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과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

        고진호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4 No.2

        이 논문은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의 홀리스틱 교육 분야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홀리스틱 교육은 지덕체성을 추구하는 일종의 통합적․대안적 교육론으로서의 특징을 지닌다. 홀리스틱 교육은 방법론적 차원에서 학습자의 의미 있는 경험을 통해 질적 성장을 의도하고 있다. 홀리스틱 교육에서 교사는 학습자의 질적 성장을 유도해야 하고, 또한 이러한 학습자의 가능성을 알아차림(awareness)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홀리스틱 교사는 현상학에서 말하는 ‘상호 주관적 이해(intersubjective understanding)’의 능력이 필요하다. 간주관적 이해는 교사의 내적 투여를 통해서, 학습자의 존재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간주관적 이해는 학습자의 전인격적 존재성을 알고자 하는 방식이다. 이해와 존재는 긴밀한 관련성을 내재한다. 홀리스틱 교육에서 강조하는 질적 성장 혹은 초월의 과정으로서 변용(transformation)은 현상학에서 말하는 간주관적 이해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해와 존재의 초월(이해-존재-초월)은 긴밀한 연계개념으로서 홀리스틱 분야의 주요한 교육적 주제인 동시에 현상학의 탐구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홀리스틱 교육과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연계하여 내적 관련성을 논의하고,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이 홀리스틱 교육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fields of holistic educati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different from any other researches in the fields of educati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has a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hich will describe a subject's experience.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which pursues to understand a subject’s inner world reflect on the perspectives of holistic education in many cases. The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based on the holism that are willing to grasp intermingled connection as a whole. From this view the holistic educators aim to educate whole person fully educating not only his minds and body but his spirituality. In the holistic education teacher educate learner to be a whole person who became a harmonized growth and so teacher as a holistic researchers need to the ability to understand to the learner's inner world and to help drawing out his potentialit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has three kinds of research dimension. The first dimension is to understand to the others’s experience and the second is to study the essence of the Being, and the third is to investigate to transcendence, in other words transformation, connectedness etc. In this paper the reason why the main issues of the holistic education might be researched b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understanding others experience, studying the essence of the Being, investigating transcendence can be explained b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last chapter I searched to applicate phenomenological views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olistic education. The intention of this search is to use phenomenological view as a practical method which can be well connected theory and practice. From this search I’d like to suggest that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give new applicable method in the practice(for exam. in the context of teaching-learning situation) as well as the research field.

      • KCI등재

        행정학을 중심으로 본 빅데이터와 경험적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빅데이터 활용 제고

        김선영(Kim, Sun You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use of big data in Public Administration, a study field that emphasizes practicality among various research fields of social science. First of all,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academic meaning of public administration, this study reviewed the use of big data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n, to improve the academic practicality, it is presented an empirical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a method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from using big data. This seems like a critical discussion of empirical research based on positivism in public administration but a study with using big data differs in that it can automate simple administration procedures and administrative services through using the big data. The research using big data is grafted onto an empirical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as follows. Above all, the unfiltered big data set is premised as a living society in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then, because a researcher selects the research group from groups that experience a same social phenomenon in a society depending on the research question and aim in a study with an empirical phenomenological method same like that a researcher filters the big data set and designs research approach depending on the research purpose in a positive study through using big data, by putting the two processes on the same line the researcher understands and interprets the use of big data through an empirical phenomenological approach.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a procedure of a study with using big data through an empirical phenomenological approach consisting of meaning unit analysis, contextual and general structuring process from describing the analysis result of filtered big data based on positivism on the certain phenomena in a society. 행정학은 사회과학의 다양한 분야 중에도 실천성이 강조되는 학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행정학을 중점으로 빅데이터 활용을 고민하였다. 이 과정에, 행정에 관한 주된 학문인 행정학이 지닌 학문적 의미에 대한 이해, 행정학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논의, 그리고 실천력 제고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과 현상학적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는 행정학에서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연구에 대해 계속되고 있는 논의와 같아 보이지만, 빅데이터는 단순 행정과 행정서비스 시스템을 자동화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집합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와 경험적 현상학적 접근의 연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제되지 않는 빅데이터 집합을 현상학에서의 살아있는 사회로 간주한다. 이는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따라 빅데이터 집합을 정제하고 분석을 설계하는 것과 같이 현상학적 접근 역시 구분되지 않은 사회현상에서 연구 목적에 따라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분석기법을 채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접근과 경험적 현상학적 접근을 동일시하고, 선행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를 경험적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해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의 특정 현상을 빅데이터 집합에서 정제한 데이터의 실증분석결과에 대한 설명적 기술을 통해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과 연구배경을 바탕으로 하는 의미 단위 분석, 그리고 상황적·일반적 구조화하는 과정을 통해 해석하고 이해과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New Emerging Concern on Death in Christian Education

        손원영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4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formation tech Vol.0 No.6

        Since the advent of modern society that values rationalism, the subject of death has not been taught in general public education and been considered as null curriculum. In the arena of Christian education, what little teaching there was on death has not had much impact on learners due to its focus on knowledge-based doctrine. The fact that we can die any time and that there always exists a high possibility of sudden death requires Christian death education to be taught from a new perspective in order to help people prepare for holy death as a Christian. From this observation, the researcher discusses three main topics: (1) What is death? In attempting to answer this question, the researcher examines two major types of death: biological death due to loss of lung, heart and brain functions and theological death, which is severance from God. (2) Approaches to Christian death education are explored. There are three types of approaches: a catechetical approach that emphasizes Christian doctrine and holy rites concerning dea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at pursues the meaning of various experiences of death, and a praxis approach that stresses changes in life. (3) The researcher searches for a new direction in Christian death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praxis approach. This paper makes three suggestions for Christian death education: hermeneutical understanding of death, rejection of the culture of death within the context of a liberating praxis, and a spiritual life on the basis of a spiritual praxis.

      • 치료공학과 질적심리학의 연구논리

        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4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4 No.2

        The research should come to be accomplished from the specialty of the Therapeutic Technology which based on the Mind-Body Monism must be accumulated not only the data of the research result which leads the quantitative approach of existing the bay knows but the qualitative approach that examines closely the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the human being. Specially the latter, the research in TherapeuticTechnology as human science is required in the data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 not the research for a research but the lived research for a Korean. It is because the requirement of data accumulation which it will apply in the clinical practice for a Korean for the more affirmative therapeutic effects by continuous development that circulating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researches flow of Qualitative Psychology of the degree requisition dissertations that leaded by my guidance until currently in Child Psychology and Therapeutic Technology, carried out phenomenology research, grounded theory and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from phenomenology approach and narrative research from Social Constructive approach. Specially Discourse Analysis that used in clinical psychology or health psychology research of the United States didn't carry out yet. And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by Giorgi didn't have satistìed research result because difficulty of deep analysis accomplishment. on the other hand,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which becomes accomplished step each phase thoroughly relatively had get satistìed research result. Hereupon the research of associated in the Therapeutic Technology which applies a Qualitative Psychology in Korean culture must explore inside meaning which is deepened with variety and sensítivíty. The level of the research results which applies a qualitative psychology is the one of the researcher’ maturity which lives the world. ’The life is not forrnula. Similarly the researcherr is granted that is as well regarding the logic and process about research methodology on Qualitative Psychology,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depend on researcher's vision level about the experience of the hurnan being. 심신일원론에 바탕을 두고 접근하는 치료공학의 연구가 적극적인 임상활동의 저변확대를 위해선 인간의 체험과 그 의미를 규명하는 인간과학을 위한 질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질적 연구방법론은 인간과학 분야에서 인간을 위해 살아있는 연구를 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이는 치료공학에서 요망되는 다양한 이론개발과 임상 실제를 만족시킬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현재 심리학에 기반을 둔 서울여대의 미술심리치료전공과 아동심리전공에서 행하여진 질적 연구방법론의 세부 접근법을 조사해보면 미국의 임상, 건강심리학분야의 연구에서 선택한 질적 연구방법론의 동향과는 현상학적 전통에서는 일치한다 최근에는 질적 연구의 수준을 평가하는 지침이 보다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으나,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가장 중요한 요인은 연구자의 세상을 보는 삶의 올바른 시각과 성숙도이다. 삶올 공식으로 외워서 살 수 없듯이, 질적 연구방법론의 논리와 방법에 정통하였다고 해도, 연구 자료를 분석하는 수준에는 연구자의 전체성이 그대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경험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혜리,落合俊郎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1 No.1

        This study was focused o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from view point of Phenomenology. Communication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normal children but also children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However, these children can not show overt behavior and verbal communic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Phenomenological approach.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measure their behavior to organize educational approach. In this study, it was clarified that educational approach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se children should be organized depending upon Educator's "the subjectivity", also it was accepted even so-called "abnormal" behavior such as repeated behavior or self-injured behavior for communication. It was understood that general phenomenological explanations were formed by the means of "the physical contact" which we can see through a spoken language or a writing language. Then, through this study on communication with children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can help to understand the basic structure of our communication style.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이해함으로서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경험양식을 해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K장애인 전담 어린이집 24시간 보육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중도·중복장애를 가진 남자아동 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은 2007년 1월 3일부터 3월 2일까지 약 2개월 이상 총 50회기에 걸쳐서 행해졌으며 주된 자료수집 방법은 참여관찰이었다. 이상의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상아동들은 자신의 신체를 매개로 한 자기자극 및 상동행동을 통해 세계와 관계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자신의 살아오면서 경험하고 획득한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계와 끊임없이 관계하고자 노력하는 행위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대상아동들은 타자라는 존재 및 그들과의 적절한 의사소통 방식을 경험하지 못한 까닭에 자신의 신체를 매개로 하여 자기자극 및 상동행동과 같은 의사소통 형태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자신에게 이미 내재되어 있었으나 가르쳐주지 않았기에 혹은 반응하는 사람이 없었기에 사용할 수 없었던 신체접촉의 언어를 통한 대화 속에서 대상아동들의 의사소통 경험양식과 실존을 파악할 수 있었고,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자기결정력에 기초한 동등한 관계, 즉, 진정한 의미에서 그들과의 의사소통을 경험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대학생이 경험하는 봉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류나미,최은희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학에서 자원봉사과목을 수강한 후 자원봉사활동을 경험한 대학생 15명이며, 연구 자료인 면접과 보고서는 현상학적 방법 중 Colaizzi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은 17가지 주제와 6가지의 범주가 추출되었다. 6가지 범주는 「두려움」,「인식의 변화」,「자기수련」,「인생의 양식을 얻음」,「삶이 풍성해짐」,「이타심」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들은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성장, 성숙해 가며 이웃과 세상에 대한 이타심을 배우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는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며 활성화시키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examine the meaning of volunteer activity i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The participants were 15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volunteer activity after learning to a subject associated to volunteer activity. The data -interview and report- were analysed by a Colazzi's content analysis in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experience was divided into 17 themes and 6 categories; apprehension, change of cognition, self-discipline, acquirement of sound thinking in life, rich life and altruism. That i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self-growth and altruism and went higher the understanding about neighbor and the world through volunteer activity. This result can be the basic data to improve and to activate the understanding about volunteer ac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고3 수험생들의 입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

        김성봉,오옥선,김선미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고3 수험생들의 대학입시 경험을 1) 대학, 이중의 저울질, 2) 성적의 굴레, 3) 교실이데아의 실종, 4) 갈등과 공감의 이중주, 5) 실존적 성찰과 성장 이라는 다섯 가지 주제로 들여다보았다. 그 결과, 지금 우리의 대학입시의 모습은 전인교육은 없고 입시중심의 인지적 학습만 존재하며, 그러나 동시에 고3 학생들은 입시와의 고독한 싸움을 하면서도 자신에 대한 실존적 성찰을 통해 성장해 가는 단면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기초해 학교교육의 본질, 평가의 문제, 실존적 성찰을 승화시키기 위한 진로지도의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looked into experiences of an entrance examination by high school seniors under the five themes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1) universities, double weighing, 2) fetters of grades, 3) loss of Class Idea, 4) a duet of conflicts and empathy and 5) existential reflection and development. As a result, we could find out that there exists only cognitive studying focusing on preparation of an entrance examination instead of well-rounded education but that high school seniors have been developing through the existential self-reflection while struggling for preparing for an entrance examination by themselves. Based on this findings, we discussed the nature of schooling education, the problem of evaluation in school, and the proper direction of career counseling to sublimate students' growth through existential self-reflection into something higher in their lives.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신물질주의 시대의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곽영순(Youngsun Kwak)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교육과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및 교육과정 글쓰기에 참여한 연구자의 체험을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해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현상학적 접근의 특징을 살려서 연구 참여자로서 체험한 것의 의미를 드러내고, ‘과학과 교육과정이라는 글쓰기’의 의미 본질을 기술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의 상황맥락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자의 글쓰기 체험과 총론 지침에 대한 해체적 읽기 체험의 의미를 (1) 변혁적 역량과 과학과 교육과정, (2)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생태전환교육, (3) 인류세 담론과 과학과 교육과정이라는 세 가지 주제로 제시하였다. 물론 이 세 가지로 교육과정 개발 연구 체험의 본질을 모두 드러낼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포스트휴먼적 생태주의 패러다임에서는 누가 행위주체성을 가지는지, 그리고 새로운 형상과 잠재성을 현실화하는 변혁적 역량이 무엇인지를 해체적으로 접근하도록 요청하였다. 교육과정 개정 연구 참여 체험에 대한 성찰과 제언으로 교육과정 개발을 둘러싼 담론적 실천과 써지는(writerly)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a researcher,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writing, were analyzed deconstructively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as a research participant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to describe the essence of the meaning of 'writing science curriculum'. First,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presented.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researcher's experience of writing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 deconstructive reading of the MOE’s general guidelines were analyzed (1) transformative competency and science curriculum, (2)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posthuman era, (3) Anthropocene discourse. and science curriculum were presented as three themes. It is not possible to reveal all the essence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through these three themes. After all, the posthuman ecological paradigm requested a deconstructive approach to who are agencies and what is the transformative competency that demands the realization of new forms and virtualities. As reflections and suggestions, discussed are the discursive practice surrounding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curriculum as a writely text.

      • KCI등재

        존재중심접근 코칭의 현상학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이상돈,유충열 한국코칭학회 2023 코칭연구 Vol.16 No.1

        This dissertation proposes a human being-focused approach as one of the coaching metho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action-focused method. Various coaching goals and stable effects are not satisfied,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coaching area, in a situation where an action-focused approach such as the GROW model is generally attemp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ansion of the coaching area increased the limits of an action-focused approach and increased the need for a human being-focused approach. Second, phenomenology provides the basis for the theory as a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ground for a human being-focused approach, which was applicable to the necessity of a human being-focused, character of existence, principle of discovery of existence, as a conceptual foundation and the process of discovery of existence and the principle of implementation, as a methodological basis. Third, human being-focused coaching, based on phenomenology, consists of three parts: discovery, expansion, and production of existence. The process and procedure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ideology and method of phenomenology and major techniques were also borrowed from phenomenology. The process of existence discovery presented theories and methods for the nature of the problem and the way of existence, the expansion of existence for me of possibility and potential, and the production of existence for self-production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existence. We expect that this will be a new approach tool that coaches can use usefully in the field as well as securing a stable coaching effect through an independent approach of coaching with an academic background. 본 연구는 코칭의 접근 방법으로써 행동 중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존재중심의 접근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행동중심 접근의 한계와 존재중심 접근의 필요성을 살펴보았고 존재중심 접근을 위한 현상학의 적용 가능성과 타당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상학 기반 존재중심접근 코칭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 영역이 기업에서 인생 전반에 걸친 영역으로 확장됨에 따라 ‘성과’ 위주의 행동중심 접근은 한계가 있으며 이를 극복하려면 ‘안녕’을 위한 존재중심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현상학이 존재중심 접근을 위한 개념적, 방법적 토대로써 이론적 근거를 제공함을 볼 수 있었다. 개념적 토대로써 존재중심의 당위성, 존재의 성격, 존재발견의 원리에 대해 방법적 토대로써 존재발견의 프로세스와 실행원리에 대해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현상학의 이념과 방법을 기반으로 한 존재중심코칭의 과정과 기법이 제시되었다. 존재발견, 존재확장, 존재생산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고 주요 기법은 현상학에서 차용되었다. 존재발견은 문제의 본질과 존재방식에 대해, 존재확장은 가능성과 잠재력에 대해 존재생산은 존재행동에 대한 것으로 그에 따른 과정과 기법이 제시되었다. 학문적 배경을 가진 코칭의 독자적 접근 방법을 통해 안정된 코칭 효과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코치들이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도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 게슈탈트치료 사례연구 -네 가지 주요 이론적 토대의 적용을 중심으로-

        김보중 ( Bo Joong Kim ),장현아 ( Hyun A Chang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5 No.1

        This article is a personal counseling case under supervision along with theoretical research about the Gestalt counseling, which has been learned during the classes of the doctor's course. For this study, how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Gestalt theory has been applied to the practical counseling process was explored while focusing on the four key approaches. Written consent of the client has been obtained and all the information concerning the client in all the records and in this article has been kept in private. The chief complaints of the client was the chaotic relationship with the client's mother who is obsessed and behaves unreasonably, in which the client has been difficult to live ordinary daily life, and the counseling theme the client brought was the boundary confusion with the client's mother. For this case study, phenomenological approach, field theory approach, dialogue approach, and experimental approach were applied based on the theory of Gestalt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