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신학과 설교를 통한 한국장로교회의 정체성 회복

        이승진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5 No.-

        Contemporary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urgently need to recover its theological identity according to the Reformed theology which emphasizes absolute sovereignty of God, the divine authority of the Scriptures as the living Word of God, and the continual church reformation in the ongoing history. 21 century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have alleged to stick to the reformed theology. However, their preaching and church education ministry imply that some of these churches seem to follow the Arminianism or even, Pentecostalism.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nd seminary, Reformed theology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expository preaching, redemptive historical preaching, biblical theological preaching, all of which emphasize the exact exegesis of the biblical text and the organic and progressive revelation of God in the redemptive history as unfolding in the whole Scriptures. Contemporary redemptive historical preaching emphasizes the objective redemptive history as revealed in the whole Scriptures, and unconsciously neglects the subjective redemptive history which will be formed by application of the Word of God in the specific community of faith. 21 century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preaching ministry also have been struggling with individualism and market oriented commercialism which are swamped by secularization of religion in the Korean churches. In order to overcome secularization, individualism, emotionalism, and blessing oriented faith, Korean presbyterian preachers need to focus the more community oriented message, and to interpret the communal identity narrative of the church in terms of the objective redemptive history in the Bible. 21세기 한국장로교회는 개혁신학에 기초한 교회의 신학적인 정체성 회복이 시급한 상황이다. 개혁신학은 하나님의 절대주권과 하나님의 말씀의 계시로서의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며 역사 속에서 성경에 근거한 끊임없는 자기 개혁을 강조한다. 21세기 한국장로교회는 비록 겉으로는 장로교회 전통을 따른다고 주장하지만 그 내부의 신학사상은 개혁신학과 거리가 멀어 보인다. 한국에 소개된 개혁신학은 설교의 영역에서는 강해설교와 구속사적인 설교, 그리고 성경신학적인 설교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 이유는 개혁신학은 설교에서의 하나님의 말씀의 선포를 강조하며, 하나님의 말씀의 선포를 위한 선결조건으로서 성경 본문에 대한 정확한 해석과 성경 전체를 관통하는 성경신학적인 관점이나 구속사적인 관점에 근거한 성경 본문 해석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오늘날의 구속사 설교는 성경 본문에 담긴 객관적인 구속 역사만을 강조하는 반면에, 그 객관적인 구속 역사가 특정한 신앙 공동체로 모인 회중 가운데에서 구체적으로 적용됨으로써 드러나는 주관적인 구속 역사는 등한시하는 경향이 있다. 또 21세기 한국장로교회는 북미의 교회와 유사하게 종교의 세속화로 말미암아, 개인주의와 상업주의적인 시장 논리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설교가 내용이나 형식에만 치중하면서 본래의 중요한 목적 가운데 하나인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구현하는 신앙 공동체 세우기에는 등한시한다. 종교의 세속화와 개인주의, 그리고 상업주의로 인하여 설교의 영향력이 신자 개인 내면의 세계에 국한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설교자들은 좀 더 공동체 지향적인 설교를 전달해야 하며, 설교를 통해서 유기적인 신앙 공동체가 형성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 장로교회와 장로직: 장로임기제 도입에 대한 개혁신학적 탐구

        권문상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5 No.-

        This paper analyzes the organization of eldership i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nd asks if it coincides with the ecclesiastical, Reformed, and biblical substantiation. Especially it concerns how it or Presbyterian consistory in Korea corresponds to the Reformed or the Genevan Consistory under the leadership of John Calvin(1509-1564). Through these studies, can we recognize that the organization of Korean Presbytery is far from the ethos of Genevan church in the ministry of Calvin. Reading the organization of eldership in view of Reformed tradition, we demands the legalization of the term of an elder. We do no justify ourself the life tenure of an elder in view of that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U.S.A., which has had an effect o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lready execute the term office of an elder. It is true that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Scotland implement the system of the life tenure of an elder. However, we need to consider that it was made in practical purpose to secure the autocracy of the church from the intervention of the state. In this sense, it is not the model for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Rather, the life tenure of an elder in Korean churches is the product of Korean culture, namely the copycat of the elder as a ‘senior’, a respected person only because of the ages, living in the neighborhood. Recognizing that the life tenure of elder in Korean Presbyteian churches originates from the Korean Confucian social custom, we have no justification to reject the revision from the life tenure to the organization of the term of an elder. The term system of an elder should be, of course, brought alongside of the institutional check of the ministers, as in Geneva. 이 논문은 한국 장로교의 장로직제의 실체와 그것의 교회사적, 개혁신학적 여부를 타진해 본다. 특히 한국 장로교의 장로직제 나아가 장로교 치리회가 개혁신학적 혹은 칼빈(John Calvin, 1509~1564)의 제네바 교회 치리회(Consistory)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분석한다. 이상의 탐구를 통해 우리는 한국의 장로교 정치 구조가 칼빈이 시도한 치리회 제도의 정신과 얼마나 부합하지 않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장로회 제도에 대한 이러한 개혁신학적 탐구를 통해 이 글은 장로 임기제의 법제화를 요구할 것이다. 한국 장로교가 영향 받았다는 미국의 장로교에서는 이미 대부분 장로 임기제가 실시되고 있는 사실에서 우리가 계속 종신제를 유지시키는 것은 떳떳하지 못하다 할 것이다. 물론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에서 장로 종신직이 시행되고는 있지만 이는 국가의 간섭으로부터 교회의 자치권을 확보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에 따라 도입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가 모범을 삼기에는 논리적 근거가 희박하다. 오히려 한국의 장로 종신직은 다분히 한국 문화의 산물인 것으로 동네 ‘어른’ 장로의 복사판인 것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한국의 유교적 문화적 개념에 따라 한국의 장로 종신직이 유래하였다고 볼 때, 임기제로 고치는 것은 거부할 명분이 없다고 하겠다. 특히 개혁신학의 유산을 물려받은 한국 장로교로서는 칼빈의 제네바 교회 치리회 구성 목적 및 그 운영과도 일치하지 않는다. 칼빈이 제네바 교회 치리회 제도를 만든 목적 중 하나는 목사든 장로든 1인 혹은 1개 조직의 권력 집중화를 막는 것이었고,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위해 제네바 교회 치리회 의원 중 장로 임기를 (연임이 가능한) 1년으로 정한 것이었다. 치리회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칼빈이 장로 임기제를 실시한 것과 같이, 한국 장로교 역시 장로 임기제를 실시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물론 이 글의 논지를 지지하는 전제 조건으로 칼빈이 제안한 바와 같은 목사의 자격과 그 지위에 대한 철저한 제도적 검증, 관리, 감독 장치 설치를 제안한다. 장로의 임기제 도입은 이와 같은 목사에 대한 제도적 견제 장치의 개설을 전제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신학과 인문학의 창조적 만남을 위한 교회사적 소고

        배덕만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여러 측면에서, 한국교회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목회자들의 도덕적 문제, 성장에 대한 교회의 집착, 그리고 타종교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부정적 태도 등이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위기극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전개되고 있다. 일부 목회자들은 부흥운동을 통해 이렇게 추락하는 영적 상황을 변화시키려 하고 있다. 어떤 개혁자들은 각종 스캔들에 연루된 교회와 목회자들을 향해 비판적 목소리를 계속 높이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안팎의 수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는 교회를 위한, 신학자들의 개혁적 목소리나 행동은 상대적으로 드문 것이 현실이다. 개인적으로, 이런 곤경에 처한 한국교회를 위해 신학자들이 기여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인문학과 좀 더 진지한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신학자체가 인문학의 영향 하에 형성되었고, 현재에도 인문학과의 대화 및 협력 없이 신학적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특히, 한국에는, 신학자들이 인문학에 더 많은 관심을 쏟을 수밖에 없도록 만드는 여러 요인들이 존재하며, 한국에서 “신학하기” 위해선 그런 요인들을 깊이 숙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한국교회는 미국선교사들에 의해 개척되었고, 지금도 미국교회와 신학적·신앙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한국교회의 이념적 정체성은 이 나라의 지리적· 이념적 분열의 막대한 영향 하에 형성되어 왔다. 게다가, 한국교회는 자본주의와 관련된 물질주의, 종교다원주의, 그리고 신학적 차이에 기인한 내적 분열 등의 난제들과 씨름하는 중이다. 이 문제들은 모두 한국에서 매우 중요한 신학적 논제들이다. 그러므로 이런 문제들을 용감하고 책임 있게 다루지 않는다면, 신학자들과 교회가 한국사회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심지어 바람직하지도 않다. 그런 목적을 위해, 신학자들은 철학, 문학,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같은 인문(사회)학으로부터 많은 소중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오늘날, 점점 더 많은 학자들이 신학적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런 필요를 깊이 깨닫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인문학자들과의 대화와 협력에 좀 더 적극적으로, 그리고 좀 더 빈번하게 참여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신학자들은 인문학과 일종의 간학문적 작업을 시도할 때, 세심히 주의할 필요도 있다. 신학자들에게는 인문학으로부터 긍정적인 지적 통찰을 얻는 것뿐만 아니라, 신학자와 신자로서 자신의 신학적·영적 정체성을 지키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양자 간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Korean churches are faced with serious crises in many aspects. Critiques against pastors’ moral problems, churches’ preoccupation with numerical and financial growth, and Christians’ negative attitudes toward other religions are getting increased. In this situation, a variety of efforts to overcome those crises are being carried out. Some pastors try to change the declining spiritual condition by way of revival movement. Some reformers are raising their voices against the churches and theirs pastors associated with a series of scandals. However, in this context, it is relatively rare to hear theologians’ voices or actions for the reorientation or reconstruction of churches faced with a lot of challenges from within and without. In the midst of this religious turmoil, one of the ways for theologians to contribute to Korean churches in need is to have a more responsible dialogue with humanities. Basically, theology itself has been shaped under the influence of humanities, and it is even now impossible to do theological work without dialogue and cooperation with humanities. In particular, “doing theology” in Korea is asked to consider many factors, which also enforce theologians to pay more attention to humanities. Korean churches were planted by American missionaries and are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American churches and theologies. The ideological identity of Korean churches has been formed under the heavy influence of the geographical and ideological division of this country. In addition, Korean churches are struggling with a series of difficult matters such as materialism related to capitalism, religious pluralism, and inner division due to the theological differences. All of these matters must be critical theological issues in Korea. Therefore, without dealing with those issues bravely and responsibly, it is neither possible nor desirable for theologians and churches to make any positive impact on Korean society. And for that purpose, theologians can get many significant academic insights from humanities including philosophy, literature, history, politics, economics, sociology, and the like. These days, more and more scholars are realizing such a need in the course of their theological work. But, they need to participate in the dialogue and cooperation with humanists more actively and frequently. Such a close contact will make a positive impact on even humanities, let alone theology. At the same time, theologians need to be cautious, when they try to undertake a kind of interdisciplinary work with humanities. For theologians, what matters is how to make a balance between to get positive intellectual insight from humanities and to keep their theological and spiritual identities as theologians and believers, not secular humanists.

      • KCI등재

        재건설과 개혁: 『재세례파 논박』에 나타난 칼빈의 종교개혁 이해

        김요섭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6 No.-

        Calvin and other magistrate reformers pursued the religious reformation against errors and corruptions of Roman Catholicism. However, this reformation was different from the radical ideas. In spite of some similarities, Calvin strongly refuted those radical views because the reformation was not a restitution of reconstructing the whole Christian religion after demolishing the every existing doctrinal and ecclesiastical structure. For him, the proper reformation was the recovery of the substance and foundation of the true Christian religion according to the consistent and manifest truth in Scripture.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Calvin’s idea of the reformation by examining his criticism of the anabaptists’ radical ideas. Calvin’s “Treatise against the Anabaptists” published in 1544 and the other related works will be analyzed for this examination. After the review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alvin’s works against the anabaptists, three themes will be investigated to compared Calvin’s reformation to the radical restitution: Bible, Church, and secular government. This investigation tries to manifest Calvin’s consistent understanding of foundation, methods, and sphere of the reformation. This study hope to clarify Calvin’s idea of the religious reformation and find its significance for contemporary Christianity.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e reformers’ arguments against the anabaptist radical ideas as well as the Roman Catholics in order to exactly commemorate and correctly apply the legacy of the sixteenth-century reformation. Against both the Roman Catholic idolatry and the radical delusion, Calvin and the reformers emphasized the clear and distinct truth of God’s sovereign grace of salvation in Scripture. The proper way of the reformation, according to Calvin, is the constant endeavor of reflection and restoration to recover the true religion of Christian Church and glorify God’s name alone. 칼빈을 포함한 주요 개혁자들은 당시 로마 가톨릭의 여러 가지 오류에 맞서 성경의 진리에 따라 기독교 종교의 회복하는 종교개혁을 추구했다. 그러나 이 종교개혁은 기존의 모든 교리와 체계를 거부한 급진적 입장과도 달랐다. 여러 유사점들에도 불구하고 칼빈이 급진주의를 더 강하게 비판한 것은 종교개혁은 기존의 모든 것을 부인한 뒤 이루는 “재건설”이 아니라 성경이 가르치는 명확한 진리를 재확인함으로써 추구하는 본질의 “회복”이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재세례파”로 통칭한 급진주의의 주장들에 대한 칼빈의 반박을 분석함으로써 그가 제시하려 했던 종교개혁의 개념이 무엇이었는지 재구성하려 한다. 이를 위해 칼빈의 여러 저술들 가운데 1544년 출판된 『재세례파 논박』을 중심으로 관련 저술들을 분석할 것이다. 본론에서는 이 저술의 등장하기까지 재세례파에 대한 칼빈의 이해와 상황적 배경을 다룬 후 이어서 성경, 교회, 그리고 세속사회에 대한 재세례파의 급진적 주장을 그가 어떻게 비판했는지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해 칼빈이 일관되게 제시한 “종교개혁”의 토대와 방법 그리고 범위를 드러낼 것이다. 결론에서는 본론의 분석을 통해 확인한 칼빈의 종교개혁 이해를 정리하고 그 의의를 제시할 것이다. 16세기 종교개혁을 정확하게 기념하여 오늘날 한국 교회에 바르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칼빈을 비롯한 종교개혁자들이 왜 로마 가톨릭의 적폐를 비판하면서 동시에 재세례파와 급진세력의 주장을 거부했는지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들은 로마 가톨릭과 급진 세력 양편을 모두 비판하면서 이에 맞서 성경이 가르치는 명확한 구원 진리를 개혁의 기초와 목적으로 강조했다. 종교개혁은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를 드러냄으로써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리려는 위한 반성과 회복의 노력이었다.

      • KCI등재후보

        바울의 법정적인 칭의개념 - 종교개혁적 관점과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충원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7 No.-

        This essay is to clarify the juridical meaning of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fundamental truth of Christian faith by the theologians of Reformation tradition. Reformation theologians, whose representatives can be considered Luther and Calvin, understood justification in terms of the juristic category. According to their interpretation about Paul’s phrase “being justified”, the sinners were being declared righteous by God's grace before the tribunal of God even though they were still as sinners. For them, justification is not the real transformation of sinners which medieval theologians considered as the meaning of the justification, but 'the imputation of righteousness'(Rom. 4:5), namely regarding the sinners as the righteous on the ground of the substitutionary death of Christ. Also they were assured that the sinners declared to be righteous by faith could enter the eternal life at the final judgement only by the faith in Jesus Christ. For them, the issue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s not only the present redemption but also the future one. However, Sanders, who has begun 'the new perspective on Paul', insisted against Reformation theologians that Paul's concept of justifica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juristic category, but rather in terms of participatory category in which the unity of the believers with Christ is regarded as the key of divine salvation. Sanders suggested that justifica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in terms of juristic terms by appealing to the fact that ‘repentance’ and ‘forgiveness,’ the two key terms for juristic soteriology in Judaism do not appear in Paul’s doctrine of justification. Also he claimed that the issue of 'justification by faith' could not be on the salvation at the last judgement in the future, but on the entrance into the people of God at present. My thesis is that Paul's texts on the justification support the Reformational perspective which understood the justification in terms of juristic category. It is assured that 'to be justified(dikaiwqh/nai)' was used in juridical context in Rom. 1:18-5:21. Futhermore, it is evident in Rom. 5:9 that justification by faith at present was meant not only entrance into the immediate redemption and the guarantee of the salvation in the future as well, as Reformation theologians had understood it. So Sanders' thesis that justification is related only to present entrance into the people of God but not to last judgement appears to be unavailable. And it is obvious that when Paul said of the cross of Christ as the ground of justification, he thought it in juristic terms, for the term, 'to give up(paradoqh/nai)' which was used to refer to Christ's death should be understood as juristic concept. The fact that Paul thought of the cross in terms of juristic category invalidates Sanders' argument that Paul was supposed not to think justification in juristic terms, since Paul's doctrine of justification lacks a discussion of repentance and forgiveness. We can conclude that Reformational perspective which thought Paul's justification in juristic terms can reveal the real meaning of justification more appropriately than the new perspective which tried to remove the juristic meaning in Paul's soteriology. 본고의 의도는 종교개혁자들에 의해서 기독교 신앙의 기본진리로 이해되어 온 ‘믿음에 의한 칭의’교리 중 칭의개념의 법정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루터와 칼빈으로 대표되는 종교개혁자들은 칭의를 법정적인 범주로 이해했다. 그들은 바울의 “믿음에 의한 칭의”를 죄인들이, 비록 여전히 죄인일지라도 하나님의 법정 앞에서 하나님의 은혜로 의롭다고 선언됨이라고 이해했다. 그들에게 칭의는 중세신학자들이 이해한 것처럼 죄인의 실제적인 변화가 아니라, ‘의의 전가’(롬 4:5), 즉 하나님이 죄인들을 그리스도의 대속적인 죽음에 근거하여 의인으로 간주하심이다. 또한 그들은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얻은 죄인들이 마지막 심판에 오직 그리스도를 믿음만으로 영원한 생명에 들어갈 수 있다고 믿었다. 그들에게 칭의교리의 이슈는 단지 현재의 구속만이 아니라 미래적인 구속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시작한 샌더스는 종교개혁자들에 대항하여, 바울의 칭의개념은 법정적인 범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신자들의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하나님의 구원의 핵심이라고 간주하는 참여적인 범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칭의가 법정적인 범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자신의 주장에 대한 결정적인 논거로 샌더스는 유대교의 법정적인 구원론에서 핵심적인 ‘회개’와 ‘용서’라는 용어가 바울의 칭의론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들었다. 또한 그는 ‘믿음에 의한 칭의’는 미래의 마지막 심판에 있어서의 구원에 관한 것이 아니라 현재 하나님의 백성 안으로 들어감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필자의 논지는 바울의 칭의에 관한 본문들이 칭의를 법정적인 범주에서 이해한 종교개혁적인 입장을 지지한다는 것이다. ‘의롭다 함을 얻음(dikaiwqh/nai)’은 롬 1:18-5:21에서 법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롬 5:9에서 현재적인 칭의는 단지 즉각적인 구원에로의 들어감만이 아니라 종교개혁자들이 주장한 대로 미래에 있어서의 구원의 보장도 의미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래서 칭의가 현재의 하나님의 백성 안으로 들어감과만 관련된다는 샌더스의 논제는 성립하기 어렵다. 그리고 바울이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칭의의 근거로 말할 때 그는 법정적인 견지에서 생각했음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칭의의 근거로서 그리스도의 죽음을 말하기 위해서 사용된 ‘내어줌(paradoqh/nai)’이란 용어(갈 2:20-21)는 법정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바울이 법정적인 범주로 십자가를 이해했다는 사실은 바울의 칭의교리가 회개나 용서라는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바울은 칭의를 법정적인 범주로 생각했을 리가 없다는 샌더스의 주장을 결정적으로 무력화시킨다. 필자의 결론은 바울의 칭의교리를 법정적인 범주에서 생각한 종교개혁적인 관점이 바울의 구원론에서 법정적인 의미를 제거하려 한 새 관점보다 더 적절하게 칭의의 실제적인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칼빈과 김용기 장로의 사회봉사활동 비교연구

        김병환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3 No.-

        This essay is written to make an alternative plan to solve the critical problems with which many korean churches are recently confronted at their quantitative, qualitative growth. First of all, I tried to apply to korean churches remarkable things of Calvin's social service activity which had caused to change the whole city of Geneva through his pastoral activity. Needless to say, there are a lot of christian organizations for social service in Korea. But I want to induce an alternative plan for the re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e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ocial service activity of presbyter Kim Yong-gi at Canaan farmer's school with that of Calvin at Geneva. The first question that this essay try to answer is what idea Calvin had in the social service activity in Geneva. Next is to find out what practical and concrete plan and project Calvin had in social service activity. And it is handled how far Calvin's reformation ideas for social service made an influence to civil life in Geneva and how they can be applied to korean churches.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social service activity of Calvin in Geneva and that of Canaan farmer's school which is developing active social service in Korea as a model of the true christian community. And it aims at the establishment of the goal that korean churches intend to in the areas of the society. I hope it causes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communities lead the change of the consciousness of the korean society and lay the foundation of the change of korean society and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through the gospel. 본 논문은 현재 교회의 질적·양적 성장 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한국기독교의 현실에 대한 한 대안으로서 작성된 것이다. 논문 전개의 방법으로서 먼저, 제네바에서 목회활동을 통해 한 도시 전체를 변화시켰던 칼빈의 사회봉사활동의 훌륭한 점들을 한국 기독교의 현실 속에 적용시켜 보려고 시도했다. 그리고 물론 한국에서도 수많은 기독교인들의 사회봉사를 위한 단체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제네바에서의 칼빈의 사회봉사활동과 유사한, 가나안농군학교로 대변되는 김용기 장로의 사회봉사활동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기독교 공동체의 변화를 위한, 사회변혁의 한 가지 대안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본 논문이 밝히고자 하는 질문들은, 먼저 칼빈은 사회봉사활동에 대해 어떤 사상을 가지고 있었는가? 그리고 칼빈은 실제로 사회봉사에 대해 어떤 구체적인 구조와 계획과 특징을 가지고 있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또한 칼빈의 사회개혁사상은 실제로 그 당시의 제네바의 사회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으며, 지금의 현실에서 그와 같은 칼빈의 사상은 한국교회에 어떤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교회적인 대안의 마련을 위해 지금 한국에서 실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는 가나안농군학교의 활동을 칼빈의 봉사활동과 비교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석하여 한국교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한국교회가 사회적인 면에서 지향해야 할 목표를 설정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한국교회와 기독교공동체를 주축으로 사회의 인식변화를 이끌어 냄으로써, 복음을 통한 사회변화와 전체 기독교와 한국교회 성장을 위한 밑거름을 삼고자 한다.

      • KCI등재

        회개 - 한국교회 갱신을 위한 단초: 사도행전과 평양대부흥운동에 근거하여

        허주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5 No.-

        It is no doubt that the blessings and grace of God have made the Korean Church richly flourished since 1885. In spite of this, the schism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which strongly claims to have ‘reformed theology’ is not a trivial but a critical matter nowadays. There might be several ways of solution to it, but I have presented a biblical and historical clue to the renewal of the Korean Church in crisis, that is, an urgent call to repenta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the Pyongyang Great Revival Movement. This means that the Korean Church needs to reappraise the essential concept of repentance based on the Holy Bible and to faithfully put this understanding into practice in life. According to the Acts of the Apostles, I have suggested the following fiv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meaning of repentance. (1) Repentance is the major part of salvation process along with forgiveness of sins and the work of the Holy Spirit. (2) Repentance is made as a spiritual fruit in a way which Jesus’ witnesses proclaim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and/or preach the word of God. (3) Repentance demands people to lead the God-Christ-Spirit oriented life and commitment to the Gospel. (4) Repentance is found as a spiritual common ground between the Jews and the Gentiles who accept Jesus as Christ. It is also a basic motivation that drives an active evangelism/mission beyond the barriers of race, culture, and geography. (5) Repentance is after all God’s divine business which occurs in the plan/will of God. In summary, repentance is, on the one hand, set by the triune God’s sovereign work and is, on the other hand, a first meaningful step of human beings as to the Christ event, that is,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Christ. This biblical concept of repentance has been more supported and elaborated by the historical and religious testimonies of the 1907 Pyongyang Great Revival Movement called as the Korean Pentecost. In so doing, I have called the Korean Church (and any reader) into attention to the well-balanced understanding of repentance as major part of salvation in order to be restored and rekindled as a dynamic Spirit-led Church today. 해외 개신교 선교사로부터 복음이 전해진 1885년 이래 한국 기독교는 하나님의 축복과 은혜를 크게 입었다. 그럼에도 안타까운 현실은 한국 개신교, 특히 개혁신학을 표방하는 한국 장로교에 적지 않은 분열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한국교회의 갱신과 회복을 위한 해법은 몇 가지가 있겠지만 나는 사도행전과 평양대부흥운동에 기초한 성경적-교회사적 전거를 따라 참된 회개 개념에 대한 깨달음과 삶의 적용이 한국교회에 가장 절실한 것임을 드러내고자 했다. 사도행전의 회개 문맥은 아래의 다섯 가지 요소가 두드러졌으며, 이것들은 평양대부흥운동에서 나타난 역사적 보도에서도 동일 내지 유사한 함의가 있음을 보여준다. (1) 회개는 죄 사함과 성령의 나타남 가운데 진행되는 구원의 중요 과정이다. (2) 회개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 그리고/또는 하나님의 말씀(성경)을 인용-해석하여 풀어줄 때 나타난 열매이다. (3) 회개는 복음을 받은 사람들의 예수/하나님/성령 중심적 사고와 함께 행위/삶의 새로운 결단과 헌신으로 나타난다. (4) 회개는 모든 인종(유대인과 이방인; 한국인과 일본인 등)에게 필요한 신앙적 체험이며 인종-문화-지리적 장벽을 넘어서 선교를 발생시키는 동인이 된다. (5) 회개는 하나님의 뜻/계획 가운데 일어나는 일이며, 회개 선포 자체가 하나님의 뜻/계획을 세우는 일이다. 삼위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로 나타나는 회개는 또한 인간의 철저한 인격적 반응(입술 고백과 삶의 변화)으로 나타나는 회심(구원)의 첫 단계이자 그리스도인의 계속적인 성화된 삶의 표식(고후 7:5-16 참조)이다. 이런 점에서 오늘의 한국교회 성도는 무엇보다 바른 회개 개념을 회복함으로써 하나님 나라를 누리고 선포하는 특권과 책임을 이 땅 가운데 온전히 드러내야 한다.

      • KCI등재

        성도와 직분자에 대한 루터와 칼빈의 견해 비교연구

        태동열 한국개혁신학회 2024 한국개혁신학 Vol.82 No.-

        종교개혁은 오직 성경의 원리를 따라 복음을 믿는 참된 믿음의 가치와 성도의 부유함과 존엄성을 발견한 가운데 직분의 의미와 가치를 재발견했다. 그런데 오토 베버 등은 종교개혁과 개혁신학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는 마르틴 루터의 직분론과 존 칼빈의 직분론 사이에 큰 불연속성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즉, 루터의 직분론에서는 만인제사장론(the doctrine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이 중심이고 공적인 직분은 큰 중요성을 갖지 않는 반면 칼빈의 직분론에서는 공적 직분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고 그의 교회론 자체가 직분론을 중심으로 한 교회론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그들은 만인제사장론이 칼빈의 직분론에서는 거의 언급되지 않을 뿐 아니라 별 역할을 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 주장에 반해서 루터의 직분론과 칼빈의 직분론 사이에 상당한 연속성이 존재하며 만인제사장론이 칼빈의 직분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시각이 있다. 이에 이 논문은 종교개혁과 개혁신학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는 루터와 칼빈의 직분론을 분석하고 비교해서 앞에서 언급한바 큰 불연속성을 주장하는 전자와 상당한 연속성을 하는 후자의 견해 중 어느 주장이 타당한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근거와 이유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루터의 직분론과 칼빈의 직분론이 상당한 연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칼빈의 직분관이 만인제사장론을 포함한 루터의 직분관을 계승 발전시키는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그 가운데 칼빈의 직분론이 루터의 직분론과 구별되는 몇 가지 점도 보여줄 것이다. 이 논문은 또한 루터와 칼빈의 직분론이 오늘날 한국 장로교에 던져 주는 종교개혁과 개혁신학의 정신, 즉 ‘공적 직분자와 성도 사이엔 계급적 위계가 없어야 하며 수평적이고 형제애적인 관계 가운데 역할과 은사에 따른 질서가 있어야 한다; 이에 공적 직분자는 청지기적 봉사의 자세로 섬기고 성도는 존경과 협력의 자세로 교회건설에 동참해야 한다’와 같은 적용점들을 제시할 것이다. The Reformation rediscovered the meaning and value of ministry while discovering the value of true faith in the gospel and the dignity of saints by following only the principles of the Bible. However, Otto Weber and others argue that there is a major discontinuity between the theories of ministry of Luther and Calvin, who can be considered representative leaders of the Reformation and Reformed theology. In other words, they argue that, in Luther’s theory of ministry, the theory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is central and public ministry does not have much importance; whereas in Calvin’s theory of ministry, the importance of public ministry is greatly emphasized, and his ecclesiology itself can be said to be an ecclesiology centered on ministry theory. In particular, they say that the theory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is not only barely mentioned in Calvin’s theory of ministry, but also plays little role. Contrary to this claim, there is a view that there is considerable continuity between Luther’s theory of ministry and Calvin’s theory of ministry, and that the theory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Calvin’s theory of ministry.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and compares the office theories of Luther and Calvin, who can be considered representatives of the Reformation and Reformed theology, to determine which of the views of the former and the latter mentioned above is valid and to argue for the reasons for this.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show that Luther’s theory of ministry and Calvin’s theory of ministry have considerable continuity, and that Calvin’s theory of ministry has the nature of succeeding and developing Luther’s theory of ministry, including the theory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Among them, we will show several points that distinguish Calvin’s theory of office from Luther’s theory of office. This paper also explains the spirit of the Reformation and Reformed theology that Luther and Calvin’s theory of office brings to today’s Korean Presbyterian Church - there should be no hierarchy between public officials of the church and believers, and there should be order according to roles and gifts in a horizontal and fraternal relationship; accordingly, public officials of the church must serve with an attitude of stewardship and believers must participate in church construction with an attitude of respect and cooperation – and application points will be presented.

      • KCI등재후보

        한국장로교회에서의 세계교회협의회(W.C.C.)

        이상규(Lee, Sang-Gyoo) 한국개혁신학회 2010 개혁논총 Vol.16 No.-

        세계교회협의회(WCC)가 2013년 제10차 총회를 부산에서 개최한다는 공식적인 발표가 있은 후WCC와 그 신학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 서두에서는 WCC의 조직과 발전에 대해 간략하게 개관하고 한국으 로 소개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IMC는 사실상 WCC의 창립을 포함한 다음 시기의 에큐메니칼운동의 시원이 되지만 이때까지 한국교회는 IMC를 포함한 세계교회 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1948년 WCC가 립된 후 한국교회, 특히 장로교회에 서는 WCC에 참여할 것인가 아닌가를 두고 심각한 토론이 전개되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한국(특히 장로)교회에서 WCC가 어떻게 수용되고 인식되어 왔던가를 역사적으로, 그리고 신학적으로 논구하였다. WCC에 대한 상반된 견해가 결국 교회 장로분열의 주된 요인이었고, 그 대립적 견해가 그 이후의 한국교회와 신학을 구분하는 경계선이 되었다는 점을 문헌에 근거하여 교회사적으로 정립하였다. 또 WCC를 둘러싼 논쟁은 한국교회의 에큐메니칼 운동과 교회 연합, 신학이해, 교회 생활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후반부에서 지적하였다. After official announcement of holding of the Tenth Assembly of World Council of Churches(WCC hereafter) on 2013 in Busan, Korea, WCC and its theology and structure became a burning issue in Korean church. In the introductory part of this articl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WCC were shortly described.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IMC) provided the basic worldwide structure for the entire ecumenical movement in the later years, and Korean churches also participated in the IMC and other ecumenical organizations during that period of time. However, after formation of WCC in 1948, there has been two contrasting views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regarding to participation of WCC. This paper examined two different views to WCC, and analyzed Korean Presbyterians’ relations and attitude toward WCC in the streams of Korean church history, especially concerned with the fierce argument on WCC in Korean Presbyterian circle in 1950’s. The writer also traced historically and theologically on the facts of pros and cons toward WCC causing the most crucial issues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division in 1950’s. The remaining parts are devoted to the influence of WCC upon Korea in connection with church division, theology and church life.

      • KCI등재후보

        스티븐 차르녹(Stephen Charnock, 1628-1680)의 신적 전능과 주권에 대한 이해 ―지성사(intellectual history)적 고찰을 중심으로

        이한상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7 No.-

        The doctrine of divine power and sovereignty is the important subject as the core of the Reformed theology since the Reformation. In the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it has been the theological subject especially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voluntas Dei.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ormed orthodox theology and late medieval thought in their ideas of the power and sovereignty of God in its intellectual context. This study would also help to understand Calvin's idea of the sovereignty and the power of God more enrichingly. Especially we have see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ir works, that William Perkins and Stephen Charnock, the two representative figures of later Reformed theology after Calvin, had firmly inherited the trinitarian doctrine of God and soteriology based upon the Calvinistic tradition. Charnock and Perkins were also the two great theologians of the English Puritanism. They substantiated the Puritan doctrine of God in terms of the theology and piety, theory and practice, and the divine sovereignty and human responsibility in order to defend the Triunity of God and the divine simplicity, which are the crucial foundation of traditional orthodox theology. The knowledge of God was the key subject in this effort. The content of the Reformed doctrine of God from Perkins to Charnock was de facto the continuous one. Nevertheless, Charnock's idea of the sovereignty and power of God was the result of the pursuit of more solid trinitarian or covenantal theological system, regardless of the formal or structural development due to the change of the historical or intellectual context. 하나님의 능력과 주권교리는 종교개혁전통, 특히 개혁주의 전통에 있어 핵심적 표어로 제시되고 있는 커다란 주제이자 사상적 틀이다. 이는 하나님의 뜻 혹은 의지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석과 맞물려 교리사적으로 그동안 논의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혁주의 신학과 중세 혹은 중세후기적 연관성 및 칼빈 이후의 개혁파 정통주의의 견해를 함께 파악해보는 것이 역사적 맥락 속에서 정통신학의 계승과 연속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종교개혁자 칼빈을 중심으로 이해되고 있는 하나님의 주권교리의 의미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보다 풍성한 논의에도 유익을 줄 것이라는 사실을 시사하고자 했다. 특히 칼빈 이후 개혁주의전통의 삼위일체적 신론 및 구원론의 계승의 차원에서의 대표적 인물인 초기 정통주의의 윌리엄 퍼킨스와 전성기 정통주의의 스티븐 차르녹의 하나님의 능력과 주권교리를 살펴봄을 통해 우리는 이를 확인했다. 아울러 차르녹과 퍼킨스는 영국 청교도 전통 하에서 신론을 정립한 대표적 인물들로서도 신학과 경건 및 이론과 실천, 하나님의 주권 및 능력과 인간의 책임을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단순성 교리라는 양보할 수 없는 정통신학의 전제 하에서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라는 통합적 주제로서 성공적으로 변호했음을 보았다. 한편 하나님의 전능과 주권론에 있어 퍼킨스에서 차르녹의 발전과 변천에 있어서는 역사적 맥락의 변화로 인한 논의 구조의 세밀화와 복잡화 및 확대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개혁주의 신론의 내용상 본질은 변함이 없었으며, 특히 차르녹의 하나님의 전능 및 주권론, 즉 나아가 그의 하나님의 속성에 관한 논의는 초기 정통신학에서 후기 정통주의기 신학으로 나아가는 신학 장르적 발전이자 내용적 풍성함을 더욱 보여주는 대표적 증거였다. 아울러 이는 중세후기 신학 및 종교개혁의 개혁주의전통을 주로 연속선상에서 목회적 및 경건의 실제적 유익을 위해 총괄적으로 결합시킨 개혁주의 신학의 절정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