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령의 은사의 본질

        김동수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2 피어선 신학 논단 Vol.1 No.1

        This study concerns Spiritual gifts in 1 Corinthians 12:8-10. One of the key issues regarding the gifts is whether the character of the gifts is supernatural or not. Against the general tendencies among scholars that all of the gifts are not supernatural, this study attempts to counter the claim. It will show that all the gifts are originated from the triune God, and accordingly is something one cannot get in one's natural state. This thesis can be proved in that the terms for the gifts such as carisma,ta, pneumatika, and fane,rwsij together show the supernatural character. In addition, it will be shown that each gift has supernatural character. By this Paul, this study will suggest, wants to teach that any member of Christian community is expected to show spiritual gifts in 1 Corinthians 12:8-10 as well as natural gifts in Romans 12:3-8 to serve the church. 이 논문은 미국 북장로회 서울 선교지부와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의 관계를검토하였다.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은 성경학원의 설립을 촉구했던 서울 선교지부의 상황과 이러한 서울 선교지부의 상황에서 성경학교를 설립하고 싶어 했던 아더 피어선의 의지가 결합된 결과였다. 그러나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을 서울이 아닌 다른 선교지부에 설립하기를 원하는 한국 선교부의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따르면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의 서울 설립을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었다. 이러한주장을 극복하고 서울에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을 설립하기 위해 서울 선교지부는한국 선교부와 미국의 해외선교본부로 이어지는 종적인 관계의 상황에서 벗어나서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의 설립을 위한 모든 권한을 위임받아 서울 선교지부의독자적인 노력을 통해 미국 북감리회 한국 선교부와 미국 남감리회 한국 선교부와의 연합으로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을 설립하였다.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이 설립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서울 선교지부가 지니고 있었던 에큐메니즘의특징이었다. 서울 선교지부의 에큐메니즘은 서울이 지니고 있었던 도시적 특성과 당시 서울의 상황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러한 점은 서울 선교지부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설립이 선교지에서의 대단이 강력한‘ 컨텍스트 파워’에 의한 것임을보여준다. 이와 관련하여 서울 선교지부의‘ 컨텍스트 파워’를 보여주는 다른 사례는 연희전문학교의 설립과정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미국 북장로회 서울 선교지부와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이용민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2 피어선 신학 논단 Vol.1 No.1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Seoul St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 S. A. and the Pierson Memorial Bible School. Pierson Memorial Bible School was the result of combination with the situation need for a Bible School in Seoul station and the will of Arthur Pierson to establishing a Bible School in Seoul. But the Korean Mission suggested that Pierson Memorial Bible School was established the other place rather than Seoul. According to this, the Korean Mission opposed very strongly on the project of Seoul Station to establishing Pierson Memorial Bible School. Therefore, Seoul Station tried to establish this Pireson Memorial Bible School not with Board of Foreign Missions and Korean Mission, that is, upper mission structure, but with Methodist Episcopal Mission and Southern Methodist Episcopal Mission in Seoul. In the course of the establishment of Pierson Memorial Bible School, the most important point was the ecumenism of Seoul Station. This ecumenism of Seoul Station was confirmed by situation of Seoul. This point displayed that the establishment of Pierson Memorial Bible School of Seoul Station depended on the 'context power' of mission field. Related to this, the other case of 'context power' of the Seoul Station was shown establishment of Chosen Christian College. 이 논문은 미국 북장로회 서울 선교지부와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의 관계를검토하였다.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은 성경학원의 설립을 촉구했던 서울 선교지부의 상황과 이러한 서울 선교지부의 상황에서 성경학교를 설립하고 싶어 했던 아더 피어선의 의지가 결합된 결과였다. 그러나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을 서울이 아닌 다른 선교지부에 설립하기를 원하는 한국 선교부의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따르면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의 서울 설립을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었다. 이러한주장을 극복하고 서울에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을 설립하기 위해 서울 선교지부는한국 선교부와 미국의 해외선교본부로 이어지는 종적인 관계의 상황에서 벗어나서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의 설립을 위한 모든 권한을 위임받아 서울 선교지부의독자적인 노력을 통해 미국 북감리회 한국 선교부와 미국 남감리회 한국 선교부와의 연합으로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을 설립하였다.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이 설립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서울 선교지부가 지니고 있었던 에큐메니즘의특징이었다. 서울 선교지부의 에큐메니즘은 서울이 지니고 있었던 도시적 특성과 당시 서울의 상황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러한 점은 서울 선교지부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설립이 선교지에서의 대단이 강력한‘ 컨텍스트 파워’에 의한 것임을보여준다. 이와 관련하여 서울 선교지부의‘ 컨텍스트 파워’를 보여주는 다른 사례는 연희전문학교의 설립과정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차상진의 사역과 그 역사적 위치 :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의 그의 사역을 중심으로

        류금주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4 피어선 신학 논단 Vol.3 No.2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is one of the significant examples of the unitive movement which were sprung from the historic Pyeng Yang Revival in 1907. Sang-Jin Cha served as the first Dean of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for 7 years who was affiliated with Presbyterian Church. It had been a lengthy time which constituted as much as one third of his ministry as a Presbyterian divine. He was ordained minister in the year of 1916, and his service to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covered the whole span of his ministry in the sense that he served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directly and indirectly. In that sense it is to be ascertained that he committed himself to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throughout the whole span of his life-long ministry. The period fell on that of the time when the Kyoung Sung Presbytery to which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affiliated separated itself from the Kyoung KI Presbytery in 1932. For illustrations, he paid condolence as the moderator-elected of the Kyoung Ki Tchoong Chung Presbytery to the Underwood family when the first President of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passed away; he supported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in a great extent as then the minister-in-charge of the Seung Dong Presbyterian Church; he dispatched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students as evangelists to the Kyoung Ki Province even after his resignation from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As we have seen above, his works and endeavours whatever in Korean Churches had been ever centered upon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Furthermore, his distinguished ecumenical spirit for the two major denominations(Methodist and Presbyterian) reached at large to the grand ecumenical spirit of the great H. G. Underwood. His ecclesiastical theology of the Cross and his strong conviction that Korean Churches firmly founded upon the Rock of Jesus Christ were noticeably identical with the theology of Underwood. Actually Underwood visualized that the christianized Korea should step into the stage of the world in order to bring about the united Christendom of three nations of the Far East. He had been visibly and thoroughly presented to the Korean churches as the real and the object lesson of the United Church of Korea,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when he acted as the Dean of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from 1922 to 1929. He was the first Presbyterian Dean of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under the Japanese reign of Korea, and at the same time he was the first Presbyterian officer after Underwood the founder of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Prior to Sang-Jin Cha the position of the Deans was occupied by the Korean Methodists only. The position of the President was also held by the Methodist Missionaries except Underwood the first President. Then there is no wonder that the Presbyterian students flourished after Sang-Jin Cha was nominated as the Dean. Furthermore, the period when Sang-Jin Cha served as the Dean was the only period when the united academic management was practically carried out by the Methodist missionary President and the Korean Presbyterian Dean. The period of the Dean-ship of Sang-Jin Cha was the significant time of transition when the chief management of the administration was held by the Presbyterian Presidents and Deans after the decease of Underwood. Accordingly it is to be said that the period when Sang-Jin Cha was serving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was the only period when every mission and every church in Korea were working together hands in hands as the ecumenical partnership. He was rightly celebrated as the real and the object lesson of the united Christian educationin Korea.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은 1907년 대부흥운동의 결과로 생겨난 장감 연합 교육사업의 대표적 실례 중 하나이다. 차상진은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의 첫 장로교 원감으로 7년여의 시간을 봉직했다. 그것은 목사 차상진의 사역의 거의 1/3에 달하는 오랜 시간이었다. 그런데 1916년 목사로 임직하여 그 사역을 시작한 벽두부터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이 소재한 경성노회가 1932년 경기노회로부터 분립하던 무렵까지 차상진의 사역은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을 구심으로 하여 드넓게 펼쳐지고 있었다 . 1916년 경기충청노회장에 선임된 차상진이 그 첫 임무로 동 성경학원의 설립자이자 초대 원장인 언더우드 박사의 유족을 위문한 일이나 승동교회 위임목사 당시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지원이나 피어선기념성경학원에서 물러난 후 동 성경학원 학생을 전도인으로 파송한 것 등이 그것이다. 그런데 차상진 사역에서 나타나는 피어선기념성경학원 구심성은 단순한 사업적 문제에서만이 아니었다. 차상진의 장감 연합 정신은 동 성경학원의 설립자언더우드의 연합 정신에 가 닿고 있었다. 차상진의 십자가의 교회주의와 장감 양교회가 공히 예수 그리스도의 반석 위에 세워졌다는 그의 굳건한 사상은 기독교한국을 중심으로 동북아의 삼국이 기독교국으로서의 연합을 이룰 것이라는 언더우드의 사상과 다르지 않았다. 한편 1922-1929년까지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원감으로 봉직하는 내내 그는장감 연합의 실체이자 실물교육으로서 현존하고 있었다. 차상진은 일제하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에 등장한 첫 장로교 원감이었다. 동시에 그는 설립자 언더우드 이후 첫 장로교 임원이었다. 차상진 이전의 한국인 원감은 모두 감리교 목사였을 뿐 아니라 장감 양 선교부의 선교사들이 맡아왔던 원장 역시 초대원장 언더우드 이후에는 모두 감리교 선교사였던 것이다. 차상진 원감의 부임 이후 장로교 학생들이 크게 증가한 것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었다. 나아가 차상진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재임 기간은 유일하게 장감 연합 학사운영의 실물교육이 가능했던 때였다. 차상진의 재임기간은 언더우드 서거 후 계속된 감리교 원장과 원감의 학사운영 주축이 다시 장로교 선교사 원장과 원감으로 옮겨지던 과도기였다. 따라서 차상진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재임기간은 감리교 원장과 장로교 원감, 서양 선교사 원장과 한국인 목사 원감이 나란히 재임했던유일한 경우였다. 그는 장감 연합 교육의 실체이자 실물교육으로서 피어선기념성경학원 내에 현존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아더 피어선의 기독론 루터의 단성론적 기독론과 칼빈의 양성론적 기독론 사이에서

        전대경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23 피어선 신학 논단 Vol.12 No.1

        This article deals with ontological aspects of A. T. Pierson's Christology. Generally speaking, it is well known fact among Pierson researchers that Pierson place his theological roots deep inside the ground of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In this article, the writer does not want to simply conclude that “Pierson thoroughly follows Christology of Luther and Calvin” and say that the thesis is truthful by giving few proofs from Pierson's writings. It is because, by doing so, the genuineness of Pierson's Christology disappears. If Pierson's Christology merely follows Luther and Calvin's Christology thoroughly, then there is no need of taking a look at Pierson's Christology. It is because we could simply take a look at only Luther's and Calvin's Christology. The writer, however, does not want to argue that Pierson follows neither Luther nor Calvin. If so, Pierson becomes a theologian who argues a Christology too far from the mainstream of the Christian orthodoxy. The writer tries to wrestle between these two. In other words, the writer argues that while Pierson follows the core of Luther's and Calvin's Christology thoroughly specific aspects are not all the same. The problematic theme in question that underlies at the bottom of this entire paper is that how to elucidate the ontological identity legitimately throughout these three: Christ the Logos, Christ the Incarnation, and Christ the Glorified To clarify the legitimacy of this research, this article first critically deals with the core of Pierson's ontological Christology if it is commensurable with Luther and Calvin's. Secondly, it is critically dealt that well known theologians approve that there are the differences between Luther's and Calvin's Christology in ontological aspects. Thirdly, it is confirmed with Luther's works if Luther's Christology has inclination to Eutychian monophysitism. Fourthly, it is validated with Calvin's works if Calvin's Christology is inclined to Nestorian dyophisitism. Lastly, it is dealt where Pierson's Christology stands in-between Luther's and Calvin's and what metaphysical legitimacy the genuineness of Pierson's Christology would have. In addition to this, the writer argues that the theological revisioning to the potential weaknesses in Pierson's Christology must not only overcome the drawbacks of both in Luther's and Calvin's Christology but also transform the incommensurability of these three into a commensurability. 본 소고는 피어선의 기독론을 존재론적 측면에서 다룬다. 피어선의 신학이 전체적으로 루터(Martin Luther, 1483-1546)와 칼빈(John Calvin, 1509-1564)의 신학에 그 뿌리를 철저히 두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피어선 연구자들 사이에 잘 알려져 있다. 논자는 본고에서 단순히 ‘피어선이 루터와 칼빈의 기독론을 철저히 따르고 있다.’는 결론을 먼저 내리고 피어선의 저작들로부터 그 증거들을 몇몇 보임으로써 나의 주장이 옳다고 하며 글을 마무리하고 싶지는 않다. 이유는 그렇게 했을 때에 피어선의 기독론만이 갖는 진위성(genuineness)이 사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피어선의 기독론이 단지 루터와 칼빈의 기독론을 철저히 따르는 데에만 그친다면, 굳이 피어선의 기독론을 볼 필요성도 사라진다. 루터와 칼빈의 기독론만 보면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피어선이 루터와 칼빈 그 누구도 전혀 따르지 않는다.’라고 논자가 주장하고 싶지도 않다. 이렇게 되면, 피어선은 정통신학에서 너무 멀리 떨어진 주장을 하는 사람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논자는 그 둘 사이에서 씨름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논자는 피어선이 루터와 칼빈의 기독론의 핵심을 철저히 따르지만, 세부적 측면까지 모두 같지는 않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본고 전체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논자의 문제의식은 성육신 이전의 로고스(Christ the Logos)와 성육신하신 그리스도(Christ the Incarnation), 그리고 영화하신 그리스도(Glorified Christ), 이렇게 셋 사이의 존재론적 동일성을 어떻게 적절히 해명할 수 있느냐이다. 이러한 연구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본고는 먼저 피어선의 존재론적 기독론의 핵심이 루터와 칼빈의 기독론과 공약 가능성을 갖는지 여부를 비판적으로 다룬다. 그런 다음, 저명한 신학자들이 루터의 기독론과 칼빈의 기독론 사이에 존재론적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인정함을 비판적으로 다룬다. 그런 다음, 루터의 기독론이 유티키안적 단성론으로 기우는지를 루터의 작품들로부터 확인한다. 그런 다음, 칼빈의 기독론이 네스토리안적 양성론으로 치우치는지를 칼빈의 작품들로부터 확인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피어선의 기독론이 이 둘 사이의 어디에 위치하며 피어선의 기독론이 갖는 진위성이 어떤 형이상학적 정당성을 갖는지를 다룬다. 아울러 논자는 피어선의 기독론이 갖는 잠재적 약점에 대한 신학적 보완이 루터의 기독론이나 칼빈의 기독론의 단점들을 극복할 뿐 아니라 이 셋의 공약 불가능성을 공약 가능성으로 만들어 줄 수 있음을 보인다.

      • KCI등재후보

        피어선의 귀납주의에 대한 비판적 옹호: 귀류 논증을 통하여

        전대경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23 피어선 신학 논단 Vol.12 No.2

        Among precedent researchers on A. T. Pierson, it is well known fact that Pierson himself was an enthusiastic proponent of inductivism while he was an acute critic of deductivism. In this article the writer, however, insists that Pierson is not a genuine inductivist. It is because he was maybe a promoter of inductivism but in fact was a practitioner of deductivism. Pierson insists that induction apart from deduction is the only scientific methodology for theological research. It is accepted by precedent researchers unquestioningly. The writer criticize both Pierson who provided the source and the precedent researchers who generalized partial samples from quotes of Pierson. If we do philosophical, logical, and theological analyses on precedent works about Pierson's inductivism, Pierson becomes a person whose words do not match with his actions since he promotes inductivism while he practise deductivism. The writer, however, tries to insist that Pierson was never a hypocrite although he has lack of knowledge on induction and deduction. It is also found that Pierson elevates Aristotle and deduction once we try to take a look at the whole works of Pierson. After a thorough investigation on the legitimacy of inductivism, we find that induction is neither justified nor having practical facility apart from deduction. Thus, to defend Pierson critically, although Pierson himself and precedent researchers describe him as an inductivist, the writer insists that it is legitimate to call Pierson as a deductive-inductivist. To justify the thesis suggested above, this article utilize induction, deduction, abduction et cetera under the big umbrella of reductio. In other words, to critize the writer's academic opponents in this paper, by placing the opponents' conclusion “Pierson is an inductivist.” on the presupposition of the argument, the writer tries to reveal the inconsistencies between the premise and the consequence, and argues that we should deny the presupposition and replace it with a revisioned one. First, it is revealed by dealing with the precedent works how the argument of “Pierson is an inductivist.” is having internal inconsistencies. Secondly, it is shown from examining Pierson's works that what kind of inconsistencies the argument “Pierson is an inductivist.” has. Lastly, it is tried to save Pierson from his own swamp of inductivism by enhancing the scope from the limited sources of precedent researches. In other words, the writer concludes the article defending critically Pierson and the precedents researchers by suggesting revisioning “Pierson is an inductivist.” to “Pierson is a reductive-inductivist.” 아더 T. 피어선이 귀납주의에 대한 열렬한 옹호자이자 연역주의에 대한 신랄한 비판가라는 사실은 선행연구자들 사이에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논자는 본 고에서 피어선이 진정한 귀납주의자가 아니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피어선은 비록 귀납주의 호소인이었을지는 모르나 연역주의 실천가였기 때문이다. 피어선은 연역을 떠난 귀납만이 옳은 과학적 신학 연구 방법론이라고 주장한다. 선행연구들도 이를 무비판적으로 그대로 받아들인다. 논자는 피어선의 언급들 중 일부만을 놓고 그대로 옮겨 일반화한 선행연구들의 평가를 비판하며, 그 원인 제공자인 피어선도 비판한다. 피어선 선행연구들을 철학적/논리적/신학적으로 분석하면, 피어선은 ‘귀납주의를 호소하면서도 연역주의를 실천하는’ 언행 불일치의 인물이 되어 버린다. 하지만 논자는 피어선이 귀납과 연역에 대한 이해가 다소 부족했던 사람이었지 결코 위선자는 아니었다고 주장하려고 한다. 피어선의 작품 전체를 보면 피어선이 아리스토텔레스와 연역에 대해 치켜세우는 부분도 있다. 귀납의 정당성에 대한 탐구를 통해 볼 때에도 귀납은 연역을 떠나 결코 정당화될 수도 없고 실용적 유용성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논자는 피어선을 비판적으로 옹호하기 위해, 비록 피어선과 선행연구자들이 피어선을 귀납주의자로 묘사했지만, 논자는 피어선을 역역적-귀납주의자로 보는 것이 옳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논지의 정당성을 위해, 본 고 전체는 귀류 논증의 큰 틀 속에 귀납, 연역, 가추 등의 논증을 활용한다. 다시 말해서, 논자가 비판하고자 하는 피어선과 선행연구자들의 결론인 ‘피어선은 귀납주의자’를 비판하기 위해, 이를 전제로 놓고 논의를 진행하면서, 그 귀결들과 전제가 모순 관계이기에 우리는 전제를 거부해야 하며, 이를 수정해야 함을 논증하는 것이다. 먼저, 피어선 선행연구자들의 자료들로부터 ‘피어선은 귀납주의자’라는 주장이 어떻게 내적 모순을 갖는지를 밝힌다. 다음으로 피어선의 작품들로부터 ‘피어선은 귀납주의자이다.’라는 주장이 어떤 모순점들을 갖는지를 보인다. 끝으로, 선행연구자들로부터의 제한된 자료들 범위 밖에 있는 확장된 자료들로부터 피어선을 귀납주의의 늪에서 구출하길 시도한다. 다시 말해서, ‘피어선은 귀납주의자’를 ‘피어선은 연역적-귀납주의자’로 수정을 제안함으로써 피어선과 선행연구들을 비판적으로 옹호하며 논문을 마친다.

      • KCI등재후보

        아더 피어선(1837-1911)의종말론과 세계 기독교의 형성

        이연승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7 피어선 신학 논단 Vol.6 No.2

        Abstract Arthur Pierson’s Eschatology and the Formation of World Christianity Yeon Seung Lee, Th.D. Lecturer, Graduate School of Theology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This essay investigates A. T. Pierson’s documents, “The Coming of the Lord: The Doctrinal Center of the Bible,” “Our Lord’s Second Coming a Motive to World Wide Evangelism,” and “The Final Consummation of All Things,” in order to examine A. T. Pierson’s stance in eschatology and its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world Christianity. The findings of the probe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schatology of the northern hemisphere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nd the theology of premillennialism prevalent in the southern hemisphere. Pierson advanced what the leading evangelicals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discovered through the Bible and Prophecy Conference held consecutively in 1878, 1886, 1895, and 1901 in an unprecedentedly collective and reasserting force. Premillennialism that places cardinal values on Christ’s holiness and imperishable human souls was professed by evangelicals of Presbyterian, Methodist, Reformed, Congregational, and Baptist churches in the late 19th century, leading to a new order of Christianity in ecumenical cooperation across denominations and for the great work of world missions, which had been for years at the heart of Pierson. 한국어 요약문본 논문은 피어선의 종말론과 세계기독교와의 연계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피어선이 19세기 말, 1878년, 1886년, 1895년, 1901년에 개최된 성경예언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피어선의 종말론은 기독교 역사에 유례없는 이들 대규모 성경예언대회의 공통적인 강조점, 곧 성서의 신적 권위, 그리스도의 가시적, 육체적 재림, 지고의 가치를 지닌 인간의 영혼, 및 그리스도 주도적 천년왕국을 반영하고 있음을 입증한다. 피어선은 무천년설이나, 후천년설, 또한 역사주의 전천년설 지지자들이 사용하는바 성경의 내용을 역사적 사건과 연결하는 성서해석방법에 거부한다. 과거나 현재의 역사적 사건을 다니엘과 계시록의 예언에 적용하는 해석을 신뢰하지 않았는데, 피어선은 성경의 구원사와 일반 세속사를 철저히 구분하기 때문이다.피어선은 인간의 전전타락을 전제로 하는 신학에 뿌리를 내리면서도 세계선교를 위한 구조를 세우는 데 주저하지 않았으며, 그리스도의 재림을 대망하면서도 교회와 학교와 문서사역을 수행했다. 피어선은성경과 선교를 그리스도의 재림과 연결한 19세기 복음주의자의 전형으로서의종말론을 제시했다.

      • 박용희(朴容羲)의 신앙과 사역에 대한 연구

        이선호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4 피어선 신학 논단 Vol.3 No.2

        이 논문에서는 구한말, 일제시기, 해방 후 한국교계와 정치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지만 그동안 거의 연구되지 못한 박용희의 사역에 대해 조망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박용희의 사역을 구한말과 일제시대, 그리고 해방이후 등 두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박용희의 사역은 기본적으로 연합정신에 입각한 것이었다. 그러한 연합정신은 그가 연동교회에 다니면서 신앙의 기본을 가르쳐 준 언더우드로부터 영향을받은 것이며, 일본 유학 당시 나까다 쥬지가 운영하는 성결교 계통의 성서학원을다니면서 더욱 강화된 것이었다. 이후 그의 사역은 승동교회를 비롯하여 호남 일대의 교회, 영등포교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전개되었다. 이 과정에서 그는 1927년부터 1928년까지 장로교 경기노회장, 1927년부터는 신간회 안성지부장, 1929년부터 1930년 사이에는 “장로교와 감리교 연합공의회”의 후신인 “예수교 연합공의회” 회장 등의 중요한 직책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박용희는 YMCA에서도 신흥우 등과 함께 교계연합적인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적극신앙단의 핵심적인 인물로 활동하였다. 박용희는 연합적인 사역을 전개하면서도 보수적인 신앙관을 바탕으로 신사참배 강요에 적극적으로 저항하였다. 그 결과 그는 순천노회장을 역임하면서, 해방 전 4 년에 달하는 옥고를 치르기까지 하였던 것이다. 한편 박용희는 민족정신을 바탕으로 활발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는1907년의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하였고, 1919년의 기미독립운동에서 재정을 맡았으며, 한성정부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 등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일제의 추적을 피해 중국에 망명을 하기도 하였다. 특히 그는 해방 이후에도현실 정치에 관심을 기울여 안재홍과 국민당을 결성하기도 하였고 김구의 한국독립당 창당에도 기여하였다. 나아가 박용희는 장로교 내부에서는 개혁성을 바탕으로 해방 이후 이른바기장 측의 핵심적 인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 결과 그는 원로목사로서 한국신학대학 이사장 및 대한기독교 장로회 총회장을 1954년부터 1956년 사이 역임하였던 것이다. 또한 한국전쟁 시기 박용희는 오늘날 평택대학교(平澤大學校)의 전신인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이 제2의 도약을 하는데 정신적인 지주의 역할을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그는 기독교 신앙의 순수성에 대해서는 보수적이었지만,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실천하였으며, 나아가 교계의 정화운동에도 헌신한 인물이었다 . 박용희의 이러한 특징은 당시 한국교계를 이끈 여타 인물들과 비교할 때 상당히독특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신앙에 깊이 침잠하여 사회 현실에는 무관심한 경우가 많거나, 사회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나머지 신앙및 신사참배 등의 문제에서 문제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박용희가일생을 통해 보여준 이러한 모습은 비록 그의 사역에 대해 일부 비판적인 목소리가 있었지만, 향후 한국 교계 목회자들을 향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으로평가된다.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works and the belief of pastor Park Yong Hee(朴容羲, 1884-1959), who had done important role during the periods of late Joseon, Japanese colonial Joseon, and First Republic of Korea. However, only few study had been done about him so far. This article try to reveal his works both in two parts, from late Joseon to Japanese colonial Joseon, and after Liberation of Korea. Basically the works of Park Yong Hee had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spirit of ecumenism and union. That kind of spirit could be learned from Horace Grant Underwood(元杜尤, 1859-1916) who taught him the essence of belief, and could be strengthened when he attended at the bible study institute established by the founder of Holiness Church of Japan, Nakada Jujii(中田重治, 1870-1939). Park Yong Hee had leaded several churches including Seungdong Church, some churches in Jeolla Providence, and Youngdeungpo Church. Through this process, Park Yong Hee could be selected important position such as the chairman of the Synod of Kyungkido(1927-1928), the chairman of Ansung Branch of Shinganhoe(新幹會, 1927-1932), and the chairman of the Union Council of Christian Church(耶蘇敎聯合公議會, 1929-1930), which was established after the Union Council of Presbyterian Church and Methodist Church. And Park Yong Hee promoted church union movements in YMCA with Shin Heung Woo(申興雨, 1883-1959), was one of the core person in Positive Faith Group(積極信仰團). Yet he took part in the church union movements, with the conservative faith in Christian religion, he strongly denied accepting the Shintoism of Japan. So he should go to prison for four years before Liberation when he was chairman of Shoonchun Synod. Besides, Park Yong Hee promoted independent movements vividly with national emotion. He took part in the Movement Compensation in National Bonds of 1907, took in charge of finance during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did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Hansung Government, and exiled to China to avoid being arrested by Japanese police. Specially, he had been interested in the politics after Liberation of 1945, established the Nationalist Party(國民黨) with An Jae Hong(安在鴻, 1891-1965), and aided Kim Koo(金九, 1876-1949) in making the Korea Independence Party(韓國獨立黨) of 1946. Further, Park Yong Hee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the Kijang Presbyterian Church, with the powerful reform spirit. So he could be not only a president of Hankook Theological College, but also a chairman of he Kijang Presbyterian Church from 1954 to 1956. Also he had done important role for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School, the former institute of Peongtaek University, to maintain the courses and rebuild the School during the Korean War period(1950-1953). In conclusion, Park Yong Hee had the conservative faith concerned with the purity of Christian belief, took part in the movements concerned with social reform, and was the person who devoted himself to the church reform. These specialities of him would be distinguished among other figures. Because majority of pasters could be separated in two groups, one usually had conservative faith in belief but not having so much interested in the social problems, the other had enthusiastic spirit in social movement but not having so much interested in the belief, even having taken part in Shintoism in Japanese colonial Joseon. And these specialities of him, in spite of some negative evaluation about him, would be regarded as important to the pastors of present in Korea.

      • KCI등재후보

        아더 피어선의 찬송가 연구

        문성모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6 피어선 신학 논단 Vol.5 No.1

        Pierson(Arthur Tappan Pierson, 1837-1911) was known as a minister, educator, evangelical missionary and christian writer. However, nobody had studied about him as an hymn writer and we also didn’t know about his hymn in Korea. Even though his mission period(1910. 12. - 1911. 1.) in Korea was very short, Pierson Memorial Union Bible Institute, which is the predecessor of the Pyeongtaek University, was founded in Seoul according to his last wishes. Pyeongtaek University has opened the Pierson Hall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and exhibited materials. In this place Pierson’s hymn, 『Gospel Hymns and Sacred Songs』(1875) was revealed and in this book, 44 songs, <The New Song> was included. This hymn had five verses and Bliss(Philip Paul Bliss, 18381876) composed it. The number of Pierson’s hymn lyrics are 24 and in these hymns <The New Song> is the most famous one. Pierson had worked during the Great Awakening Period of the United States, from the mid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co-worked with Dwight Moody, James Hudson Taylor, Adoniram Judson Gordon, George Williams and George Muller, the revivalis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t that time. His hymn lyrics were based on Revelation 14:3 of and showed impressive apocalyptic ideas with revival trend of that time. 피어선(Arthur Tappan Pierson, 1837-1911)은 목회자요 교육자요 복음주의 선교운동가요 기독교 저술가로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가 찬송가작가였다는 사실은 아직 연구되지 않았고, 그의 찬송가에 대하여 한국에 알려진바도 없다. 그가 한국에 와서 선교한 기간(1910. 12. - 1911. 1.)은 매우 짧지만, 그의유언에 따라 오늘날 평택대학교의 전신인 피어선 기념학원이 서울에 설립되었다. 평택대학교는 개교 100주년을 기하여 피어선기념관을 개설하고 자료를 전시하였는데, 여기에 피어선 소장본 찬송가 『Gospel Hymns and Sacred Songs』 (1875)가 소개되었고, 이 찬송가 44장에는 피어선이 작사한 <The New Song> 이 들어있다. 이 찬송가 가사는 총 5절로 되어있고, 작곡자는 블리스(Philip Paul Bliss, 1838- 1876)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피어선의 찬송가 가사는 모두 24개 정도이며, 이중에서 위의 찬송가가 가장 유명하다. 피어선은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초반의 미국의 대각성운동 기간에 활동한 인물이며, 당대의 미국과 영국의 부흥운동가인 드와이트 무디(Dwight Moody), 허드슨 테일러(James Hudson Taylor),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A. J. Gordon), 조지 윌리엄스(Sir George Williams) 및 조지 뮐러(George Muller) 등과 함께 동역하며 활동하였다. 그의 찬송 가사는 요한계시록 14장 3절에 기초하고 있고, 당대의 부흥의 물결에 편승하여 강한 종말론적 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최거덕(崔巨德) 목사의 생애와 사역에 대한 연구

        이선호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6 피어선 신학 논단 Vol.5 No.1

        This article is to do research about the life and works of pasotr Choi Geo-Deok(1907-1990). He, who had lived from Japanese colonial period to 1990, leaded Korean christian society’s revival. Specially he had took part in progressive social activities with conservative belief. Choi Geo-Deok could have take in charge of Meodong Church tha t was one of the famous churches in Korea when he was thirties. aLter he leaded Andong Church, and established Deoksu Church. He couldn’t strongly resist against Japanese rule to maintain his church, but he tried to support independent movements silently. The theology of Choi Geo-Deok was established by his variety li fe which experienced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He showed wonderful leadership with supporting younger christian pastors. That kind of features could be found in selecting successor of his church(Deoksu Church). Also Choi Geo-Deok influenced many people including Yoon Bo Sun(1987-1990), who was the former president of Korea and one of the presbyteries in his church. Choi Geo-Deok also helped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School and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Seminary to be developed into Pyeongtaek University. He selected Cho Ki Hung(1932-Now) as the responsible person of the schools. With this efforts of Choi Geo-Deok and Cho Ki Hung, Pyeongtaek University could be one of the influential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본 논문은 최거덕 목사의 생애와 사역에 대해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최거덕 목사는 일제강점기 이후 1990년 그가 소천 할 때까지 한국 교계의 주요한 인물로 활동하면서 기독교계의 성장을 이끌었다. 그는 보수적인 신앙관을 견지하면서도 사회 개혁의 움직임에는 적극적인 활동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최거덕 목사는 1930년대 한국 교회의 혁신을 요구하였던 적극신앙단의 구성원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해방 이후 진보적인 사상을 지닌 인물들이 가담한 것으로 평가되는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주요한 인물들과도 친밀한 사이였다. 그의 적극적인 사회 활동은 제3공화국 당시 진보적인 단체로 평가 받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회장을 역임하면서 한국교계를 이끈 부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최거덕 목사는 30대의 나이에 이미 국내의 대표적인 교회의 담임목사로 시무하였는데, 이는 그가 지닌 목회자로서의 탁월한 능력을 널리 인정받은 결과였다. 최거덕 목사는 일제 강점기 당시 폭압적인 신사참배에 대한 요구와 친일적인행동의 요구에 대해 담임 목사로 목회의 현장을 지켜야 하였기 때문에 큰 저항을할 수는 없었지만, 적극적으로 가담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최거덕 목사는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활동하던 이동영 선생의 장례예배를 주도하는 등 일제 강점기당시 독립 운동가들을 드러나지 않도록 지원하기도 하였다. 또한 그는 해방 이후일제 강점기 동안 겪었던 고초에 대해 회개를 선포하였으며, 안동교회라는 저명한 교회의 담임 목사 자리를 마다하고 새로 덕수교회를 개척하는 역할을 하였던것이다. 하지만 최거덕 목사는 진보적인 성격을 지녔지만, 화합과 연합을 강조하는목회 관을 초지일관 견지하였다. 그는 한국기독교장로회가 구성될 당시 이에 대한 참여를 거부하였으며, 통합과 합동 측으로 대한예수교장로회가 분열될 때에도 한국교회에 적극 참여하였던 선교사들이 지지하였던 통합 측에 남는 결정을내렸던 것이다. 최거덕 목사가 이런 결정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비록 갈등과 문제가 있더라도 기존의 체제 안에서 개혁을 추진해야 하며 절대 분열은 있을 수 없다는 정신에 입각한 것이었다. 최거덕 목사의 신학은 유교, 불교, 도교를 두루 섭렵한 삶을 바탕으로 기독교 신앙이 확립된 것이었다. 그는 유교적인 가정 배경과 불교대학에서 공부한 불교철학과 기독교 진리의 영행을 받아 유교적인 도덕과 불교적인 포용력과 기독교적인 사랑이 하나가 되는 특별한 신학체계를 정립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부분은 한국적 신학의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앞으로 보다 깊이 연구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판단된다. 한편 그는 화합을 강조하면서 후배 교역자들을 훌륭하게 키우는 리더십을발휘하였다. 일례는 그의 목회관은 덕수교회의 후임 목사를 결정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잘 드러났다. 즉 그는 전도사 시절부터 교회에 헌신하여 온 손인웅 목사를후임 목사로 추천하였는데, 이러한 부분은 현재 후임 목회자 선정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한국교회에 귀감이 될 수 있는 일이다. 또한 최거덕 목사는 오늘날 평택대학교의 근간인 피어선기념성경학원 및 피어선기념성서신학교가 제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적극 후원하였다. 뿐만 아니라그는 조기흥 총장(당시 전도사)을 발탁하여 피어선신학교의 운영을 책임질 수있도록 이끌었는데, 이러한 최거덕 목사의 노 ...

      • KCI등재후보

        피어선의 존 낙스 이해 - 피어선의 “The Tercentenary of Knox”를 중심으로

        김문기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9 피어선 신학 논단 Vol.8 No.2

        Arthur Tappen Pierson (1837-1911) was a mission theorist about evangelical world missions, a Bible expositor, preacher, educator and minister. Pierson probably wrote “The Tercentenary of Knox” in the year 1859 to celebrate the 300th commemoration of the Reformed Church in Scotland, which was established in 1560. The place of composition is unknown. Pierson wrote the history of the Reformation in Scotl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fe of John Knox (1515-1572). As a Reformer, Knox’ s life was very dramatic. The martyrdom of his teacher, George Wishart, caused Knox to begin his life of reformation in Scotland. The event marking the beginning of Knox’s reformation activities was his stand with Protestants in April of 1547 in St. Andrews Castle. Knox was taken captive to France where he was sentenced to the life of a galley slave for more than a year and a half. After his release with the assistance of the King of England, Edward VI, Knox exiled himself to England, Dieppe, Frankfurt and Geneva. Upon his return to Scotland in May of 1559, Knox began his reformation activities in earnest. The lives of Protestant reformers in Scotland was a bitter existence. Regent Mary of Guise was ruling Scotland at that time. She was a powerful Roman Catholic regent who never gave up the persecution of Protestants. In August of 1560, the Scottish Protestants declared Reformation in Scotland with the help of England. The persecution by Queen Mary of Scott was so severe that Knox was forced to live a wilderness existence similar to John the Baptist. Under the leadership of Knox, the Protestants were able to survive and endure until Mary was dethroned on July 4, 1567. John Knox, the foundation of the Scottish Reformation, died on November 24, 1572. The character of John Knox was similar to that of John the Baptist. Both men were intellectually gifted and morally mature in the righteousness of God. As a preacher, both men were giants in the pulpit, moving the hearts of thousands of people. As a reformer, Knox molded the Reformation in Scotland around the salvation of the nation, not his own personal ambition. He prayed, “O God, give me Scotland!” Pierson shows how churches and Christians assume activities and attitudes in state and society. It is biblical doctrine and prayer that maintains the reformation faith introduced by John Knox. 피어선은 종교개혁을 창조의 전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간파하고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300주년(1860년)을 기념하여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자 낙스에 관한 글을 썼다. 그의 낙스에 관한 글은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낙스의 출생에서 1560년 개혁교회 설립까지’, 제2장 ‘종교개혁의 정착에서 그 의 죽음까지’, 제3장 ‘낙스의 성격’, 제4장 ‘설교자요 종교개혁가’. 낙스의 생애는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피어선은 낙스의 생애 를 통해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사를 조명한 것이다. 그의 스승인 위사트의 순교로 낙스는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자의 길을 가게 된다. 1547년 세인트앤드루스 성 사건으로 낙스는 갤리선의 노예로 프랑스에 포 로로 잡혀 1년 반 동안 고초를 당하고 망명자로서 잉글랜드, 디에쁘, 프랑크푸르 트 그리고 제네바에서 사역하였다. 제네바 망명 시 칼빈과 깊은 교제를 나누며 그 의 생애 최고의 시간을 보냈다. 낙스는 가톨릭교도인 섭정 기즈의 메리가 스코틀 랜드 개신교도들에 대한 탄압을 본격적으로 할 때 스코틀랜드에 귀국하여 종교 개혁을 전개하여 1560년 스코틀랜드는 가톨릭을 폐지하고 개신교 국가를 세웠 다. 그러나 남편을 잃은 스코트의 메리 여왕의 스코틀랜드 귀국은 또 다시 낙스에 게 큰 시련을 주었다. 낙스는 메리 여왕을 비롯한 가톨릭교도들과 끊임없이 투쟁 하면서 자신의 종교개혁의 소임을 다하고 1572년 세상을 떠났다. 종교개혁이 스코틀랜드에서는 서유럽의 다른 국가보다 늦었지만, 낙스는 교 회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를 개혁해야 진정한 종교개혁이 완성된다고 보고, 스코 틀랜드가 가톨릭국가에서 장로교 국가로 바뀌는 과정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 다. 피어선은 낙스를 인간적인 면에서, 설교자로서 그리고 종교개혁자로서 평가 하면서 가장 중요한 평가는 종교개혁자로서 낙스의 전반적인 사역이었다. 낙스 가 많은 박해와 난관을 극복하고 스코틀랜드를 장로교 국가로 만들 수 있었던 것 은 그의 내면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며 그것은 그의 영성의 기반이 된 기도와 말씀 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