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한령(限韩令)에 대한 중국 언론보도 사회관계망분석(SNA) 연구

        주민욱(Ju, Min-Uk) 대한중국학회 2017 중국학 Vol.60 No.-

        본 논문은 중국의 한한령에 대한 논의를 그 중심에 두고 있다. 그리고 중국의 한한령 시행을 살피기 위해 사회관계망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연스레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한한령에 대한 중국측 태도를 구체화 하는 것에 있다. 한중 간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한한령 시행에 대한 시각차는 양국 간 잠재적 갈등으로 확산될 여지가 충분하다. 본 논문은 중국의 한한령에 대한 입장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중국 대표 일간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국의 한한령 시행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단어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었다. 한한령은 물론 ‘제약’, ‘한류’, ‘사드’, ‘엔터테인먼트’ 그리고 ‘여행업’이 대표적이었다. 한한령과 관련된 중국보도에서는 한중 양국은 물론 한한령 시행의 원인으로 예상되는 한반도 사드배치와 이로 인한 영향 관계 등이 포괄적으로 논의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중국 언론보도는 한류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품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중국은 한반도 내 사드배치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비록 중국정부는 한반도 사드배치와 한한령 시행이 관계가 없다지만, 본 논문은 이 두 요인 간 분명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interests in a dispute of the restriction of the Korean wave focuses on application of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Chinese attitude of restriction of the Korean wave dispute. This article tried to predict potential conflicts between two countries from the analysis on the issue about the restriction of the Korean wave dispute.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analyses Chines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he issu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hinese papers make frequent use of words related to the restriction of the Korean wave such as ‘restriction’, ‘Korean wave’, THAAD , entertainment and ‘tour packages to Korea’ etc. It also confirmed that two countries, KOREA and CHINA which are intimately related with the restriction of the Korean wave were frequently appeared on Chinese paper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rticle found out that all Chinese papers have a negative opinion about the Korean wave. China is sensitive to the deployment of the THAAD to South Korea. The Chinese government has publicly shown no link between THAAD and the restriction of the Korean wave. However, this paper has confirmed a clear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 KCI등재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의 고찰

        강경구(Kang Kyong Koo)(姜鯨求),김경아(Kim Kyung A)(金敬娥) 대한중국학회 2017 중국학 Vol.61 No.-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은 중국식 종교이론의 결정판으로서 중국의 종교에 대한 정치적 이론과 실천의 총합이다. 그것은 현재와 미래에 있어서 중국의 종교와 문화가 어떤 모습을 지니게 될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된다. 본고는 이러한 중국적 종교이론의 형성과정과 핵심내용 및 비판적 논의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의 형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그 내용적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것이 상호 이질적인 요소들, 즉 마르크스주의 종교관과 중국종교의 현실, 종교의 원리와 중국의 역사문화적 토양, 나아가 보장과 통제, 자유와 구속이 결합하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법률적 미비성 비판, 종교법 제정의 필요성 주장, 수정본 종교사무조례 비판, 정상적 종교행위를 종교극단주의로 해석하는 정부시선의 부당성에 대한 항의, 정상적 종교활동에 대한 비법적 강제조치에 대한 비판, 종교사무국의 부처이기주의의 위험성에 대한 지적, 종교 세속화 요구의 부당성 비판, 교육현장에서 행해지는 이중삼중의 종교탄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 theory of relig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can be seen as the ultimate work of the Chinese-type religious theory. This theory unites the historical experience on the religion management of the country therefore is the criterion for figuring out the current and the future of the China’s religion. The contemplation on this topic is as follows. Firstly, the formation of the theory of relig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has been examined in an historical perspective. This theory is in line with the political selection of the communist party for settlement of the urgent problems, by which the Chinese society is facing. In turn, the features of the contents have been contemplated. As a result, the feature has been found to be the combination of heterogenous elements. That is to say, the theory of relig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re featured with combinations of the realities of the Marxism and Chinese religions, principles of religion, historical and cultural foundations of China, assurance and control. Further, the critical discussions on the relig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have been examined. For this, the discourse on the legal incompleteness has been figured out. Then, the argument that the revised version of Regulation on Religious Affairs, which is the legislative expression of this has the unconstitutional power, has been examined. In addition, the criticisms on the conspiracy of the communist government for reinforcement of leadership as well as the department selfishness have been mentioned. Further, there are strong criticisms on the enforcement of the independence policy, which is for complete blockage of the external influences on religion. Moreover, there are criticisms on the clauses for requesting execution of the core value of the socialism. This means that religions must not be forced for secularization. Furthermore, there are many criticisms on the dual and triple restrictions on the religious activit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reason is that such action violates the freedom for religion a lot as well as the education act. Through this contemplation, we can figure out the fact that the Chinese political parties and the government are operating the national Church for the goal of the country, which is the rich China. That is to say, even the non-secular competence of the religion must be integrated into such national Church.

      • KCI등재

        비즈니스 중국어 학습수요에 관한 연구

        황련화(Huang, Lian-Hua)(黃蓮花),이길연(Li, Ji-Lian)(李吉蓮)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8 No.-

        한·중 수교 이래 경제교류가 날로 늘어남에 따라 비즈니스 중국어 학습에 대한 수요가 대두되기 시작하였으나 이에 대한 연구나 분석이 아직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는 한국 내의 비즈니스 중국어 수업현황, 학습현황, 비즈니스 교재현황에 대해 검토하였고, 학습자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수요분석 이론과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수요를 물질적 수요, 심리적 수요, 비즈니스 중국어에 대한 수요, 교육과정과 평가에 대한 수요 등 네 가지로 재분류 하였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중국어 학습자 총 302명을 대상으로 3년의 시간간격을 두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직업별, 중국어 수준 별 학습자 수요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비즈니스 중국어 교육을 위해 교재편찬, 수업설계, 평가에 대해 간략하게 제언을 하였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South Korean enterprises that trade with Chinese have grown rapidly. In order to better cooperate with Chinese people, Business Chinese Learning Demands are also growing. Business Chinese has become one of the essential skills of South Korean business people. Therefore, Business Chinese teaching has gradually become the focus of Chinese teaching in South Korea. The premise of teaching students well is to understand their learning needs. In this paper, 302 South Koreans with different Chinese proficiency, occupations and ages were surveyed. The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in 2016 and 2019.The learning needs were divided into four aspects: material needs, psychological needs, language ability needs and curriculum needs. The purpose of the survey is to better understand the students’ learning needs and changes in demand. Based on the results, we can effectively guide students’ learning, optimize the classroom teaching and make the testing standards more reasonable.

      • KCI등재

        한국, 중국, 대만의 ‘민주화’에 대한 이해 ― 영화 의 관객평론을 중심으로

        이가영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7 No.-

        본 연구는 영화 <화려한 휴가>를 민주주의와 민주화운동에 대한 기억을 보존·전승하고 재현·확산 시키는 영상 텍스트로 보고, 한국, 중국, 대만의 관객을 영상텍스트의 의미코드를 이 해하고 자신의 경험지평을 토대로 영화를 해석하는 ‘능동적 수용자’로 인식함으로서, 영화 <화려한 휴가>에 대한 해독 방식과 사회·문화적, 개인적 의미생산 방식을 살펴본다. 또한 영화 해독 방식과 관객이 영화를 해독하는 방식 저변에 깔린 사회·문화·정치·제도·역사의 영향관계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아래의 3개의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 연구문제1) 한국, 중국, 대만 수용자는 <화려한 휴가>를 어떻게 해독하였는가? 연구문제2) 한국, 중국, 대만 수용자는 <화려한 휴가>의 시공간적 배경이자 시대적 배경인 518광주민주화항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연구문제3) <화려한 휴가> 영화를 접한 한국, 중국, 대만 수용자의 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식태도는 각각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가? This study sees the movie “May 18” as a visual text that preserves, reproduces, and diffuses the memories of democracy and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comprehends the meaning codes of visual texts in Korea, China and Taiwan By recognizing it as an “active consumer” who interprets movies based on his own horizon of expectation, and explores how Korean, Chinese and Taiwanese audiences interpret the movie “May 18” and what social, cultural and personal meaning they are producing. Based on this analysis, we analyze the influence of society, culture, politics, institutions, and history on the way the audience interprets the movie. And I intend to find answers to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How did the audience of Korea, China, and Taiwan interprets the movie “May 18”? Research Question 2) How do the audience of Korea, China and Taiwan perceive the 5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hich is the spatio-temporal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ay 18”?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toward democratization movements of South Korean, Chinese, and Taiwanese audience that watched the movie?

      • KCI등재

        중국의 외국어 수용과 중국화에 대한 논의 ― 차용어 적응 방식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김태은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6 No.-

        본고는 중국의 외국어 수용 방식에 대한 고찰이다. 논의는 수용 방식에 따라 중국어 어휘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와 반대로 중국화를 통해 중국어 어휘로 잘 정착하는 경우를 나누어 다루고 있다. 부정적 기능을 하는 어휘는 일시적으로 어휘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생겨났지만 언중의 호응을 얻지 못해 사멸하는 경우와 여러 가지 변체로 인해 언어생활에 혼란을 일으키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중국화를 통해 잘 정착하는 어휘는 대체로 중국의 공식 서사체계인 한자의 본질인 표의 기능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언중에게 오래도록 애용됨으로써 토착화에 성공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비록 중국의 사례에 대한 논의지만 음역어의 남용으로 정확한 맞춤법조차 알기 어려운 우리 언어생활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adoption and sinicization of foreign words in China. It focuses on the types of Mandarin loanwords. Some Mandarin loanwords were temporarily produced, but they disappeared some time later, because those words had not been used frequently by Mandarin speakers in their daily life. Many loanwords belonging to this situation are usually pure phonetic loans(PPL), since they do not fit the nature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 is ideograph, in which meaning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but PPL simply ignored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some types of Mandarin loanwords have been used well in Chinese people’s daily life for the long time. They usually fit the nature of Chinese characters. The first example is one kind of phonetic loans, which is called yinyijianyi(音意兼译). They consider both the pronunciation of the source language and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The next example is the types of translating the meaning of the loanword. This kind of loanword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namely semantic loan and loan translation. The formal translates the concept or things of source language, and the latter translates the morphemes which consist of the source language word. Both types consider the meaning in priority. The last example is graphic loan, which only borrows the characters of source language. They are usually borrowed from Sino-Korean and Sino-Japanese. Mandarin speakers pronounce those loanwords as Mandarin pronunciation of the characters, and change the shape of characters as Chinese style. Thus, this kind of loanword is very familiar to Mandarin speakers, and survives well after borrowed into China.

      • KCI등재후보

        中國 古典戱曲에 나타난 바다이미지

        吳昶和 대한중국학회 2008 중국학 Vol.31 No.-

        본고는 바다와 관련한 각종 「海語」를 중심으로 바다의 원형이미지, 色彩美感의 바다, 靜中動의 바다, 佛敎와 바다 등의 소절로 나누어 극중에서 어떤 심미기제의 이미지로 표현되었나를 소략하게 천착하였다. 전통적인 山水詩에서 구현된 바 있는 다양한 심미의식을 海語 속에 재생산하여 희곡언어의 話語로 접목시켜 표현의 심도와 감정전달의 감도를 높이는데 일정한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고전희곡에 나타난 바다이미지는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공간이미지와 인간이 자연을 의지하고 숭배하는 외경심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심미적인 이미지의 결합적인 색채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바다의 모성애적 포용성과 구원의 이미지, 생존과 파괴가 반복되는 생멸의 이미지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 고전희곡 속에는 바다라는 문자가 직접 들어간 어휘를 문장 중에 사용하여 표현의 방편을 삼은 사례가 많은데, 비유어 또는 대상어로서의 기능을 하며 심미적인 효과와 상징성을 창출하는 경우도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작품 전체의 내용 및 주제와 바다가 연결되어 바다가 내용의 핵심 서사공간으로 기능하도록 설계된 작품이 많은 편은 아니지만 그 가운데에서 바다에 대한 선험적 인상과 의식범주를 넘어 매우 감각적이고 충격적인 영상을 전달하고자하는 작가의 고심의 흔적을 충분히 읽을 수 있다. 그리고 바다의 형상적 이미지만 취해 표현보조수단으로 사용하여 바다에 대한 통상적인 인식범주에 공감대를 형성하게 하는 경우도 있고, 바다에 대한 작가의 체험적 바탕이 없이 강이나 호수 정도로 인식하는 협의의 개념에 그친 경우도 있으나 이는 중국문화의 대륙지향의 지배적인 문화흐름에 영향을 받은 환경적인 요인으로 보인다. 爲了文本精讀起見, 本稿就通過戱曲語言的審美結構, 尤其是有關海洋的詞彙來考察中國文化當中海洋意識的意義所在, 着眼于人文地理環境下的海洋和文化藝術當中的海洋到底有甚麽樣的差異, 更進一步硏究海洋語言的特色, 戱曲當中的各種海語所象徵的審美空間和審美色彩, 中國古典戱曲裡所表現的海洋形象就勾劃出海洋與人生, 人生與海洋的有機的關係, 海洋的基本形象怎樣被受容到戱曲當中, 如何襯托出本色力量等等。 中國古典戱曲所用的「海語」, 多半表現出高度節制的審美機制, 刻畵海的原形本色, 配合故事情節和場景氣氛, 由此我們可以發現海的母性愛的包容性, 不但錯綜勾劃救援和生存, 生産的肯定的形象, 而且也幷發出海洋的否定的形象, 海洋有時無情地呼嘯毁壞和死亡邊上的災難的場面, 生者不能救回死者, 死者不能安慰生者, 站在海上的人們不得不承認海洋的絶對力量, 神聖的品德, 人對海洋的畏敬心理由此誕生了。從來人的力量有所限制的, 無法抗拒大自然, 海洋也是如此, 海洋根本存在着恒遠性和不可抗力的絶對力量. 中國古典戱曲當中的海語所含的審美境界就有如下幾個方面的內容性格; 第一, 中國古典戱曲當中的海語多用于比喩和象徵語來追求擴大其審美效果, 提高故事情節的點香迷人, 襯托出人物角色的個性明暗。 第二, 海語就輔助戱曲作品的敍事空間的層次來豊富很有感情色彩的影像, 可以傳達作家的苦心按排, 但大部分的海語有點單純淺薄, 缺乏立體的多重的詩的意象和審美形象。 第三, 中國古典戱曲作家大部分不夠徹底體驗而領會到海洋文化, 只不過在腦海裡素描出通俗的一般化的海洋形象而已, 因此他們對海洋的認識範疇不能超過固定的常規性, 使得其性情表露難免有踏襲之嫌, 導致障碍劇的高潮的審美衝擊, 影響到情節的流麗發展。 總而言之, 中國古典戱曲當中的海洋形象, 就隨從中國傳統文化的意識形態, 以調和與共存爲美德的美好傳統, 儘在其中寫意而不虛。 如傳統的山水詩一樣, 方好强烈反映出中國戱曲言語的話語本色, 能夠提高表現的深度和感情傳達的感度, 由此我們可以肯定中國古典戱曲的海洋形象富有哲理性, 仍然決不可以輕易看待。 附帶說一句, 爲了對海洋語言文化更進一步的了解和運用, 如何把握靖海英雄形象和海神故事的審美結構等問題, 本稿臨時置之不論, 待要硏究。

      • KCI등재

        통제적 불교관리를 통한 불교중국화의 지향과 현실 : 「坚持佛教中国化方向五年工作规划纲要」를 중심으로

        강경구(Kang, Kyong-koo)(姜鯨求)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0 No.-

        본고는 불교중국화 5개년 계획에 제시된 8대 중점사업 중 전반부 4가지 사업을 중심으로 고찰을 진행한 논문이다. 8대 중점사업을 개관해보면 그 전반부 4가지 사업은 통제성, 수렴성이 농후하다는 점에서 확산성, 팽창성을 특징으로 하는 후반부 4가지 사업과 차별화된다. 사상 및 법률법규의 학습을 통한 불교중국화에 대한 고찰에서는 사회주의 사상, 애국주의 사상, 법률과 법규에 관한 학습이 자발적이라는 명목 하에 규범화, 제도화되어 시행되고 있는 상황을 살펴본다. 불교사상의 새로운 해석을 통한 불교중국화에 대한 고찰에서는 사회주의 핵심가치관에 의한 불교 교리의 해석과 인간불교 사상의 계승발전을 중심으로 그 지향과 현실적 상황을 살펴본다. 교풍의 건설을 통한 불교중국화에 대한 고찰에서는 승려관리의 강화와 설법교류활동의 확대, 상업화 차단 등에 대한 지향과 실천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제도 및 관리체계의 수립을 통한 불교중국화에 대한 고찰에서는 다양한 규정의 제정을 통한 제도화 움직임에 대해 살펴보고, 관리시스템이 민주관리위원회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살펴본다. This study examined The Sinicization of Buddhism. it places importance on learning about socialist thoughts, patriotism thoughts, and laws. This learning Activities are standardized and institutionalized. Second, Sinicization of Buddhism promotes a new interpretation of Buddhist thought. It is centered on the interpretation of Buddhist doctrine by The core values of Chinese socialism.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Buddhism is added here. Third, Sinicization of Buddhism Pursues the establishment of Pure Buddhist ethos. It includes strengthening religious discipline, strengthening Temple Management management, strengthening monk management, expanding Preaching Exchange activities, and blocking commercialization. In this review, we have argued that the assertion of the Pure Buddhist ethos is justification and that political control is the real purpose. Fourth, The Sinicization of Buddhism intends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s and management systems. Various regulations are being enacted for this purpos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Temple Democratic Management Committee is institutionalized. The establish of Corporation, one of the important sub-projects of the Temple Management, is also actively underway. The most important thing here i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ommittee.

      • KCI등재

        『譯語類解』 右音 ‘ㅗ’의 音價에 대한 再考

        이춘영(Lee, Chun-Young)(李春永)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8 No.-

        The Korean pronunciation of diphthongs is relatively less developed than the Chinese pronunciation. When Koreans use Korean to mark Chinese pronunciation, there are many restrictions, and therefore, when using transliterations from other countries to analyse Chinese phonetic changes, we must fully analyse and understand the phonetic systems of those other countries. In this way the transliterations can be fully analysed. This paper analyses the range of right side pronunciations for ‘ㅗ’ in the Yeogeoyuhae, based on Chinese phonetic changes. The mark of frequent occurrence of transliteration ‘-ㅗ’ in the Chinese conversation book of the Joseon dynasty. Those who are familiar with the Korean language system will see ‘-ㅗ’ as a single vowel ‘-o’, however,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analysis, we use it as the tag object of right side pronunciation ‘ㅗ’ in the Yeogeoyuhae, which used both ‘-?(-o)’ and also ‘-uo(-u?)’ in transliteration. Based on our results, the pronunciation of the phonetic changes in ‘郭’·‘所’, made before the 17thcentury,isthenanalysed. If there is no understanding of the objects and contents of the transliteration system used in the Chinese conversational book of the Joseon dynasty, errors and misunderstandings will occur when analysing the Chinese phonetics. More careful research and analysis should be undertaken in terms of adopting a cautious approach to the transliteration system. 조선시대 중국어 학습서에는 당시 중국 어휘의 발음을 諺文으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 어음체계에 익숙한 한국인은 중국어 발음을 한국어로 표기함에 모국어의 영향을 받아 일정한 인지한계와 표기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중국 漢語의 어음변천내용을 고찰함에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는 한국의 對音자료는 표음체계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이해가 전제되어야 정확한 자료의 가치가 제고된다. 본 논문에서는 『譯語類解』 右音에 나타나는 ‘ㅗ’의 표기대상을 漢語 어음변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중국어 학습서의 표기법에 대한 신중한 접근과 표기내용에 대한 再考의 필요성을 확인한다.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양중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효영(Lee, Hyo-Young) 대한중국학회 2017 중국학 Vol.59 No.-

        본 연구는 국내 대학교의 교양중국어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교양중 국어 교육 체계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시도의 일환으로 현재 전국 대학의 교양중국어 교육과정 현황과 두 개 대학 학습자들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충분한 이해와 요구에 따라 학습자 중심의 교육 과정 및 지침을 개발하여 효율적인 교양중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국내 46개 대학에서 수집한 교양중국어 교육과정을 비교,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은 교양중국어 필수 지정 여부, 시수, 학점, 수준별 분반, 교과목, 교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교양중국어 과정에 대한 인식과 관련 요구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quality of general Chinese in university by developing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based on student s needs. In an effort to develop an effective general Chinese program of a university, the present study examined curricular and learner needs for general Chinese courses of universities. The curricular of general Chinese programs collected from a total of 46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to examine class teaching hours, credits, courses, diffentiated-level classes, special courses, and a waiving policy of credits based on student proficiency. Also the survey and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he students studying in one university (N=387) to find out their needs on general Chinese courses. The curricular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s: 1) When analyzing the general Chinese courses curriculum of 46 universities surveyed, most of universities preferred 2~3 hours/2~3 credits Chinese courses,; 2) The results of survey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ve strong needs for improving differentiated-level education. 3) It seems to be necessary to accommodate learners, teachers demand and realistic constraints on learning Chinese language learners.

      • KCI등재

        중국어교육의 주제범주 및 주제항목 분석 ― 국내 중국어교재와 『HSK标准教程(2015)』의 주제비교를 중심으로

        위수광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9 No.-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ange of themes and thematic items applied in Chinese language education courses in Korea, and verified their objectivity, in an effort to define referential standards for theme selection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on this basis. In the part of objectivity verification, we firstly examined theme selections of syllabuse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CEFR, the Standard Education Syllabus for Korean Language, and Core Inventory for General English, to probe into common themes amo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various countries. Afterwards, we examined theme selections of the International Syllabus (2014), the New HSK Syllabus (2015) and the Syllabus for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conclude individualized themes of the syllabus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summarize common theme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individualized themes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se studies, an objective comparative analysis is carried out from three aspects on the range of themes and thematic items of conversational Chinese language textbooks in Korea. Firstly, according to their frequencies, we analyzed thematic items of conversational Chinese language textbooks in Korea. Currently, these text books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the degree of difficulty. From level 1 to level 4, Chinese conversations mainly center around universal themes including daily life and various information. While from level 5 to level 6, individualized themes concerning China and Chinese people start to appear in textbooks. Secondly, comparison between conversational Chinese language textbooks in Korea and the Syllabus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formulated by Chinese authorities, to analyze themes in the New HSK Standard Tutorial (2015). There are some common thematic items between Chinese and Korean textbooks. Finally, based on common theme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concluded earlier, a comparative analysis is made between individualized themes of the syllabus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themes that exist in Chinese language textbooks in Korea. Most common theme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ppeared in Chinese language textbooks in Korea, but the ranges of themes and level arrangements of thematic items are different. Daily life related themes have been accounting for a large part of Chinese language textbooks in Korea until level 5, which lacks diversity and can’t reflect the connection and difference among phases of foreign language study. On the contrary, in the New HSK Standard Tutorial (2015), various themes in the syllabus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are properly demonstrated by level. Content in the book is closely related to the New HSK Syllabus (2015), and the themes are diversified, showing characteristics of China and Chinese culture with moderate difficulty and rigorous system. The analyses above show that, Chinese language textbooks in Korea reflected some common theme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but individualized themes related to China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language are underrepresented. In view of this problem, systematic researches are to be mad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 중국어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제범주와 주제항목을 분석하여 이들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중국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주제의 참조기준을 마련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CEFR』, 『국제통용 한국어표준교육과정』, 『Core Inventory for general English』 등 외국어교육요목의 주제를 분석하여 일반 언어에서 필요한 보편적인 주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国际大纲(2014)』과 『新HSK大纲(2015)』,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제를 분석하여 중국어교육요목에서만 특징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개별적인 주제를 분석하여 언어 보편적 주제와 개별적 주제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중국어회화교재의 주제범주와 항목을 비교분석한 그 결과, 국내 중국어교재의 주제는 1단계에서 4단계까지는 보편적인 주제이고, 5단계에서 6단계까지는 중국과 중국의 특징적인 주제를 반영하였다. 중국과 한국의 교재에서 제시한 공통적인 주제는 주로 일상생활과 연계된 주제를 주로 제시하며 언어 보편적인 주제는 거의 대부분 제시하였다. 하지만 국내 중국어교재는 주제항목의 다양성, 수준별 연계성이 다소 부족한 반면 『HSK标准教程(2015)』는 『国际大纲(2014)』과 『新HSK大纲(2015)』에서 제시한 전반적인 주제항목을 반영하고 있고, 중국과 중국문화와 관련된 개별적인 주제를 충분히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향후 중국어교육에서 주제범주와 주제항목은 수준별 다양화와 수준별 연계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