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 학습자의 전공교육 만족도와 교육 성취도에 대한 사례 조사

        유유순(You-Soon You) 한국중원언어학회 2008 언어학연구 Vol.- No.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nglish major's satisfaction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English learners. This study proves that educators must raise the practical and utilized learning competency in community colleges. There are three questions. First, is there a high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curriculum satisfaction with regard to English major learners? Second, what significant relationships do the English learners have in regards to the six standpoints? Third, is there a verifiable reciprocity among grade, session, age, and previous learn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demonstrate that educators must make efforts to enhance the learning product they offer through the use of concrete textbooks, systematic lesson plans, and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the English learners.

      • KCI등재

        야담 속에 나타난 죽음서사의 양상과 죽음명상 텍스트로의 활용

        이강옥 ( Lee Kangok ) 한국고전문학회 2018 古典文學硏究 Vol.54 No.-

        야담집의 죽음서사를 두루 찾아내어 저승생환담, 임종담, 이승혼령담, 환생담, 이승저승 관계담 등으로 나누어 각각을 검토했다. 그리고 그 각각을 따로 혹은 전체로 죽음명상 텍스트로 활용할 가능성을 타진했다. 야담의 저승생환담은 죽음 후의 저승과 죽음 전의 이승이 긴밀하게 연결되는 양상을 경험하게 한다. 저승은 이승과 긴밀하게 연결된 것을 확인하게 함으로써 저승으로 잘 가기 위해서 이승의 삶을 반듯이 살아야 함을 보여준다. 야담의 임종담이나 해탈담은 죽음 과정에서 이승과 이별하는 방식들을 보여주기에 죽음명상에서 소중하다. 임종담이나 해탈담은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이 보여줄 수 있는 두 극단인 집착하기와 해방되기를 보여줌으로써 독자가 스스로 선택할 기회를 준다. 독자는 이승에 대한 집착과 이승으로부터의 해방이란 양 극단을 두고 어느 한쪽을 선택하거나 적절한 중간지점을 모색할 수도 있다. 해탈담은 임종담과 달리 서사적 여백이 특히 넓다. 독자들은 그 여백에다 상상의 결과를 채울 수 있다. 여백에 어떤 풍경과 마음을 담는가는 자유다. 이승혼령담은 이승에 머물고 있는 혼령의 존재를 목격하거나 느끼고 혼령이 안은 문제에 공감하며 문제를 해결해준다. 독자들은 이승혼령담을 읽으면서 우리 삶에서 실타래같이 얽힌 부분을 조심스레 살피게 된다. 원한을 푸는 순간 이승을 떠나는 원혼 이야기는 정의와 진실을 따르는 것이 이승의 최고 가치임을 절감하게 한다. 이승에서 못다 한 일을 이승과 저승 어디서든 다시 할 기회가 있음을 알려주고 간접적으로나마 그것을 실행하게 해주는 것이 저승생환담, 환생담, 이승저승 관계담이다. 이들 죽음서사는 죽은 뒤에도 새로운 기회는 주어진다는 믿음을 재생해주기에 죽음 전후 마음에 안정감과 평화를 가져다준다. 죽음서사를 통해 자기 안에 은폐된 죽음의 관념이나 공포, 상념을 들추어내고, 자기의 죽음으로 가는 길을 찾고, 길을 넓히고, 마침내 그 길에 익숙해지는 것이 죽음명상의 순서일 것이다. 그것이 죽음을 대비하는 비교적 무난하고도 효과적인 방안이다. This paper devises a meditation program on death by exploring stories on death in Yadam. This paper reconstitutes diverse types of stories on death of Yadam. And selects the cases meaningful for death meditation from each type and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and values. Tales of Returning from Otherworld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in relation to death meditation: a type in which afterlife experiences are treated as a continuation of those of this world, a type in which afterlife experiences are treated as expansions of and introspections on this world, and the last type in which the protagonists undergo identity transformation due to their afterlife experiences. The last type in which afterlife experience completely changes the identity and life style of the protagonist is the most valuable as a death meditation text. The tales in this type vividly demonstrate the truth that clear vision for this life is the solution for the dread of death. There are other tales of passing, of nirvana, of spirit, of reincarnation, of this world-Other world relation, of resurrection. Reading those death narratives provides a crucial foundation for death meditation. Death narrative contains our ancestors' varied perspectives on death. Though not fully structured, people's perspectives on death are also fused into the death narratives. Death narrative suggest a basis for transforming abstract explanation into concrete experience.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원격 영재수업이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과학 동기, 과학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재돈,박병열,이현동,이효녕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3 과학영재교육 Vol.15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nline education on gifted students’ systems thinking, science motivation, and scientific self-efficac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subjects were 68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in 2020. The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15 different subjects was conducted for 90 hour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ystems thinking, science motivation, and scientific self-efficacy, the preandpost-test design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online gifted education was systematically conducted using the university’s existing LMS system, while also reducing students’ group activities and interactions between both students-students and students-instructor within the classroom. Second, online gifted education was effective in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systems thinking and science motivation, however, the effect size was relatively small. Third, educational effects on students’ systems thinking were affected by the district of residence and previous educational experience. Therefore, gifted education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and regional disparities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needed in the future fast-changing society. 이 연구에서는 COVID-19 상황에서의 원격 영재수업이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과학 동기 및 과학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20학년도 초등과학 영재학생 68명이며, 원격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총 15개의 주제로 90시간동안 교육이 진행되었다. 교육 효과 검증을 위해 시스템 사고, 과학 동기, 과학 자기 효능감 검사도구를 영재교육 사전 사후에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 과학영재교육은 기존의 대학 LMS 시스템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모둠활동 축소, 교수-학생 및 학생 간 상호작용이 줄어드는 등의 한게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격 영재교육을 이수한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은 시스템 사고와 과학 동기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으나, 그 효과의 크기는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원격 영재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변화는 이전 영재교육 경험의 유무와 거주지역의 차이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최근 지적되고 있는 국내 인구구조 변화 및 지역별 격차에서 비롯된 문제를 고려한 영재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미래사회를 대비한 우수한 인력을 양성해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社会资本与先前经验对乡村民宿创业机会识别的影响研究

        어문영(Yu, Wen-Ying)(鱼,文英),류찬(Liu, Can)(刘,,),이용진(Li, Long-Zhen)(李龙,振) 대한중국학회 2021 중국학 Vol.74 No.-

        机会识别是创业管理领域的重要研究主题,也是发展乡村旅游创业的重要前提条件之一。虽然创业机会识别研究已经取得了较多的成果,但仍缺少以乡村旅游单一行业创业样本来进行的实证研究。本研究基于社会资本理论和经验学习的观点,依据对139个乡村民宿创业者所做的的调查数据,对社会资本、先前经验与创业机会识别的作用机理进行了实证分析。研究发现,民宿创业者网络资源和网络规模均对创业机会识别有显著正向影响。民宿创业者的行业经验和职能经验对创业机会识别有显著正向作用,但工作经验对创业机会识别没有直接影响。这些结果表明,民宿创业者所嵌入的网络资源和网络规模越大,能够识别的创业机会就越多,拥有较多先前创业行业经验和职能经验,就能显著提高创业机会的识别。 Opportunity identification is the core issue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and it is also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Although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research has achieved more results, there is still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rural tourism single industry. Based on social capital and experience learning perspectives, using data from 139 “Minsu” in China, which is now officially called homestay inn in China, we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previous experience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cales of embedded network and resources of social network have positively effect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The results also show previous industry experience and functional experience have positively effect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while previous working experience has no direct effect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entrepreneurs have a denser and larger scale of social network, they will have higher alertness for the potential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Thes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entrepreneurs have more previous industry and functional experience, they will recognize more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 KCI등재

        사회적 사건에 의한 청소년의 간접외상 및 관련요인 연구: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손승희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0

        간접외상은 외상 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지만 PTSD와 같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이차적외상 스트레스 증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사건에 의해 특히 최근 발생한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1)청소년들이 경험한 심리적 반응을 살펴보고 (2)이전외상경험 수준에 따른 간접외상 수준의 차이 (3)간접외상경험 수준에 따른 이전외상경험, 스트레스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의 차이 (4) 이전외상경험, 스트레스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가 이차적외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며, 세월호사고와 직접 관련된 지인이 없는 중,고등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관련변인을 측정하여 일원분석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월호 사건으로 연구대상 청소년의 57.5%가 간접외상 완전PTSD집단에 속하였고, 슬픔과 분노 감정을 가장 높게 경험하였다. 이전외상경험 수준에 따라 간접외상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접외상 진단집단에 따라 이전외상경험, 스트레스대처양식에도 역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외상경험, 스트레스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가 간접외상의 15.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대처양식 중 회피중심 대처양식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사회적 사건에 의한 간접외상의 중요성 인식과 관련변인들의 영향을 제시함으로써 간접외상에 대한 후속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함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1) examine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in adolescence by social traumatic events, especially Sewol Ferry Disaster, (2) identify the level of indirect trauma according to the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 level, (3)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direct trauma,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4) the impact of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s,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to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34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terviewed who do not have a direct relationship to Sewol Ferry Disaster of Gyeonggi-do Province for this purpos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57.5% of students in case study included in the indirect trauma completely PTSD group. They experience feelings of sadness and anger most highly. According to the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 leve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egree of indirect trauma. There were also differences found in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the indirect trauma diagnosis groups.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s,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s explained 15.7% of indirect trauma showe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avoidance coping strategy is highest. By presenting the importance of the indirect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rauma awareness and social events through this research was to lay the foundation for subsequent studies suggested implications for indirect trauma, and limitations.

      • KCI등재

        공정무역에 대한 인지도, 구매경험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소비자를 중심으로 -

        김영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7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적 규범이 포함된 계획행동이론에서 공정무역에 대한 인지도, 구매경험도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도, 구매경험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 과 모델의 구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모델의 구성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인 지도, 경험도가 조절변수로 작용하는가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대학생 615명으로, 주요한 연구결과를 요약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정무역제품의 구매의도는 계획행동이론보다 계획행동이론에 도덕적 규범을 포함시킴으로써 그 설명력 이 50.8%에서 63.8%로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AIC/BIC도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덕적 규 범은 구매의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도덕적 규범이 포함된 계획행동모델에서 인지도는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모델의 구성요인인 소비자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도덕적 규범에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면에 구매경험 도는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과 소비자 태도를 제외한 3개 구성요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모델의 구성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인지도와 구매경험도는 일부 조절변수로 작용하고 있 다. 즉 인지도 수준에 따라서는 지각된 행동통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만이 차이가 있어서, 인지도가 낮은 집단은 지각된 행동통제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으나, 인지도가 높은 집단은 구매의도에 부적 영향 을 미치고 있다. 경험도 수준에 따라서는 주관적 규범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만이 차이가 있어, 경험도가 낮 은 집단은 주관적 규범이 구매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경험도가 높은 집단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 고 않고 있다. 따라서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자 교육 및 정보제공에 있어 대학생 소비자들의 공정무역에 대한 인지도 및 구매경험도에 따른 차이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마케팅 측면에서도 ‘바른 선 택’이 ‘쉬운 선택’이 될 수 있도록 공정무역제품 구매의 장애요인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nowledge and previous purchase experience of fair trade(FT)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to influence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n fair trade products through the moral norm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e data were obtained from 615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results are follow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compared to TPB, the moral norm extended TPB increased the explained variance in purchase intention from 50.8% to 63.8% with lower AIC/BIC values. One of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university student' intentions to purchase FT products via the moral norm extended TPB model with knowledge and previous purchase experience of FT as the most distal variables. Results indicated that knowledge had no direct effect on intentions, but its effect on intentions was meditated through the constructs of the model. And previous purchase experience had direct effect on intentions, and its effect on intentions was meditated through the constructs of the model except attitude. Another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knowledge and previous purchase experience of FT mode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orally extended TPB predictors and purchase intentions. Moderating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intention was moderated by knowledge of F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norm and intention was moderated by previous purchase experience of F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consumer educators and policy makers seeking to encourage university student' intentions to purchase FT products should consider the differences in their knowledge and previous purchase experience of FT. Whereas, for the policy makers and marketers, it is important to find more effective, relevant, and enticing ways to reach the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프로세스 선행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오인균,정석길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2

        현재는 경제활동에서 경험이 중요시 되고 있으며, 이는 조셉파인과 제임스 길모어(Joseph Pine & J. Gilmore) 그리고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의 주장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 의 전망처럼 소비자 구매 행동과 디자인 개발에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의 연구경향을 알아보기로 하였으며, 이는 후속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방법과 내용분석방법을 중심으로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총 73편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통계적 방법을 통한 분석결과 2012년부터 국내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는 ‘확대기’에 진입한 것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러한 양적 팽창은 ‘서비스 디자인’ 분야에서의 논문 증가가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가장 많이 다룬 연구내용은 ‘지침’ 이었고 가장 많이 적용된 연구방법은 ‘실증적 연구방법’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는 기초연구보다 구체적인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실증연구가 중심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논문편수의 지속적 증가를 바탕으로 당분간은 연구의 양적 팽창이 계속 진행될 것이 전망되었다. 또한 지금 ‘지침’관련 연구에서 향후에는 ‘평가 또는 ’원리‘의 중심으로 연구의 내용의 변화 또한 예상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분류과정에서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의 한계점이지만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의 초석을 다졌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에는 다양한 관련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 They, Joseph Pine, James Gilmore and Jeremy Rifkin, are important argued experience in economic activity. Today, the user experience has become a verty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design and consumption behavior.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trend of user experience design process based on the social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he provision of basic data necessary to next research. The subject of process trendy study is total 73ed in journal article and dissertations. As the methods of this thesis, the researchers applied a literature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study of UX design process entered the expansion phase quantitatively from 2012 years. Quantitative such expansio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service design paper. The most common in the contents of research was guide about experience design process. And empirical study used the most in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ers expect a change in the research study to evaluate research guidelines based on the final. e results of these studies, that empirical research is the center from basic research. That the quantitative expansion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it is found through the analysis result.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intervention of subjectivity, but there is a significance of the paper of the foundations of research. In the future researchers are hoping, and that the study of user experience design a variety of processes is performed.

      • KCI등재

        명화 기반 디지털 전시에서의 모션 그래픽 효과에 대한 연구 - 모네, 빛을 그리다 展에 대한 사례 연구

        이보아,안소영,박선민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5

        본 연구는 모네 원작 전시 및 명화 기반의 디지털 전시에 대한 관람경험이 모네, 빛을 그리다 展의 관람경험에 대한 평가와 모션 그래픽 효과에 대한 평가에 미친 영향력을 분석하고, 모션 그래픽 효과에 대한 평가에서 모션 그래픽 효과의 적절성이 갖는 의미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모네 원작 전시 및 명화 기반 디지털 전시에 대한 관람경험은 전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모네 원작 전시에 대한 관람경험은 부분적으로 모션 그래픽 효과에 대한 만족도, 적절성, 몰입도 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술로 인한 피로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명화 기반 디지털 전시에 대한 관람경험은 학습도구 및 감상도구의 적절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적절성, 만족도, 몰입도의 경우, 원작과 무관한 모션 그래픽 효과보다 원작에 내재된 요소에 움직임과 시간적 요소만을 적용한 모션 그래픽 효과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모션 그래픽 효과에 대한 적절성은 모션 그래픽 효과에 대한 만족도와 몰입, 전시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명화 기반 디지털 전시에 대한 평가기준으로써 전시만족도에 대한 모션 그래픽 효과의 적절성과 모션 그래픽 효과로 인한 몰입도의 중요성이 입증되었으며, 디지털 전시의 큐레이팅 방법론 측면에서는 모션 그래픽 효과와 모션 그래픽 효과로 구현된 표현적 요소는 원작의 조형성 및 맥락성과의 조화를 통해 적절성이 획득될 수 있다는 사실이 제시되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a visitor’s previous viewing experience of Monet’s exhibitions of original artworks and digital exhibitions of masterpieces affect evaluations of the viewing experience as well as the motion graphic effects in Monet’s Impressionism Exhibition 2016. In particular, we endeavor to derive the meaning of the suitability of motion graphic effects for evaluating motion graphic effects. Putting the data together, previous viewing experiences of the original artworks and their digital counterparts did not aff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exhibition. Previous viewing experiences of Monet’s exhibitions of original artworks played somewhat of a negative role with regard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the degree of immersion, and the suitability for motion graphic effects. These experiences were also linked to technical fatigue caused by digital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previous viewing experiences of digital exhibition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suitability as a learning tool and as an appreciative medium. In terms of suitability,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immersion, motion graphic effects that moved part of the original artwork or utilized a timely effect inherent to the original artwork received positive feedback compared to irrelevant factors. In addition, the suitability of motion graphic effects is meaningfully related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immersion of motion graphic effects and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exhibition. Through this research, the suitability of motion graphic effects and the degree of immersion of motion graphic effects are demonstrated as essential evaluation criteria of digital exhibitions. Regarding a curating methodology for digital exhibitions, it was found that suitability can be achieved when the expression elements realized in the form of motion graphic effects find formativeness and contextual harmony with the originals.

      • KCI등재후보

        B2B 시장에서 창의적인 공급자 선정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소 건설업체를 중심으로

        김두수(Kim, Doo-Soo),정기한(Chung, Ki-Han) 한국창업학회 2013 한국창업학회지 Vol.8 No.3

        In project markets, as civil construction and bridge construction, contractors usually select subcontractors through a competitive bidding process. Motivated by the attractiveness of the contractor and fear of losing to competitors, subcontractors are likely to offer their lowest possible prices and best quality to gain customer preference. Competitive bidding is a market-based principle for supplier selection and is widely used even when selecting subcontractors with experience attributes. However, optimal subcontractor choice involves balancing quality and pr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revious experience, company brand credibilit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price, and likelihood of choosing subcontractor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rice between them. The results of analyzing 107 contractors in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firms showed that CSR and price positively affected likelihood of choosing subcontractor but previous experience and company brand credibility did not. The moderator variabl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In competitive bidding situations, suppliers with strong quality reputations may benefit most by low price offers. Thus, suppliers with a strong reputation should achieve profitability through a volume premium rather than a price premium effect. Suppliers opting for price premiums should target the quality sensitive segment of the market.

      • KCI등재

        모바일광고의 특성이 태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여도의 역할

        장형유(Hyeongyu Jang),노미진(Mijin Noh),유문용(Winlongliu),박현희(Hyunhee Park)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1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obile advertisement’s characteristics being consist of information, entertainment, trust, previous permission, experience, incentive,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This study is also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between mobile advertisement's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chinese, and 21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entertainment, trust, previous permission, experience, and incenti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mobile advertisement. This result shows that trus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obile advertisement when customers see advertisement via mobile phone. Second, attitude had an positive influence on the usage intention of mobile advertisement. Third, the higher the involvement, the higher was the effect of the entertainment, trust, and previous permission of mobile advertisement on the attitude. This results show that customers who have the higher involvement about mobile advertisement are important for companies to achieve competitive advantage in mobile advertis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