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필원잡기 서사적 단편의 존재방식과 서거정의 세계관

        이강옥(Lee, Kango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7 No.-

        『필원잡기』의 서문과 발문에는 필기집에 대한 당대인의 생각이 정리되어 있다. 서문과 발문들은 필기집에 신유학 교양을 갖춘 사대부들의 일상이 수용되는 것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그것은 사대부일화의 형성에 대한 인식을 정확하게 했다는 증거이다. 『필원잡기』에는 신화, 전설, 민담 등 허구적 단형서사와 사대부일화, 평민일화 등 사실적 단형서사가 실려있고, 또 교술적 단편들도 적잖다. 교술적 단편들이 사대부일화를 감싸고 있는 형국이며 신화나 전설, 민담 등이 일화로 변환되는 양상도 뚜렷하다. 서거정은 새로운 세상을 이끌어줄 이상적 인물들을 부각시키고자 했기에 『필원잡기』에서 이상적 사대부상을 보여주는 사대부일화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이상적 사대부상은 탈이념적이고 탈정치적 성향이 강하다. 실제로는 조선 초기 정치 현실에서 중심 자리를 차지하고 정치적 소용돌이에 휩쓸린 정도전이나 신숙주 같은 인물의 경우조차도 철저히 그런 정치적 흔적을 제거해내고 일상적인 사소한 행실을 중심으로 그 일생을 재현했다. 사대부의 옳고-그른 행위보다는 잘하고-못하는 행위를 중심으로 그 행실을 보여주었다. 상식과 예상을 벗어나는 일탈을 통하여 이상적이고 매력적인 사대부상을 형상화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바람직하지 못한 버릇도 있고 실수도 하지만, 그 때문에 심각한 불이익을 받거나 처벌을 받지 않는다. 오히려 그런 일탈 덕으로 임금이나 상급자로부터 총애를 받게 된다. 일탈은 이상적 사대부를 더 매력적 인물로 만들어주기도 하였다. 심지어 탈옥이나 반란, 죽음 등의 심각한 상황에서도 낙관적 전환 서술이 이루어지며 웃음을 창출하는 쪽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필원잡기』는 대상인물의 언행이나 사건의 전개과정을 지극히 단순화시켜 간략하게 제시하고 진술하는 특징을 보인다. 단순 사실이나 사건을 특별한 서술의식을 개입시키지 않고 소극적으로 서술하는가 하면 범주나 성격이 단일한 모티프나 행위 등을 대등하게 나열하는 것이다. 나열의 서술방식은 서술대상의 시대와 서거정 자신의 시대가 분열보다는 조화를 지향한 것과 관련될 것이다. 설사 시대가 분열상을 보인다 하더라도 그것을 분열이 아니라 조화의 계기로 수용한 것과도 관련된다고 본다. 나열의 서술방식과 달리 사람 사이의 차이를 더 부각시키려 한 것이 대조의 서술방식이다. 『필원잡기』의 대조는 대조되는 한쪽을 부정하고 비난함으로써 다른 한쪽을 찬양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한쪽의 긍정적인 면을 인상적으로 드러내는 경향이 더 강하다. 아주 희미하게나마 나타나는 대립 갈등의 요소들도 서사적 갈등구조를 창출하는 데까지 이르지는 않는다. 또 한 인물이 상대 인물에 대해 우위에 있게 한 요소는 인성이나 능력 등 개인 수준의 것이지 집단의 처지나 이념을 대변하는 수준의 것이 아니다. 서거정은 세상의 일들을 문제적인 것으로 포착하기 보다는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한 뒤 호기심을 끄는 부분들을 선별하여 담았다. 특히 정치적 함의가 있는 사례들은 철저하게 그 정치성이나 이념성을 소거시킨 뒤 수용하였다. 세상을 분별하고 견주면서도 상반되는 두 쪽 중 한쪽을 칭찬만 하지 다른 쪽을 비난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서거정의 낙관주의를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대조의 서술방식은 기본적으로 세상을 일부를 배제하려는 지향을 강하게 가진 것이기에 서거정의 낙관주의와 조화를 이루기 어려웠다고 판단한다. 그 결과 『필원잡기』를 주도하는 서술방식은 말장난 혹은 말대꾸의 방식이었다. 말장난의 서술구조는 준거(발언), 중심발언, 반응 등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 단계에서는 재미나고 널리 알려진 사실이나 발언을 제시한다. 이는 상식이나 통념의 제시이면서 상대 인물에게 농담 걸기에 해당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그에 대한 주인공의 발언이 제시된다. 이것은 기발한 아이디어나 말의 형식으로 기존 상식이나 통념을 뒤엎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존 사실이나 체제에 대한 진지한 문제제기는 아니다. 웃음 창출을 위한 전복이다. 마지막 단계에서 듣는 사람들의 공감 반응이 제시된다. 공감의 웃음이나 찬사이다. 이때의 웃음은 기존 질서나 기존 인간관계를 유지하게 하거나 더 돈독하게 한다. 말장난이나 말대꾸는 형식적으로는 기존 상황이나 통념을 뒤엎지만 내용적으로는 오히려 기존 상황의 가치를 드높인다. 그런 점에서 삼단구조의 말장난 혹은 말대꾸야말로 『필원잡기』가 추구한 탈이념적 낙관적 지향에 가장 잘 대응되는 서술방식이다. This article analysed the contents and genres of Pilwonjapgi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strategy and world view of the editor Seo, Geojung. By analysing the preface and epilogue of Pilwonjapgi, I searched the people's thoughts about Pilgijip(筆記集). In Pilwonjapgi exist not only the fictional genres, myths, legends, and folktales, but also nonfictional genres, anecdotes, and didactic essays. As Seo, geojung wanted to illuminate the ideal man who would lead to the new society of Chosun dynasty, he gathered many Sadaebu-anecdotes(士大夫逸話) which showed the ideal Sadaebu. Ideal image of Sadaebu in Pilwonjapgi was inclined to be remote from ideology or politics of the era. For Sadaebu, ability was more important than morality. The ideal and attractive image of Sadaebu was created through their deviant behaviors also. Even such serious situations as prison breakout, rebellion, and death resulted in optimistic storytelling and laughing. Enumeration and contrast were characteristic narrative strategies of Pilwonjapgi. By enumerating character's actions and words, Pilwonjapgi suggested diverse facts without injecting any kinds of narrative consciousness. And by contrasting two parts, Pilwonjapgi emphasized the positive aspects of both side. These strategies best represent the optimistic viewpoint of Seo, geojung. The leading narrative strategy of Pilwonjapgi was word games. Externally the word games overturn the existing situation or common notion, but they reinforce the virtue of the existing situation in reality. The word games are the most appropriate narrative strategy for the optimistic, trans-political inclination of Pilwonjapgi.

      • KCI등재후보

        구운몽과 불교 경전을 활용하는 우울증 치료 프로그램(DTKB Program) 구안

        이강옥 ( Lee Kango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2 No.-

        이 논문은 <구운몽>과 『금강경』 및 『원각경』, 『반야심경』 등을 활용하여 우울증 치료 프로그램(DTKB Program)을 구안했다. 우울증 환자는 무엇이든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자기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기에 `나는 쓸모없는 인간이다.`라고 단정한다. 세계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세상살이는 쓸모없고 무의미하다.`라고 단정한다. 나와 세계를 부정한 결과, 우울한 느낌과 절망적 느낌이 극에 도달하게 되어 자살을 시도한다. 이런 우울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 먼저 나와 세계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걷어내는 상담 및 수행 방안을 제시했다. 자살 시도를 막기 위해서 죽음의 본질을 정확하게 알게 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우울증 치료는 `나`, `세계`, `죽음`이라는 세 영역을 나누면서도 긴밀하게 연결시켜 문제적 상황을 극복하도록 했다. 문제적 상황이 극복된 세 단계가 `나의 위대성 실감`, `날마다 좋은 날 실현`, `살아있는 것의 소중함 통각`이다. 이 단계가 우울증이 치료된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일주일 간격의 9회기로 구성된다. 상담은 2시간 전후로 진행된다. 매 회기를 시작할 때 지난 주 내담자의 마음 상태를 점검한다. 지난 회기의 과제는 다음 회기의 주제와 직결된 것이므로 상담을 시작할 때 화제로 삼거나, 상담 중 적절하게 연관되는 대목에서 자료로 활용한다. 수행법을 제시하여 매 회기 20여 분간 수행 실참을 한다. 회기별 상담 및 수행 내용은 이렇게 설정했다. 제1회기에서 우울증을 진단하고 라포를 형성한다. 제2회기에서는 과제로 제출한 `자기 서사`를 함께 읽고 문제적 상황을 발견한다. 기본 텍스트인 <구운몽>을 정확하게 읽고 익히게 한다. 내담자가 <구운몽>의 등장인물들에 대해 동일시를 하고 다음으로 거리두기를 하게 한다. 제3회기에서는 부정적 생각을 없애고 긍정적 생각의 본질과 역할을 이해 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제4회기에서는 죽음을 성찰하도록 한다. 죽음은 삶의 연장에 놓여 있으며 잘 죽는다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임을 인지하게 한다. 제5회기에서는 `현실 · 가상 · 꿈 · 환상` 등의 본질을 성찰하도록 한다. 제6회기에서는 꿈 요가와 루시드 드림을 훈련한다. 제7회기에서는 나의 욕망을 성찰하도록 한다. 제8회기에서는 `지금 이곳`의 삶을 인정하고 긍정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 한다. 각자가 지금 이곳에서의 자기 삶을 인정하고 긍정하게 되었을 때 `매일매일 좋은 날`이 된다. 제9회기에서는 이상의 상담과 수행 과정을 통하여 내담자가 어떻게 얼마나 변화했는가를 스스로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우울증을 재진단 한다. 매 회기 상담과 수행 내용은 앞뒤 회기의 내용과 긴밀한 관련을 가지면서도 독자적 영역을 갖춘다. 그 점이 우울증 환자로 하여금 한 단계 한 단계를 되새기고 다져가면서 지금 이곳의 삶을 인정하고 긍정하는 궁극 지향점으로 꾸준히 나아가게 한다. This paper designs a DTKB Program that make use of wisdom and situations related to death, reality and fantasy, and dream found in Kuwoonmong and such Buddhist scriptures as Keumkangkyung, Wonkackyung, Banyasimkyung. Depression patients have a strong sense of negativity towards everything. They regard themselves as useless and life is useless and meaningless. Such strong negation towards themselves and the world leads to depression and desperation, and ends up committing suicide. In order to cure such depression patients, this paper suggest a counselling method that can help get rid of negative thinking towards themselves and the world. This paper also suggests a method that can prevent the patients from committing suicide by having them understand the very nature of death. The therapy of depression is conducted in three categories such as "I", "the world," and "death" and overcome the problematic situations by closely referring to one another. Such therapy leads to the stages of "recognition of my own greatness", "realization of everyday as happy day", and "recognition of the worth of all the living things". Depression is completely cured if the patient reaches at such stages. This program consists of nine sessions with one week interval between sessions. Each session takes two hours and checks several facts before the session: the patient`s everyday life since the prior session, patient`s depressive mood swing and patient`s recognition, improvement and aggravation. Through thess questions, have the patient reflect on his own mood swings. Since previous session`s homework is directly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current session, it has to be referred at the appropriate moment during the session. From the third session, the method of discipline is introduced and 20 minutes is given for discipline. At the closing of the session be sure to check the patient`s general impression of the session. Each session is conducted as follows: At the first session depression is diagnosed and rapport with the patient is being formed. At the second session the problematic situations are identified by reading patient`s "self narrative" together. By reading and studying Kuwoonmong in depth, the patient can both identify with and then alienate oneself from the characters in Kuwoonmong At the third session, the patient studie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function of positive thinking and get rid of negative thinking. At the fourth session, the patient would reflect on death and understand that life and death are closely related and well-dying is extremely important. At the fifth session, the patient would reflect on the nature of such ideas as reality, virtual reality, dream, and fantasy. At the sixth session, the patient would practice `Dream Yoga` and `Lucid Dream`. The patient would realize that experiencing dream, fantasy, and virtual reality makes real-life experience anew and itself is a kind of alternative to reality. At the seventh session, the patient would reflect his own desire. As represented in Kuwoonmong, fulfillment of one`s desire doesn`t always make people happy and lack of desire doesn`t always make people unhappy as in the case of Jo Sin. The eighth session would lay a foundation to embrace "here and now". When people positively acknowledge one`s present life, each day becomes happy day. Such state means that depressing feelings is uprooted and depression is cured. At the last session, the patient would evaluate his own transformation through the process of therapy and discipline. And then depression is rediagnosised. Rediagnosis of depression is being conducted by both self-evaluation and diagnosis program. Depression patient examines his own change. It is important to have the patient talk about his own change and confirm it. This rediagnosis would prove the effectiveness of nine sessions of counselling. Each session`s counselling is closely related with that of prior and next sessions and at the same time each has independence. which helps the patient reexamine each session and steadly advance to the final acknowledgment of the "here and now".

      • KCI등재

        야담 속에 나타난 죽음서사의 양상과 죽음명상 텍스트로의 활용

        이강옥 ( Lee Kangok ) 한국고전문학회 2018 古典文學硏究 Vol.54 No.-

        야담집의 죽음서사를 두루 찾아내어 저승생환담, 임종담, 이승혼령담, 환생담, 이승저승 관계담 등으로 나누어 각각을 검토했다. 그리고 그 각각을 따로 혹은 전체로 죽음명상 텍스트로 활용할 가능성을 타진했다. 야담의 저승생환담은 죽음 후의 저승과 죽음 전의 이승이 긴밀하게 연결되는 양상을 경험하게 한다. 저승은 이승과 긴밀하게 연결된 것을 확인하게 함으로써 저승으로 잘 가기 위해서 이승의 삶을 반듯이 살아야 함을 보여준다. 야담의 임종담이나 해탈담은 죽음 과정에서 이승과 이별하는 방식들을 보여주기에 죽음명상에서 소중하다. 임종담이나 해탈담은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이 보여줄 수 있는 두 극단인 집착하기와 해방되기를 보여줌으로써 독자가 스스로 선택할 기회를 준다. 독자는 이승에 대한 집착과 이승으로부터의 해방이란 양 극단을 두고 어느 한쪽을 선택하거나 적절한 중간지점을 모색할 수도 있다. 해탈담은 임종담과 달리 서사적 여백이 특히 넓다. 독자들은 그 여백에다 상상의 결과를 채울 수 있다. 여백에 어떤 풍경과 마음을 담는가는 자유다. 이승혼령담은 이승에 머물고 있는 혼령의 존재를 목격하거나 느끼고 혼령이 안은 문제에 공감하며 문제를 해결해준다. 독자들은 이승혼령담을 읽으면서 우리 삶에서 실타래같이 얽힌 부분을 조심스레 살피게 된다. 원한을 푸는 순간 이승을 떠나는 원혼 이야기는 정의와 진실을 따르는 것이 이승의 최고 가치임을 절감하게 한다. 이승에서 못다 한 일을 이승과 저승 어디서든 다시 할 기회가 있음을 알려주고 간접적으로나마 그것을 실행하게 해주는 것이 저승생환담, 환생담, 이승저승 관계담이다. 이들 죽음서사는 죽은 뒤에도 새로운 기회는 주어진다는 믿음을 재생해주기에 죽음 전후 마음에 안정감과 평화를 가져다준다. 죽음서사를 통해 자기 안에 은폐된 죽음의 관념이나 공포, 상념을 들추어내고, 자기의 죽음으로 가는 길을 찾고, 길을 넓히고, 마침내 그 길에 익숙해지는 것이 죽음명상의 순서일 것이다. 그것이 죽음을 대비하는 비교적 무난하고도 효과적인 방안이다. This paper devises a meditation program on death by exploring stories on death in Yadam. This paper reconstitutes diverse types of stories on death of Yadam. And selects the cases meaningful for death meditation from each type and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and values. Tales of Returning from Otherworld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in relation to death meditation: a type in which afterlife experiences are treated as a continuation of those of this world, a type in which afterlife experiences are treated as expansions of and introspections on this world, and the last type in which the protagonists undergo identity transformation due to their afterlife experiences. The last type in which afterlife experience completely changes the identity and life style of the protagonist is the most valuable as a death meditation text. The tales in this type vividly demonstrate the truth that clear vision for this life is the solution for the dread of death. There are other tales of passing, of nirvana, of spirit, of reincarnation, of this world-Other world relation, of resurrection. Reading those death narratives provides a crucial foundation for death meditation. Death narrative contains our ancestors' varied perspectives on death. Though not fully structured, people's perspectives on death are also fused into the death narratives. Death narrative suggest a basis for transforming abstract explanation into concrete experienc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