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품 윤리로 분석한 한국교회의 도덕적 성품 형성

        강성호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2 조직신학연구 Vol.41 No.-

        This paper examines the moral crisis of the Korean church based on character’s ethics. It also delves into the ethical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assimilation of narratives between Korean society and the Korean church. This paper not only shows the assimilation of narratives that caused the moral crisis of the Korean church but also provides the necessity of faithful narratives for the Korean church. In order to solve many moral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e reality of the current master narrative that distorts the moral character of the Korean church, and to build a narrative of the Korean church that is faithful to the biblical narrative. This paper also aims to show that the methodologies of Stanley Hauerwas and H. Richard Niebuhr can be effective to explain and analyze the assimilation of cultural and ecclesial narratives that have caused the moral crisis of the Korean church. In addition, it argues for the necessity of discovering new narratives for the Korean church and Korean society in terms of character ethics. 한국교회의 도덕적 문제는 한국교회의 일부의 일탈 행위이거나 어느 특정 시기에 일어난 일시적인 행위로 치부할 수 없다. 이 논문은 한국교회의 지배적 서사로 작동한 성장의 서사를 살펴 보고 한국사회의 경제 성장 서사가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있다. 성장 서사가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에 경제 발전과 교회 성장을 이루는데 기여하였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 역시 적지 않다. 성장 서사의 지나친 추구에 의한 부작용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도덕적 문제점들이다. 한국교회의 많은 도덕적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교회의 도덕적 성품을 왜곡시킨, 현재의 지배적 서사의 실체를 인정하고, 한국교회의 서사를 성경적 서사에 충실하게 구축해 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스탠리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와 리처드 니버(H. Richard Niebuhr)의 방법론이 한국 교회의 도덕적 위기를 초래한 문화적, 교회적 서사의 동화를 설명하고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접근 방식이라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또한 공동체의 서사가 공동체 구성원의 성품을 형성하는 성품윤리적 측면에서 한국교회와 한국사회를 위한 새로운 서사 발굴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에 대한 죽산 박형룡의 이해

        이상웅 ( Sang Ung Lee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8 No.-

        13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한국 장로교회는 그간에 많은 교단들로 분열되어 왔고, 신학적인 정체성이 다양화되었다. 따라서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이 무엇인가에 대해 정리하고 규명하는 작업은 간단하지가 않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인 정체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죽산 박형룡(1897-1978)을 논구해 보았다. 박형룡은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교수로부터 시작해서 반세기에 가까운 긴 세월 동안 한국 장로교 신학 교육을 위해 헌신했고, 전7권에 이르는 『교의신학』 전집(1964-1973)을 출간했기 때문에 그가 한국 장로교 신학 전통에 대해 어떻게 규명했는지를 논구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본론에서 우리는 초기 박형룡이 정통신학을 어떻게 규명했는지를 『근대 신학 난제 선평』(1935)을 중심으로 논구해 보았다(2절). 초기부터 박형룡은 성경의 절대적 권위와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그 근거위에서 주요 교리들을 해설하였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3절에서 우리는 박형룡의 고려신학교 교장 취임 연설문(“사도적 신학 소론”)을 살펴 보았는데, 박형룡은 사도적 신학은 곧 칼빈주의 정통 신학으로 계승되었음을 천명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우리는 박형룡의 주저인 『교의신학』 전집(1964-1973)에 드러나는 신학적 특징을 확인해 보았는데(4절), 죽산은 술이부작(述而不作)의 자세를 취하면서 주요 개혁파 신학자들의 저술들을 활용하여 자신의 신학 작업을 진행하였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죽산의 신학적 자세는 독창적인 신학을 추구하는데 있지 아니하고, 선교사들이 전해준 정통 보수 신학의 계승과 보완에 있음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죽산의 마지막 신학적 천명은 1976년 신학지남에 기고한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이라는 논문에서 확인할 수가 있는데(6절), 이 논문에서 박형룡은 자신이 평생동안 견지하고 가르쳐온 신학 전통이 무엇인지에 대해 최종 정리해 주고 있다. 죽산의 신학은 영미 청교도 개혁주의와 유럽 개혁주의를 조화롭게 수용한 한국 청교도 개혁주의라고 하는 점을 우리는 분명하게 확인할 수가 있었다. For more than 130 years,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has been divided into many denominations, and its theological identity has diversified. Therefore, it is not easy to summarize and clarify what the theolog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is. With this interest in what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is, in this paper, we examined Park Hyung-Nong(1897-1978). Because Park Hyung-Nong devoted himself to the theological educa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for nearly half a century, it is significant and relevant to refer him as a reference point. In the main sections, we examined how Park Hyung-Nong identified orthodox theology in the early days, focusing on A Theological Review of Modern Theological Problems(1935) (Section 2). From the beginning, Park Hyung-Nong emphasiz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he importance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and it was confirmed that he explained the main doctrines on that basis. In section 3, we examined Park Hyung-Nong’s rectoral inaugural speech at Korea Theological Seminary(“An Overview on Apostolic Theology”) and confirmed that Park declared that apostolic theology was inherited as Calvinist orthodox theology. In section 4, we checked the theological characteristics revealed in his main works, Dogmatic Theology (1964-1973). Park took the stance of description-but-not creation and utilized the writings of major Reformed theologians. It was also confirmed that Park’s theological aim did not consist in pursuing originality in theology but the succession and complementation of the orthodox conservative theology delivered by missionaries. We could confirm Park’s final theological position in his “Theological Traditions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published in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Review, 1976) published in 1976 (section 6). In his final paper, Park Hyung-Nong summarized the theological tradition that he has maintained and taught throughout his life. We could confirm that the theology of Park Hyung-Nong is Korean Puritan reformed theology that harmoniously accommodated Anglo-American Puritan Presbyterian theology and European Reformed theology.

      • KCI등재후보

        해방 이전 한국 장로교 목사들의 종말론

        이상웅 ( Sang Ung Lee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7 No.-

        해방 이전의 한국 장로교회는 하나의 교단이었고, 하나의 공인된 신학교인 평양 장로회신학교를 가지고 있었다. 평양 장로회신학교는 1901년에 개교하여 1939년에 무기한 휴교하기까지 800명 이상의 한국인 목회자 후보생들과 교회 지도자들을 배출했다. 신학교는 네 개의 장로교선교가 협력하여 운영했고, 교수들도 주로 선교사 교수들이었다. 따라서 한국 목회자들은 선교사 교수들의 신학과 신앙을 그대로 배우고 전수받을 수밖에 없었다. 본고에서는 특별히 해방 이전 한국 장로교 목사들의 종말론을 논구해 보고자 하는데, 먼저는 그들에게 영향을 미친 선교사 교수들의 종말론에 대해서 간략하게 검토하였는데(II), 그들 대부분은 세대주의 전천년설을 정설로 믿고 가르쳤다. 이어지는 III에서는 초대 한국교회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길선주 목사의 종말론을 검토해 보았고, IV에서는 신사 참배 반대 운동에 앞장섰던 주기 철 목사, 손양원 목사, 주남선 목사 등의 종말론을 확인해 보았다. 길선주와 달리 후자에 속한 목회자들은 종말론에 관련된 저술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설교나 심문 조서를 참고할 수밖에 없었다. 마지막 V 절에서는 초기 박형룡 박사와 초기 박윤선 박사의 종말론을 논구해 보았다. 그들의 후기 입장이 역사적 전천년설이었던 것에 비하여, 초기의 종말론적인 언급은 극소수였을 뿐만 아니라 어떤 종말론을 택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규명하기가 어려웠다. 우리는 이러한 논구 과정을 통하여 선교사 교수들의 종말론이 그러하였듯이, 그들에게 배운 한국인 목회자들 대다수 역시도 세대주의 전천년설을 따라갔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사실 세대주의 전천년설은 장로교나 개혁교회 신학과 부합하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선교사 교수들의 영향으로 초기 한국 장로교회는 그러한 입장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어쩌면 달리 다른 선택의 폭이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세대주의 전천년설에 따라 임박한 종말론을 강조하게 되므로 선교와 전도사역에 열정을 낼 수가 있었다거나 일제의 강압에 굴하지 아니하고 신앙을 지켜낼 수 있었다는 점을 외면할 수는 없다. 그런데도 세대주의 전천년설은 칼빈주의와 양립할 수 없는 신학 체계이므로, 현재 장로교회나 개혁교회는 세대주의 전천년설에 대하여 바른 종말론 교육을 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Before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was only one denomination and had an accredited seminary, Pyeng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Pyeng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which is opened in 1901 and closed indefinitely in 1939, produced more than 800 Korean pastor candidates and church leaders. The seminary was administered in cooperation with four Presbyterian missions, and the professors were mainly missionary professors. Therefore, Korean pastors had no choice but to learn and receive the theological lectures and faith discipline of missionary professor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eschatology of Korean Presbyterian pastors before liberation. First, I briefly reviewed the eschatology of missionary professors that influenced Korean pastors(section II), and most of them believed and taught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In the following section III, I examined the eschatology of Pastor Seonju Gil, wh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early Korean churches, and in section IV, I examined the eschatology of Pastors Ki Cheol Joo, Yangwon Son, and Namseon Joo, who took the lead in the movement against shrine worship. Unlike Seonju Gil, the pastors belonging to the latter did not leave any writings related to eschatology, so we had no choice but to refer to sermons or interrogation records. In the last section V, I examined the eschatology of early Dr. Hyung Nong Park and Yune Park. Compared to their late premillennialism, there were only a few early eschatological references, and it was difficult to pinpoint which eschatology they followed. From this examination, we can conclude that the majority of Korean pastors who learned from Missionary professors also followed the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just as the missionary professors’ eschatology is the same. Although the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did not correspond with Presbyterian or Reformed theology, the influence of missionary professors forced the early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to choose such a position. Maybe there were no other options to choose to them. However, by emphasizing the impending eschatology according to the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they were able to exert passion for missions and evangelism and that they were able to preserve their faith without surrendering to the Japanese imperial force. Nevertheless, since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is a theological system that is incompatible with Calvinism, the current Presbyterian churches and Reformed churches must provide correct eschatological education for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 KCI등재후보

        복음주의와 공공신학

        조영호 ( Young Ho Cho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7 No.-

        본 논문의 주제는 공공 영역과 공론장에서 복음주의 신학과 교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오늘 복음주의는 정체성의 위기와 비전 상실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의 원인을 우리는 ‘공공성 상실’과 ‘기독교 지성의 부재’로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 속에서 현대 공공신학자들의 논의를 통해 공론장에서 한국 교회가 어떻게 기독교적 대안을 제시 할 수 있는지, 공공선을 위해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몇 가지 주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우선, 복음주의란 무엇인지, 그 정체성에 대한 정의를 내려보고, 복음주의와 종교개혁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현대 복음주의자들이 제기했던 신학적 문제, 특히 공공성 상실에 대한 비판과 기독교적 공공 지성의 부재에 대한 비판을 알아보고 복음주의 신학을 공공 신학적 관점에서 파악할 것이다. 복음주의가 제기한 공공 신학적 문제를 오늘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기 위해 우리는 현대 공공신학자 두 명, 스택하우스와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의 신학을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신학적 검토를 마무리한 후 한국 복음주의 신학과 복음주의 교회를 위한 몇 가지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곳에서 제시한 대안은 세 가지 제시하였다: 1) 기독교적 공공 지성을 양성 2) 잃어버린 언어의 회복 3) 그리고 현대 공공 신학 방법론적 차이의 조화 가능성 The theme of this thesis is to try to explore alternative gospel theology,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church in public areas and public forums. Today’s gospel experiences a crisis of identity and loss of vision. We understand the cause of such experience as ‘loss of publicity’ and ‘absence of Christian intelligence’. Among these understandings, through discussion by contemporary public theologians, how the churches of Korea can present Christian alternatives in public forums, what role do they have for public good? I want to see if it can do or not. Because of this, we critically consider several topics. First of all, let’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spel and religious reform by defining the identity of what the gospel is. Then criticism of theological problems raised by contemporary evangelists, especially criticism of the loss of public nature and lack of Christian public intelligence will be examined and gospel theology grasped from the public theological viewpoint. In order to reinterpret the public theological issue raised by the gospel from today’s point of view, we will review the theology of two modern public theologians, Stackhouse and Hauerwas (Stanley Hauerwas). After completing these historical and theological studies, I will try to present some proposals for the Korean evangelical theology evangelical church. The options presented here presented three: 1) Training Christian public intelligence 2) Recovery of lost languages 3) And the possibility of harmonization of differences in modern public theology methodology

      • KCI등재후보

        인본주의에서 초인본주의로 옮겨가는 다문화적 다지능 시대: 자연지능과 인공지능이 공존하는 다가오는 다문화에 대한 복음주의의 응답

        전대경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8 조직신학연구 Vol.30 No.-

        This article deals with multi-culture and multi-intelligence traversing from humanism to meta-humanism. As an evangelical theological response to the forthcoming multi-cultural co-existence of natur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s, it is to argue that we ought to seek for prudence rather than utopian admiration or dystopian crisi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First, it deals with the advent of AI already existing among us. And then, it is to make a critical assessment from biblical,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main arguments of trans-humanists, including Ray Kurzweil - constructing the Neo Towel of Babel, Extropianism, and theosis via Machina Sapiens. Lastly, it closes the argument with urging ethical and theological responses to AI. In so doing that, it insists that the church ought to be prepared for it and Christian ethics is to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s and usages of AI, while criticizing both over-optimistic views for utopian promised land of developers and users and over-pessimistic predictions for dystopian apocalypse of mass media. 본 논문은 인본주의에서 초인본주의로 옮겨가는 다문화적 다지능 시대를 다룬다. 자연지능과 인공지능이 공존하는 다가오는 다문화에 대한 복음주의의 응답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유토피아적 예찬론이나 디스토피아적 위기론보다는 신중론을 제시할 것이다. 먼저, 우리 주변에 이미 도래해 있는 인공지능에 대해 살핀다. 다음으로, 레이 커즈와일을 포함한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의 주요 주장인 신바벨탑 건설과 무한생명주의(extropianism), 그리고 기계 인류(Machina Sapiens)를 통한 인신화(theosis)를 성경적, 전통적, 현대적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마지막은 인공지능에 대한 윤리적 신학적 대응 촉구로써 연구를 마무리 한다. 이를 통해, 교회는 이를 반드시 대비해야 하며, 개발자들과 사용자들의 지나친 유토피아적 낙관론이나 미디어의 지나친 디스토피아적 비관론을 비판하고, 기독교적 윤리가 인공지능 개발과 사용에 적용되어야함을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교회사적 배경에서 비추어 본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직제에 관한 연구

        최윤배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9 조직신학연구 Vol.31 No.-

        We looked at the ecclesiastical order of the Reformed Church mainly through the three denominations of the Dutch Reformed Church. Ou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utch Reformed Church always insisted on special office besides general office based on the priesthood of all believers. Second, in relation to special office, pastors, elders, and deacons have always been retained, although the teaching profession(professorship in theology) has been included or excluded. Third, the inspection meeting, session, presbytery, and general meeting belong to the governing council. Fourth, the session shall consist of all offices(pastors, teachers, elders, deacons) recognized by the law of the church. Fifth, ministers and elders were always included in the members of inspection meetings, presbyteries, and general assemblies, but deacons were included or excluded. Sixth, elders and deacons, like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re not 70 years old and have a term of two or four years.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직제의 특징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네덜란드 개혁교회는 만인제사장직, 정확하게 말하면 “모든 신자제사장직”(the priesthood of all believers)에 근거한 일반 교역 외에 항상 특별 교역을 주장했다. 둘째, 특별 교역과 관계하여, 비록 교사직(신학대학교 교수직)은 포함되기도 하고 배제되기도 했지만, 항상 목사, 장로, 집사직은 유지되었다. 셋째, 시찰회도 당회와 노회와 총회와 함께 치리회에 속한다. 넷째, 당회는 교회법이 인정하는 모든 직분자들(목사, 교사, 장로, 집사)로 구성된다. 다섯째, 시찰회, 노회, 총회의 구성원에는 목사와 장로는 항상 포함되었으나, 집사는 포함되기도 하고, 배제되기도 했다. 여섯째, 한국장로교회처럼 장로와 집사의 임기는 70세와 같이 정년제가 아니고, 2년에서 4년 정도의 기간이 정해져 있다. 일곱째, 한국장로교회에서는 총회에만 목사와 장로의 총대가 대표로 파송되고, 시찰회나 노회에는 모든 목사들과 모든 장로들이 참석할 수 있지만, 네덜란드의 개혁교회에는 파송된 총대 목사와 총대 장로만이 시찰회나 노회 및 총회에 참석할 수 있다. 여덟째, 교회의 정부(국가)에 대한 관계에 대하여 자유교회 형태의 교회는 언급하고 있으나, 국가교회 형태의 교회는 언급하지 않는다. 『네덜란드 신앙고백』은 정부의 권위를 부정한 재세례파들에 대한 강한 변증적 비판이 담겨 있으나, 자유교회 형태의 교회의 교회법은 하나님의 뜻에 반할 경우 가능한 저항권을 명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과학기술문명 시대의 포스트-바르트신학의 새로운 지평을 향한 프롤레고메나

        김성원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9 조직신학연구 Vol.31 No.-

        This essay is a prolegomena to a new horizon of the post-Barthian theologies in the era of techno-scientific civilization. The theology of Karl Barth has been estimated one of the most prominently influential one to the tradition of Christian theology since the theology of Thomas Aquinas. It‘s influences are also deemed to persist continually as highly instrumental feature for the subsequent generation of Christianity. However, the background of the theology of Barth was fundamentally the method of modernity, which does not cohere with the apparatuses of techno-scientific and postmodern interpretation of the newly emerging generation. Those interpretational schemes, which are drastically dissimilar from the ambiance of the time of Barth, will be a considerable challenge to the Christianity of the next generation. As a prolegomena suggestion to the challenge, this essay submits a thesis that the post-Barthian theologies should coexist with innovative familiarization of the scientific interpretations and postmodernism in the theological exercises for effective evangelism. Indeed, the direction of the post-Barthian theology should be advanced in the areas of meta-theology, meta-narrative theology, spiritual aesthetics, and theology of the embodied spirituality. 본 논문은 포스트-바르트신학의 새로운 지평에 대한 프롤레고메나로서 바르트신학의 새로운 지평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포스트-바르트신학은 경이롭고 신비스러운 영적인 아름다움의 신학을 전개하여 차세대에 복음의 수용성을 높이는 것이다. 신의 경륜적인 보편적 메타내러티브의 시대적 상황화를 통해서 진전된 신적소통의 신학을 전개하는 것이다. 20세기 바르트신학은 말씀의 신학으로서 교회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으며, 말씀의 신학은 모더니티의 지식중심주의와 언어-명제주의 상황에서 수용성을 더할 수 있는 신학이었다. 한국교회의 말씀 중심의 교회부흥은 바르트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제는 신학적 신학에 의한 교회부흥은 소강상태에 있으며, 복음에 대한 수용성이 줄어들고 있다. 그 이유 중에 가장 두드러진 것은 신학적 신학과 과학기술문명 사이의 비연속성이 깊어졌기 때문이다. 포스트-바르트신학은 언어-명제적인 말씀의 신학을 넘어서 말씀의 신학의 새로운 신적소통을 진전시키는 작업이다. 성서의 해석학적 범주 안에서 말씀에 기반을 두면서 자연과 과학을 활용하여 보편적인 메타내러티브신학, 체화된 영성신학, 영적미학, 메타신학의 진전이 혁신적으로 일어나야 기독교진리의 차세대 수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차원에서 포스트-바르트신학의 방향에 대한 제시를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