds.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legislative action as well as interpretation skill must be carefully discussed. In this paper, the articles of the necessary revision are suggested.

      • KCI등재

        Selecting Common Items for Linking the Oswestry Low Back Pain Questionnaire and a Short Form of Self-Reported Activity Measure for Low Back Pain

        Bong sam Choi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15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22 No.3

        To develop an effective and efficient measurement system for tracking changes of functional status across two measures, it is essential to integrat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scores across two measures.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wo measures leads to score incompatibility. A potential solution would be the development of a crosswalk table between those measures. Prior to creating a crosswalk table, selecting common items between two measures is critical. By using the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Oswestry) and a short form measuring disability resulting from low back pain, item level statistics as well as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using the Rasch measurement were investigated. Eighty-two participants with known group validity were recruited.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Rasch measurement model, item difficulties across the two measures were logically and hierarchically ordered. Ceiling effects for both measures were detected, which were not be able to be effectively measured with the two measures. The DIF analysis across the two measures confirmed that five paired items were found to have DIF and five common items were selected for common items. Although five paired items function differently across the Oswestry and the short form, all items of both measures were well targeted study participants. The common items selected by the Rasch measurement model may be effective when creating a crosswalk table between the Oswestry and the short form.

      • KCI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Emotion Measurements for User Experience in Interaction

        김미정,조명은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4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48

        Many researchers have worked on the measurement of emo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ir various domains,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emotion in interaction. To develop measures of emotion in interaction embedded in spaces, this paper reviews representative studies and techniques adopted for the measurement of emotion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Emotional states and emotional response are two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in measuring emotion. In general, emotional states are divided into discrete and dimensional emotion models, whereas emotional responses are organized in terms of experiential, physiological, and behavior response. A critical review would enable the consolidation of knowledge to develop appropriate measures for emotion in interaction design associated with spaces. Through an exhaustive search on contents pages of articles, systematic methods for measuring emotional states and responses were examined, and several problems specific to the measurement of each emotion component were investigated and identified.

      • KCI등재

        인권보호를 위한 국내법상 무역제한조치의 국제규범 합치성 검토— 미국 「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을 중심으로 —

        허난이 안암법학회 2022 안암 법학 Vol.- No.64

        On December 2021, the U.S. President Biden has signed Uyghur Forced Labor Prevention Act, (UFLPA) which is stop the alleged forced labor in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XUAR) in China. According to this Act, since this June, the importation of all goods mined, produced and manufactured in XUAR into the U.S. market will be prevented. While not only the U.S. but also other major states such as the European Union, the U.K., Canada and Australia are expected to take similar trade measures against China,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legality of the trade measures taken for the human rights protection at this moment. This kind of trade measures sometimes are included in the general economic sanctions or are taken separately under the independent legislation. The first legal basis of these measures in international law would be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according to the UN Charter Chapter 7. Also, the invocation of responsibility by a State other than an injured state according to the ILC Draft Articles on State Responsibility Article 54 requires the measures to be “lawful.” Since the measure is related with trade, it also should be consistent with GATT Agreement, especially the general exception clause stated in Article XX. However, there is not yet any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on the issue of XUAR forced labor. Moreover, it is yet unclear whether UFLPA satisfies the standard of ‘lawfulness’ that is required for the invocation of state responsibility by a state other than an injured state. Then the justifiability of the measure by the GATT Article XX is dependent on how to interpret the sub-paragraphs of this article such as the terms “public morality” or “human life or health.” Thus, UFLPA may be the target of criticism blaming that only big economies have power to take this kind of unilateral trade measures. To prevent any dispute arising from this measure, the U.S. should put effort into building enough legal basis from the public international law.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의 강제노동 문제에 대응하여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2021년 12월 “위구르 강제노동 금지법(Uyghur Forced Labor Prevention Act, 이하 ‘UFLPA’)”에 서명했다. 올해 6월 시행되는 동 법에 따라 중국 위구르 자치구에서 생산되는 모든 상품들의 수입이 금지된다. 향후 미국 이외에도 EU, 영국, 캐나다, 호주 등 여러 국가들이 유사한 무역제한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번 UFLPA를 계기로 인권보호를 위한 무역제한조치의 국제법적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인권보호를 위한 무역제한조치’는 경제제재의 일환으로 포함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취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조치의 국제법적 근거로서는 특히 UN 헌장 제7장상 안보리의 경제제재 결의, 국가책임에 관한 ILC 초안상 피해국 이외 국가의 책임 추궁 권한, GATT협정상의 의무 위반을 정당화하는 제XX조 일반예외조항 등이 있다. UFLPA의 경우 현재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의 강제노동에 관하여 별도의 UN 안보리 결의가 없다는 점에서 국제법적 근거가 미약하다. 그리고 미국의 일방적인 무역제한조치가 국가책임법상 피해국이 아닌 제3국이 책임을 추궁하는 경우 ‘비례성 원칙’과 같이 ‘적법한 조치’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도 불분명하다. 또한 GATT협정 제I조 최혜국 대우와 제XI조 수량제한금지 원칙 위반을 정당화하는 제XX조의 예외 적용에 대해서도 개별 세부 조항을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 그 가능성이 달라진다. 결국 국제법적 근거가 불명확한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강행되는 UFLPA는 오직 거대 경제국들만이 누리는 특권적 선택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으며, 앞으로 중국 뿐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이 얽혀 있는 상당 수 국가들과의 분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국은 충분한 국제법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모델을 활용한 진단 사례 : 서울소재 A 시설관리공단을 대상으로

        김종근,이종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4

        Using the previously developed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model, this study set the assessment of the current level of practical social responsibility for specific regional public corporation as a major research objective and assessed the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against the A facility management corporation in Seoul. The previously developed measurement model was utilized, but prior to the actual diagnosi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for regional public corporation subject to diagnosis, and some of the survey items were modified based on the pre-survey results, which were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key stakeholders, including members of the regional public corporation, local government employees, and facility users. Basically, in situations where it is not possible to compare with other regional public corporations, the assessment of the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of a single regional public corporation was made by identifying items less than average compared to the average of the components to which the detailed items belong and designating them as management items of social responsibility. This study is the first to diagnose social responsibility levels by applying a measurement model developed for a regional public corporation to specific regional public corporation. In the face of growing social demand for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or public institutions, proper diagnosis of them is essential prior to systematic management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However, in order to establish a virtuou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social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public corporation on the basis of the diagnosis results and present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and to take a strategic approach to social responsibility by strengthening the link with the enterprise strategy of the regional public corporation. 기존에 개발되어 있던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모형을 활용하여 특정 지방공기업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사회적 책임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는 것을 주요한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위해서 서울에 소재한 A시설관리공단을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 수준을 진단하였다. 기존에 개발되었던 측정모형을 활용하였으나 실제 진단에 앞서서 진단대상 지방공기업에 대한 측정모형의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전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일부 설문항목을 수정하였다. 설문은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공단구성원, 지방자치단체 직원 및 시설이용자 등 핵심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기본적으로 타 지방공기업과의 비교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단일 지방공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준에 대한 진단차원에서 세부항목이 속해있는 구성요소의 평균과 비교하여 평균미만인 항목을 파악하여 사회적 책임의 관리항목으로 지정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 지방공기업을 대상으로 지방공기업형으로 개발된 측정모형을 적용하여 사회적 책임 수준을 진단한 최초의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공기업에 대한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체계적 관리에 앞서서 이에 대한 적절한 진단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선순환적인 성과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진단결과에 근거하여 해당 공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점을 파악함과 동시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고, 전사적 차원에서 경영전략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사회적 책임에 대해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실측 데이터를 이용한 공용중인 강사장교의 버페팅 응답 분석

        이덕근,공민준,유동우 대한토목학회 20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6 No.3

        In order to analytically evaluate buffeting responses, the analysis of wind characteristics such as turbulence intensity, turbulence length, gust, roughness coefficient, etc must be a priority. Static aerodynamic force coefficients, flutter coefficients, structural damping ratios, aerodynamic damping ratios and natural frequencies affect the analytical responses. The bridge interested in this paper has being been used for 32 years. As the time passes, current terrain conditions around the bridge are different markedly from the conditions it was built 32 years ago. Also, wind environments were considerably varied by the climate change.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turbulence intensity, length, spectrum and roughness coefficient of the bridge site from full-scale measurements using th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The evaluation results indicate that wind characteristics of bridge site is analogous to that of open terrain although the bridge is located on the coastal area. To calculate buffeting responses, the analysis variables such as damping ratios, static aerodynamic force coefficients and natural frequency were evaluated from measured data. Th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regard to 4 cases. The evaluated variables from measured data ar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analysis cases. And the other analysis cases were performed based on Design Guidelines for Steel Cable Supported Bridges. The calculated responses of each analysis cases are compared with the buffeting response measured at less than 25m/s wind speed. It is verified that the responses by the numerical analysis applying the estimated variables based on full-scale measurements are well agreed with the measured actual buffeting responses under wind speed 25m/s. Also, the extreme wind speed corresponding to a recurrence interval 200 years is derived from Gumbel distribution. The derived wind speed for return period of 200 years is 45m/s. Therefore the buffeting responses at wind speed 45m/s is determined by the analysis applying the estimated variables. 공용 중인 교량의 버페팅 응답을 해석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교량 현장의 난류강도, 난류 스펙트럼, 조도계수, 거스트 계수 등 풍하중에 대한분석이 우선되어야 하고, 해석 결과는 정적 공기력 계수, 플러터계수, 구조 감쇠비, 공기역학적 감쇠비, 고유 진동수 등 여러 변수에 의해 영향을받는다.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한 교량은 32년째 공용 중에 있는 교량으로써 교량 주변의 지형조건은 설계 및 시공 당시에 비해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한 풍 환경 역시 큰 변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상교량에서 실측한 풍속 데이터를 분석하여 난류강도, 난류길이, 지표조도계수, 풍속 스펙트럼 등 교량 현장의 풍하중을 평가하였다. 교량 주변의 풍환경 평가 결과, 대상 교량은 해상교량임에도 불구하고 지표조도구분 Ⅱ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실측한 구조물의 가속도, 변위 응답 데이터를 통해 대상교량의 감쇠비, 정적 공기력 계수, 고유진동수를 평가하여 계측기반 버페팅 해석 변수를 산정하였다. 계측데이터 기반의 해석 변수와 케이블강교량설계지침에 제시된 해석 변수를 적용하여 총 4가지 경우에 대한 버페팅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10분 평균 풍속 25m/s이하에서 측정된 버페팅 응답과 계측 기반 해석 변수를 적용한 해석 응답이 가장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고, 계측 풍속과 Gumbel 확률분포를 이용하여 추정한 200년 재현기대 풍속인 45m/s에서의 버페팅 응답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