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서 마르틴 부처(Martin Bucer)에 대한 연구사

        최윤배 ( Choi Yoon-bae ) 한국조직신학회 2018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1 No.-

        종교개혁500주년을 맞이했지만 마르틴 부처는 다른 종교개혁자들에 비해 국내 · 외적으로 여전히 “잊혀진 종교개혁자”임에 틀림없다. 그는 그의 조국 독일에 있는 자신의 고향 도시인 스트라스부르(Strasbourg; Straßburg)에서 약 25년간(1523.5~1549.8) 종교개혁 운동과 목회사역을 한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자”로서 스트라스부르교회의 감독이 되어,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을 선봉에서 이끈 최고의 지도자였고, “개혁교회의 원조(元祖)”로도 불린다. 그는 스트라스부르에서 주도적인 지도력을 행사했을 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과 다양한 기독교파들과 특히 칼뱅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특히 교회연합과 교회일치(ecumenical)를 위해 큰 노력과 공헌을 하였다. 1999년 3월 30일에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마르틴 부처에 관한 최초의 논문은 최윤배의 “부처와 깔뱅에게서 성령과 그리스도의 삼중직”과 2007년 황대우의 편저 『삶, 나아닌 남을 위하여: 마르틴 부써의 기독교윤리』 이래, 상당수와 저서와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국내 마르틴 부처연구 및 발전을 위해 매우 고무적인 현상은 마르틴 부처 비전문가들도 마르틴 부처에 대한 관심을 갖고 소논문, 서평, 신문기고문 등을 통해 마르틴 부처와 관련된 글을 상당히 쓰고 있다는 사실이다. 가령, 2003년 2월에 허정갑은 “마르틴 부처(1491-1551)와 스트라스 부르크 예전”을 썼고, 2003년 9월에 정장복은 예배 · 예전과 관련된 논문에서 마르틴 부처에 대해 상당 부분을 할애하였다. 2004년에 박경수는 “마르틴 부처와 요한 칼뱅: 교회일치의 옹호가들”이라는 주제로 발표하였고 그리고 최근에 김인주는 목회자로서 「한국기독공보」에 두 차례나 마르틴 부처의 생애와 목회사상을 소개했다. 마르틴 부처의 전문가들과 마르틴 부처의 제1차 자료 번역서의 확보와 마르틴 부처에 대해 관심 있는 신학자들과 목회자들과 평신도들과 교회의 노력과 기도와 후원이 있는 한, 네덜란드에서 1996년부터 그리고 국내에서 1999년부터 연구자에 의해 전문적으로 시작된 한국교회의 마르틴 부처에 대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발전해서 완전히 “잊혀진 종교개혁자 마르틴 부처”가 잘 “알려진 종교개혁자 마르틴 부처”로 거듭나게 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search-history of Martin Bucer((Butzer)(1491-1551) in Korea. Although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was commemorated last year, Martin Bucer could be a “forgotten Reformer” even now, compared to other Reformers. He became the director of the Strasbourg(Straßburg) Church as “Reformer of Strasbourg” who worked for about 25 years(1523-1549) in his home town of Strasbourg in Germany. He was the best leader who led the Reformation in the forefront and was also called the “originator of the Reformed Church.” He played a leading role in Strasbourg. He influenced the whole of Europe and various camps of Reformation, especially John Calvin. The first treatise on Martin Bucer in Korea, Yoon Bae Choi’s “the Holy Spirit and Christ’s tripple office in Bucer and Calvin,” has been published in a Korean journal on March 30, 1999. Since then a number of theses and academic papers have published. The growing interest in Martin Bucer is very encouraging for the study of Reformation theology in Korea. Even the non-professional persons of Martin Bucer have an interest in him and write articles, a short essay, a book review and a newspaper article over Martin Bucer. For example, in 2004, Kyung-Su Park presented the theme, “Martin Bucer and John Calvin: Advocates of Church Unity.” And recently, Kim In Ju introduced the life and ministry of Martin Bucer twice in a weekly magazine. We expect that Martin Bucer as “forgotten Reformer” would surely become a well-known “Reformer” in the future.

      • KCI등재

        개혁신학과 교회일치: 교회의 "하나됨"의 속성을 중심으로

        최윤배 ( Yoon Bae Choi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1 성경과신학 Vol.59 No.-

        500여 년의 전통 속에서 발전된 개혁신학에 공헌한 대표적인 개혁신학자들과 개혁교회의 몇 가지 신앙고백을 근거하여 교회일치의 의미와 실천을 ``하나됨``이라는 교회의 속성을 중심으로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개혁신학에서 교회일치에는 하나님의 은혜와 선물의 차원이 있는 동시에 교회가 반드시 이룩해야 할 소명과 과제와 사명과 임무의 차원도 있다. 교회일치의 과제의 차원을 전적으로 무시하고, 하나님의 은혜의 차원만을 강조할 경우 자칫 교회분열의 현실 자체를 운명론적으로 받아들일 위험성이 있다. 다른 한편 교회일치의 은혜의 차원을 완전히 무시하고, 교회일치의 과제의 차원만 강조할 경우, 교회일치는 자칫 획일주의적 방법이나 인위적인 방법으로 나아갈 수 있는 우를 범할 수가 있다. 우리는 이 두 가지 차원을 공히 붙잡아야 할 것이다. 교회일치를 위한 신학적 근거나 실천적 방법에서 우리가 지적한 몇 가지 입장의 장점과 단점을 깊이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별히 교회일치를 위한 신학적 근거로서 종교개혁신학의 원리를 신중히 고려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종교개혁은 개별교회적 사건(partikularkirchliches)이 아니라, 보편교회적 사건(universalkirchliches Geschehen)이다. 교회일치를 위하여 종교개혁이 희생되어서는 안 된다. 종교개혁은 교회일치에로 계속 진척되어야만 한다. 종교개혁은 교회일치적 사건(okumenisches Ereignis)이다." 참된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가 유일한 구원의 근거로서 말씀과 성례전 안에서 선포되어져 교회의 본래적 표지가 나타나야 할 것이다. 구원의 근거인 그리스도가 교회의 본질적인 구성요소이기에(고전 3:11), 교회는 이 근거와 함께 일어서고 함께 넘어진다. 마찬가지로 교회일치도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일어서고 함께 넘어진다. 유일한 구원의 근거인 예수 그리스도를 거부하는 자는 다른 복음을 믿고, 가르침으로써(갈 1:6 이하; 고후 11:1 이하) 그리스도의 교회로부터 분리된 자이다. 각 교회와 각 교단이 가지고 있는 교리적 차이를 단순히 진리의 상이(相異)한 측면으로 간주하여 교회일치를 추구하는 합산(合算)의 방법이나 각 교회와 각 교단이 가지고 있는 공통 요소들을 붙잡고, 다른 요소들을 빼어버리는 감산(減算)의 방법으로 교회일치가 추구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전자 안에서 진리상대주의를 발견할 수가 있고, 후자 안에서 진리를 위한 일치가 아니라(요 17:20; 계 17:13), 일치를 위한 일치를 발견할 수가 있다. 우리는 일치를 위한 일치만을 추구하는 연합주의도 경계해야 하지만, 어떤 특정한 교회와 교단의 절대적인 우월성만을 주장하는 교파절대주의도 경계해야 한다. 성부, 성자, 성령 삼위일체 하나님의 교회에서 하나님은 이미 하나인 교회를 하나로 계속적으로 유지시키고, 분열된 교회를 하나로 회복시키고 치유하시기 위하여 도구들을 갖추시고, 우리가 그 도구들을 사용할 것을 촉구하신다. 깔뱅은 그의 교회론을 "하나님께서 우리를 그리스도의 공동체(societas)안으로 초대하시고, 그 안에서 우리를 유지시키시기 위해 사용하시는 외적 수단들과 보조수단들, 모든 경건한 자들의 어머니인 참된 교회와 우리는 하나(unitas)를 유지해야 한다."라고 시작하면서, "끝으로 하나님께서 신앙의 거룩한 일치(sanctum fidei consensus)와 올바른 질서(rectum ordinem)를 위해 필요한 것은 어떤 것이라도 빠뜨리지 않으셨다."라고 하나님의 교회의 일치에 대한 약속과 관심과 준비성을 우리에게 소개했다. 교회일치신학자로 잘 알려진 깔뱅은 역시 교회일치신학자로서 하나님의 교회를 세우기 위하여 노력했던 부처의 죽음 이후에 "내가(깔뱅, 필자 주) 부처와 견해의 차이를 가지고 있을 때도(이 차이가 내 스스로 자유롭게 처한 환경으로부터 기인된 것도 있고, 때로는 필요에 의해서 생긴 것도 있다.), 만약 지금 부처가 여전히 살아 있다면, 그는 이 문제에서 어려움을 나와 함께 나눌 마지막 사람이다."라고 회고했다. "보라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고."(시 133:1)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의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엡 4:3) 우리가 하나가 된 것을 "세상으로 알게 하소서!"(요 17:23하) The foundation of unity is the nature of the church itself. Nothing else than one flock and one Shepherd(John 10:16) is conceivable. Barth sounds the right note when he says: "The quest for the unity of the Church must in fact be identical with the quest for Jesus Christ as the concrete Head and Lord of the Church. The blessing of unity cannot be separated from him who blesses, in Him it has its source and reality, through His Word and Spirit it is revealed to us, and only in faith can it become a reality among us." According to Calvin, it is not sufficient for us to comprehend in mind and thought the multitude of the elect, unless we consider the unity of the church as that unto which we are convinced we have been truly engraft. For no hope of future inheritance remains to us unless we have been united with all other members under Christ, our Head. Paul urges the Ephesians to be one body and one Spirit, just as they were called in one hope. If truly convinced that God the common Father of all and Christ the common Head, being united in brotherly love, they cannot but share their benefits with one another. Although in the outward and accidental state of place or time or rites or age the church is diverse, it is yet one with an essential unity: unity of body, unity of head, unity of the Spirit, unity of faith, unity of love, unity of hope. The unity of church is th gift of God. The unity of church is the unity as a gift and a task. The fact of belonging to Christ-in indicative and imperative, in gift and calling- entrusts a great deal to the church, specially the right, even in brokenness, to testify to true, new fellowship. Therefore we must maintain the unity of the Spirit in the bond of peace. There is one body and one Spirit, just as we were called to the one hope that belongs to our call, one Lord, one faith, one baptism, one God and Father of us all, who is above all and through all and in all. God still loves the diversity in unity and the unity in diversity.

      • KCI등재

        마르틴 부처의 종교개혁과 선교

        최윤배(Yoon Bae Choi)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8 선교와 신학 Vol.21 No.-

        우리가 본고에서 의도하는 종교개혁은 로마 가톨릭교회가 이룩한 반종교개혁과 좌경화 종교개혁과 차별화에서 발전한 루터를 시발점으로 하는 츠빙글리, 부처, 깔뱅 등 종교개혁자들에 의해서 주도된 종교개혁 운동이다. 우리가 선택한 현대 선교에 대한 정의는 복음 전도를 강조하는 복음주의적 관점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에큐메니칼 관점을 통합한 균형 잡힌 성경적 선교 개념이다. 종교개혁의 선교 사상과 선교 활동을 중심으로 그 동안 진행되어 온 논쟁을 정리하면서, 우리는 루터는 물론 깔뱅에게 나타난 선교 사상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역설했다. 더구나 개신교 최초의 선교의 요람과 근원으로 간주할 수 있는 부처의 선교 사상과 활동은 다른 종교개혁자들의 선교관을 부정적으로 보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서도 매우 적극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부처의 선교 사상을 옛 계약에서 나타난 하나님 나라 개념을 중심으로 주로 부처의 대표적 성경 주석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부처에게서 구속사적인 큰 틀 안에서 하나님 나라 사상이 강하게 발견되었다. 하나님께서는 범죄하여 타락한 인류를 그대로 내버려 두지 않고, 큰 구원 계획 속에서 하나님 나라의 확장에 대한 청사진을 갖고 계셨고, 청사진대로 실천하고 계신다. 하나님의 은혜 계약 속에서 오직 믿음이라는 방법을 통해서 선택된 자들은 믿음의 아버지로 부름받은 아브라함의 계열에 들어갈 수가 있다. 하나님은 모든 백성을 선택하시기 전에 이스라엘 민족을 먼저 선택하셨다. 이미 구약 시대에서도 이스라엘의 구원에 이방인들이 제한적으로 참여하였지만, 그 폭은 점점 더 넓어져서 모든 민족을 향하게 되었다. 예수 그리스도는 장차 자신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을 통하여 사도들에 의해서 전세계적으로 퍼져 나갈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미리 보셨을지라도, 그 자신은 하나님 아버지께서 정해 주신 경계선 안에서 활동하셨다. 부처는 아브라함의 참 씨이며 구세주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확장될 하나님 나라를 성경 주석을 토대로 끊임없이 선교의 관점에서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is the study of Martin Bucer’s thought on mission centered on the Kingdom of God according to his commentaries. Bucer’s thought on mission could be named the cradle of mission of Protestantism. He should be called a man of mission. Because his thought was always focused on misston. We discuss about Bucer’s thought on mission centered on the Kingdom of God according to his commentaries. His theological, literary and practical-ecclesiastical activities have from the beginning till the end of his life been conditioned by the reality of the Kingship of Christ or the Kingship of God. Bucer(l491-155l) sketches an image of the Kingdom of Christ, that encompasses the centuries. He places it within the broad of the history of salvation, that makes an appeal to the individual, but which also claims the whole of society, the whole church in all its relationships. His vision about the Kingdom of Christ, that encompasses the centuries has remained unchanged. It has deepened but not changed.

      • KCI등재

        직제의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의 위기와 신학적,실천적 대안모색; 한국장로교회를 중심으로

        최윤배 ( Yoon Bae Choi )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4 No.-

        우리는 한국교회 역사상 유례없는 문제와 위기에 직면한 한국교회의 상태를 상기시킴으로써 본고를 시작했다. 총선과 대선이라는 정치적 큰 행사를 앞 둔 한국사회와, 100주년을 앞둔 한국장로교총회를 의식하면서 ``정치``라는 주제를 선택하였다. 교회의 내적인 문제 중에서도 중요한 교회 직제의 문제를 대표적인 두 개의 한국장로교회총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나름대로의 신학적·실천적 원리를 제시해 보았다. 통합측 총회와 합동측 총회를 비교할 경우, 합동측 총회에는 치리회로서 대회가 추가되어 있었고, 목사의 임무가 통합측 보다 더 많이 규정되었다. 가령 목사는 집사직의 직무도 가지고 있었다. 안수 받은 평신도 직분의 임기에 대하여 합동측 총회는 약간의 제한의 구절을 삽입하였다. 두 교단 모두 치리회는 장로로만(설교 장로와 치리장로) 구성된다. 우리는 구체적 실례는 많이 제시하지 못했지만, 개혁교회와 장로교회의 직제의 근거나 기능이나 치리회의 성격이나 운영에 대한 중요한 10 가지 이상의 신학적 원칙과 실천적 혜안을 제시하였다. 직제는 예수 그리스도의 통치권(Christocracy) 하에 있는 직제이며, 교회의 본질(esse ecclesiae)로서의 직제가 아니라, 좋은 교회(bene esse ecclesiae)를 형성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직제이고,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봉사(섬김) 속에 있는 직제이다. 직제에는 만인제사장직의 ``일반 직제``와, ``특별 직제``이 있고, 직제는 본질상 동등성(parity) 속에 있는 직제이며, 기능상 차이성 속에 있는 직제이고, 상호 균형과 상호 조화 속에 있는 직제이며, 구속사적 적응성과 개방성 속에 있는 직제이다. 치리회는 협의회성(collegiality; collegium)과 대표성 속에 있는 치리회가 되어야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esent Crisis of Korean Churches and the Theological and practical Proposal to Improve it in terms of the Office Regulations: Centered on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We focus on two Presbyterian Churches, namely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and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in Korea(GAPCK). Here Elders are of two classes. The teaching and ruling Elder, generally called ``Minister,`` and the ruling Elder, generally ``Elder.`` In GAPCK they shall be male members in full communion. Ministers are offices set apart by ordination for the preaching of the Gospel of Christ, the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and the government of the Church. Ministers installed over one more churches called ``pastors.`` Those appointed by Presbytery to evangelic work are called ``Evangelists.`` Elders are officers elected by the members and set apart by ordination to join with the pastors in the spiritual care and government of the Church. Deacons are officers elected by the members, and set apart by ordination to join with the pastors in the care of the poor and the sick, and the care of finances. In both PCK and GAPCK these shall be male members in full communication. In PCK the Church administers government through Sessions, Presbyteries and the General Assembly. In GAPCK the Church administers government through Sessions, Presbyteries, the Synods and the General Assembly.

      • KCI등재후보

        헬무트 틸리케(Helmut Thielicke)의 교회론적 성령론 연구

        최윤배(Yoon-Bae Choi)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1 신학논단 Vol.64 No.-

        This paper investigates of H. Thielicke’s Pneumatology according to his Evangelical Faith. We might illustrate the confrontation of the two ecclesiologies in many ways. But Helmut Thielicke(1908~1986) mentions two models: docetic model and Ebionite model. He combines two models. The visible assembly and fellowship of people and the Word of God that constitutes the church belong together. This correlation is indissoluble. The essence of the church is grounded in the promise and commitment of the present Christ. The ground of the church is the presence of Christ, or more precisely, the presentation of his Word and work achieved by the Holy Spirit. According to Thielicke the question of the church’s ‘where’ can be answered only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God’s Word and its work through the Sprit. The church builds up itself like a fabric involving two factors, the wrap of the preaching of the Wor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eginning with Christ’s incarnation and extending to the end this aeon, and the woof which bring afresh each day the efficacious gifts of the Spirit in the form of faith, love, hope. The office-bearer can act only as one who serves the Word. He can pray for the Holy Spirit. The Christian life begins, continues, and ends in worship. Liturgy is the supporting of worship and preaching the free leg. The Spirit of God with his testimony is a Spirit of presentation, of disclosure. This paper investigates of H. Thielicke’s Pneumatology according to his Evangelical Faith. We might illustrate the confrontation of the two ecclesiologies in many ways. But Helmut Thielicke(1908~1986) mentions two models: docetic model and Ebionite model. He combines two models. The visible assembly and fellowship of people and the Word of God that constitutes the church belong together. This correlation is indissoluble. The essence of the church is grounded in the promise and commitment of the present Christ. The ground of the church is the presence of Christ, or more precisely, the presentation of his Word and work achieved by the Holy Spirit. According to Thielicke the question of the church’s ‘where’ can be answered only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God’s Word and its work through the Sprit. The church builds up itself like a fabric involving two factors, the wrap of the preaching of the Wor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eginning with Christ’s incarnation and extending to the end this aeon, and the woof which bring afresh each day the efficacious gifts of the Spirit in the form of faith, love, hope. The office-bearer can act only as one who serves the Word. He can pray for the Holy Spirit. The Christian life begins, continues, and ends in worship. Liturgy is the supporting of worship and preaching the free leg. The Spirit of God with his testimony is a Spirit of presentation, of disclosure.

      • KCI등재후보

        김산환의 특별새벽기도신학에 관한 연구

        최윤배 ( Yoon Bae Choi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6 조직신학연구 Vol.24 No.-

        “새벽종치기 소년 - 특별새벽기도의 창시자와 운동가”인 김삼환 목사님께서 칠년을 하루같이, 35년을 하루같이, ‘오직주님’의 보혈이 묻은 옷자락붙잡고, ‘오직 새벽기도’에 목숨을 걸어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 하나님과 세계의 ‘머슴’으로 성공적으로 머슴목회와 은혜목회를 하고 있습니다. 그가 하나님의 은혜의 파도를 한국과 세계방방곡곡에 퍼뜨릴 수 있는 것은 그의 삶과 영혼의 절박함이 배어 있는 새벽기도신학과 새벽기도목회였습니다. 그것은 바로 “새벽기도로 하나님의 거룩성을 체험하여 하나님과 세계를 섬긴다.”입니다. 우리가 살펴본 김삼환 목사님의 새벽기도신학을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첫째, 김삼환 목사님의 기도신학(정의, 필요성, 내용, 방법 등)은 철저하게 칼빈(깔뱅)신학과 개혁신학에 기초해 있습니다. 둘째, 김삼환 목사님의 새벽기도신학은 성경적, 세계교회사적, 한국교회사적, 목회신학적, 신앙체험적 근거를 가집니다. 그가 이룩한 특별새벽기도 운동은 올바른 신앙과 신학에 기초하여 최고(最高)의 신앙적, 목회적, 선교적 열매를 맺고 있습니다. 그는 기도신학과 기도실천 사이의 탁월한 균형과 조화를 실현했습니다. 셋째, 김삼환 목사님은 특별새벽기도의 창시자인 동시에 특별새벽기도 운동가입니다. 그는 세계교회사에 면면히 흘러내려오고, 한국교회에서 정착되었던 새벽기도 전통과, 도사경회(都査經會) 전통을 이어받아 자신이 새롭게 창안한 특별새벽기도 운동을 통해 국내외의 교인들과 목회자들은 물론 신학자들에게까지 지대한 신학적, 목회적, 선교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는 새벽기도운동의 일상화와 대중화 및 국제화와 세계화에 기여했습니다. 명성교회의 특별새벽기도집회는 김삼환 목사님이 만들어낸 최고의 세계적, 국제적 ‘영적 브랜드’(spiritual brand)인 동시에 ‘영적 한류(韓流)’(spiritual Hallyu)입니다. 넷째, 그는 기도신학을 연구하고, 새벽기도실천 운동을 통해, 신학과 교회와 선교의 질적ㆍ양적 성장과 발전에 크게 공헌함으로써, 이 분야에 규범적인 모델이 되어, 앞으로 신학과 목회와 선교가 지향해야할 이정표를 수립해 주었습니다. 다섯째, 김심환 목사님의 새벽기도신학과 실천에서 나타난 새벽기도의 총체적(總體的)ㆍ다차원적(多次元的) 사명(使命)과 새벽기도의 구속사적(救贖史的)ㆍ종말론적(終末論的) 비전(vision)은 하나님 나라 운동을 지향하는 최고의 중심 가치와 최종 목적이 됩니다. 이런 사명과 비전은 기도 없이도 사회와 세계 구조 개혁과 혁신의 절대적 가능성을 주장하는 일부 기독교실천운동가들에게나, 사회와 정치 등의 구조개혁과 변혁에 대한 관심 없이 기도를 통한 개인의 경건과 유익만을 추구하는 일부 개인주의적ㆍ기복주의적(祈福主義的) 기독교 경건과 영성운동가들에게 신앙적 반성과 신학적 성찰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Rev. Kim, Sam-whan, who once was just a bell-ringer of a small church in the countryside but now has become a founder of Special Early Morning Prayer Rally, is successfully ministering Myungsung Presbyterian Church seven years as a day, for the last 35 years. His secret is that he keeps his faith in God by holding on to the train of Jesus’ robe and devoting himself to praying early in the morning with the servanthood for the Lord in his heart. Thanks to his desperate prayer and dedication to the theology and ministry of early morning prayer, he could spread the wave of grace in and out of Korea. He has served God and the people with good understanding and wisdom he got from early morning prayer. First, Rev. Kim’s theology of prayer - its definition, necessity, content, and means - is thoroughly based on the Calvin’s thought and reformed theology.1) Second, Rev. Kim’s theology of early morning prayer has a Biblical, historical, pastoral, and empirical basis. His theology of Special Early Morning Prayer is based on the right faith and theology, bearing the best fruits in various fields. He has embodied an outstanding balance and harmony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of prayer. Third, Rev. Kim is the founder and promoter of Special Early Morning Prayer Rally. Succeeding the Korean Church’s tradition of early morning prayer and Bible reading night watch, he invented the Special Early Morning Prayer Rally and has had great influences on the Christian Church around the world. He has contributed to the wide spread of early morning prayer movement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Now Myungsung Presbyterian Church’s Special Early Morning Prayer Rally is the world class of spiritual brand and the Spiritual hallyu (the Korean Wave) as well. Fourth, Rev. Kim has studied a theology of prayer and greatly contributed to the church growth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through the practice of early morning prayer movement. His achievement has set a signpost, to which all theological studies and ministries should look. Fifth, Rev. Kim, Sam-whan’s wholistic and multidimensional mission and redemptional vision of early morning prayer are a great value and goal to enlarge the Kingdom of God. His vision and mission is expected to give us a deep insight into our faith and give a chance to repent and come back to God for all who says a personal transformation and piety without prayer.

      • KCI등재

        헬무트 틸리케의 성령론 연구: 『개신교 신앙』 제3권에 나타난 교회론을 중심으로

        최윤배 ( Yoon Bae Choi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0 No.-

        우리는 흔치 않는 국내 틸리케 연구가들이 밝힌 틸리케 신학과 윤리와 영성의 성령론적 중심성을 소개하면서 이 글을 시작했다. 우리는 본고에서 틸리케의 성령론을 『개신교 신앙』제3권에 있는 그의 교회론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틸리케에게서 교회는 성령의 현재화의 형태(die Gestalt der Vergegenwartung) 이기 때문에 교회는 성령과 불가분리의 관계 속에 있다. 교회의 본질은 무엇이며, 어디에 교회가 있는가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틸리케는 성령론적 접근을 통해 여기에 대답한다. 그는 교회의 초월적 차원만을 강조하는 가현설적인 교회 모델과, 교회의 인간적 차원만을 강조하는 에비온적 교회 모델을 동시에 비판하고, 이 두 차원을 포괄할 수 있는 통전적 교회 모델을 모색한다. 그리스도의 영을 통하여 교회의 말씀과 성례전안에서의 선포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영의 활동의 열매들이 나타난다. 그리스도의 말씀과 성령이 믿음과 소망과 사랑과 연결되어 역사하는 곳에 교회가 존재한다. 비록 틸리케는 말씀 선포와 성례전 집례와 죄 용서의 기능을 주로 담당하는 말씀 교역(Dienst)과 직분(Amt)을 한 예를 들어 성령과 교회 교역 및 직분의 관계를 설명하지만, 교회 교역과 직분에 대한 그의 성령론적 이해가 분명하게 나타난다. 동일한 목적을 지향하는 모든 직분은 성령의 다양한 은사(Charisma)를 동반해야 하며, 성령을 통해서 사역이 효과적이게 된다. 이 직분은 군림이나 통제가 아니라, ``섬김``(diakonia)으로서의 직분이다. 그러나 틸리케에게서 직분과 은사의 상호관계나 일반 교역과 특별 교역의 상호관계는 결코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보적인 관계 속에 있기 때문에, 양자 중에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상호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틸리케에게서 예배는 기독교적 삶 가운데서 절대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예전은 예배를 지탱하고 있는 다리라면, 설교는 예배의 활동하는 다리로서 설교가 예전보다 보다 정적(靜的)이지만, 예전의 집례와 설교 과정에서 성령을 통해서 나타나는 종말론적 예배가 중요하다. 틸리케는 ``성례``라는 신학적 용어를 두 가지 조건, 즉, 첫째는 성례라는 말을 세례와 성찬으로 환원시켜서는 안 되며, 둘째는 성례가 말씀과의 관계가 분명할 때이다. 비록 틸리케에게 세례와 성찬이 성례이지만, 엄격한 의미에서 성육신 하신 말씀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가 참된 성례이다. 틸리케는 성례에서 말씀의 우위성과 함께 성령의 사역을 강조한다. 왜냐하면 ``성례전적 표징``(Das sakramentale Zeichen)은 ``도구적 말씀-표징``(instrumentalen Wort-Zeichen)이며, 하나님 자신이 그의 영을 통하여 신앙 안에서 현재하시기 때문이다. 종교개혁신학에 기초를 둔 틸리케의 성령론은 복음주의적 노선에서 있으면서도 개혁신학적 특징을 지니고 있는 매우 균형 잡힌 성령론으로 평가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of H. Thielicke`s Pneumatology according to his Evangelical Faith. We might illustrate the confrontation of the two ecclesiologies in many ways. But Helmut Thielicke(1908~1986) mentions two models: docetic model and Ebionite model. He combines two models. The visible assembly and fellowship of people and the Word of God that constitutes the church belong together. This correlation is indissoluble. The essence of the church is grounded in the promise and commitment of the present Christ The ground of the church is the presence of Christ, or more precisely, the presentation of his Word and work achieved by the Holy Spirit. According to Thielicke the question of the church`s ``where`` can be answered only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God`s Word and its work through the Sprit. The church builds up itself like s fabric involving two factors, the wrap of the preaching of the Wor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eginning with Christ`s incarnation and extending to the end this aeon, and the woof which bring afresh each day the efficacious gifts of the Spirit in the form of faith, love, hope. The office-bearer can act only as one who serves the Word. He can pray for the Holy Spirit. The Christian life begins, continues, and ends in worship. Liturgy is the supporting of worship and preaching the free leg. The Spirit of God with his testimony is a Spirit of presentation, of disclosure. Admission to the Lord`s Supper should depend solely on the hungering and thirsting(Matthew 5:6; John 6:35) of those who seek it, for to them the promise is given that by the Spirit the hungry can receive the nearness and fellowship of the Lord.

      • KCI등재
      • KCI등재

        깔뱅의 선교신학과 선교활동

        최윤배 ( Yoon Bae Choi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2 No.-

        깔뱅과 개혁교회에 가해진 선교 부재에 대한 비판이 과연 정당한가에 대한 물음이 본 논문의 주된 연구 동기이다. 연구결과 우리는 깔뱅의 선교 신학과 선교 활동이 매우 적극적이었음을 발견했다. 로마 가톨릭교회신학자 벨라르민과 슈미들린의 종교개혁의 선교 부재에 대한 비판이나 특히 벨라르민의 주장에 동의하여 종교개혁의 선교 부재를 정당화하고, 홍보하는 데 큰 영향력을 미친 루터교 신학자 바르넥의 주장이나 바르넥의 견해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 일부 선교신학자들의 견해가 정당하지 않았다. 종교개혁자들의 선교 부재나 소극성에 대한 선교 상황적 이유와 선교 신학적 이유들과 관련하여, 일부 선교 상황적 이유들은 설득력을 갖고 있었다. 깔뱅의 선교 사상과 관련하여 깔뱅은 서신서, 설교, 주석, 『기독교 강요』등에서 기독교 강요 에서 그리스도론이나 구원론이나 교회론이나 국가론을 쓰듯이 선교론이나 선교학을 체계적으로 전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다양한 글들 속에서 그 당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선교의 잘못된 방법이나 상황 및 올바른 선교의 필요성에 대한 깔뱅의 인식이 충분히 발견된다. 비록 벨라르민은 해외선교만을 선교로 정의하고, 해외선교로서의 선교를 교회 표지에 포함시켜 종교개혁자들을 이단으로 간주했을지라도, 깔뱅이나 오늘날의 선교 이해는 매우 포괄적이다. 다시 말하면 성경에 일치하는 복음진리에 근거하여 지구상의 모든 곳과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의 나라를 구현시키는 총체적인 구원 활동이 바로 깔뱅에게는 선교였다. 특히 깔뱅의 직제론이나 예정론이나 종말론 등이 그의 선교신학의 부재를 낳았다는 주장은 깔뱅의 글을 통해서 그 설득력을 잃었다. 그러므로 깔뱅은 제네바에서 제네바 콘시스토리움과 제네바 아카데미와 제네바 종합구빈원을 중요한 선교 기관과 도구로 사용하였다. 콘시스토리움을 통하여 종교와 신앙과 도덕을 향상시키고, 제네바 아카데미를 통하여 교육선교를 지향하고, 종합구빈원을 통하여 위생과 복지선교를 가능케 하였다. 깔뱅과 제네바는 선교 영향력을 유럽 전역과 해외 브라질까지 향하게 했다. 특히 프랑스 선교를 위해 목회자를 통한 복음전파와 교회설립, 프랑스 기금을 통한 문서선교와 복지선교를 전개했다. 특별히 유럽 각지에서 온 지도자들은 제네바교회와 제네바 아카데미에서 교육과 훈련을 받아 조국이나 다른 곳에 나아가 선교사역을 성공적으로 감당했다. 개신교 최초이며, 개혁교회 최초의 브라질 해외 선교는 특히 빌가뇽의 배반으로 약 8개월이라는 기간의 선교로 막을 내렸지만, 깔뱅과 제네바교회의 브라질 선교는 선교사적(宣敎史的)으로 매우 중요하다. 제네바는 그 당시 프랑스 선교로 인해 교회적 부담이 컸고, 지리해상 조건도 만만치 않는 환경가운데서도 빌가뇽이 제네바의 브라질 선교단을 요청했을 때, 브라질 해외선교를 하나님의 뜻으로 알고, 감사 기도 드리면서 즉각적으로 행동으로 옮겼다. 깔뱅과 제네바교회의 선교 사상과 활동은 그 당시는 물론 오늘날도 세계에 흩어져 있는 개혁교회와 장로교회는 물론 심지어 다른 교회들에게까지도 영향력을 미쳤고, 미치고 있다. It is wrong that the Protestant Reformers were not conscious of the missionary ideas and displayed no missionary activity. We focus on Calvin`s mission theology and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Genevan Reformation. Calvin was not lacking in concern for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to people outside the evangelical faith and church. Calvin`s chief concern was the spread of the reformed faith in Christendom, conceived as the mission of the Word of God. The first and most important mission field of Calvin was the city of Geneva. Calvin tried to establish the theocracy in the city and change into the most prefect school of Christ through both Consistory and General Hospital. With the establishment of Geneva Academy in 1559, Calvin was to become an evangelist of Europe and Geneva a missionary center. He sent the missionaries to Brazil.

      • KCI등재

        베르까우어의 인간론

        최윤배(Yoon Bae Choi) 한국기독교학회 2001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21 No.-

        This thesis treats of Gerrit Comelis Berkouwer`s doctrine of man with regard to `imago Dei.` According to Berkouwer, the Bible rejects the dichotomy of soul and body or the trichotomy of spirit, soul and body. The Bible regards man as the whole man. The characteristic of the biblical view lies in this, that man appears as related to God( `the coram Deo,` `the man of God ) in all his creaturely relationships. He is of the opinion that man never appears as an isolated self- contained entity, but always and exclusively in that relationship which so decisively defines man in the full actuality of his existence. The broader sense of the image is used to stress the idea that man, despite his fall into sin and corruption, was not bestialized or demonized, but remained man. The narrow sense of the image is used to stress the idea that man lost. his communion with God-his religious knowledge, his righteousness, his holiness, his conformity(conformitas) to God`s will. Sinful man is not referred to in Scripture in terms of his ontological qualities, but in terms of his loss and his guilty. He can be placed in the perspective of the promise of salvation. The `humanitas (common grace, general grace) refers to some remnants of goodness which survive in fallen man. But this does not make man more innocent before God. On the contrary, it witnesses all the more to his guilt, since man, with all his endowments and with the surrounding light of nature, still clutches a totally apostate way of life, which stamps and defines fallen man in the total act of his whole life. The concept of `remnants` does not connote a quantitative reduction of the power of sin, or an only partial corruption, which would correspond with a partial salvation, but rather an activity in and with these endowments. It connotes darkness against light. Scripture proclaims the kerygma of the salvation of man through that other humanitas, that unambiguous and unspotted humanitas of God, which comes to us in Jesus Christ. The image of God is something which concerns the whole man, his place in this world and his future, his likeness in his being a child of a Father, of this Father in heav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