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경직과 피어선에 있어서 사회봉사

        신현수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5 피어선 신학 논단 Vol.4 No.2

        Although it led society in the last century, today the Korean Church does not have a good reputation from it. It is primarily because it has not undertaken the so-called mission of light and salt in society. Just as Jesus Christ comes to the earth to serve others, the church as his body is called to serve the world. Diakonia belongs to an important realm in which the church serves the world. Thus, how to understand and practise diakonia in today’s context is an inevitable task for the Korean Church to undertake its contemporary social responsibility. Both Han KyungChik, Former Korean Evangelical Pastor of Youngrak Presbyterian Church and Arthur T. Pierson, a leader of 19th century American Evangelical Movement, emphasized diakonia and devoted themselves to it. This i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Christian life cannot be separated from it. Therefore, a consideration of their concepts and ministries of diakonia serves to understand diakonia theologically and suggest some practical schemes of it for the Korean Church to take.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diakonia is to actualize God’s redemptive sovereignty over all things in the world. What they are mostly concerned with is God’s salvation, for the Christian life is to enjoy it. This salvation aims at God’s redemptive Lordship over all things in the world. This Lordship is the restoration of creation order. This restoration is characterized of love. Diakonia is to actualize the order of love in the world. Thus it is a way by which God as redeemer rules all things in the world. This thesis is justified by dealing with the following themes. The first is to analyze their basic theological concepts of the ground of diakonia: holistic salvation, the restoration of imago Dei and alienated people and stewardship of all things in the world. The second is to explore the main directions of diakonia focusing on their practical ministries of it. The third is to compare and evaluate those concepts and praxis. The Fourth suggests diakonia as the restoration of creation order. Finally, the article sums up the whole discussion and suggests some points for a constructive study of the issue. 한경직과 피어선은 사회봉사를 강조하고 실천하기를 힘썼다. 그들의 사회봉사 열정은 창조질서의 회복으로서의 구원관에서 비롯되었다. 그들에게 구원이란 하나님이 이 땅의 모든 것을 구원의 주로서 다스리는 것이다. 그리스도는 이 땅에서 하신 사역을 통해 인류가 의롭다함을 받게 하셨을 뿐만 아니라 만물을 새롭게 한다. 이것은 아담의 범죄로 깨어진 창조질서가 회복되는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 형상의 회복으로 나타난다. 하나님 형상이 회복된 사람은 하나님을 사랑하고 섬길 뿐만 아니라 이웃과 사랑의 공동체를 이루고, 자연을 하나님의 선한 청지기로서 관리 보존하며,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일을 하며, 길 잃은 어린 양을 하나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존재로서 존중하고 그 양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의 손길을 드러낸다. 사회봉사는 이러한 창조질서를 회복하여 이 땅의 모든 것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을 실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하나님의 구원을 통해서 만물에 대한 주권을 실현하는 수단이다. 사회봉사의 기본 방향은 모든 사람이 하나님을 믿고 섬기게 하고, 이웃과 사랑의 공동체를 이루며, 하나님이 맡기신 것을 가지고 선한 청지기로서 하나님의 뜻을 따라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데에 쓰게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소설 <벌레 이야기>와 영화 <밀양>의 서사전략 비교-‘애도’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래희 ( Han Lae-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본 연구는 상호 텍스트적 성격을 띠는 소설 <벌레 이야기>와 각색 영화 <밀양>을 비교, 분석하되, 영화의 각 장면이 원작에서 발견되는 의미의 불확정성에 대한 해석에 기초해 만들어졌다는 점에 주목하며 출발하였다. 수용자의 해석을 요구하는 물음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여기서는 사건 전략의 차이와 영화가 소설과 다른 결말을 보이는 이유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두 가지 의문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런 물음에 대한 탐구는 용서ㆍ구원ㆍ인간에 대한 두 텍스트의 해석의 차이와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우선 두 텍스트에 모두 나타나는 사건ㆍ인물과 영화에서 새롭게 창조된 사건ㆍ인물의 구분하고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사건에서 새로운 해석을 요구하는 불확정적 부분을 이끌어낸 결과 ‘아이 엄마는 왜 아들을 죽인 유괴범과 면회를 할 결심을 하게 되었나?’와 ‘면회 이후 아이 엄마에게 일어난 변화는 무엇인가?’의 두 가지 물음이 가장 핵심적이라 판단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탐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영화는 원작과 달리 애도를 요구하는 상실을 이중적으로 배치하여 첫 번째 상실이 아이의 상실에 대한 애도작업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서사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어 아이엄마가 교도소에 면회를 가기로 결심한 것은 신앙과 복수라는 모순된 감정 속에 위치에 처한 신앙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자구책이자 피해자인 자신도 가해자일 수 있다는 점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유괴범이 회개하고 용서받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 이후 신앙의 기초인 [아이엄마-신-범인]의 의식 구도가 [아이엄마-신]의 대결구도로 변화되는데 이는 아이 엄마가 신앙의 자기기만성을 깨닫고 ‘용서하라’라는 초자아적 명령과 만난 데에서 기인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위의 논의를 토대로 영화가 원작과 다른 결말을 취한 이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영화는 소설과 달리 [아이엄마-신-범인]이란 구도를 [아이엄마-신-범인], [아이엄마-신-범인의 딸]로 이중화하여 [피해자-가해자]의 견고한 틀이 균열을 일으킬 수도 있음을 암시하는 장면을 삽입한다. 그리고 초자아의 무조건적 명령이 신애의 삶의 각 국면에 미친 영향을 알 수 있게 하는 장면과 신애의 억압된 욕망이 분출하는 장면을 반종교적 반항행위의 중간에 배치한다. 이런 서사 전략은 인간이 상황에 따라 피해자에서 가해자로 바뀔 수 있는 모순된 존재이고, 무조건적 명령을 맹목적으로 따를 수도, 그것의 영향력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도 없는 존재임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영화와 원작 소설의 차이가 용서ㆍ구원ㆍ인간에 대한 해석의 상이함에서 기인한 것임을 말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the novel ‘Worm Story’ with the movie ‘Secret Sunshine’. This study trys to answer two questions which are found in novel : (1) Why do June’s mother decide to go to the jail to see murderer of his sun?, (2) What is the change in mother’s mind after meeting murderer. If we find the answer this question, we can understand why movie director create new character and why movie takes different ends from original novel. What to do first is distinguish same parts and different parts between novel and movie. Next, we find the vague parts demanding the works of interpretation. The vague parts in original work is above two question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work of answering these two questions. The original work has one mourning event, but the movie has two mourning events. The first mourning event affects the second mourning event : the death of son. The reason why dead son’s mother decides to go to jail has two purpose : the method to maintain her belief in crisis, the fact that she could be an assaulter. After her realizing that the murderer was forgived by God, the construction of reconciliation like < mother-God-murderer > becomes the construction of struggle like < mother-God > because she encounter the voice of super-ego demanding unconditional forgiveness. What is the reason movie takes different end? The answer is director’s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forgiveness, salvation. Men is contradictory existence : He/She who is innocent could be murderer, and can’t escape from God’s order. Movie’s different ending shows that different interpretation about forgiveness, salvation, and human beings is the cause of different ending.

      • KCI등재

        이청준 소설의 알레고리적 욕망 -『당신들의 천국』을 중심으로-

        임환모 ( Lim Hwan-mo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3 No.-

        이 글은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을 중심으로 서술자를 통해 간접화된 작가와 등장인물들과 독자의 욕망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의미의 총체화가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가를 브룩스의 ‘플롯’ 개념과 벤야민의 ‘알레고리’ 개념으로 해석하여 알레고리적 욕망이 추구한 구원의 방법과 그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소설은 첫째, 통치자의 욕망에서 출발해서 점차 인간다운 삶의 질서를 발견하고 이타적 삶을 지향하는 자유인 조백헌의 욕망,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를 초월한 이상적 자유주의자 이상욱의 욕망, 그리고 자족적이고 자유로운 삶의 공동체를 열망하는 현실주의자 황희백 장로의 욕망이 대위법적 위상학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 주인물 조백헌은 나병과 병원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지배자에서 소록도 재건을 위해 강력한 통치자의 모습으로 변모하고, 결국에는 실패하고 섬을 떠났다가 이타적 사랑을 실천하는 자유인인 모습으로 되돌아오는 욕망의 탈주를 감행한다. 작가는 조백헌이라는 ‘선량한 파시스트’를 창조함으로써 1970년대 유신 독재의 실상을 섬뜩하게 반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박정희가 5·16 이후 기술의 근대성을 성취했음에도 삼선개헌과 유신체제의 영구 집권을 추구하다가 주정수와 같은 동궤의 과정을 밟아가는 비극의 역사를 예언적으로 알레고리화하고 있다. 셋째, 이상욱과 황희백의 욕망이 조백헌의 욕망과 상호 대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보적이다. 이 세 인물들은 각자가 자신의 처지와 위치에서 바람직한 공동체의 운명을 욕망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청준은 ‘자유의 질서’라는 작가적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서 서사적 동력기인 미장아빔으로 실패와 좌절, 떠남과 되돌아옴의 회귀적 구조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조백헌이 지배와 해방이라는 모순을 껴안으면서 그 모순을 넘어서려는 자유인의 욕망은 이 작품 이후 작가가 추구하는 핵심 주제가 되었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totalization of meaning is possible while the desire of the reader and the writer and characters interacted through the narrator, focusing on Lee Cheong-jun's Your Heave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method of salvation pursued by allegorical desire and its possibilities are explored by interpreting Brooks' concept of 'plot' and Benjamin's concept of 'allegory'. The figurative meaning of this work is first, the desire of a freedom fo Jo Baek-heon, that starts from the ruler's desire and gradually discovers a human-like life order and pursues an altruistic life, and the idealistic libertarian Lee Sang-wook's desire that transcends the relationship between domination and subjection, and the desire of presbyter Hwang Hee-baek, a realist who aspires to a community of self-sufficient and free life, forms a counterpoint topology. Second, the main character, Jo Baek-heon, transforms from a ruler who rationally manages leprosy and hospitals to a powerful politician for the reconstruction of Sorok Island, and eventually fails and leaves the island, and returns to the form of a free man who practices altruistic love. make an escape By creating a 'good fascist' called Jo Baek-heon, the artist not only echoes the reality of the Yushin dictatorship in the 1970s, but also pursues the three-term constitutional reform and permanent rule of the Yushin system, even though Park Chung-hee achieved technological modernity after May 16. It prophetically allegorizes the tragic history that follows the same process. Third, the desires of Lee Sang-wook and Hwang Hee-baek are complementary rather than opposite to desire of Jo Baek-heon. Each of these three characters desires the fate of a desirable community in their own situation and position. Finally, Lee cheong-june repeatedly uses the recursive structure of failure and frustration, leaving and returning as a narrative motive, mise-en-abyme, to realize the artist's desire for 'free order'. As Jo Baek-heon embraces the contradictions of domination and liberation, the desire of free peopl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has become a core theme pursued by Lee, cheong-jun after this work.

      • KCI등재

        頻婆娑羅와 阿闍世에 관한 僧團認識의 딜레마 고찰

        염중섭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8 No.-

        頻婆娑羅는 붓다의 성도 이전부터 붓다와 깊은 친연관계를 맺고 있었던 인물인 동시에, 붓다의 成道 이후에 불교교단의 가장 큰 후원자로 등장하고 있는 국왕이다. 그러나 빔비사라는 붓다에 대한 깊은 신심에도 불구하고, 태자인 阿闍世의 政變으로 인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게 된다. 그런데 빔비사라 사후 왕권이 안정되자, 아사세는 耆婆의 권유로 붓다에게 귀의하게 된다. 그리고 붓다께 귀의한 뒤로는 불교교단의 최대 후원자로써 자리매김을 하기에까지 이른다. 이렇게 되어 승단인식에는 빔비사라와 아사세의 양자를 공히 攝受해야만 하는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그런데 빔비사라와 아사세 사이에는 殺父라는 逆罪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두 사람을 모두다 종교적으로 구제한다는 것은 매우 복잡한 완충논리를 확보해야만 하는 측면이 존재하게 된다. 즉, 역죄로 분기되어 있는 두 사람의 동시구원이라는 문제 속에서 승단인식은 심각한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서 승단은 먼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방어논리를 전개하게 된다. 첫째, 아사세는 빔비사라를 석방하려고 했으나, 그러한 과정에서 빔비사라가 죽게 된 것이므로 죽이려는 목적성은 없었다는 것. 둘째, 아사세는 提婆達多에 의해 현혹된 상태에서 판단 오류를 범한 것이므로 역죄는 제바달다에게 부과되어야 한다는 것. 그러나 이와 같은 방어논리는 합리적인 설득에 있어서 타당성이 부족하다는 자체적인 한계를 가지게 된다. 그로 인하여 문제는 빔비사라와 아사세 간의 宿業과 관련된 측면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타진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해결 방향의 선회는 후대의 승단인식을 통해서 보다 구체화되면서 정교한 논리로 발전하기에 이른다. 또한 이를 통해서 빔비사라와 아사세의 동시구원이라는 難題와 빔비사라의 비극적인 최후가 이들 양자간의 定業과 관련된 것으로 제한되게 됨으로 인하여 승단인식은 훨씬 더 유연하고 자유로운 측면을 확보하게 된다. Bimbisāra is the person who had close relation with Buddha even before his attainment of Great Wisdom. At the same time, the king became the most ardent supporter of the Buddhist sect after Buddha's attainment of Great Wisdom. But, in spite of his deep faith in Buddha, he met the tragic fate because of the coup of Crown Prince Ajātaśatru. When the royal authority was stabilized after the death of Bimbisāra, Ajātaśatru was converted to Buddhism through the Jīva's persuasion. And, after the conversion to Buddhism, he became the greatest supporter of the Buddhist sect. Due to this, there arise a problem in the recognition of Buddhist order that both of Bimbisāra and Ajātaśatru have to be accepted reverently. But, between Bimbisāra and Ajātaśatru, there exists a treason of patricide. Therefore, to allow the religious salvation to both of th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very complicated buffering logic. In the simultaneous salvation of two antagonistic persons due to the treason, the recognition of Buddhist order comes to get into a dilemma inevitably. To overcome this dilemma, the Buddhist order first developed the following two defensive logics: First, Ajātaśatru tried to set free Bimbisāra, and Bimbisāra died in the process. Therefore, Ajātaśatru had no intention to kill his father. Second, as Ajātaśatru made a mistake of his judgment in the state confused by Devadatta, the treason must be imposed on Devadatta. But, these defensive logics had the limit in them that they lacked the feasibility for the rational persuasion. Because of it, people tried to find a new solution for the problem in the aspect of Karma in former life between Bimbisāra and Ajātaśatru. This change of problem solving direction became more concrete through the later recognition of Buddhist Order, and was developed to the elaborated logic. In this process, the hard problem of Bimbisāra and Ajātaśatru's simultaneous salvation came to be limited to the settled Karma between two persons, and the recognition of Buddhist Order came to acquire more flexible and free ground.

      • KCI등재

        마르틴 부처(Martin Bucer)의 구원론에 관한 연구

        최윤배(Yoon-Bae Choi)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2 신학논단 Vol.67 No.-

        This paper investigates of Martin Bucer’s soteriology with sepcial reference to his doctrines of predestination, vocation, and glorification. By Martin Bucer(1491-1551) the order of salvation(ordo salutis), beginning in predestination and ending in glorification, represents not a chronological sequence, but a logical one, even if predestination clearly precedes the others, as glorification, on our use of the term, follows them.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s one that shapes the whole of Bucer’s theology. Predestination expresses a division men into elect and reprobate, an irrevocable division that rests on God’s free decision. Negatively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denies that man’s works play any part in his salvation; positively it affirms that man’s salvation depends totally on God’s free election. It is especially the text “many are called, but few are chosen”, which leads Martin Bucer to distinguish a general and a particular vocation. The general vocation is that by which all men are called, whether or not they be elect. This call discloses the truth of God. Particular vocation is the vocation by which the elect are called. At the moment the Lord calls, the real work of the Holy Spirit in illuminating, persuading, and kindling takes place. The outward word is ineffective until the Holy Spirit persuades the heart, but it is nevertheless through the word that the Holy Spirit works. His final glorification is God’s declared intention in electing him, which God cannot break without being untrue to Himself. The completion of God’s purpose lies beyond this life. It belongs to the last day. This paper investigates of Martin Bucer’s soteriology with sepcial reference to his doctrines of predestination, vocation, and glorification. By Martin Bucer(1491-1551) the order of salvation(ordo salutis), beginning in predestination and ending in glorification, represents not a chronological sequence, but a logical one, even if predestination clearly precedes the others, as glorification, on our use of the term, follows them.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s one that shapes the whole of Bucer’s theology. Predestination expresses a division men into elect and reprobate, an irrevocable division that rests on God’s free decision. Negatively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denies that man’s works play any part in his salvation; positively it affirms that man’s salvation depends totally on God’s free election. It is especially the text “many are called, but few are chosen”, which leads Martin Bucer to distinguish a general and a particular vocation. The general vocation is that by which all men are called, whether or not they be elect. This call discloses the truth of God. Particular vocation is the vocation by which the elect are called. At the moment the Lord calls, the real work of the Holy Spirit in illuminating, persuading, and kindling takes place. The outward word is ineffective until the Holy Spirit persuades the heart, but it is nevertheless through the word that the Holy Spirit works. His final glorification is God’s declared intention in electing him, which God cannot break without being untrue to Himself. The completion of God’s purpose lies beyond this life. It belongs to the last day.

      • KCI등재후보

        마르틴 부처의 구언론: 치의를 중심으로

        최윤배 ( Yoon Bae Choi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2 조직신학연구 Vol.16 No.-

        This paper investigates of Martin Bucer`s soteriology centred on justification. By Martin Bucer the order of salvation(ordo salutis), beginning in predestination and ending in glorification, represents not a chronological sequence, but a logical one, even if predestination clearly precedes the others, as glorification, on our use of the term, follows them. Bucer try to do justice to the diverse testimony of Scripture in order to find the word justification used in a variety of senses. Our justification is threefold or threefold. Twofold justification means for Bucer both to impute righteousness and to impart it. A tvofold justification is the distinction he most often makes, It is the justification of ungodly as in Paul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godly as in James. The two are distinguishable, and Bucer does distinguish them, but he never separates them. In the threefold justification the first is that which happens in our election to eternal life by the goodness of God and the merit of Christ. The second is that which we enjoy here in some measure and which is received by faith. It is again God`s free gift, and is effected in us by the Holy Spirit. The third is the full measure of eternal life. To this works make their contribution, but they are themselves the gifts and works of God`s goodness. Faith is related from the start to Christ`s reconciling death, the gift of the Sporit, and the new life of love. Faith is also used in a more general sense, in terms of believing, all the words of Scripture, but this is a derivative use and not primary use. Faith for Bucer is primarily a confident conviction or persuasion. As good tree produces good fruit, and not the other way round, so a good man produces good works. The holy Spirit leads to faith and is given to those who have faith.

      • KCI등재

        외교총장 육징상(陸徵祥)의 베네딕도 수도회 수행과 구국 활동 - 육징상(陸徵祥) 회고록 『回憶與隨想』을 중심으로

        김정현 ( Kim¸ Jeong Hyun ) 중국사학회 2022 中國史硏究 Vol.- No.136

        Lu Zhengxiang (陸徵祥, 1871-1949) is the only person in Chinese history to make a life vow at the Benedictine Abbey Saint-Andrew's in Bruges, Belgium, after serving as foreign minister and prime minister of the Republic of China as a diplomat in the late Qing Dynasty. He is a former prime minister and a priest. During his tenure as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China, he established a system for cultivating diplomatic talent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modernization of Chinese diplomacy. Under the coercion of President Yuan Shikai, Lu signed the Treaty of 21 Treaties with Japan which the people criticized, but his decision to refuse to sign the Treaty of Versailles at the Paris Peace Conference in 1919 restored honor for his mistake in signing the 21 Treaties. The reasoning behind Lu Zhengxiang leaving the office was not just to leave the world; he did other rescue activities in the monastery. He entered the Monastery of St. Andreas, Belgium, on the 5th of July 1927 and performed the asceticism of poverty. Lu’s motivation for choosing the Benedictine Monastery was to realize the revival of the Chinese nation by absorbing the Catholic spirit, the spiritual power of Europe. He helped the Catholic Church in China while paying attention to China's political, social, and ecclesiastical developments at the monastery. During the Sino-Japanese War, he gave a lecture in Belgium to criticize the war of aggression of Japan and the Nazis. He informed China's efforts to resist the war and the situation of the Catholic Church. He was in charge of the < 益世報 Overseas Correspondence >, and carried out rescue activities to promote and help China's anti-Japanese war internationally by mobilizing all his contacts as a diplomat and linking with Catholic organizations. Lu’s rescue activities were a Catholic practice of love and loyalty to the country as a priest. His theory of reforming and supplementing Chinese culture as a part of Catholic religious culture overestimates moral competence. Further, the idea is criticized for its' limitation on national salvation through cultural convergence without a realistic basis. However, his salvation ideology and practice are included in the large flow of rescue activities attempted by Chinese intellectual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nhances China's international status by acting as a bridge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the Vatican, the Chinese Catholic Church, and attempts to converge East and West cultures.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의 비교: 회심과 성화 용어를 중심으로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와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교회사 속에서 개혁신학에 근거한 대표적인 교리교육서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는 종교 개혁의 제 3세대의 작품이며,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청교도운동 가운데 작성된 것이다. 따라서 두 문서 모두 교회 개혁 가운데 작성된 문서들이다. 그래서 작성하였던 목적과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 그래서 두 문서 모두 진정한 구원의 은혜와 그 효과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다. 왜냐하면 두 문서 모두 잘못된 가르침과 그것으로 인한 거짓 경건에 대해개혁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 문서 구원의 은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 88번은 구원의 은혜의 증거로서 회심을 말하였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 35번에서는 구원의 은혜의 실제적 효과인 성화를 말하고 있다. 같은 내용이지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에서는 회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에서는 성화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차이는 종교 개혁운동이 영국으로 넘어가고, 그 당시 영국교회에 알미니안주의 운동이 일어나서 구원의 은혜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그리고 구원의 서정의 형식을 취함으로 인한 것이다. 물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에서도 구원의 서정의 틀이 있지만, 영국 교회의 상황 속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서술함으로 인하여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용어의 차이가 일어난 것이다.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에서는 그리스 도와의 연합의 은덕에 참여하는 것으로 일어나는 성화라고 더욱 구체적으로 서술하여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보다 더욱 분명하여 졌다. 이렇게 16, 17세기의 개혁신학에 있어 중요한 요리문답서는 20세기에 이르러서 오히려 피상적으로 가르쳐졌다. 성화 (회심)의 두 부분 (요소)에 대한 강조가 누락되기도 하였으며, 그리스도와의 연합교리 없이 구원의 서정만강조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구원의 은혜의 증거가 강조될 필요가 있는데, 이렇게 왜곡된 가르침을 바로 잡아야 한다. 그리고 이 시대에 두 요리문답서가 다시 가르쳐져서 구원의 은혜의 진정성이 강조되고 증거되어야 한다. In church history, the Heidelberg Catechism and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have been received as standard Reformed catechisms. The Heidelberg Catechism was composed by Ursinus and Olevianus, third generation of Reformers.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was composed by the Divines of the Westminster Assembly in the puritan movement. Both catechisms were made for enlightening the ignorance while pursuing church reformation in Heidelberg and England. Both catechisms not only taught the way of salvation but also defined true faith. In particular, Heidelberg Catechism`s question 88 deals with the true evidences of repentance. This doctrine of conversion is also explained in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question 35 under sanctification. Moreover, as background of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question 35, questions 30, 31 are explained in light of union with Christ. The differences between how the catechisms approach this issue come from the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in which they were drafted. When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was composed, the England church was defending Reformed theology against Arminianism. Thus, the divinities of the Assembly explained the order of salvation in more detail than the writers of the Heidelberg catechism. However, in the 20th century, the Reformed church could not trace these points in either catechism. They ignored the importance of sanctification and neglected the doctrine of union with Christ. Therefore, the Reformed church today must rediscover the teachings of both catechisms regarding conversion and sanctification.

      • KCI등재

        존 웨슬리의 섬김과 말씀과 성례 간 관계 이해와 그 실천적 함의

        나형석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기독교대한감리회 『새 예배서』는 섬김과 그로 인한 감사 그리고 그런 일을 가능 하게 할 말씀과 성례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음을 막연히 인식하고 있으나 명확히 정 의하고 있지는 않다. 세례와 성찬은 설교와의 관계 혹은 주일모임 전체의 틀과 관련 해서가 아니라 제 자신만의 역사적이며 신학적인 내용에서 개별적으로 다루어지고 있 다. 본 고는 역사적 메도디스트 운동 안에서 은혜의 수단인 말씀과 성례가 개별적으 로 또한 피차 관계 안에서 어떻게 자신들의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그리스도교적 구원 의 본질인 섬김과 감사의 삶의 형성에 관여하는지 존 웨슬리의 예배의 일차 언어인 설교와 주일예문(말씀과 성찬)을 살핌으로써 밝히려 한다. 이 일을 위해 논자는 “I”에 서 구원의 목적이 섬김과 감사에 있다는 사실을 먼저 밝히려 한다. 하나님의 형상으 로의 창조, 타락 그리고 그 형상의 회복으로서의 구원의 내용이 하나님에 대한 섬김 (service)과 감사라는 사실을 웨슬리의 다양한 표현들을 통해 조명할 것이다. “II”에서 는 이런 구원의 목적으로서의 섬김의 회복과 감사가 우리 안에서 어떤 방식으로 가능 해지고 완성되어 가는지를 웨슬리의 구원론적 주제들(은혜의 계약, 율법과 복음, 회개 와 믿음, 그리스도의 의, 칭의와 신생과 성화)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섬김이 회복되는 이런 구원의 순서를 다루는 것은 말씀과 성례의 독립적인 과제와 상호관계를 그 안에서 살펴보기 위함이다. “III”에서는 섬김의 회복을 위해 말씀과 성례가 어떤 고유 한 과제를 가지고 서로 관계하면서 기능하는지를 존 웨슬리가 편집한 예배서 Sunday Service의 주일예문 구조와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살펴볼 것이다. “IV”에서는 밝혀진 말씀과 성례의 관계에 근거해 오늘날 말씀과 성찬 중심의 주일모임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들을 제시할 것이다. Korean Methodist Church’s “SaeYebaesoe,” meaning, New Worship Book, appears to know the fact that some kind of relationship exists among service of God, thanksgiving, word, and, sacrament, but does not define clearly its implications. Even suggesting the Word and Table model of worship service, it remains silent as to the character of relation between preaching and Lord’s Supper. Baptism and Lord’s Supper is explained and experienced in its own historical, theological, and spiritual tongue, not in relation to preaching. The paper concerns to reveal the relation among service, thanksgiving, word and sacrament by analyzing John Wesley’s sermons and worship book called Sunday Service(1780), and, to propose some practical insights to perform the word and sacrament properly. For this, first, it will be revealed that the purpose of salvation is to recover the ability to serve God with thanksgiving. Wesley’s concept of creation, fall, and recovery of image of God will be investigated. Secondly, it will be illuminated John Wesley’s understanding of the order salvation in which the sinner becomes the server of God, lover of God: the covenant of grace, law and gospel, repentance and belief, Christ the righteousness,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Thirdly, within the setting of ordo salutis the individual function and mutual relationship of word and sacrament will be defined. Fourthly, practical applications will be suggested.

      • KCI등재

        1950년대 여성시의 지형과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 1)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를 중심으로

        이경수 한국여성문학학회 2009 여성문학연구 Vol.21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topography of women's poetry in the literary community of the 1950s, examine how those poems tried to overcome the wounds of the Korean War, and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feminine writing attempted in those poems based on the works by Kim Nam-jo and Hong Yun-suk in the 1950s. In literary works whose main theme is war, female figures often represent victims. Such an image of female figures continued in the poetry in the 1980s under the structure of "absent father vs. oppressed mother and sister" or "father as an authoritative figure vs. woman as a victim." In the gender topography of Korea's literary history, the poems by Kim Nam-jo and Hong Yun-suk in the 1950s have significant topographical meanings. Their poems succeeded in depicting female figures as the representation of salvation and tried to heal and overcome the wounds after the Korean War by uncovering positive values such as "the breath of life" and "life." The late modernism poets were overwhelmed by an idea that the Korean society after the war should be regarded as ruins, that everything must be destroyed, and that there should be a new start on a clean slate. Contrary to that tendency, women's poetry in the 1950s led by Kim and Hong demonstrated a will to treat and overcome the wounds of the war with maternal force and a tree's life force. Common to Kim's and Hong's poems, universal imagination also deserves attention. Involving such heavenly bodies as the sun, the earth, the moon, and stars, universal imagination made often appearances in the two poets' works in the 1950s and differed from natural-universal imagination common to traditional lyric poems. In their works, universal imagination makes the current suffering seem like a trivial earthly matter and further helps to cope with the dismal situations after the war dominated by the dark shadow of death by forming relations with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life. Thus universal imagination in the poets' works contains meanings not recognized in the poetic history of the 1950s and deserves reevaluation. While Kim employs a tone of confession and praying, which later settled down as part of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ne writing, in her poems, Hong often uses a tone of determination and order that's rather exceptional. Their feminine writing in the 1950s provides clues to feminine writing later through their tones. Feminine writing in general is deconstructive writing to rebel against "male-father- language," and its buds are found in Kim's and Hong's poems in the 1950s. The tone of confession in their poems requires more detaile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ne writing. In particular, Hong's attitude of ruminating upon the war's meanings through memory deserves definite attention i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etic history of the 1950s in that it adopts an ethical point of view to open a door to the treatment and conquest of the wounds of the war, which was waged in the name of father, and that it allows for intellectual reflections of the meanings of war. 이 논문의 목적은 김남조와 홍윤숙의 1950년대 시를 대상으로 1950년대 문단에서 여성시가 어떤 지형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시가 전쟁의 상흔 을 어떻게 극복하고자 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시에서 시도된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에 대해 논해 보려는 것이다. 전쟁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에서 여성 형상은 희생양의 표상으로 등장하곤 했다. 이러한 여성 형상의 이미지는 이후 ‘부재하는 아버지와 핍박받는 어머니-누나-여동생’, 또는 ‘권력의 표상 으로서의 아버지와 희생양으로서의 여성’의 구도로 1980년대의 시에까지 계 승된다. 이런 한국문학사의 젠더적 지형 속에서 1950년대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가 갖는 지형적 의미는 적지 않다.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는 구원의 표상으로서의 여성 형상을 그려내는 데 성 공했으며, ‘목숨’과 ‘생명’이라는 긍정적인 가치를 발견함으로써 전후의 상처 를 치유하고 극복하고자 한다. 전후의 한국 사회를 폐허로 인식하고 모든 것 을 파괴하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의식이 후반기 모더니즘 시인들 에 의해 팽배해 있었다면, 김남조․홍윤숙을 필두로 한 1950년대의 여성시는 모성의 힘과 나무의 생명력을 토대로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극복하고자 하 는 지향을 보여준다.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우주적 상상력 또한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태양, 지구, 달, 별과 같은 천체가 등장하는 우주적 상상력이 1950년대의 두 시인의 시에서 자주 펼쳐지곤 했는데, 이는 전통 서정시에 일 반적으로 나타나는 자연-우주적 상상력과는 차이가 있다. 우주적 상상력은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서 일차적으로는 고난의 현재를 하찮은 지구상의 일 로 보게 하는 기능을 하고, 더 나아가서는 생명이라는 주제의식과 관련을 맺 으면서 죽음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진 전후 상황을 극복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 나타나는 우주적 상상력의 의미는 1950년대의 시사 속에서 주목되어오지 않은 특징으로 재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남조의 시에서는 이후 여성적 글쓰기의 특징으로 정착되는 고백과 기구 (祈求)의 어조가 주로 나타나고, 홍윤숙의 시에서는 여성시로서는 다소 예외 적으로 의지와 명령의 어조가 자주 발견된다. 어조를 통해 드러나는, 1950년 대 김남조와 홍윤숙의 여성적 글쓰기는, 여성적 글쓰기의 단초로서 눈여겨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여성적 글쓰기는 일반적으로 ‘남성-아버지-언어’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지니는 해체적 글쓰기이지만, 1950년대의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서도 그 단초가 발견된다. 이들의 시가 지니는 고백적 어투에 대해서는 여성적 글쓰기라는 관점에서 좀더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어 보인 다. 특히 홍윤숙의 시에서 기억을 통해 전쟁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하는 태도 는, 아버지의 이름으로 자행된 전쟁이 남긴 상처를 치유하고 극복할 가능성을 열어 주는 윤리적 시선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전쟁의 의미에 대한 지적 성찰 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1950년대 시사 전체의 구도 속에서도 눈여겨보아 야 할 지점이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