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미술치료學 전공의 대학원 과정 발전현황과 가능성

        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3 No.1

        국내 미술치료學 전공은 대부분이 석사학위 과정에 설치되어 있다. 15년 정도의 짧은 학문적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전공발전과 관련하여 미술치료라는 용어가 지닌 함의로 인해 구조적, 내용적 측면에서 발전 가능성을 갖기 위한 점검이 필요하다. 이들 측면의 발전현황과 가능성을 다루고, 최적의 대안 마련이 가능해진다면 국내 미술치료학은 학문적 경쟁력, 나아가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제반 준비과정을 보다 빨리 진행시켜 갈 수 있게 된다. 다루어진 연구문제의 분석은 지난 10여년 동안 대학원 과정을 통하여 미술치료學의 강의, 연구, 프로그램 개발, 학회 활동 등을 해오면서 축적된 경험과 문헌 연구에 기초하였으며,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미술치료學의 전공 개설 허가는 교육부의 대학원 인가 체제의 기준인 고등교육법에 의거하여 대학원 교육 목적에 부합되는 학부 기반의 전문대학원에 내리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는 일반대학원도 가능하다. 둘째, 대학원 유형과 관계없이 현재 전공의 학문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 미술치료學 전공은 최소한의 교과목 운영의 골격을 임상미술치료학으로 잡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나서 대학원 유형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국내외 학문적 경쟁력을 구축하기 위해 미술치료學 전공자들은 개인적으로 근거기반의 과학적인 연구축적과 경쟁력을 구축한 학회의 학술활동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With the variety of pathways, curriculums, and policies of Art Therapy Graduate Schools as part of Masters programmes in South Korea, there is an impending need to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pertaining to their ongoing development and further development potential. This i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academic credibility of the Art Therapy field within the country, with further hopes of gaining a competitive edge on an international scale. The analysis of the current research inquiry is done on the basis of the writer's own experiences and accumulated documents related to the teaching, research, and programme development in the area of Art Therapy over the past 10 yea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stablishment of an Art Therapy pathway in graduate schools must be altered so as to meet the requirements and educational aims according to the Higher Education Laws, which guide the policies of graduate school programmes in South Korea. Second, the basic modules of all graduate programmes should be based on clinical art therapy and related subjects, regardless of the specific pathways. Additional modules may reflect the specialties of particular pathways. Third,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Art Therapy, there is a need for the accumulation of rigorous research as well as the promotion of credible academic associations in the field.

      • 미술대학 졸업 후 대학원 석사학위과정 미술치료학 전공에서 수강한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에 관한 체험 연구

        임은영,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3 No.1

        우리나라의 미술치료학 대학원에 지원하는 미술학사들의 비율은 타 분야의 학사소지자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하므로 미술치료 교육에서 가장 염두에 둬야 할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대학과 대학원이 학문적으로 다른 분야에 속하므로 학습에서 사고의 전환이 요구되어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현장 전문가를 훈련시키기 위해 개설된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은 이론과 실습의 실제를 함께 다루므로 다른 교과목과 비교하여 적응하기 더 힘든 측면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미술학사들의 교과목 수강 경험을 현상적으로 이해하고 학문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수강자 중심의 요구반영으로 강의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미술치료사 훈련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대학 학위자들이 미술치료학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개설된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의 수강 체험을 탐색하여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의 체험이 지닌 의미와 본질의 이해라는 연구문제에 따라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서 미술치료학을 전공하고 있는 총 7명이다. 연구자가 2012년을 기준하여 조사한 바에 의하면 국내 22개 미술치료학 대학원 중 3개 학교가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을 3학기 이상 개설하고 있었다. 이 중 참여자 선정을 위해 서울시내에 위치한 2개 대학원에 접촉하였고, 보다 깊은 진술을 얻기 위해 최소 3학기 이상 수강한 자들로 제한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한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3월부터 2012년 11월까지로, 연구 참여자에 따라 1~3회, 자료가 포화되는 시점까지 면담하였다. 연구를 통해 9개의 본질적 주제와 2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본 연구는 미술학사 학위자가 미술치료학 대학원의 석사학위과정에서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을 체험한 의미와 본질에 대한 결론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미술대학을 졸업한 수강자들은 학년 초기에 학문적 접근법이 상이하여 적응에 어려움을 겪지만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전공자가 갖는 장점을 발견하고 자신감을 회복한다. 둘째, 석사학위과정에서 개설된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은 담당교수의 치료철학에 따라 교과 운영내용, 강의 분위기, 교수와 수강자 또는 수강자들 간의 인간관계 등 매우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 학기 담당교수가 바뀌므로 수강자들에게 늘 새로운 적응이 요구된다. 셋째,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은 매 학기마다 미술치료학의 이론과 실제 전반을 새롭게 이해하도록 이끌며, 학기가 올라가면서 담당교수에게 의존적인 상태에서 벗어나 미술치료사로서 독립적 태도를 지녀야 한다는 통찰을 갖게 한다. 결과적으로 수퍼비전은 수강자들이 미술치료 전문가로서 주도적인 태도를 지니도록 돕는다. 넷째, 수강자들은 수퍼비전에서 미술작업을 통해 치료사로서의 자기인식, 내담자사례의 이해, 다양한 대인관계 관점 등을 경험하고 실습 현장에 미술치료사로서 전문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다섯째, 석사학위과정의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은 수강생들이 학문적 초반기부터 전문가로서 기초를 다지는 기회가 되는데, 실습과 동시에 교수에게 지도받으므로 안정적이며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 선정이 2개 대학원에 그쳤다는 제한점과 참여자들이 교과목에 대해 지속적으로 적응하는 과정에 있어 수퍼비전 자체에 대한 깊이 있는 의미탐색에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supervision by exploring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of supervision for art therapy master's course to be an expert for art therapy. Through this, this study intends to be a basic material to make an education system by necessary for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art therapists. This study applied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and collected and analyzed materials according to study issues, based on which this study took the process of writ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a total of 7 and they took their diploma at art college and were taking 2 art therapy courses at graduate school; they have taken the subject of supervision for at least three semesters. Data collection period through deep interviews was from March to November 2012 and interviews were made from once to three times until the materials were saturated. I could derive 9 essential topics and 28 sub-topics from their statements in these interviews.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academic approach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art is different, so Master's students of B.A.(Bachelor of Arts) have initially difficult at the beginning of the master course. However, through "Art therapy Supervision", they discover the advantages of art major, and restore the confidence. Second, "Art Therapy Supervision" which is the main subject offered by the Master's course is dependent on the treatment philosophy of professor, so it will affect the various aspects such as the operation of curriculum content, the atmosphere of the lecture, human relationship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or among students. In addition, the professor changed every semester, so it always is required new adaptation to students. Third, "Art Therapy Supervision" leads to students to understand a new general theory and practice of art therapy per semester. In addition, while listening between multiple semester these subjects, students have the insight that must have an attitude of independent as an art therapist emerged from the state that rely on a professor gradually. As a result, this subject will help students to have a leading position as an expert in art psychotherapy. Forth, Students took advantage of art in the classroom to recognize the themselves, to understand the cases of clients, experienced various aspects of human relations. As it was, they will be accessed with a specialized therapist at art practice site. Fifth, "Art Therapy Supervision"is initially a purpose to educating the sides should be prepared as an expert in the field to students. Students is supervising stable from a professor with a practic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Art Therapy Supervision"is economic benefits without additional costs because it is established the Master’s course.

      • 비행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체험 : 소년보호시설 청소년을 중심으로

        전연희;정여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4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4 No.2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들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의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여 비행 청소년들에 대한 섬충적 이해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연구 방법을 재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가정법원, 인천·수원 지방법원 4 호 처분 수탁교육원인 경기도 양주시 소재 ‘ N 청소년의 집’에 거주하는 12명의 남자 비행청소년들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2004년 5월부터 2004년 8월 까지 총 10회의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고, 전체 회기를 마친 후에 집단미술치료의 체험을 위주로 참여자들과 개별면담을 가졌다.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들이 경험한 집단미술치료 체험의 의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비행청소년들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은 마음속에 묻어두었던 감정들올 표출시키는 경험이다. 집단미술치료는 참여 청소년에게 억눌러 두었던 부모님과 가족에 대한 감정들과 현재 시설 생활에서 느끼는 답답합과 분노를 분출시키는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둘째, 비행청소년들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은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바탕으로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게 되는 경험이다. 셋째, 비행청소년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타인에 대한 이해와 대인관계에 대한 탐색의 의미를 체험할수 있었다. 이러한 집단 상호작용의 경험은 비행청소년틀에게 대인관계 기술의 획득, 자존감 증대, 사회성 향상을 가져올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juvenile delinquents’ experiences and feelings from the group art therapy and to provid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juvenile delinqu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Van Manen’s henneneutic phenomenology was reorganized for the study and used as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a methodological structu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 juvenile delinquents from “N Juvenile Center" which is the 4th trust detention center of the Seoul Court of Farnily Affair, the Incheon and Soowon District Court in YangJoo, Gyunggido. To collect the infonnation, 10 times of the group 때 therapy was done from May 2004 to August 2004 and the individual meeting wa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 group for the experience discussing after the period of the therapy. πle following results can be made for the meaning of the group art therapy that the juvenile delinquents experienced based on the main subjects and their subordinate subject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for the juvenile delinquents was the experience of expressing the feelings they have been hiding inside of their mind. The therapy gave them an opportunity to freely express their repressed feelings, closed and angry feelings from the life inside of the detention center. Secondly, the therapy was the experience that gave them a hope for the futu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discerning themselves. The understanding and discerning themselves gained from the group art therapy gave the juvenile delinquents a self confidence as well as a positive view for the future accelerating the will of improvement. Third, the group art therapy for juvenile delinquents was an experience of questing for understanding of others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perception of oneself in interactive relationship, the acquisition of personal relation skills and the experience of being accepted and supported in the group will help improving their sociality in personal relationship when they go back to society.

      • 학습 장애에 인지증진치료의 활용 고찰

        송현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7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7 No.1

        본 고찰 논문은 새로운 치료적 접근의 하나로서 인지증진 치료를 소개하였으며 특히 학습장애에 대한 활용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뇌손상 환자를 위한 인지재활 치료에 뿌리는 둔 인지증진치료는 1990년대 이후 정신의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생물심리사회적 모델이 대두되면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모으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 Corrigan과 Yodofsky(l996)는 개념적 모델을,Schutz와 Trainor(2007)는 형태모델을 제시하는 등 인지증진치료에 대한 개념적 틀을 형성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가장 적절하게 받아들여지는 인지증진치료 모델은 ‘전체적’ 접근 모델로서 인지적 행동적 결함에 대한 치료뿐 아니라 전통적 심리치료와 환경적 개입을 모두 통합하여 접근 하는 입장이다 많은 선행 연구들을 통하여 인지 영역들이 보다 세분화되고 구체화되고 있으며 각 영역에 대한 측정방법들도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세부 인지 영역은 주의(자동주의과정,작업기억),기억,언어기능,시공간 구성 능력,문제 해결 능력,운동기능과 사회지각능력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정확한 평가를 통해 취약 영역을 파악한 후에는 손상된 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하거나 보상할 수 있는 치료적 책략 계획 수립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대해서 본 연구자는 손상의 기저가 되는 세부 인지 기제에 대한 반복 훈련을 제안하였다. 인지증진치료의 적용분야 중 하나로서 학습 장애를 본 논문에서는 다루었다 학습 장애에 대한 명확한 진단은 아직까지도 일치된 합의가 부족하다. 그러나 진단적 측면이 아닌 인지 영역별로 취약 영역을 구분해 내고 그에 적합한 치료적 계획을 수립하는 인지증진치료개입은 학습 장애에 대한 매우 효과적인 개입방법임을 주장하였다. 이밖에 학습 능력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작업기억에 대한 최근 연구들을 고찰하면서 작업기억을 중심으로 한 인지증진치료가 학습 장애에 매우 적절한 치료 책략임을 제안하였다. This review introduced the Cognitive Enhancement Therapy,especially the focusing the application on the Learning Disability. 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based on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the brain injury patients became the interesting field from 1990’s,since the biopsychosocial model had emerged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psychiatry. There were many trials to build the conceptual frame, for example,Corrigan & Yodofsky (1996) proposed conceptual model and Schutz & Trainor (2007) suggested the frame model. The ’holistic model' is regarded as the relatively proper model for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include the conventional psychotherapy and environmental intervention as well as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therapy for the deficits. Through much studies,the cognitive areas were divided in detail and the various measurements were suggested. The current common cognitive sub-areas are follows: attention (automatic processing,working memory),memory,language ability,visual-spatial consσuction ability,motor function and social perception ability. Following the identifying the weak areas,it should be made the therapeutic plan of the restoring and compensating for the cognitive deficit. As the researcher and clinician this field,I suggested that the repeated practicing the exact weak area causing the specific cognitive deficit would be the efficient therapeutic strategy. This paper reviewed the Learning Disability (LD) as the applicable field of the 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There are still controversy about the diagnostic consensus about LD.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it would be more efficient therapeutic strategy based on the cognitive function than based the diagnostic aspect. Besides,the recent studies about the working memory (WM) was reviewed,It was suggested that the WM cognitive training would be the very proper strategy in the restoring or compensating the LD problem because WM is closely related to the academic ability.

      •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에서의 윤리적 이슈에 대한 고찰

        김선주, 김선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국외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를 이해하고 윤리적인 이슈 및 미술치료사가 고려해야할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에 개정된 미국미술치료협회(AATA) 윤리강령과 2016년에 개정된 미술치료 자격심사위원회(ATCB) 윤리강령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사용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였으나 국내 미술치료 임상현장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를 위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에 왔다. 이에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는 내담자의 특성 및 치료목표를 고려하여 필요시에 어플리케이션, 태블릿 PC, 컴퓨터, 디지털 사진 등을 활용해 미술치료사와 내담자가 상호작용을 하고, 내담자의 감정, 생각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치유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둘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에서의 윤리적인 이슈로는 내담자 사생활 보호의 어려움, 내담자 및 미술치료사가 거주하는 주, 나라의 치료 서비스 제공에 관한 법과 규제, 내담자의 비언어적 표현 등을 적절하게 평가하지 못하는 미술치료사의 제약성 및 디지털 작품의 소유와 보관 및 공유 문제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미술치료사는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 할 때 내담자의 특성 및 치료목표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디지털 미디어가 기존의 전통적인 재료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다양한 임상경험과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전문성을 길러나가고 있는 미술치료사들은 일상생활에서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전문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고, 전문인으로서의 윤리적 지침을 지속적으로 고려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사는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특성과 치료 장면에서의 활용가능성을 이해하고 윤리적인 지침을 확인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previous studies on art therapy using digital media focused on the issues that art therapists should consider when using digital media and on ethical issues.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AATA) and the Art Therapy Credentials Board(ATCB) have added topics about using the digital media but need to be discussed further. The conclusion of the analyses of previous studies on art therapy utilizing digital media was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utilizing digital media will be designed to take into account client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goals, using applications, tablet PCs, digital photos, and more as an interactive tool for art therapists to practice as an effective solution, and Second, ethical issues in art therapy utilizing digital media are difficulties in protecting client privacy, poor law and regulations on the provision of care services by client and art therapists who reside in states, countries with limited care, and nonverbals. Finally, the art therapist considers the client's characteristics and needs the sensitivity to use digital media at the right time, and understands that digital media should not replace traditional materials well. Art therapists who develop expertise through various clinical experiences and prior studies will need to have professional attention to digital media as they are used in everyday life, and they will need to have professional attention to it. Through this, the art therapists intend to hav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nd its usability in the treatment process, and check for ethical guidelines.

      • 미술심리치료에서 마음챙김 명상 활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 : 노인대상을 중심으로

        전주연, 김선회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7 No.1

        미술치료는 비언어적인 치료방법으로 다양한 삶의 경험을 표현하고 정신 발달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기여하는 가장 핵심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마음챙김 명상은 매순간 변하는 자극에 수용의 마음으로 주의를 집중하여 지금, 여기에 일어나는 경험에 충실히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말한다. 마음챙김 명상은 미술치료에 기반이 되어 미술치료의 이점을 확장시켜주는 역할을 하여, 언어적 표현에 어려움을 갖는 대상에게 심리적 갈등을 완화하고 긍정적 정서를 촉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마음챙김 명상 미술치료는 노인의 노년기 삶에 잘 적응하고 자신의 전반적 삶에 온전한 수용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연구는 대상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적절한 통합적 미술심리치료의 개입이 미술심리치료의 효과성을 더욱 증진시킬 것이라고 보고 마음챙김 명상을 활용한 미술심리치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미술심리치료에서의 마음챙김 명상 활용이 대상의 심리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Art Therap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ays of expressing various life experiences and contributing to mental development and social interaction through nonverbal treatment methods. Mindfulness meditation refers to paying attention to the changing stimuli at every moment and paying attention to the experience that is taking place here now. Mindfulness meditation is based on art therapy and serves to extend the benefits of art therapy. It has the advantage of alleviating psychological conflicts and promoting positive emotions to subjects who have difficulties in verbal expression. Especially, mindfulness art therapy helps the elderly to adjust to one's later years and to accept the whole life of their 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to suggest the appropriate art psychotherapy interventio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art psycho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rt psychotherapy using mindfulness meditation as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of integrated art psychotherap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efore, it was theoretically examined how the use of mindfulness meditation in art psychotherapy affects psychological aspect of object.

      •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의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실습 체험연구

        황혜진, 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이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를 위해 집단미 술치료 실습을 수행하는 경험을 통해 어떠한 체험을 하며, 또한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본 연구에 적합한 6명의 연구참여자 를 선정하여,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 다. 심층면담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로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진행되었 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총 8개의 본질적 주제와 27개의 하위주제를 도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결론을 내리고 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에 대한 사전의 실습경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걱정과 두려움을 가진 채 집단미술치료 실습에 임한다. 둘째,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실습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미술치료학 전공을 다루어가고 있는 실습생으로서 이론과 실제를 만나는 경험을 갖게 하고, 실습기관과의 조율을 다루는 배움의 기회가 된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실습을 통해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그들의 증상을 가까이에서 알고 이 해하게 되면서, 환자를 대하는 태도를 환자중심으로 서서히 익혀가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넷째,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실습은 미술과 표현을 이끌어내는 미술치 료의 긍정적인 부분은 연구 참여자들로 하여금 미술치료의 역할과 기여에 관해 숙고해 보는 기회를 갖도록 이끌어 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the essence of art therapy master’s degree student’s group art therapy practice for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The participants were 6 art therapy graduate students each of whom had experience on the group art therapy practice for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and have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 about their experience.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7. This study applied Max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8 main themes as shown below were produced. First, the participants embarked on the group art therapy practice for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with worry and fear since they hardly met the patients before.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actice for alcohol use patients was a crucial chance of learning for the participants in which they studied theories, met the patients in person and coordinated things with the psychiatry staffs all at once. Third, while interacting with the patients the participants gained therapeutic perspective, which accepts the symptoms of the patients as well as understands them as a person. Fourth, the participants realized the true meaning of the art therapy while doing the practice.

      • 미술치료를 통한 가족 내 갈등을 지닌 호스피스 환자의 용서 체험연구

        박시내,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3 No.2

        본 연구는 가족에 관하여 부정적 정서를 가지고 있는 호스피스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용서과정을 미술치료를 통해 다루어봄으로써, 호스피스 환자들이 죽음을 앞두고 가족에 대해 지녔던 부정적 정서를 덜어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용서의 본질과 의미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는 가족 구성원과 갈등을 가지고 있는 호스피스 환자들의 용서과정을 돕는 호스피스 용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호스피스 환자들의 삶에서 다양한 가족 내 갈등에 관한 용서체험을 통해 그들이 경험한 용서의 의미와 본질을 알아 보기위해, 본 연구에서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질적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의 호스피스 D병원에서 3명, 수원 소재의 S병원에서 2명, 강원 소재의 C병원에서 1명의 완화병동에 입원해 있는 총 6명의 호스피스 환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최소 2회에서 최대 5회기까지 개인 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모두 1회의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 단계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과 그림을 통해 공통 되는 주제를 분석하고 도출한 결과 7개의 본질적 주제와 20개의 하위 주제들로 산출해 낼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를 통한 가족 내 갈등을 지닌 호스피스 환자의 용서 체험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내리고 있다. 첫째, 가족 내에서 갈등을 지니고 있는 호스피스 환자들은 미술치료 회기 초반에는 자신만이 상처받았음을 인식하고 자신을 위로하는 시간을 갖지만, 회기가 진행해 가면서 자신도 가족에게 상처 주는 사람이기도 하다는 객관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는 성장의 기회를 가지게 된다. 둘째, 호스피스 환자의 자신에 대한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통찰이 다루어진 이후에야, 상처를 주어왔다고 여긴 상대의 그 때 상황과 어려웠던 삶의 배경 및 상대를 이해해 보는 기회를 창출해 낼 수 있게 된다. 셋째, 호스피스 환자들은 미술치료를 통해 용서는 상대를 위해서 요구되는 것이기 이전에, 자신에게 더욱 필요한 과정임을 깨닫는다. 넷째, 호스피스 환자들은 미술치료 회기를 통해 용서와 화해의 이미지를 표현함으로 인해, 그들 마음속에 찾아온 용서를 보다 구체화 시킬 수 있는 기회 속에 자리하게 된다. 다섯째, 미술치료를 통해 호스피스 환자들은 용서과정 뒤에 오는 정서적 편안함과 영적 평안함을 갖게 되며, 살아있는 오늘 이 순간에 대한 감사와 행복을 느끼게 된다. 동시에 죽음을 두려움만이 아닌 또 다른 삶에 대한 소망으로 바라보는 기회를 맞이한다. 이 같은 결론을 통하여, 본 연구는 임상적으로는 호스피스 환자를 위한 용서 미술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학문적으로는 한국 호스피스환자를 위한 의료 미술치료학 분야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essence of forgiveness for hospice patients who are near death and have negative feelings about their family members who were seeking to work through the process of forgiveness by means of art therapy. Through this research of hospice forgiveness art therapy that helps with the process of forgiveness for hospice patients who have family conflict, this study will be able to offer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hospice forgiveness art therapy program. This study has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pplying Max van Manen’s 10-step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consisting of ‘turning to the nature of lived experience’, ‘existential research’,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to discover the meaning and essence of hospice patients’ personal experiences of forgiving family members involved in various inner family conflicts. In the phase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through the statements and pictures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mmon subjects were analyzed and seven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and the conclusion evolved into the form of ranking twenty sub-them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dicated an essential theme that their experiences of forgiving family members involved in inner-family conflict were actualized through art therapy <Through artwork the regurgitating of hurt from my family>, <I realize that even in my dreams while I feel hate and ugliness I also feel love for that person>, <I am coming to understand the person who hurt me>, <I also have come to realize the fact that my family member’s heart was broken>, <at the end of my life I gained important understanding>, <With forgiveness came thanksgiving and peace>, <death, now is no longer a frightening thing>. The results of the process of the six hospice patients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from the time before they were admitted to the relief wards of different hospices, having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as a result of family inner conflict and then coming to a place of forgiving those family members expressing themselves through art therapy activities and the interview sessions that followed are described below. First, through art therapy, after hospice patients recognize the hurt they’ve encountered in inner-family conflicts and have experienced a time of caring for themselves, patients face the situation where the people have hurt them and by taking the time to remember the background of just what the difficulties of their lives were they took the time to understand the other party. Second, through art therapy, having a person with an objective viewpoint was helpful helping patients realize that they had not only been hurt by their own family members but that they had also hurt other family members. The preliminary data for patients with inner-family conflict could be seen to lay the foundation of art therapy for forgiveness. Third, through art therapy hospice patients realized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of forgiveness for their own sakes prior to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them forgiving for the sake of their family members. Fourth, through art therapy hospice patients could express the images of forgiveness and compromised forgiveness could be found embodied in their hearts. Finally, through art therapy, following the process of forgiveness comes emotional comfort and spiritual peace, living today with thanks and a feeling of happiness about the present moment, not even fearing death but looking with hope to the next life.

      • 미술심리치료에서의 표현치료 연계 (Expressive Therapies Continuum)의 유용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서희경,김선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6 No.2

        국내에서 미술심리치료는 다수의 양적 연구를 통해 효과성을 입증해왔으며, 현재 독자적인 학문적 정체성을 구축해나가는 과정 중에 있다. 미술심리치료의 중요한 치료적 요인인 미술이 미술심리치료 과정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밝히고, 미술심리치료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는 것은 미술심리치료학의 독자성을 살리는데 기여한다. 또한 미술이 미술심리치료에서 작용하는 방식을 이론적 근거를 들어 설명하는 것 또한 미술심리치료학을 분명히 정의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심리치료학의 정체성 구축을 위한 대안적 이론으로서 Kagin과 Lusebrink(1978)가 고안한 표현치료 연계(Expressive Therapies Continuum, ETC)를 소개하고, 이론의 학문적, 임상적 유용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이지민, 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experiences on group art therapy and to provide students with masters degree in Art Psychotherapy with general understanding and practical preparation materials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is.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17 to October, 2017 by an in–depth interview with 6 adult men and women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who have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within the last 6 months. In order to vividly convey the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the researcher applied Max van Manen 's hermeneutics research methodology,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rive 8 essential themes and 23 sub-theme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essential theme are as follows. First, adult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do not have the awareness of art therapy, but they are expected to participate in the art therapy and my depressed state, and will relax my condition. Second, adul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experience artistic expressions and art materials in group art therapy, touch the emotions that have overwhelmed them, and feel the feelings they have never felt before, as they share the work of art based on them with group members. Third, adult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receive supportive feelings through group art therapy and work reliably in the art work. In the process, they feel that they are growing as they understand others and others. Fourth, adult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shared many stories with group members of similar situations in group art therapy, and although they felt a sense of identity, they felt uncomfortable and uncomfortable in opening their deep inner thoughts. Fifth, adult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have a desire to receive art therapy continuously after the end of group art therapy, hoping that they will feel the possibility of treatment from the art therapy, and the treatment can be done. 본 연구는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들이 집단미술치료 체험하면서 가지게 된 체험의 본질을 통해 미술치료 석사학위과정생들에게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실습 준비 자료를 제공하여 주요우울장애 치료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7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주요우울장애 환자로서 최근 6개월 이내 집단미술치료 참여 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 6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이들의 입장에서 집단미술치료의 경험을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질적연구 방법 중 하나인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총 8개의 본질적 주제와 23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본질적 주제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는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미술치료와 나의 우울 상태에 대한 궁금증으로 참여하게 되며 나의 상태를 완화시켜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진다. 둘째,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는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표현과 미술 재료를 경험하며 자신을 압도하고 있던 감정을 건드리게 되고 이를 토대로 만든 미술 작업을 집단원과 공유하게 되면서 이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감정을 느끼게 된다. 셋째,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지지적인 느낌을 받으며 안정적으로 미술작업을 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게 되면서 성장해가는 것을 느낀다. 넷째,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는 집단미술치료에서 비슷한 상황의 집단원들과 많은 이야기를 공유하며 동질감을 느끼지만 자신의 깊은 속마음까지 개방하는 것에 불편감과 거부감을 느끼기도 했다. 다섯째,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들은 집단미술치료 종결 이후 미술치료로부터 치료의 가능성과 아쉬움을 느끼게 되고 치료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지속적으로 미술치료를 받고 싶은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